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ethinking the U.S. Federal Special Education Policy toward Inclusion through the Lens of Critical Theory and Social Constructionism

        강종구,Kim, Young Han,Fang, Ji Jeng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07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3 No.4

        As South Korean and Taiwan educators, we support full inclusion. However, we also know the difficulty of the practice of full inclusion. We attempted to examined the U.S. IDEA of 2004. Since IDEA does not use the term "inclusion," U.S. Department of Education also does not define "inclusion." Although IDEA does not use the term "inclusion," the federal special education uses the term "the least restricted environment," which has a similar meaning with inclusion. We examined the history of the federal special education policy toward inclusion. We described how the legislative movement about the special education began in 19th century, how the Education for all Handicapped Children Act of 1975 (PL 94-142) was established during Civil Rights Era, and how congress passed the IDEA. This paper examined the federal special education policy toward inclusion through the lens of critical theory and social constructionism. The lens of critical theory helped explore the power relations between the oppressors and the oppressed. We tried to find how inclusion had power relations through the lens of critical theory. The lens of social constructionism also helped approach disability as a construct within the social context. We criticized the federal special education policy which consider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rough the lens of social constructionism. We also pointed out that medical approach could make students with disabilities experience difficulties in inclusive education. We also mentioned that the federal special education policy toward inclusion had changed according to U.S. history. We recognized the differences in inclusive education between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and tried to think how South Korea could develop special education policy toward inclusion according to South Korea's context. 한국의 타이완의 교육가로서, 우리는 완전통합의 철학을 지원한다. 하지만, 우리는 이러한 완전통합의 실천이 어렵다는 것도 알고 있다. 본 연구는 2004년에 미국 국회에서 통과된 IDEA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IDEA가 "Inclusion"(통합교육)이란 용어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미 교육부도 이러한 용어를 정의하지 않고 있다. 비록 IDEA가 통합교육이란 용어를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통합에 대한 연방 특수교육은 학교들이 최소한의 제한된 환경이란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통합교육과 유사한 의미를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먼저 통합교육에 대한 연방정부 정책에 대한 역사적인 고찰을 한다. 특수교육법이 19세기에 어떻게 태동되었는지, 그리고 시민 권리 시대(Civil Rights Era)에 연방 정부가 공법 94-142항인 모든 장애를 가진 아동들을 위한 교육에 대한 법이 어떻게 제정되었는지, 그리고, 비교적 최근인 1990년대에 IDEA를 통과하기까지의 역사적인 과정들을 알아보았다.본 연구에서는 통합교육에 대한 미국 정부의 특수교육 정책을 살펴보고, 책무성이 따르는 통합교육에 대한 정책들을 알아보았다. 이러한 통합교육의 정책에 대하여, 저자들은 비판이론과 사회구성주의 관점으로 고찰하였다. 비판이론은 인종과 계층 같은 분야에서 억압자와 피억압자 사이에 힘이 어떻게 존재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며, 비판 이론을 통하여 연방 특수 교육 정책이 통합교육에 대하여 어떻게 작용하여 왔는지를 알아보았다. 또 다른 이론인 사회구성주의 관점은 장애를 사회에서 구성되어진 개념으로 보고 있으며, 사회가 장애란 개념을 어떻게 구성하는지에대하여 생각하게 만들어 준다. 저자들은 사회구성주의 이론을 통하여 미국 정부가 통합교육, 특히 장애에 관해서 의학적인 접근을 가짐으로써 장애학생들이 치료받아야 되는 대상으로 대하고 있음을 비판하였다. 저자들은 또한 의학적인 접근을 통한 통합교육의 실행이 어떻게 장애학생들을 불리한 상황에 처하게 만들며, 이러한 의학적 접근이 완전 통합에 대한 어려움을 유발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저자들은 미국에서 실행되어져 오고 있는 통합교육에 대한 특수교육정책이 미국의 역사에 따라서 발전되어져 왔음을 언급하였다. 이러한 역사적인 차이점에 따라서, 한국과 미국의 통합교육을 비교하여 생각함으로써, 한국의 현실에 적합한 통합교육에 대한 특수교육정책을 어떻게 발전시켜 나갈지를 생각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Rethinking the U.S. Federal Special Education Policy toward Inclusion through the Lens of Critical Theory and Social Constructionism

        ( Jong Gu Kang ),( Young Han Kim ),( Ji Jeng Fang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07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3 No.4

        한국의 타이완의 교육가로서, 우리는 완전통합의 철학을 지원한다. 하지만, 우리는 이러한 완전통합의 실천이 어렵다는 것도 알고 있다. 본 연구는 2004년에 미국 국회에서 통과된 IDEA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IDEA가 "Inclusion"(통합교육)이란 용어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미 교육부도 이러한 용어를 정의하지 않고 있다. 비록 IDEA가 통합교육이란 용어를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통합에 대한 연방 특수교육은 학교들이 최소한의 제한된 환경이란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통합교육과 유사한 의미를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먼저 통합교육에 대한 연방정부 정책에 대한 역사적인 고찰을 한다. 특수교육법이 19세기에 어떻게 태동되었는지, 그리고 시민 권리 시대(Civil Rights Era)에 연방 정부가 공법 94-142항인 모든 장애를 가진 아동들을 위한 교육에 대한 법이 어떻게 제정되었는지, 그리고, 비교적 최근인 1990년대에 IDEA를 통과하기까지의 역사적인 과정들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교육에 대한 미국 정부의 특수교육 정책을 살펴보고, 책무성이 따르는 통합교육에 대한 정책들을 알아보았다. 이러한 통합교육의 정책에 대하여, 저자들은 비판이론과 사회구성주의 관점으로 고찰하였다. 비판이론은 인종과 계층 같은 분야에서 억압자와 피억압자 사이에 힘이 어떻게 존재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며, 비판 이론을 통하여 연방 특수 교육 정책이 통합교육에 대하여 어떻게 작용하여 왔는지를 알아보았다. 또 다른 이론인 사회구성주의 관점은 장애를 사회에서 구성되어진 개념으로 보고 있으며, 사회가 장애란 개념을 어떻게 구성하는지에 대하여 생각하게 만들어 준다. 저자들은 사회구성주의 이론을 통하여 미국 정부가 통합교육, 특히 장애에 관해서 의학적인 접근을 가짐으로써 장애학생들이 치료받아야 되는 대상으로 대하고 있음을 비판하였다. 저자들은 또한 의학적인 접근을 통한 통합교육의 실행이 어떻게 장애학생들을 불리한 상황에 처하게 만들며, 이러한 의학적 접근이 완전 통합에 대한 어려움을 유발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저자들은 미국에서 실행되어져 오고 있는 통합교육에 대한 특수교육정책이 미국의 역사에 따라서 발전되어져 왔음을 언급하였다. 이러한 역사적인 차이점에 따라서, 한국과 미국의 통합교육을 비교하여 생각함으로써, 한국의 현실에 적합한 통합교육에 대한 특수교육정책을 어떻게 발전시켜 나갈지를 생각하고자 하였다. As South Korean and Taiwan educators, we support full inclusion. However, we also know the difficulty of the practice of full inclusion. We attempted to examined the U.S. IDEA of 2004. Since IDEA does not use the term "inclusion," U.S. Department of Education also does not define "inclusion." Although IDEA does not use the term "inclusion," the federal special education uses the term "the least restricted environment," which has a similar meaning with inclusion. We examined the history of the federal special education policy toward inclusion. We described how the legislative movement about the special education began in 19th century, how the Education for all Handicapped Children Act of 1975 (PL 94-142) was established during Civil Rights Era, and how congress passed the IDEA. This paper examined the federal special education policy toward inclusion through the lens of critical theory and social constructionism. The lens of critical theory helped explore the power relations between the oppressors and the oppressed. We tried to find how inclusion had power relations through the lens of critical theory. The lens of social constructionism also helped approach disability as a construct within the social context. We criticized the federal special education policy which consider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rough the lens of social constructionism. We also pointed out that medical approach could make students with disabilities experience difficulties in inclusive education. We also mentioned that the federal special education policy toward inclusion had changed according to U.S. history. We recognized the differences in inclusive education between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and tried to think how South Korea could develop special education policy toward inclusion according to South Korea`s con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