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야생에서 발견되는 외래거북류의 분포 특성 - 강원도와 경상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

        구교성,권세라,도민석,김수환,Koo, Kyo Soung,Kwon, Sera,Do, Min Seock,Kim, Suhwan 한국하천호수학회 2017 생태와 환경 Vol.50 No.3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is rapidly reducing the barriers between countries, but this is causing the easier migration of species than the past. Typically, exotic species are imported for the purpose of food, leather, and pets. However, it has been introduced into the wild through artificially or naturally paths, and recently they are become a main cause of ecosystem disturbanc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exotic turtle species introduced into the wild and analyzed their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filed surveys, totally 4 genus 8 species 62 individuals of exotic turtles were found from 126 reservoirs in Gangwon-do and Gyeongsangnam-do, South Korea. In particular, Trachemys scripta elegans showed relatively high frequency than other turtle species and the natural reproduction of T. s. elegans was confirmed in some areas. On the other hand, the frequency of discovery of exotic turtles except T. s. elegans was relatively low, and the range of the areas was limited. Especially, exotic turtles except T. s. elegans were mainly found in public places such as reservoirs in the park.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exotic turtles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he turtles' distribution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the artificial factor such as "urban".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exotic turtles in the Korean wild, and these results will be important data for understanding status the and establishing effective management methods for exotic species. 교통수단의 발달은 국가 간의 장벽을 빠르게 낮추고 있지만 이는 과거보다 쉬운 생물종 이동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수 많은 종류의 외래생물들이 식량과 가죽, 애완 등의 목적으로 수입되고 있으며, 인위적 혹은 자연적으로 야생에 유입되어 생태계 교란의 주범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외래생물종인 붉은귀거북을 비롯한 외래거북을 대상으로 국내 생태계로의 유입현황을 파악하고, 이들의 분포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강원도와 경상남도 지역에 위치한 총 126개의 저수지를 조사한 결과, 총 4속 8종 62개체의 외래거북들이 발견되었다. 그중 붉은귀거북의 발견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붉은귀거북의 자연 번식도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붉은귀거북을 제외한 다른 외래거북들의 발견 빈도는 비교적 낮았으며, 발견되는 지역의 범위는 제한적이었다. 특히 외래거북들은 공원 내 저수지와 같은 일반인의 접근이 비교적 높은 곳에서 주로 발견되었다.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외래거북의 분포 특성을 분석한 결과, 외래거북의 발견은 시가지라는 인위적인 요소와 높은 연관성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생태계에 유입되어 있는 외래거북류의 현황 파악과 동시에 이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수립의 중요한 근거가 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산 남생이(Mauremys reevesii)의 번식행동 관찰

        구교성(Kyo-Soung Koo),송재영(Jae-Young Song),장민호(Min-Ho Chang) 국립공원연구원 2015 국립공원연구지 Vol.6 No.3

        2015년 1월 13일 겨울철 남생이의 증식·복원 연구의 일환으로 실내에서 관리 중이 던 남생이 수컷과 암컷 사이에 번식행동이 관찰되었다. 번식행동은 수컷의 1) 교미 전 단계인 수컷의 구애행동과 암컷의 배갑 후면 오르기, 2) 교미 단계인 생식기 삽입, 정액 배출, 이동 그리고 3) 종료로 진행되었다. 번식행동 과정 중 2) 교미 단계는 18분 09초 동안 진행되었다. 교미 과정에서 수컷은 교미가 끝날 때까지 분당 1.7 ± 1회(총 37회)의 정액 배출행동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남생이 번식행동에 대한 과정과 시간을 국내 최초로 기록하였다. 또한 적절한 환경이 갖추어지면 남생이의 번식활동이 일반적이지 않은 시기인 겨울철까지 확장 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멸종위기야생생물인 남생이의 성공적인 증식과 보전을 위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On January 13th, 2015, the breeding behavior was observed between male and female of Mauremys reevesii. The breeding behavior was preceeded to three stages; 1) pre-mating stage: courtship and climbing female’s rear-carapace by male, 2) mating stage: inserting genitals and sperm draining by male, and moving by female, 3) breeding ehavior end. Approximately 18 minutes was spent for mating stage in breeding behavior. During the second stage, male performed sperm draining action approximately 1.7 ± 1 times per a minute until finishing the breeding behavior. In the results of study, we concretely observed and reported the whole process and time of the breeding behavior in M. reevesii. Additionally, it is confirmed that if proper environment prepare for M. reevesii, the breeding season of the species could be extended even to the middle of winter. We expect that our results will be important sources for the proliferation and restoration of endangered species, M. reevesii in Korean peninsula.

      • 국내 외래 양서·파충류 인공 번식 현황

        구교성 ( Kyo Soung Koo ),김유진 ( Eugene Kim ),백희진 ( Hee Jin Baek ),서희정 ( Hui Jeong Seo ),황영혜 ( Young Hae Hwang ),장이권 ( Yikweon J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21 No.2

        In the late 1990s, American bullfrogs and red-eared sliders, imported for food, pets, and religious events in South Korea. By natural or artificial factors, however the non-native species were introduced into nature. The Korean government designated the two species as ecosystem disruptors, and subsequently banned imports and transactions because of the risk to the nature. Unfortunately, with the recent expansion of the pet market, more diverse non-native reptiles are being imported into the country. This increase in imports of non-native organisms is linked to an increase in potential inflows to ecosystem and confounding threats. A recent survey found that nearly 20 species of non-native amphibian-reptiles discovered in the wild. Furthermore non-native amphibian-reptiles are actively bred by people for hobby or profit reason, but it has not been determined how many amphibians and reptiles are artificially bred in South Korea. Therefor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various non-native amphibian-reptiles are subject to artificial reproduction. For the collection of data, all non-native amphibian-reptiles were collected from 1st to 31st August 2021. We used searching engine such as Google, YouTube, Naver, and Daum to find breeding recorded. Keywords that can be related to artificial breeding such as "cultivation, breeding, non-native species, and rare species were used to gain accurate data. In the collected data, it was divided into 1) breeding period, 2) breeding location, 3) breeding target species, 4) success or failure of breeding, and 5) breeding subjects. We found 368 cases of artificial breeding. The first case was recorded in 2008 with Burmese python (1 case) and have since increased steadily until 2021. The most of breeding recorded in 2021, with 117 (31.7%) cases. Artificial breeding took place at a total of 146 locations, Gyeonggi-do has the most abundant site of 57 locations, followed by Seoul has 30 locations, Chungnam has 15 locations, Incheon has 10 locations and Gyeongbuk has 8 locations. The breeding population (n=368) had the largest number of 126 lizard cases (34.2%) with 94 snakes, 92 turtles, 54 frogs and 2 salamander cases. There was a total of 129 non-native amphibian-reptiles that were subject to reproduction. Among them, Leopard Gecko was 42 cases followed by corn snake 33, king snake 17, and ball python 17. From 350 cases that identified the breeding results, 75.4% (264) were successful (hatching). 226 cases of breeding were conducted by individuals this is twice as many as 113 cases by companies. The breeding of non-native amphibian-reptiles tended to be concentrated mainly in Seoul and Gyeonggi-do, the metropolitan area. A total of 677 species of non-native amphibian-reptiles were announced in 2019, 19.1% of which were subject to artificial breeding. Among the various non-native amphibian-reptiles, Leopard gecko had the highest frequency of reproduction, which can be related to various factors such as low breeding difficulty, high selling price, and high reproduction rate. A risk assessment of the top 10 species including Leopard gecko will need to be made for preparing the potential introduction into nature. Considering the more cases of individual breeding than businesses and the success rate of breeding exceeds 70%,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number of non-native amphibian-reptiles will increase rapidly in the future. Therefore management and safeguards for artificial reproduction by individuals and companies must be prepared.

      • KCI등재

        국내 뱀류 9종의 비늘 크기와 형태 비교

        구교성 ( Koo Kyo Soung ),박소현 ( So Hyun Park ),김종선 ( Jong Sun Kim ),권세라 ( Sera Kwon ),최우진 ( Woo Jin Choi ),박일국 ( Il Kook Park ),조한나 ( Han Na Cho ),박재진 ( Jae Jin Park ),오홍식 ( Hong Shik Oh ),박대식 ( Daesik Pa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2017 생태와 환경 Vol.50 No.2

        Body scales directly exposed to external environments can be an important factor to understand various characteristics of a species such as habitat features, life history and basic ecology. In this study, we compared size and morphology of dorsal, outermost dorsal, keeled dorsal and ventral scales of total nine snake species in Korea; Oocatochus rufodorsatus, Elaphe dione, Rhabdophis tigrinus, Amphiesma vibakari, Dinodon rufozonatum, Hierophis spinalis in the Colubridae and Gloydius ussuriensis, G. brevicaudus, G. saxatilis in the Viperida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cales seem to well reflect foraging modes and moving activity of both families. Uniquely D. rufozonatum had a diamond shape dorsal scale and had the greatest and smallest value of the ratio of width/length of dorsal and ventral scales, respectively. O. rufodorsatus, D. rufozonatum and H. spinalis did not have keeled dorsal scales and E. dione had keel on the few of dorsal scales. In additi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cales of three viper species were closely consistent with previously known phylogenetic relationships.

      • KCI등재

        한국의 제주에서 발견된 바다거북잡종(Caretta caretta x Chelonia mydas)에 대한 첫 보고

        구교성 ( Kyo-soung Koo ),한상현 ( Sang-hyun Han ),오홍식 ( Hong-shik Oh ) 한국환경생물학회 2014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2 No.4

        In this study, we report for the first time a hybridization between Caretta caretta and Chelonia mydas in South Korea. On 7th May 2012, a sea turtle (Jeju sea turtle 01, JST01) was found in the east coast of Jeju Island, South Korea.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JST01 were compared with those of C. caretta and C. mydas that were frequently observed in Korean Seas. Interestingly, JST01 showed similar morphological characters such as body color, appearance of carapace, shape of upper beak, serration on marginal scute, and two claws with those of C. caretta. On the other hand, JST01 showed also similar patterns in several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numbers of marginal, inframarginal and costal scute, smooth carapace without keel, no contact between costal scute and nuchal scute with those of C. mydas.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JST01 is one of hybrid animals bred between C. caretta and C. mydas, because JST01 has speciesspecific characters from both species. We anticipate that our study would be useful and have significant impact onto study inter-specific hybridization in the groups of sea turtle.

      • 외래양서파충류 관리 유형 및 소요되는 경제적 비용 분석

        문인영 ( Inyoung Moon ),구교성 ( Kyo Soung Koo ),윤가영 ( Kayoung Yun ),장이권 ( Yikweon J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21 No.2

        황소개구리 Lithobates catesbeianus와 붉은귀거북 Trachemys scripta elegans은 세계 100대 위해종으로 지정된 대표적인 양서파충류이다. 국내에는 1959년도와 1970년대에 각각 식용과 애완용, 종교 행사의 이용 목적으로 수입되었다. 하지만, 판매 가치의 저하, 사육에 대한 부담, 탈출 등의 요인으로 야생에 유입되어 현재 전국에서 발견되고 있다. 특히, 황소개구리와 붉은귀거북은 국내 환경에 완전히 정착하여, 토종 생물들을 무차별적으로 잡아먹는 등의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이에 따라 환경부에서는 황소개구리와 붉은귀거북을 1998년도와 2001년도에 각각 생태계교란종으로 분류하여, 국가 차원의 관리를 시작하였다. 외래양서파충류가 유발하는 생태적 그리고 사회적 영향은 국내에서 다루어진 바가 있으나 아직까지 경제적 측면의 피해는 구체적으로 알려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야생으로 유입된 외래양서파충류의 관리를 위해 투입된 예산 규모 즉 경제적 소모 비용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의 범위는 2014년부터 2021년까지 황소개구리와 붉은귀거북 관련되어 투입된 정부 예산 규모이다. 외래양서파충류와 관련된 예산은 크게 1) 분포 및 현황 조사(국립생태원), 2) 제거 및 관리를 위한 연구 지원(한국환경산업기술원), 3) 지자체에 의한 직접 퇴치로 구분할 수 있었다. 조사 기간 내의 연구비의 총액은 약 262.1억이었으며,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154.7억으로 가장 많았다. 예산의 총액이 2014년부터 2021년까지 꾸준히 증가하는 추이를 보이고 있었다. 지자체별 투입 예산을 보면, 약 7년간 총 37.4억 원이 투입되었다. 지자체별로 차이는 있으나, 대구시에서 가장 많은 7.59억 원이 투입되었고, 이어서 경남, 충북 순이었다. 반면, 외래양서파충류와 관련된 예산이 전혀 투입되지 않았던 지자체도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현재 국내에서 외래양서파충류 관리를 위해 투입되는 예산 규모가 어느 정도 인지 그리고 증가하는 추세가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국내 야생에서 처음 발견된 외래종, 서부비단거북(Chrysemys picta bellii)의 관찰 사례 보고

        박일국,이경원,정지현,이현빈,구교성,Park, Il-Kook,Lee, Kyungwon,Jeong, Ji-Hyun,Lee, Hyun-Been,Koo, Kyo Soung 한국환경생물학회 2020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8 No.1

        2019년 3월 27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에 위치하는 일산호수공원에서 일광욕 중이던 외래거북 한 개체가 발견되었다. 발견된 개체의 배갑 색, 배갑 중앙의 무늬, 머리 옆면의 무늬, 등껍질의 형태를 근거로 서부비단거북(Chrysemys picta bellii)임이 확인되었다. 근처에는 서부비단거북이 아닌 외래거북들이 일광욕하고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야생에서 처음으로 확인된 서부비단거북의 관찰 사례를 보고하였다. 다양한 외래거북들이 국내 생태계에서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으나 그 실태가 잘 알려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외래생물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조사와 보고가 있어야 할 것이라 판단된다. On May 27, 2019, a non-native turtle was discovered at Ilsan Lake Park, Janghang-dong, Ilsandong-gu, Goyang-si, Republic of Korea. The turtle was identified as a western painted turtle (Emydidae: Chrysemys picta bellii) based on the external morphology, plastron color, plastron pattern, stripes on the side of the head, and shape of the carapace. In the lake park, another non-native turtle was observed sunbathing on the same rock. In this paper, we firstly reported the confirmed presence of a western painted turtle in the wild of Korea. Unfortunately, various non-native turtles are continuously reported in Korean ecosystems. Therefore, we highlight that continuous surveying and reporting of the non-native species is important to their management.

      • 국내 바다뱀의 연구: 큰바다뱀(Sea krait)의 포획과 기원 추적

        김일훈 ( Il-hun Kim ),박재진 ( Jaejin Park ),구교성 ( Kyo-soung Koo ),최우진 ( Woojin Choi ),권세라 ( Sera Kwon ),조한나 ( Hanna Cho ),김종선 ( Jongsun Kim ),박대식 ( Daesik Park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2

        대서양과 태평양의 아열대 지역에 주로 서식하는 바다뱀은 코브라과 (Elapidae)에 속하며, 현재까지 세계적으로 70종이 알려져 있다. 바다뱀은 바다에서 난태생 (viviparous) 으로 태어나 바다에서 섭식과 번식을 하며 평생 동안 육지를 전혀 이용하지 않는 진정바다뱀아과 (Hydrophiinae)와 육지에서 난생 (oviparous)으로 태어나 바다에서 섭식을 하지만, 휴식과 번식은 육지에서 수행하는 큰바다뱀아과 (Laticaudinae)가 있다. 전자에는 총 62종이, 후자에는 8종이 알려져 있다. 국제적으로 바다뱀의 분화, 종의 분류, 기본생태의 연구,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 등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으나 국내에는 포획 사례에 근거한 바다뱀의 기록 이후 65년 동안 어떠한 연구도 수행된바가 없었다. 국내 바다뱀의 기록은 1951년 F.A. Shannon에 의해서 Hydrophis melanocephalus와 Pelamis (Hydrophis) platurus 2종이 최초로 기재되어 있으며, 두 종 모두 부산 초량에서 포획된 사례가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1972년 북한의 원홍구는 부산 초량과 동해안 거진에서 발견된 사례에 근거하여 H. melanocephalus (먹대가리바다뱀, 검은머리바다뱀)와 부산 초량과 북한 옹진에서 발견 사례에 근거하여 H. cyanocinctus (얼룩바다뱀), 그리고 부산 초량에서 발견사례에 근거하여 H. platurus (바다뱀, 검은등바다뱀) 3종을 기재하고 있다. 남한의 경우 1975년 강영선과 윤일병이 부산 초량과 제주시 포획사례에 근거하여 먹대가리바다뱀을, 부산 초량에서 포획사례에 근거하여 바다뱀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재 이후에 해당 종들에 대한 구체적인 형태학적 기재나 생태학적 연구들은 수행되지 않았으며, 2003년 이종남이 1995년에 어민이 포획한 후 방사한 먹대가리바다뱀의 포획 사례를 유일하게 보고한 바 있다. 2013년부터 본 연구진은 국내 대학기관, 해양자원 보전기관 등에서 바다뱀 표본보관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더불어 동해안, 남해안, 서해안과 제주해안에서 어민들을 대상으로 바다뱀 관찰에 대한 전화 인터뷰 및 현지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또한, 온라인상에 탑재된 다양한 바다뱀 관련 자료들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3건의 바다뱀 사진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다. 사진 1건은 거제인근에서 포획되었던 바다뱀 H. platurus 이었으며, 2건의 사진은 제주도에서 관찰된 것으로 국내에는 보고되지 않았던 큰바다뱀아과에 속하는 바다뱀으로 1차 판정하였다. 이후 추가적인 분석으로 부터 사진 속의 종을 Laticauda semifasciata와 L. laticaudata종으로 각각 판단하였으나, 표본이 없는 관계로 최종적으로 확정을 할 수는 없었다. 어민들의 현지 인터뷰결과 153명 중 약 35%인 53명이 사진으로 제시한 바다뱀을 관찰한 적이 있다고 답하였다. 3년간의 노력 끝에 2015년 8월 26일 제주 서귀포시에서 어민에 의해 바다뱀이 최초로 포획되었으며, 이후 9월과 11월에 각각 제주 애월읍과 남원읍에서 추가적으로 바다뱀개체가 포획되었다. 포획된 개체들의 꼬리모양, 주둥이비늘의 갈라짐, 정수리판비늘의 수, 몸통띠무늬의 모양과 수 및 미토콘드리아 Cyt b 유전자 시퀀스를 비교한 결과, 포획된 3개체는 모두 큰바다뱀아과에 속하는 L. semifasciata로 확인되었으며, 국명을 “넓은띠큰바다뱀”으로 하여 2016년에 국내 최초 포획을 한국동물분류학회지에 보고하였다. 또한, 포획된 바다뱀을 이용한 행동연구의 결과 바다뱀들은 밤9시경에 움직임을 시작하여, 새벽 5시 경에 가장 활발히 활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다뱀의 활동은 해가 뜨는 시각에 맞추어 종결되었으며, 낮 동안은 은신처에 숨어서 거의 활동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넓은띠큰바다뱀은 해수보다는 담수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획 시 확인된 바다뱀의 먹이로는 자리돔, 놀래기, 황놀래기가 있다. 이후, 같은 L. semifasciata 종 개체가 2016년 6월에 여수에서 1개체, 8월에 부산 기장과 고리에서 각 1개체, 제주서귀포에서 1개체 추가로 포획되었다. 이들 포획된 개체들의 mt DNA Cyt b 시퀀스와, 대만의 4개체 샘플, 그리고 NCBI 내 동일 시퀀스 자료를 함께 이용하여 이들의 기원을 추적하고 있다. 현재까지 5개체의 분석결과 2개체는 대만과 남부 류쿠열도 지방에서만 발견되는 하플로타입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개체는 남부 류쿠에서만 나타나는 하플로타입을, 2개체는 류쿠열도 전역에서 관찰되는 하플로 타입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넓은띠큰바다뱀이 국내 바다에서 상주하는지의 여부는 여전히 해결해야할 질문으로 남아 있지만, 국내에 발견(혹은 유입)되는 넓은띠큰바 다뱀은 아마도 대만난류와 쿠로시오난류의 영향을 함께 받아서 국내로 이동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추가적인 샘플의 분석은 좀 더 정확한 유입경로와 기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2013년부터 국내 바다뱀의 연구를 통해서 국내 최초로 바다뱀 샘플을 확보하였으며, 큰바다뱀아과에 속하는 바다뱀인 넓은띠큰바다뱀의 포획을 국내 최초로 국내에 보고하였다. 더불어서, 이들의 기초행동에 대한 정보와 개체들의 유입경로와 기원에 대한 자료를 축적 해나가고 있다. 우리의 연구는 국내 생물 다양성 자원을 확보하고, 맹독을 가지는 바다뱀에 대한 연구를 활성화하는 핵심연구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 한국 토종 남생이에게서 발견된 깃거머리속(Genus Ozobranchus) 거머리 보고

        김윤주 ( Yunju Kim ),윤가영 ( Kayoung Yun ),구교성 ( Kyo Soung Koo ),장이권 ( Yikweon J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21 No.2

        일반적으로 “거북 거머리(turtle leech)”라 불리는 깃거머리속(Genus Ozobranchus) 거머리는 총 7종이 세계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그 중 중국과 일본에서 Ozobranchus jantseanus가 동아시아 지역에 서식하는 민물거북 남생이(Mauremysreevesii)에게서 발견된 사례가 있다. 반면, 한국에도 남생이가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나 지금까지 거북 거머리가 발견된 사례는 없다. 본 연구에서는 토착 민물거북 남생이에 기생이 확인된 거머리 1종을 보고하고자 하며, 형태적인 특징을 근거하여, 종을 확인하였다. 2021년 5~6월 경상남도 진주시 금산면에 위치한 금호저수지에서 다수의 거머리와 알(추정)이 남생이에게서 발견되었다. 거머리들은 남생이의 등껍질과 피부 사이에 부착되어 있었으며, 알로 추정되는 알갱이들이 등껍질과 배면에 군집(colony)의 형태로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었다. 2달 동안 발견된 남생이 총 143개체 중 8개체(5.6%)에서 거머리가 발견되었다. 발견된 거머리의 수는 총 95개체였고, 남생이 1개체 당 평균 10.6 (n=8, 최소 2 ~ 최대 34) 개체의 거머리가 기생하고 있었다. 채색은 남생이의 피부와 매우 유사한 진한 회색이었다. 이후 에탄올(70%)에 보관 후에는 반투명의 옅은 갈색으로 변색되었다. 거머리의 종 동정을 위한 형질로는 1) 몸통 양쪽 옆에 있는 아가미(branchiae)의 개수와 2) 체환(annulus)의 특징을 기록하였다. 아가미의 수는 거머리 개체 평균 21.9±0.6 (n=60, 최소 18 ~ 최대 22) 이었다. 각각의 체절은 2개의 체환(biannulate)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아가미의 수와 체환의 특징에 근거하여, 발견된 거머리는 깃거머리속에 속하는 O. jantseanus, O. shipleyi 그리고 O. papillatus로 압축되었다. 그 중, 동아시아 지역에 포함되는 한국에서 발견된 점 그리고 중국 및 일본에 서식하는 남생이에 기생한 사례 등을 미루어 보면, 깃거머리속에 속하는 O. jantseanus로의 가능성이 가장 큰 것으로 판단된다. 추후 연구에서는 이번에 거머리가 발견된 금호저수지 외에 남생이가 서식하는 지역에서도 거머리가 서식하는 지에 대한 여부를 조사할 계획이며, 유전학적인 기법을 활용한 계통 연구를 수행하여 정확한 종을 동정할 예정이다.

      • KCI등재

        멸종위기 종인 남생이(Mauremys reevesii)의 동면 여부에 따른 기초 번식생리의 계절적 변동<sup>1a</sup>

        정유정 ( Yu-jeong Jung ),김일훈 ( Il-hun Kim ),구교성 ( Kyo-soung Koo ),송재영 ( Jae-young Song ),강신근 ( Shin-geun Kang ),박대식 ( Daesik Park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0 No.6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II급 종인 남생이의 복원을 위하여 개체증식 프로그램들을 개발해왔지만, 남생이의 번식생리에 대한 이해는 여전히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4년 11월부터 2015년 10월 사이에 동면을 한 개체와 동면을 하지 않은 개체를 이용하여 성호르몬, 여포와 알의 수와 크기, 암·수간의 행동상호작용의 계절적 변화를 연구하였다. 비록 동면 여부에 따라 다소의 편차는 있었지만, 암컷의 혈청 에스트라디올 농도는 7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8월-10월에 최고 농도를 보였으며, 수컷의 테스토스테론의 농도는 8-9월에 최고 농도를 보였으며, 3월에 가장 낮았다. 동면을 한 암컷들은 5월초에서 7월 중순 사이에 완전히 발달한 알을 가지고 있었으며, 산란은 6월 초순부터 7월 하순 사이에 이루어졌다. 반면, 동면을 하지 않은 암컷들은 이른 4월부터 이른 6월 사이와 8월 중순에서 11월 하순 사이에 알을 가지고 있었으며, 산란은 6월초, 10월 중순, 2월 초에 이루어졌다. 이러한 결과는 동면이 여포와 알의 정상적인 발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함을 보여준다. 행동연구에서 암·수간의 구애행동을 포함하는 행동상호작용은 8월 하순부터 증가되어 10-11월에 최대를 보였다. 연구결과는 남생이의 짝짓기 기간이 성호르몬의 증가와 직접 연계되어 있지만, 여포와 알의 발달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멸종위기종인 남생이의 성공적인 번식프로그램을 운영 하는데 매우 중요하게 사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captive breeding program of the Reeve`s turtle (Mauremys reevesii), which is designated as an endangered category II species by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has developed, but the reproductive physiology of the species is still not fully understoo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seasonal changes in the sex steroid levels, the number and size of follicles and eggs and male-female interactive behaviors of hibernated and non-hibernated turtles between November 2014 and October 2015. Plasma estradiol level in females increased from July and peaked in the period from August to October. Plasma testosterone level in males peaked between August and September and was the lowest in March, although there were some variations depending on the patterns of hibernation. Hibernated females had fully developed eggs between early May and middle July and laid eggs between early June and late July, but non-hibernated females had eggs between early April and early June and also between middle August and late November, and laid eggs in early June, mid-October, and early February. These results suggest that hibernation could be essential for normal follicular and egg developments. Male-female interactive behaviors including courtship intensified from late August and peaked in October and November. Our findings suggest that mating period of this species is directly related to increased steroid hormone levels, but follicular and egg developments in females are not. Our results could be very useful to the successful operation of captive rearing programs of the endangered Reeve` sturt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