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가습기 살균제 노출 및 건강피해 규모 평가 연구

        이경무,이경무,백도명,정해관,김솔휘,서정욱,홍영습,김형수,이종화,임종한,김판기 한국환경보건학회 2019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45 No.3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imate the number of those who used humidifier disinfectants (HDs) and experienced health effects from exposure to HDs in Korea between 1994 and 2011. Methods: A nationwide interview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representative sample to identify the proportion of those who used HDs among the general population (n=3,001). Another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those exposed to HDs to find the proportion of those who experienced health effects among those who were exposed to HDs (n=3,993). Statistics for population size by region and year (1994-2011) were used to estimate the cumulative number of those exposed to HDs and those who experienced health effects. In terms of the proportion of those exposed to HDs, those less than 30 years of age were excluded due to an issue related to information bias. Various approaches for estimation included the capture-recapture method for estimation of those who experienced health effects. Results: The cumulative proportion of those exposed to HDs was 6.7% among the general population, and the proportion of those who experienced health effects among those who were exposed to HDs was 13.9%. Based on these factors, it was estimated that 3.5 to 4.0 million people were exposed to HDs and 350 to 400 thousand experienced health effects at least requiring visiting a hospital.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a nationwide representative sample may be essential for population size estimation of those exposed to environmental risk factors and of those who experienced health effects.

      • SCOPUSKCI등재
      • 한국 정상 성인의 부심비골신경에 관한 연구

        이경무,이정희,김용석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2 忠北醫大學術誌 Vol.12 No.2

        목적: 말초신경계의 대표적인 해부학적 변형인 부심비골신경은 정상인에게서 특이한 증상을 유발하지 않지만 비골신경병변이 있는 경우 임상양상이 비특이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전기진단학 검사시 예기치 못한 소견을 보여 진단에 혼돈을 줄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인지하고 있어야 하며 그 존재 유무를 판단하여야 한다. 이에 본 저자들은 정상 한국성인에서 부심비골신경의 빈도와 남녀간의 차이 및 전기생리학적 특성을 조사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조사대상은 총 40명으로, 과거력상 양 하지에 신경학적 이상이 없고, 검사 당시 신경학적 자각 증상이 없는 건강한 성인 남, 녀 각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80지를 검사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검사 전 신경학적 검사를 시행하여 양 하지의 근력, 감각 및 심부건반사검사상 이상소견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모든 대상자의 비골두 직하부, 족관적 배부에서 전기자극을 하여 비골신경 전도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외과후부를 자극하여 부심비골신경의 존재유무를 조사하였다. 결과: 연구 대상자 40명 중 남자 4명, 여자 6명에서 부심비골신경이 관찰되어 그 빈도는 25% 이었으며, 총 80지 중 15지가 양성이었으며 빈도는 18.7% 이었고 양측에서 발견된 경우는 12.5%로 남자가 3명, 여자가 2명이었다. 성별의 차이나 좌, 우측에 따른 빈도 차이 및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부심비골신경의 복합근활동전위의 진폭은 2.70±1.91 ㎷이었으며, 잠시는 4.74±0.96 msec이었으며, 비골두직하부와 외과후부 사이에서 측정한 신경전도속도는 56.29±2.13 m/sec이었다. 결론: 정상 한국성인 남, 녀 각 20명씩 총 40명을 대상으로 전기진단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부심부비골신경의 빈도를 조사한 바 25%에서 양성이 관찰되었으며 남녀간의 차이 및 좌, 우측의 차이는 없었다. Purpose: Accessory deep peroneal nerve is a common anatomical variant, derived from the superficial peroneal nerve and innervates the lateral border of extensor digitorum brevis. Because this variation may alter usual clinical and electrophysiologic charcteristics of peroneal nerve lesions, awareness of this anomalous innervation is important for clinical and electrodiagnostic eval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and the electrophysiologic characteristics of accessory deep peroneal nerve. Methods: The accessory deep peroneal was detected by electrical stimulation behind the lateral malleolus and peroneal nerve conduction studies in 40 ( male 20, female 20 ) healthy young individuals. Result: Accessory deep peroneal nerve was found in 15 nerves in 80 limbss, 18.75%, similar to previous studies. Mean amplitude of accessory deep peroneal nerve was 2.70 .91㎷ on lateral extensor digitorum brevis recording and mean latency was 4.74 0.96msec. The amplitude percentage, proximal amplitude as a percentage of the distal one, over 100% was an only predictor of the presence of this nerve. Conclusion: The relatively high incidence of accessory deep peroneal nerve which may lead to an erroneous electrodiagonostic evaluation is pointed out. So, we suggested that routine stimulation to detect the accessory deep peroneal nerve.

      • 메타분석을 이용한 국내 정상성인의 정중신경 체성감각 유발전위의 정상치 : a Meta-Analysis

        이경무,김헌,박은희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3 忠北醫大學術誌 Vol.13 No.1

        연구목적:체성감각 유발전위(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SEPs) 검사는 말초 감각 수용기로부터 대뇌피질에 이르는 체성감각의 구심성 경로를 평가하는 유용한 방법이다. 체성 감각 유발전위의 잠시와 진폭의 정상치는 대상군의 지역적 분포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어 각 검사실마다 각각의 정상치를 구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지역적인 특성만을 대변하므로, 범국가적인 대표값으로 보기는 힘들다. 또한 1984년 AES(American Encephalo-graphic Society)의 guideline이 있지만 아직 검사방법의 통일이 이루어지지 않아 해석의 어려움이 있어 검사방법의 표준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논문분석을 통하여 각 연구에서 어떠한 검사방법들이 사용되었는지 분석하며 검사방법의 표준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으며, 베타분석을 통하여 정중 신경 체성감각 유발전위의 범국가적인 정상 참고치를 구하여 학술연구와 정도관리에 일조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1978년부터 2001년까지 정중 신경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의 정상 치에 관한 국내외 연구논문 15편을 대상으로 검사방법의 종류와 빈도를 분석하며 가장 보편적인 검사방법을 알아보았으며, 7편의 국내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통하여 정중 신경 체성감각 유발전위의 범국가적인 정상 참고치를 구하고자 하였다. 결과: 1) 전극의 종류로는 침 전극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전극의 위치는 활동기록전극으로는 C3', C4'를 참고기록전극으로는 Fz가 적당하리라 생각된다. 위상의 잠시를 명명하여 표기한 경우로 N1은 N20으로 표기한 경우가 많았으며, Pl은 P22로, N2는 N25로 표기한 경우가 많았고, P2는 다양하였다. 2) 자극의 빈도는 3 pps가, 자극기간은 0.2 msec가 많이 사용되었다. 자극강도는 대부분 thumb twitch가 있는 정도로 하였으며, 총 자극 횟수는 127회가 3편으로 가장 많았다. Low filter의 범위는 2∼20 Hz사이에 있었고, High filter는 500 Hz∼10 kHz사이의 범위까지로 동일한 주파수 설정은 없었다. 3) 국내 논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시행하여 구한 한국 정상성인의 잠시의 정상 참고치 는 N1이 20.6 msec, P1이 28.2 msec, N2가 37.2 msec, P2가 48.5 msec였다. 진폭은 변이계수가 크고 개인간의 차이가 심하여 진폭만을 기준으로 이상유무를 알기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되었다. 결론;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정중신경 유발전위 검사방법을 빈도순으로 분석하였으며 메타 분석을 통하여 잠시와 진폭의 정상참고치를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정중신경 유발전위 검사방법의 표준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도출된 정상 참고치는 정중신경 체성감각 유발전위 검사의 관련 연구와 정도 관리에 유용하리라 생각된다. Purpose: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SEPs) are valuable in evaluating the somatosensory pathway from peripheral sensory receptor to cerebral cortex. Despite there are numbers of normative studies of median nerve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SEPs), each laboratory has one's own normative database. Obvious difficulties are arised in attempting to compare data from one laboratory to another,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standardized test method with normal references. We initiated this study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Meterials and Methods:We searched through 15 articles, which had been previously published from 1978 to 2001, concerning scalp recorded median nerve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The thorough research of 15 articles came out with a common test, and we obtained a world-wide normal reference value of latencies and amplitudes through a meta-analysis technique by researching 7 articles which reported their own normal reference values among korean adults Results 1) The most common electrode was needle electrode. The site for active electrode was C3', C4' and the site for reference electrode was Fz. The most common used names of N1, P1 and N2 were N20, P22, N25 respectively. 2) The stimulation frequency was 3 pps, the stimulation duration was 0.2 cosec, the stimulation intensity was about thumb twitch level and the total stimulation number was found to be more than 128. The low fiter range was 2~20 Hz, the high filter range was 500Hz~10 kHz. 3) The normal reference values of N1, P1, N2 and P2 were 20.63 msec, 28.23 msec, 37.23 msec, 48.54 msec among Korean adults. Conclusion:Since there are many labs that have not established a normal reference value ans a standardized method, the normal latencies suggested through a meta-analysis and a common test method may be used as a valuable reference for many laboratories.

      • 뇌졸중 후 인지기능장애에 대한 Methylphenidate의 효과

        이경무,장요한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2 忠北醫大學術誌 Vol.12 No.1

        연구목적: 뇌졸중 환자의 재활치료과정에서 인지기능장애는 각성 기능, 기억력, 주의력의 저하를 초래하고 재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의욕 및 운동기능의 습득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바, 중추신경계 흥분제인 methylphenidate가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 재활의학과에 입원한 뇌졸중 환자 중 5명을 대상으로 methylphenidate 를 투여한 후 PC-based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MMSE), PC-based 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 (NCSE), auditory reaction time, visual reaction time을 2주 간격으로 추적 관찰하였다. 결과: Methylphenidate를 투여 받은 5명의 뇌졸중 환자들에서 추적관찰시 auditory reaction time, visual reaction time의 단축 및 MMSE와 NCSE 점수의 증가 및 MMSE와 NCSE측정시간의 단축을 보였다. 결론: 뇌졸중 환자에게 methylphenidate를 투여하는 것이 인지기능의 향상 및 반응시간의 단축에 효과가 있다고 생각된다. Purpose: In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stroke, cognitive impairment interfere arousal, memory. attention, and has effect on motivation to participation in rehabilitation programs, capability to obtain motor function. The aim of study is to know the effect of methylphenidate-central nervous system stimulant- on patients with Stroke. Methods: We selected 5 patients with stroke in admission to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C.B.N.U.H. After administration of methylphenidate, we follow up PC-based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MMSE). PC-based 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 (NCSE), Auditory Reaction Time. Visual Reaction Time, every two weeks. Results: When we follow up, shortening of Auditory Reaction Time, Visual Reaction Time, MMSE time, NCSE time and increasement of MMSE score, NCSE score found in patients with administration of methylphenidate. Conclusion: It is effective on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and shortening of readtion time that administration of methylphenidate to patients with stroke.

      • PC를 이용한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의 개발

        이경무,최양묵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0 忠北醫大學術誌 Vol.10 No.1

        목적: 재활치료과정에서는 인지기능의 반복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그러나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MMS)는 반복적 검사할 때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신뢰도가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MMS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PC-based MMS(PC-MMS)와 이를 위한 검사규칙을 개발하고, 검사시행의 편의기능을 갖도록 하고자 하였다. 방법: MMS의 신뢰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요인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1) 검사-재검사 또는 검사자-검사자간에 질문의 방식, 발음, 음량을 달리하거나, 2) 반복검사시 학습효과가 발생하거나, 3) 검사규칙이 구체적으로 정하여지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PC-MMS 와 이를 위한 검사규칙을 디자인하였다. 결과: PC-MMS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갖도록 개발되었다. 1) 음성자극을 일정하게 하였고, 2) 가변문항에 난이도가 유사한 항목을 개발하여 그 중에서 무작위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고, 3) 검사시행 및 검사결과의 관리를 편리하게 하였다. 또한 검사의 시행을 표준화 할 수 있도록 PC-MMS 검사규칙을 개발하였다. 결론: PC-MMS와 이를 위한 검사규칙은 반복적인 인지기능 평가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re is a need of the repeated evaluation of cognitive function in the process of rehabilitation. But the relilability of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MMS) was decreased by various factors when the test is repeatedly administrat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PC-based MMS (PC-MMS) including its protocol that elevate the reliability of and to have the function equiped with convenient adminstration. Methods : The factors of decreasing the reliability on MMS are analyzed such as following. 1) The way of question. pronunciation, and volume of sound can be differentiated in the test-retest or tester-tester, 2) the learning effect develops when the test is repeatedly administrated, and 3) the test protocol isn't determined in the concrete. The PC-MMS and its protocol are designed to solve this problem. Results'PC-MMS has been developed to have functions such as following. 1) It was made constant verbal stimulation, 2) the question contents of the same level of difficulty in changeable items were developed and some of those can be randomly selected, and 3) it Protocol on PC-MMS was also developed for standardization in the administration of test. Conclusion : The PC-MMS and its Protocol is thought to be useful for the repeated evaluation of cognitive fun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