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부학실습에서 동료평가 및 자기평가와 해부학 학업성취도의 관련성

        감비성(Bee Sung Kam),김민정(Min Jeong Kim),주성일(Seung Il Joo),윤소정(So Jung Yune),임선주(Sun Ju Im),이상엽(Sang Yeoup Lee),윤식(Sik Yoon),백선용(Sun Yong Baek) 대한체질인류학회 2018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1 No.1

        해부학실습과정은 소그룹 단위로 실습이 진행되면서 팀워크 조성, 성실성, 능동적 학습, 의사소통으로 효율적인 협동학습을 필요로 하며, 이는 전문직업성의 주요한 요소에 해당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해부학실습 과정에서의 전문직업성을 동료와 본인이 평가하여 학업성취도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2015년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1학년 학생의 ‘인체의 구조와 기능’ 과정에서 해부학실습에 참여한 108명의 학생들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동료평가와 자기평가를 실시하였다. 동료평가와 자기평가의 중앙값을 중심으로 상하로 나누어 높은 동료평가/높은 자기평가, 높은 동료평가/낮은 자기평가, 낮은 동료평가/높은 자기평가, 낮은 동료평가/낮은 자기평가 4개의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동료평가와 자기평가에 따른 4개 집단 중에서 높은 동료평가 집단이 낮은 동료평가 집단에 비해 학업성취도 중에서 과정시험 (F=3.24), 학점 (F=3.54), 예습시험 (F=3.94), 실기시험 (F=3.60) 성적에서 다른 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업성취도를 구성하는 성적변인 사이에는 전반적으로 높은 상관계수를 보였다. 그러나 성적변인 중에서 실습시험 성적은 다른 변인과의 상관관계에서 집단에 따라서 차이를 보였다. 실습시험과 다른 변인 사이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집단은 높은 동료평가/높은 자기평가 집단이었으며, 이어서 낮은 동료평가/ 낮은 자기평가 집단, 낮은 동료평가/높은 자기평가 집단이었으며 높은 동료평가/낮은 자기평가 집단이 상대적으로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동료평가와 자기평가의 상대적 차이에 따른 집단을 대상으로 학업성취도에서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하여 이러한 분류체계가 전문직업성의 작업습관에 대한 평가도구로 활용이 가능하며, 동료평가와 자기평가가 모두 높은 집단의 경우는 맥락적 학습에 보다 잘 적응하는 집단으로 생각되었다. Gross anatomy, with cadaver laboratory dissection, is in a unique position to preside over a rich number of activities such as the team work, integrity, active learning, communication in the small group-all aspects of professional condu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professionalism with academic performa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groups of students in the performance variables. First-year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tudents (n=108) from the Class of 2015 taking the gross anatomy course were required to do the self- and peer assessment about the professional behaviors of each of the six members of their dissecting group. Th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one of four subgroups based on their deviation from the self- and peer assessment medians, such as high peer/high self (HP/HS), high peer/low self (HP/LS), low peer/high self (LP/HS), low peer/low self (LP/LS). There were significant higher scores in the high peer groups (HP/HS, HP/LS) in comparison with low peer groups (LP/HS, LP/LS) in the academic performance of end-of-term (F=3.24), credit (F=3.54), pre-Lab (F=3.94), practical examination (F=3.60) scores.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academic performance variables were observed generally.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correlation in the practical examination and other variables. The relatively high correlation between practical examination and other variables is HP/HS, followed by LP/LS, LP/HS and then HP/LS. In conclusion, peer- and self assessment sub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ademic performance. This assignment would be available to evaluate work habits of professionalism in the gross anatomy laboratory. It is suggested that HP/HS group was more adaptable in the contextual leaning the gross anatomy course.

      • KCI등재

        의과대학 학생의 맨눈해부학 지식에 대한 임상교수의 인식도 조사

        임선주(Sun-Ju Im),감비성(Bee-Sung Kam),이상엽(Sang-Yeoup Lee),우재석(Jae-Seok Woo),이종태(Jong-Tae Lee),이상화(Sang-Hwa Lee),임학(Hak Im),조경제(Gyeong-Je Cho),백선용(Sun-Yong Baek) 대한체질인류학회 2014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7 No.4

        의과대학과 의학전문대학원에 통합교육과정이 도입되면서 임상실습 기간의 확대로 기초의학의 강의 시간이 줄어들었으며, 대학에 따라서 맨눈해부학 교육의 시간과 내용은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재학생과 졸업생의 해부학 지식의 저하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해부학 교수와 학습의 방향 설정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임상실습 과정 학생들의 맨눈해부학 지식과 교육과정 내에서 해부학 교수법의 현 상태에 대하여 임상실습을 지도하는 임상 교수의 인식도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였다. 부산·경남지역의 5개 의과대학에 근무하는 임상교수를 대상으로 학생들의 맨눈해부학 지식에 대한 인식도를 설문 조사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임상교수의 입장에서 졸업생의 임상해부학 지식 정도(2.4±0.6)와 고학년 학생의 전반적인 해부학 지식(2.6±0.7)의 저하를 우려하였으며, 선택 집중해부실습(3.8±0.9)과 해부학 교육 시기 확대(3.3±1.0)에 긍정적이었다. 학생들의 전반적 국소해부학 지식의 수준에 대해서는 외과계열과 영상의학, 외과계열과 기타계열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외과 계열이 해부학 지식수준의 저하를 가장 우려하였다. 해부학교육 시기의 확대에 대해서는 영상의학이 내과, 외과 및 기타 계열과 유의한 차이를 보여 가장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p?0.001). 학생들이 해부학 지식이 낮은 원인으로는 임상맥락이 적은 해부학교육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통합교육과정에 따른 해부학의 정체성 감소였다. There is concerns about the perceived decline in the knowledge of gross anatomy of the medical students and postgraduate trainees. It is partly caused by the introduction of integrated medical curriculum and the shortage of basic medical science program and the extension of clinical clerkship consequently. There is widespread variability in the teaching style and anatomical curricular content at the medical school in Korea. Despite these changes in the anatomical education, there have been few attempts to assess the opinions of senior clinical teachers on the state of anatomical knowledge of students and the place of anatomy teaching within the curriculum. We sought the views of the clinical teachers on the adequacy of the anatomical knowledge of current students and recent graduates of 5 medical schools in Pusan and Gyeongsang-Nam do areas. Most of the clinical teachers were of the opinion that current medical students have an insufficient anatomical knowledge. They indicated the causes of decline were the clinical irrelevant anatomical teaching content and weakness of identity of anatomy by the introduction of the integrated medical education program. There was widespread support for both the concepts of spreading anatomy teaching throughout the medical course, and an optional, clinically related final year student project in the anatom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