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80년대 이후 숭실 문학인의 동향

        이금란(Lee, Keum-Ran),김미진(토론자)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09 한국문학과 예술 Vol.3 No.-

        본고는 “숭실 문학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이라는 개교 기념 학술발표를 맞아 1980년 이후 숭실 문인들의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서는 숭실 출신의 문인들 중 윤지강, 김이정, 양영아, 장혜련 작가의 숭실과의 인연과 문학에 대해 논할 것이다. 세부적인 자료는 작가와의 대담을 통해 수집했으며, 작품 경향에 대한 논의는 작품 분석을 통해 전개하였다. 윤지강은 학창 시절부터 문학의 궁극이 미와 인식의 문제에 있다고 여겼다. 그의 이러한 문학관은 쓴다는 것 자체가 자신을 찾는 행위로 연결되었다. 지금까지 발표된 그의 전 작품들은 어떤 형태로든지 바로 ‘미와 인식’의 문제에 닿아있다. 김이정 문학은 한마디로 상처 중독된 인생 파노라마를 연상케 한다. 가족에게, 사랑하는 이에게 받은 상처로 인해 인물들은 몸부림친다. 그럼에도 좌절하지 않고 그들이 살아갈 수 있었던 견딤의 원동력은 내면에서 끊임없이 솟구치는 생에의 열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양영아의 문학은 ‘고백’을 통한 상처 치유하기의 여정이다. 여기서 고백이란 외부를 향하기보다는 오히려 자신을 추스르기 위한 성격이 더 강하다. 장혜련은 그의 문학을 통해 삶의 여정 탐색에 나서고 있다. 음울하고 어둡고, 소외된 곳의 삶을 그는 세밀하게 묘파해 내고 있다. 이들 네 명의 작가들은 각기 독특한 작품 세계를 구현하며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공통점은 바로 인간 실존에의 탐색이라는 점을 들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end of Soongsil literary men since the 1980s to meet the symposium for the anniversary of the university foundation, ’‘Yesterday, today, and future of Soongsil literary men’. This study will deal with the writers of Yun, Ji Gang, Kim, I Jeong, Yang, Yeong A, and Jang, Hye Ryeon among the literary men from Soongsil university on the base of their relations with Soongsil and their works. The detailed things were collected by the conversation with the writers, and the discussion on their trend of works was unfolded by analysis on them. Yun, Ji Gang considered the ultimate purpose of literature was in the matter of beauty and recognition since her school days. This view of literacy has made her connect the writing itself to the action of finding herself. The whole works that he has presented are just connected with the subject of ‘beauty and recognition’ in any way. The works of Kim, I Jeong just remind us life panorama poisoned with hurt. The characters in her works are struggling with the hurt by their family members and lovers. We could confirm that the power which made them endure such hurt was just the enthusiasm for their lives soaring incessantly from inner world. The works of Yang, Yeong A consist of journey of healing hurt by ‘confession’. The confession in this has the meaning of recovering from hurt rather than towards outside. Jang, Hye Ryeon is on the journey to investigate the life through her works. She is just discovering and describing the lives of gloomy, dark, and alienated parts in detail. These four writers are establishing their own creative world of literacy and displaying active works. Nevertheless, there is a common point in those works and it is just the investigation of human existence.

      • KCI등재

        한국 최초의 대학 ‘崇實’이 한국 문학에 남긴 영향

        車奉俊(Cha, Bong-Jun),김미진(토론자)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09 한국문학과 예술 Vol.3 No.-

        이 글은 민족 최초의 대학인 숭실대학교가 건학된 지 111주년을 기념한 학술대회에서 숭실 문학의 지나 온 과정을 되짚어 보고자 하는 의도로 쓰여 졌다. 숭실은 근대화와 일제치하라는 격랑의 역사 속에서 건학한 이후 지금까지 민족적 사명을 감당하기에 결코 나태하지 않았다. 식민지 상황이라는 비극 속에서도 꿋꿋하게 민족의식을 고취시키며 독립운동의 면면에 그 역할을 성실히 감당해 왔다. 또한 애국계몽운동, 농촌진흥, 과학기술의 보급, 한국 근대음악의 발전 등에 뚜렷한 영향을 끼치면서 한국 역사의 중심에 서 있었다. 『숭실학보』, 『숭실문학보』, 『숭실활천』 등의 교지(校紙)를 통해 문학적 성과를 쌓아오던 숭실의 문학이 본격적인 토대를 갖추게 된 것은 80년대를 기점으로 국어국문학과가 창설되고 뒤이어 문예창작학과가 창설되면서부터이다. 이때부터 체계적인 문예교육과 창작교육이 이루어지면서 한국 문단을 이끌어 나갈 신예작가들이 꾸준히 등장하기 시작했는데, 이병렬을 선두로 조기봉, 문재호, 이재홍, 조현, 김태용 등이 이 시기의 주목받는 작가들이다. 이병렬은 군 하사관으로 장기 복무한 병영 생활의 체험, 대학원 시절과 시간강사의 삶으로 이어지는 작가의 체험을 바탕으로 소시민의 일상에 대한 따뜻한 시선을 가진 다수의 작품을 발표하고 있다. 그리고 고인(故人)이 된 조기봉의 경우도 비록 짧은 생애였지만 삶에 대하여, 죽음에 대하여, 그리고 사랑에 대하여 관심을 기울였다. 한편 최근에 와서 문단의 집중적인 조명을 받기 시작한 작가로 조현과 김태용을 빼놓을 수 없다. 2008년 〈동아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한 조현의 경우는 현대 문명에 대한 지적인 냉소와 유쾌한 비틀기를 통해 현대 사회를 바라보는 통찰력이 매우 날카로운 면모를 보여준다. 그는 현대문명이 직면하고 있는 심각성을 오히려 농담처럼 해소해 나가면서 지금까지의 한국 문학이 보여주지 못했던 독특한 소설세계를 만들어 가고 있다. 또한 2005년 『세계의 문학』으로 등단하고 2008년 ‘한국일보 문학상’을 수상한 김태용의 경우도 ‘언어’라는 매개를 아주 능수능란하게 사용하면서 기존의 서사문학과는 변별되는 자신만의 영역을 구축해 나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결국 숭실 문학의 미래는 이들 신예작가들에 의해 그 전망을 밝게 내다볼 수 있다. This was written in order to look back over the past of Soongsil literature at a conference of commemorating the 111th anniversary of Soongsil since Soongsil University, Korea-first university was found. Soongsil has never been lazy to fill the national mission up to now since Soongsil was established in the history of modernization and Japanese imperialism. Even in a tragedy of a colony situation, Soongsil has aroused national consciousness and has filled its roles in all side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lso, Soongsil stands in the middle of Korean history as Soongsil clearly affected an enlightenment movement, a rural promotion, a spread of science & technology, and a development of Korean modern music. The literature of Soongsil which accumulated the literary performance through a school magazine such as ‘Soongsil Hakbo’, ‘Soongsil Literature’, and ‘Soongsil Hwalcheon’ has arranged the active foundation, after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was established in 1980s and then the department of creative writing was opened. As the systematic literature education and creation education has been made from that time, new writers who will lead the Korean literary world started to appear constantly. Lee Byeongryeol, Jo Gibong, Mun Jaeho, Lee Jaehong, Jo Hyeon and Kim Taeyong occupied the attention for that time. Lee Byeongryeol has published many writings with a warm sight on normal citizens’ life based on his army experience as sergeant, the graduate school life, a part-time lecturer experience and the writer’s experience. Also, the decreased Jo Gibong was interested in the life, death and love even though he had a short time of life. Besides, Jo Hyeon and Kim Taeyong have recently started to receive an intensive spotlight in the literary world. Starting to write through a spring literature contest of [DongA Ilbo] in 2008, Jo Hyeon shows very keen insight of looking at the modern society through intelligent smile and pleasant twisting about the modern civilization. He has solved the seriousness of the modern civilization like a joke and has made the unique novel world that the Korean literature hasn’t contain up to now. Also, starting to write through [Literature of the World’ in 2005 and awarding ‘the literature prize of Hankook Ilbo’, Kim Taeyong has implemented his own area distinguished from the existing narrative literature while using the medium of ‘language’ sophisticatedly. After all, the future of Soongsil literature can be brightened by new wri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