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보철치료를 위한 치아 이동

        국윤아(Yoon-Ah Kook) 대한치과의사협회 2010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48 No.12

        Adjunctive orthodontic therapy may be required to create appropriate space, to address misalignment and tooth size discrepancy for better function and esthetics. The desired interproximal alveolar contour and gingival embrasure form can be developed during treatment. Various applications of temporary anchorage devices for pre-prosthetic tooth movement allowed clinicians to achieve high efficiency, shorter treatment time, and less discomfort of patient. Biomechanical considerations for the periodontal status of the affected teeth are required to successfully control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pace. Hence,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have an essential role in maximizing the favorable treatment outcome. In particular, pivotal clinical decisions such as whether to open or close the space should be made by consensus of the involved dentists. This article presents the orthodontic treatment approaches for prosthodontic works including mesiodistal and vertical space regaining specially for cases of unrestored teeth over an extended period of time.

      • SCOPUSSCIEKCI등재

        치주인대세포의 증식 및 세포활성에 미치는 1,25-(OH)₂D₃의 영향에 관한 연구

        국윤아(Yoon-Ah Kook),김상철(Sang-Cheol Kim),김형룡(Hyung-Ryong Kim) 대한치과교정학회 1995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5 No.3

        1,25-(OH)<sub>²</sub>D<sub>³</sub>가 치주인대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과 조골세포 기능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골의 석회화 과정에 관여하는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아직 확실히 밝혀져 있지 않은 치주인대조직에 대한 1,25-(OH)<sub>²</sub>D<sub>³</sub>의 생물학적 기능을 알아보고자 교정 치료 목적으로 발거된 치아로부터 치주인대세포를 배양하였다. 1,25-(OH)<sub>²</sub>D<sub>³</sub>를 첨가하여 24시간 후 [<sup>³</sup>H]thymidine으로 DNA를 표지하여 세포의 증식을 관찰하였으며 1,25-(OH)<sub>²</sub>D<sub>³</sub>가 치주인대세포에서 조골세포의 표지효소인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24시간 또는 6일간 1,25-(OH)<sub>²</sub>D<sub>³</sub> 처리 후 측정한 결과 100nM농도의 1,25-(OH)<sub>²</sub>D<sub>³</sub>은 치주인대세포의 증식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10nM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25-(OH)<sub>²</sub>D<sub>³</sub>을 24시간 첨가시 10nM에서는 ALP활성도는 80.8±31.4nmol로서 대조군 38.5±5.3nmol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또한 1,25-(OH)<sub>²</sub>D<sub>³</sub>을 6일동안 첨가하였을때에도 10nM에서 106.7±23.0nmol로 대조군 29.3±1.0nmol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1,25-(OH)<sub>²</sub>D<sub>³</sub>이 치주인 대세포의 증식 및 세포기능을 시사하는 결과를 사료된다. The hormonally active vitamin D metabolite, 1,25-dihydroxy vitamin D<sub>³</sub> [1.25-(OH)<sub>²</sub>D<sub>³</sub>] is one of the several humoral factors that may regulate osteoblast differenti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1,25-(OH)<sub>²</sub>D<sub>³</sub> on the PDL cells. Human PDL cells were prepared from the first premolar tooth extracted for the orthodontic treatment and they were incubated in the environment of 37°C, 5% CO<sub>²</sub> and 95% humidity. [<sup>³</sup>H]-thymidine incorporation as a measure of proliferation potential an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were evaluated at 10nM, l00nM 1,25-(OH)<sub>²</sub>D<sub>³</sub>. The observed results were as follows. 1. 1,25-(OH)<sub>²</sub>D<sub>³</sub> was significantly enhanced [<sup>³</sup>H]-thymidine incorporation at l00nM, But did not affect by 10nM. 2. 1,25-(OH)<sub>²</sub>D<sub>³</sub>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t 1 day and 6 days in a dose-dependent manner.

      • SCOPUSSCIEKCI등재

        수종 교정용 Band의 세포독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유동환(Dong-Hwan Yoo),국윤아(Yoon-Ah Kook),김상철(Sang-Cheol Kim) 대한치과교정학회 1994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ytotoxicity of orthodontic bands in vitro and in vivo.4 types of orthodontic bands were applied to cultured fibroblast and the supermatants were injected into dorsal subcutaneous tissue of mice. In vitro, the cytotoxixity was evaluated by an MTT assay after 2 and 6days.In vivo, the histopathologic observation was performed 2 days after injection. The results were : 1. The cell viabil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group added phosphoric acid in comparison to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t any significance among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2 days. 2. Cell viability decreased in the high Ni containing group after 6 days. 3. The histopathological finding was that the Cr-containing group showed severe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and muscular destruction.

      • KCI등재

        상순돌출을 동반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에서 수술방법에 따른 치료 후 상악 연조직 변화

        강주만(Ju-Man Kang),김윤지(Yoon-Ji Kim),박재억(Je-Uk Park),국윤아(Yoon-Ah Kook) 대한치과교정학회 2010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40 No.6

        본 연구는 상순돌출을 동반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에서 전방분절골절단술(anterior segmental osteotomy, ASO)을 병용한 상행지시상분할골절단술(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BSSRO)과 Le Fort I 골절단술을 병용한 상행지시상분할골절단술(BSSRO) 후 상악의 경ㆍ연조직 변화 및 경조직 변화에 대한 연조직 변화율을 비교하였다. A군은 ASO/BSSRO를 시행한 군 14명, B군은 Le Fort I/BSSRO를 시행한 환자 중 상악의 후방부가 상방으로 이동(posterior impaction)된 15명으로 구성되었다. 수술 전 2개월 이내와 수술 후 6개월 이후에 촬영한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두 군 모두 수술 후 상악 전방부 경조직과 연조직이 후방이동되었고, A군에서 더 큰 변화량을 보였다. A point의 후방이동에 따른 superior labial sulcus의 변화율은 A군에서 79%, B군에서 15%를 보였고, supradentale에 대해 labrale superious는 A군에서 80%, B군에서 68%의 비율로 후방이동하였다. 교합평면각은 B군에서 증가한 반면, A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변화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의 양악수술 시 상악 수술은 상악 전방부와 상순의 돌출이 심한 경우에는 ASO를 시행하고 교합평면각의 증가가 필요한 경우에는 posterior impaction을 동반한 Le Fort I 골절단술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치교정지 2010;40(6):383-397)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maxillary soft tissue changes and their relative ratios to hard tissue changes after anterior segmental osteotomy (ASO)/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BSSRO) and Le Fort I/BSSRO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with upper lip protrusion. Methods: The study sample comprised the ASO/BSSRO group (n = 14) and the Le Fort I/BSSRO group (n = 15). The Le Fort I/BSSRO group included cases of maxillary posterior impaction only. Lateral cephalograms were taken 2 months before and 6 months after surgery. Linear and angular measurements were performed. Results: The anterior maxilla moved backward in both groups after surgery, however the amount of change was significantly larger in the ASO/BSSRO group (p < 0.01). The ratios of hard to soft tissue change were 79% (SLS to A point), 80% (LS to A point) in the ASO/BSSRO group, and 15% (SLS to A point), 68% (LS to A point) in the Le fort I/BSSRO group. In addition, there was a 3.23° increase of the occlusal plane in the Le Fort I/BSSRO group. Conclusions: When two-jaw surgery is indicated in skeletal Class III patients with protrusive lips, ASO may be a treatment of choice for cases with more severe upper lip protrusion, while Le Fort I with posterior impaction may be considered if an increase of occlusal plane angle is required. (Korean J Orthod 2010;40(6):383-397)

      • KCI등재

        교정력의 즉시 부하가 미니스크류의 제거 회전력에 미치는 영향의 평가

        선승범(Seung-Bum Sun),강윤구(Yoon-Goo Kang),김성훈(Seung-Hun Kim),모성서(Sung-Seo Mo),국윤아(Yoon-Ah Kook) 대한치과교정학회 2007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7 No.1

        교정치료에서 고정원의 조절은 교정 장치의 선택과 적용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교정용 미니스크류의 식립 즉시 교정력을 적용한 군과 교정력을 적용하지 않은 군의 제거회전력 측정과 조직학적 분석을 통해 즉시 교정력을 가한 미니스크류의 고정원으로서의 안정성을 확인하여 식립 후 교정력을 적용 수 있는 시기의 선택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외경 1.6 mm. 길이 8 mm인 총 40개의 타이타늄 미니스크류를 10마리 가토의 경골에 식립하였다. 20개의 미니스크류 실험군은 식립 직후부터 6주 동안 지속적인 200g의 교정력을 적용하였고 나머지 20개의 미니스크류 대조군은 교정력을 적용하지 않았다. 제거 회전력은 디지털 토크 게이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t-test를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고, 조직표본은 미니스크류를 제거한 후 H-E 염색하여 조직 소견을 관찰하였다. 제거회전력은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조직학적으로 두 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정용 미니스크류에 즉시 교정력을 가하더라도 안정적인 고정원으로 활용 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immediate orthodontic loading on the stability at the bone-implant interface of titanium miniscrews in a rabbit model. Methods: Forty titanium miniscrews (1.6 mm diameter, 8 mm length) were inserted in the tibiae of 10 rabbits. Twenty test group miniscrews were subjected to continuous orthodontic forces of 200g immediately after implantation for a period of 6 weeks. The remaining 20 control group miniscrews were left unloaded for the same follow-up interval. Removal torque values were recorded using a digital torque gauge. An independent t-test was performed. Results: All the miniscrews were stable, and exhibited no mobility or displacement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Histologically, miniscrews were well-integrated into bon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moval torque data were found between the loaded test and the unloaded control groups.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itanium miniscrews can be used as anchoring units for orthodontic tooth movement immediately after insertion.

      • SCOPUSSCIEKCI등재

        성견에서 표면처리된 교정용 마미크로 임플랜트의 골 접촉률 및 동요도

        박승현,김성훈,류준하,강윤구,정규림,국윤아,Park, Seung-Hyun,Kim, Seong-Hun,Ryu, Jun-Ha,Kang, Yoon-Goo,Chung, Kyu-Rhim,Kook, Yoon-Ah 대한치과교정학회 200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8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obility and ratio of the bone-implant contact (BIC) of a sandblasted, large grit and acid-etched (SLA) orthodontic micro-implant. Methods: Ninety-six micro-implants (48 SLA and 48 machined) were implanted in the upper and lower buccal alveolar bone, and palatal bone of four beagle dogs. Two weeks after surgery, orthodontic force (150-200 g) was applied. Two beagles were sacrificed at 4-weeks and the other two at 12-weeks. Histomorphometric comparisons were made between the SLA experimental group and the machined micro-implant as a control group to determine the ratio of contact between the bone and implant. Micro-implant mobility was also evaluated using $Periotest^{(R)}$. Results: Periotest value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pper alveolar and palatal bone between groups except for the lower buccal area. BIC in the upper buccal area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both at 4-weeks and 12-weeks. However, both the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IC ratio in the rest of the experimental areas between 4 weeks and 12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ctive bone remodeling around the bone-implant interfa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IC and the Periotest values between the surface-treated and machined micro-implants according to bone quality in the early stage.

      • KCI등재

        분사처리 후 산부식 표면처리된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의 골유착능에 관한 연구

        전미선(Mi-sun Jeon),강윤구(Yoon-Goo Kang),모성서(Sung-Seo Mo),이근혜(Keun-Hye Lee),국윤아(Yoon-Ah Kook),김성훈(Seong-Hun Kim) 대한치과교정학회 200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9 No.5

        본 연구에서는 교정 치료 시 골내 고정원으로 사용되는 교정용 임플랜트의 표면처리 여부가 골유착능에 있어서 어떠한 효과를 보이는지 제거회전력의 측정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그에 따른 교정력 적용의 확장과 임상적 의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군은 분사처리 후 산부식(Sand-blasted Large grit, and Acid etched, SLA) 표면 처리 된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인 C-implant (Cimplant, Seoul, Korea)를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은 같은 디자인이지만 표면 처리를 하지 않은 평활면 C-implant를 사용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을 각각 2개씩 11마리의 가토 경골에 식립하였고 식립 후 6주에 가토를 희생시켜 제거회전력을 측정하여 t-test를 통하여 두 군의 제거회전력 차이의 통계적 유의성을 알아보았으며 조직표본을 만들어 조직소견을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제거회전력은 SLA 처리한 C-implant 군이 평활면 C-implant 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p < 0.05). 평활면 C-implant 군의 평균 제거회전력 값은 4.614 Ncm이고, SLA C-implant 군의 평균 제거회전력 값은 6.286 Ncm로, SLA 군이 평활면 군보다 73% 더 높은 제거회전력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SLA 표면처리가 C-implant의 골유착능을 증가 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표면 처리된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는 기존의 임플랜트에 비해 좀 더 강한 힘에 저항할 수 있으며 탈락률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torque resistance to removal of sandblasted large grit and acid etched (SLA) surface treated orthodontic mini-implants and smooth surface orthodontic mini-implants as well as performing histologic observations.<br> Methods: Two groups of custom screw shaped orthodontic mini-implants (C-implant, 1.8 mm outer diameter × 9.5 mm length, Cimplant, Seoul, Korea) were designated. 22 SLA treated C-implants (SLA group) and 22 machined surface C-implants (machined group) were placed in the tibia metaphysis of 11 adult New Zealand white rabbits. Following a 6-week healing period, the rabbits were sacrificed. Subsequently, the C-implants were removed under reverse torque rotation with a digital torque measuring device and independent t-test was performed. Selected tissues were prepared for histologic observation.<br> Results: The SLA group presented a higher mean removal torque value (6.286 Ncm) than the machined group (4.491 Ncm)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05). Histologic observation revealed a trend of more new bone formation in contact with the screw surface in the SLA group than the smooth group.<br>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SLA surface treatment can enhance the osseintegration potential for C-orthodontic mini-implants.

      • SCOPUSSCIEKCI등재
      • KCI등재

        정면에서 평가한 한국인 여성 입술의 심미성과 전방 분절 골절단술 후 입술의 평가

        이범석(Beom-Suk Lee),강윤구(Yoon-Goo Kang),윤태호(Tae-Ho Yoon),국윤아(Yoon-Ah Kook) 대한치과교정학회 2007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7 No.1

        이 연구는 한국인 여자 유명 모델과 일반인의 정면입술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아름다운 입술의 특징을 규명하며 양악 전방 분절골절단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정면입술의 변화를 측정하고 그 수술 결과를 한국인 모델과 비교하여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한국인 유명 모델 30명, 일반인 26명과 양악 전방 분절골절단술을 받은 환자의 10명을 대상으로 정면입술 부위의 12개의 선 길이, 홍순의 5개의 각도와 둘레 및 면적을 측정하였고, 통계분석은 unpaired & paired t-test를 이용하였다. 한국인 유명 모델 군과 일반인 군의 비교에서 하안면 얼굴 폭경, 하안면 수직 길이, 상홍순의 높이, 하순의 길이, 상홍순의 구각부 각도와 central bow의 각도는 의미 있는 차이로 일반인 군보다 유명 모델 군에서 작았다. 그러나, 입술의 폭, 하홍순의 높이, Cupid’s bow tip간 거리와 하홍순의 구각부 각도는 유명 모델 군에서 컸고 입술의 둘레와 전체 면적에서도 일반인 군보다 쳐다 양악 전방 분절골절단술을 받은 환자의 정면입술에서는 하안면 얼굴 폭경, 상홍순의 높이, Cupid’s bow tip에서 구각부까지의 길이와 상홍순의 면적이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를 보였고 한국인 유명 모델과의 비교에서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지만 상순의 길이는 반대로 증가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교정치료 혹은 양악 전방 분절골절단술을 계획할 때 정면 입술 심미성을 평가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firstly the characteristics of esthetic lips in Korean females and secondly to measure the changes of the lips before and after anterior segmental osteotomy in bimaxillary protruded patients.<br> Methods: Samples consisted of 30 models and 26 nonmodels, and 10 patients who had received anterior segmental osteotomy. Twelve linear measurements, 5 angular measurements, and the lip perimeter and area were measured. These results were compared for each group using unpaired and paired t-tests.<br> Results: Full face width, nose to chin, upper vermilion height and angle, lateral heights at the point of the tips of Cupid’s bow, central bow angle, and the lower lip to chin lengths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nonmodels than in models. However, overall lip width, lower vermilion height and angle, tip-to-tip of Cupid’s bow lip perimeter, and lower vermilion area were greater in models than in nonmodels. Comparison of before and after anterior segmental osteotomy revealed that the values for the upper vermilion and lateral heights, the angle to Cupid’s bow tip lengths, and upper vermilion area of post-operative patients had become similar to those of Korean female models. Our findings demonstrated that Korean female models have a fuller lower vermilion & thinner upper vermilion compared with nonmodel controls, as determined by the vermilion heights, angles, and areas.<br> Conclusion: It will be helpful for clinicians to use these measurements as guidelines for improving patients’ facial esthetics.

      • SCOPUSSCIEKCI등재

        한국인과 일본인 부정교합자의 하악 치열궁 헝태 비교

        이채형(Chae-Hyung Lee),모성서(Sung-Seo Mo),강윤구(Yoon-Goo Kang),Kunihiko Nojima,김영호(Young-Ho Kim),국윤아(Yoon-Ah Kook) 대한치과교정학회 2007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과 일본인의 Angle씨 I급, II급, III급 부정교합군에서 하악치열궁의 크기와 형태적 특성을 상호 비교 분석하는데 있었다. 한국인의 부정교합자 368명(I급 114명, II급 119명, III급 135명)과 일본인의 부정교합자 160명(I급 60명, II급 50명, III급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 전 하악 치열 모형을 복사한 사진에서 13개의 인접한 접촉면에서 가장 협측에 위치한 점들을 좌표치화한 후 하악 치아의 두께 자료에 근거하여 임상 브라켓 점들을 설정하였고 4개의 선 계측과 이들을 이용하여 2개의 비율을 측정하였다. 각 부정교합군에서 측정 항목들에 관하여 t-test를 하였고 치열궁 형태를 square, ovoid, tapered 의 3가지로 분류한 후 분포 특성에 관하여 카이제곱 검정하였다. 그 결과 I급과 II급 부정교합군에서 일본 여성의 하악 치열궁 폭경이 일본남성, 한국 남성 및 한국 여성에 비해 작았으며, III급 부정교합군의 하악 치열궁 크기는 인종이나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모든 부정교합군에서 한국인과 일본인의 대부분이 square와 ovoid한 치열궁 형태를 가졌으며 II급 부정교합군에서는 일본인은 ovoid 형태가 52.%으로 가장 많고 한국인은 square 형태가 40%로 가장 많게 나타났다. Objectiv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rch dimensions and frequency distribution of arch form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Class I, II, and III malocclusion groups.<br> Methods:The sample consisted of 368 Korean cases (114 Class I, 119 Class II, and 135 Class III malocclusion) and 160 Japanese cases (60 Class I, 50 Class II, and 50 Class III malocclusion). The most facial portion of 13 proximal contact areas was digitized from photocopied images of the mandibular dental arches. Clinical bracket slot points were calculated for each tooth based on mandibular tooth thickness data. Four linear and two proportional measurements were taken. Measurements are statistically analyzed in each malocclusion group. The dental arches were classified into square, ovoid, and tapered forms to determine and compare the frequency distributions between the two ethnic groups.<br> Results: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Japanese females in Class I and II group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arrower mandibular dental arch width compared with the Japanese males, Korean males and Korean females. But in the Class III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ndibular dental arch size according to the two ethnic groups and genders.<br> Conclusions: The majority of Koreans and Japanese in all the malocclusion groups exhibited square and ovoid arch forms. The most frequent arch forms found in Koreans was square but ovoid for Japane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