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교육에서 도덕교과의 필요성과 과제

        김항인(Hang-In Kim)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0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0

        본 논문의 목적은 이론적 근거와 경험적 조사연구 결과들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교육에서 도덕과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현재 초등 도덕과의 문제점을 점검하며, 실효성있는 교과로서의 위상 정립을 위한 방안들을 제시하는 데 있다. 초등 도덕과의 이론적 근거로서 윤리학적 배경, 도덕심리발달적 근거, 역사적 전통, 시대적 사명, 비교 교육학적 관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초등도덕과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초등교사, 학부모, 초등학생, 전문가의 지적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하며, 관련 선행 조사 연구 자료와 면담자료들을 분석하여, 구체적인 문제점들을 부각하였다. 제시된 문제점들로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집중 이수제, 초등 도덕과 수업 시수 문제, 초등 도덕과 교수-학습 방법의 문제들, 예비 교사 및 현지 교사 연수의 문제, 초등학생들의 도덕 행동의 실천 강화 문제들과 이에 대한 해결 방안들이 제시되었다. 결론적으로 초등도덕과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개선할 수 있는 방안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present the necessity and tasks of moral education in elementary education using theoretical foundation and survey research results, to analyse the problems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ways to improve the status of mo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he researcher presented ethical background, moral psychological foundation, historical tradition, the contemporary tasks, and comparative educational perspectives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Additionally, using survey results from elementary teachers, parents, elementary students, and experts, the researcher analysed the problems of current elementary moral education: concentrated implementation from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shortage of time for elementary moral education, the problems of instructional method in moral education, education for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the problems of elementary students' implementation of moral behavior, and the solutions of improving students' moral implementation. Finally, several suggestions for improving elementary moral education were presented. Key Words: Elementary moral education, ethical approach, development of moral judgment, personality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instruction for elementary moral education were presented.

      • KCI등재

        교육대학생들의 표절 의식 조사

        김항인 ( Hang In Kim ) 한국윤리학회 2013 倫理硏究 Vol.9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college of education students` understanding and attitude on plagiarism and to develop a foundation for the program in order to enhance research ethics. Contemporarily plagiarism in the academic field has become very important issues. Socially some of respected politicians, educators, and celebrities` dissertations or academic papers has violated research ethics, especially plagiarism and thus the voice of social reflection is growing gradually. Research misconduct such as data falsification, fabrication, plagiarism occurs in the area of natural sciences as well as humanities and social research area. In the case of the current college of education students, they have not received a systematic training when they write term papers and thesis. Also there was no systematic research on their misconduct in research ethics. As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llege of education students have responsibility to know how to write their papers and cite other`s intellectual property ethically for their future elementary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was to survey college students` awareness of plagiarism and research ethics. For this study, research participants were 185students(44 male students and 141 female students) from one university of education. The survey questions were divided into two parts, one for behavior related to plagiarism, the other for awareness of plagiarism. The main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is that currently many college of education students are doing a lot of plagiarism and related activities, and the plagiarism prevention education is need. Preferentially plagiarism prevention education targeting college curriculum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 KCI등재

        빅데이터 활용에 따른 정보 윤리 의식 함양 방안

        김항인 ( Kim Hang-in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18 倫理硏究 Vol.123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새롭게 등장한 빅데이터 활용관련 윤리적 이슈를 논의하고, 초·중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빅데이터 활용에 따른 정보윤리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빅데이터 활용이 널리 보급되면서 정보수집 및 활용기술이 날로 고도화되었고, 정치, 사회, 경제, 보건, 스포츠 분야에 이르기까지 그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개인정보 침해, 정보독점화 및 왜곡현상, 개성의 상실과 같은 윤리적 이슈들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 중, 고등학생들에게 빅데이터 관련 정보윤리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2015 개정 초, 중등학교의 도덕 및 생활과 윤리 교육과정의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정보윤리 교육 방법으로 이해형과 탐구형을 제시하며 구체적인 빅데이터관련 문제 상황과 딜레마 상황을 개발하고 이를 수업에 활용하기 위한 수업 단계별 교사의 발문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수업 방안은 빅데이터 관련 교육뿐만 아니라 향후 새롭게 등장하는 정보윤리 이슈들을 다루는데도 적용할 수 있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discuss ethical issues related to the emergence of new Big Data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o suggest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method based on the use of big data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With the widespread use of Big Data, information gathering and utilization technologies have become more advanced, and their influence has expanded from politics, society, economy, health, and sports. In addition, ethical issues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infringement, information monopolization and distortion, and loss of personality are frequently occurring. This study analyzed contents of Moral Education & Life and Ethics curriculum of primary & secondary school at the beginning of 2015 in order to conduct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related to Big Data to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presented the type of awareness and inquiry instruction-learning for the way to teach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related to Big Data, and developed the concrete problem situation and dilemma situation of big data with the teacher's concrete in-depth questioning in class. These teaching methods can be applied not only to education related to big data, but also to deal with emerging information ethics issues in the future.

      • KCI등재

        학교 도덕교육의 역할과 통합 탐색: 도덕과, 일반교과, 교과외 활동의 관계

        김항인 ( Hang In Kim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2 초등도덕교육 Vol.0 No.39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도덕교육의 역할을 규정하고, 이를 도덕과, 일반교과, 교과 외 활동의 특징과 세 영역간의 관계를 설정하는 것이다. 학교 교육의 목적은 인간의 완성에 있으며, 학교 도덕교육이야말로 학교 교육의 가장 핵심적인 내용이다. 학교 도덕교육을 도덕과, 일반 교과, 교과 외 활동으로 나누어 설명하고자 한다. 학교에서의 도덕교육은 정규 교과를 통해 이루어지는 동시에 교과 및 교과외 활동을 통해 이루어지기도 한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하면 초, 중학교 교육과정은 교과(군)와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편성된다. 도덕과교육 전문가들은 교과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도덕과 교육을 일반교과 및 교과 외 활동과 차별화하려는 노력을 경주해 왔다. 학교 도덕 교육의 중심에 도덕과 교육이 위치해 있으며, 일반교과 및 교과 외 활동이 할 수 없는 학교 도덕교육의 중요한 부분을 도덕과교육이 담당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그러나 도덕과, 일반 교과, 교과 외 활동은 기존의 동떨어진 관계를 탈피한 상호 교류가 가능한 수준으로 발전가능하다. 세 영역의 통합을 위해서 세가지 방안이 제시된다. 교육과정 개발에서의 통합, 도덕과 교사 양성 제도의 개선, 도덕교육관련 연구범위의 확대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roles of moral education in school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Moral Education, other subject matters education, and the creative experiencing activities based on the revised 2009 school curriculum. The moral education theorists have tried to differentiate the Moral Education from other subject matters education and students activities in order to justify the subject itself. They argued that the Moral Education is placed on the centre of school moral education and other subjects cannot replaced it. However, three domains, the Moral Education, other subjects matters and students creative activities can be developed through each others` interrelation. In order to integrate three domains, the following ways are suggested. First, the integration of development of curriculum is needed, Second, the system of educating moral education teachers is needed to change. Lastly, the scope of the moral education research must be expanded.

      • KCI등재

        도덕과교육에서 교육공학 활용의 현황과 발전 방향

        김항인(Hang-In Kim)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8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6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공학의 이론적 동향을 살펴보고, 도덕과 교육에서 교육공학 활용의 현황과 적용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교육공학 이론의 발전과정과 최근 교육공학이론의 추세를 살펴본 후, 교육공학적 관점에서의 도덕과 교육 현황을 여러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검토하고, 이에 대한 문제점으로 교육공학 개념에 대한 부정확한 인식과 교육대학생 및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추상적인 도덕과 교수 설계 교육의 현실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 전문이론가들과 현장 교사 간의 구성주의적인 교육공학적 협력 관계의 구축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교육매체 및 교육 공학이 도덕적 인간 육성이라는 교육목표에 대한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메타적 숙고가 계속 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theory of educational technology, to analyze the status of using educational technology in moral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future development of educational technology in moral education. The researcher reviews the developmental change of theory and recent theory in educational technology, and analyze the problem of using educational technology in moral education. The incorrect acknowledgement of educational technology and behavioral domain in morality and the abstract training of pre and in service teachers on teaching of moral education are presented as the problems. As the alternatives of the problem, the researcher suggests the development of relationship between theorist and teachers based on constructivism. In conclusion, the researcher presents that educational media and technology needs meta reflection in that they are taking a positive role of cultivating moral human.

      • KCI등재후보

        정보윤리 판단력 검사 도구 개발

        김항인(Hang-In Kim)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5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1

        본 연구의 목적은 도덕판단력에 대한 이론적 배경에 기초하여 도덕판단력 검사도구 개발의 변천 과정을 알아본 후, 도덕판단력 검사를 응용한 정보윤리 판단력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초등학생들에게 실시하는 것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덕판단력의 정의와 콜버그 및 그의 후학들이 개발한 도덕판단검사들의 특징과 장․단점을 소개하고, 이에 기초하여 선택형과 서술형을 혼합한 정보윤리판단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또한 인천지역 초등학교 학생 135명을 대상으로 정보윤리 판단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시 결과, 첫째, OISE형 정보윤리판단 단계에서 대부분의 학생이 1, 2, 3단계에 머물러 있었으며, 고학년으로 갈수록 상위 단계로 나아갔다. 둘째, OISE형 단계 점수의 남여 차이는 없었다. 셋째, DIT형 정보윤리판단 점수의 경우, 3, 4, 5학년으로 올라갈수록 높은 점수를 받았다. 3학년보다 5학년 학생들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높았다. 결론적으로, 정보윤리 판단력 검사는 기존의 도덕판단력 검사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향후 인터넷 중독 지수, 정보윤리감수성, 정보윤리 판단력 점수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후속 연구가 요청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change in development of moral judgement test, to develop the Information Ethics Judgement Test (IEJT) applying moral judgement test, and to survey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the IEJT.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introduced the definition of moral judge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moral judgement tests that Kohlberg and his juniors had developed. Based on moral judgement test, Information Ethics Judgement Test was developed into two scores: OISE typed score and DIT typed score. The subjects for the test was 135 third, fourth,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in Incheon. The three result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First, most of students are in 1st, 2nd, and 3rd stages in OISE typed test. The higher grader, the more score.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in OISE stage score. Lastly, the higher grader, the more score in DIT typed score. Fifth graders g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core than the 3rd graders did. In conclusion, IEJT showed similar results as moral judgement test. For further research study, the comparison of IEJT, IEST, and internet addiction test(K-scale) is recommended.

      • KCI등재후보

        감정 이입 발문에 관한 연구

        김항인(Hang-In Kim)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3 도덕윤리과교육 Vol.- No.17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도덕과 수업에서 정의적 도덕성의 감정 이입을 원활히 하기 위한 교사의 발문 전략을 구안해 내는데 있다. 현재까지 정의적 측면 중심의 구체화된 도덕과 수업 모형이 부족한 실정이며, 이미 개발된 수업 모형도 교사의 구체적인 발문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감정 이입의 특징을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 본 후, 감정 이입을 위한 역할 채택 발문을 타인에 초점을 둔 역할 채택 발문과 자아에 초점을 둔 역할 채택 발문으로 구분하고, 가치 규범의 내면화를 위한 반성적 발문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근거로서 호프만(Hoffman)의 감정 이입 이론과 밴듀라(Bandura)의 사회 인지 이론이 도입되었고, 연구자의 실제 도덕과 수업 사례가 경험적 근거 자료로 활용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trategies for teacher's question to facilitate students' empathy as affective morality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Up to now, there has been short of instruction-learning models for teaching affective morality. Even the developed models have no concrete strategies for teacher's question. In this study, three characteristics of empathy were presented. The role-taking questions for empathy are composed of other focused role-taking question and self focused role-taking question. In addition, the strategy for reflective question was also presented. In order to giv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is study, Hoffman's empathy theory and Bandura's social cognitive theory was used. The researcher's real experience in moral education was also introduced as an empirical data for this study.

      • KCI등재

        정보화시대의 빅 데이터(Big Data) 활용에 대한 윤리적 논쟁과 전망

        송선영 ( Sun Young Song ) , 김항인 ( Hang In Kim ) 한국윤리학회 2016 倫理硏究 Vol.10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빅 데이터(Big Data) 기반 정보화시대에 발생할 수 있는 개인정보 보호와 침해, 그리고 빅 데이터의 공적 활용을 윤리적으로 검토하는데 있다. 오늘날 세계의 기업들과 국가들은 개인정보들의 거대 집합으로서 빅 데이터에 대한 공적 활용의 사회적 유용성에서 접근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개인의 의사결정과 판단, 개인정보의 보호와 침해, 빅 데이터의 활용을 위한 공공성, 그리고 각 정보의 활용 주체의 책임과 덕의 수준을 종합적으로 고찰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장 근본이 되는 네 가지 윤리 이론들을 통해 빅 데이터 활용의 문제들을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두 가지 범주에서 빅 데이터의 활용의 틀을 마련하였다. 첫째, 인격과 책무의 토대에서 의무론과 책임윤리의 적용을 검토하였다. 둘째, 개인정보의 제공과 빅 데이터 활용의 결과가 최초 의도와 일관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공리주의와 덕윤리의 적용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이 일곱 가지 윤리적 전망을 제시하였다. 첫째, 개인정보는 인격의 정보로서 목적 그 자체로 보호를 받아야 한다. 둘째, 個別 정보들이 수집된 빅 데이터의 활용이 어떤 인간에게도 피해를 끼쳐서는 안 된다. 셋째, 빅 데이터의 정보가 사회 전반의 행복을 증진시킬 경우에는 그 활용의 공공성을 갖는다. 넷째, 현재 사회의 모든 구성원은 기술적 진보에 대한 혜택을 누리고 있고, 이로 인해 미래 세대의 삶의 변화와 영향에 대한 책임의 주체가 된다. 다섯째, 현재 사회의 모든 구성원은 빅 데이터를 수집하고 활용하는 데 있어서 미래 세대의 권리 파괴가 일어나지 않도록 참여해야 하고 기관을 감시해야 한다. 여섯째, 빅 데이터의 활용 주체는 인간의 궁극적인 목적인 행복의 지속적인 추구를 위해 높은 수준의 덕을 갖추도록 실천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빅 데이터의 활용 과정에서 잘못에 대해서는 반드시 공정한 처벌을 해야 하고, 이를 통해 덕의 성장을 이끌도록 해야 한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ethical arguments in utilizing personal information in big data system. In information age based on big data, one of key issues is the protection and infrin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By utilizing big data, in fact, individuals, global cooperations, and nations have increased public interests as well as private interests. It is arguable, however, that its public utility be justified in terms of ethical views in general, for examples, deontology, utilitarianism, ethic of responsibility, and ethic of virtue. The application of the four ethical theories to the utilization of big data would make two applicable categories of those theories: the one is from deontology and ethic of responsibility and the other is from utilitarianism and ethic of virtue. In this course, futhermore, this paper and present ethical prospects as follows: Firstly, each personal information is to be protected as an end in itself. Secondly, the utilization of big data collected by individual informations is not to do any harm to human beings. Thirdly, its utilization could have the foundation of publicity if big data increase general happiness. Fourthly, the current generation is to the subject of responsibility for the future life in utilizing informations. Fifthly, the rights of the next generation is to be protected by its utilization of the present. Sixthly, the subject to use big data is to have the higher equality of virtue for the true happiness. Finally, any kinds of mistakes and wrongness in its utilization is to be punished, so that it can be connected with the development of virtue.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교 도덕과 토의 학습의 활성화 방안

        김항인(Hang-In Kim)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2 도덕윤리과교육 Vol.- No.14

        많은 교육학자들을 비롯하여 학부모들과 학생들이 우리나라의 교육에 대해 항상 논의할 경우, 교사 중심의 수업이 대부분을 차지한다고 지적하며 보다 수요자 중심, 즉 학생 중심의 교육이 더욱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요구는 결코 새로운 것이 아니다. 1970년대 사회과와 과학과를 중심으로 활발히 전개되었던 ‘탐구학습’방법은 학생 중심의 과학적 사고와 적용을 강조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오늘날 교수학습이론에서 ‘탐구학습’이론을 찾기는 쉽지 않다. 즉 탐구학습의 열풍이 1990년대 들어와 식은 것이다. 또한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중반까지 학급 혁명이라고 불릴 정도였던 ‘열린 교육’의 열풍 역시 수요자 중심의 대표적인 교육이론이었지만, 학교 현장에서는 교사들로부터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외면되어오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