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정규직 이해와 한국교회의 비정규직 선교의 과제

        황홍렬(Hong Eyoul Hwang) 한국선교신학회 2015 선교신학 Vol.40 No.-

        우리나라는 임금노동자의 30%-50%(600만-1,000만)이 비정규직 노동자이지만 사회복지 체계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는 상황에서 실업의 공포로 인해 비정규직 노동자는 극심한 차별 속에서도 비정규직을 유지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겪는 고통, 아픔, 좌절은 상상을 초월하지만 한국교회는 비정규직에 대해 거의 관심을 갖지 않고 있다. 이 글은 우선 비정규직에 대한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비정규직에 대한 다양한 정의, 비정규직의 규모에 대한 정부 통계와 민간연구소가 추정하는 규모의 차이와 이유, 비정규직이 발생하는 배경을 케인스주의로부터 신자유주의적 세계화로의 경제패러다임의 변화에서 찾고, 비정규직의 현황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비정규직의 문제는 저임금과 열악한 노동조건, 불안정한 일자리이 다. 그리고 비정규직의 제도적 문제로는 근로기준법의 보호를 받지 못하고 노조에 가입하기 어려운 상황이 있다. 비정규직의 사회적 문제 로는 계층 구조의 양극화와 사회적 양극화로 인간 사회 분위기의 악화를 들 수 있다. 비정규직의 대안으로 정책적 측면에서 신자유주의 경제정 책으로부터 경제민주화로의 정책의 변화, 기업 중심 노동유연화 정책으 로부터 노동자 중심의 노동시장 정책으로의 전환, 정규직 중심의 사회 보장 정책으로부터 비정규직과 실업자 중심의 사회보장 정책으로 전환 해야 한다. 근로기준법이 비정규직을 포함하도록 개정하고, 법 적용을 엄격하게 해야 하며, 노동자와 그 가족을 위한 심리치유센터를 만들고, 노동자와 비정규직에 대한 시민의식이 개선되도록 학교교육과 시민교 육에 노동자와 비정규직을 포함해야 한다. 그런데 기업이 비정규직을 선호하는 것은 저성장기 자본의 축적논리의 일환으로 대자본의 핵심 산업 이외에는 거의 전부 외주화, 비정규직화 가능성이 있으므로 기업에 대한 국가의 규제가 필수적이다. 비정규직은 노동조합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하고, 정규직 노조는 비정규직과 함께 노조를 만들어 운영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비정규직에 대한 선교를 위해서 깔뱅은 인간의 회복과 사회회복의 밀접한 관계, 물질적 삶과 영적 삶의 긴밀한 관계, 부자와 가난한 자사이의 영적 유대를 바탕으로 한 재화의 순환, 인간 본질로서의 안식과 그로 인한 해방적, 창조적 노동, 재화의 순환을 위한 교회의 역할과 국가의 책임, 하나님의 선물로서의 임금 등을 제시하고 있다. 비정규직을 위한 교회의 선교과제로서 노동자에 대한 올바른 성서적 신학적 이해와 기독교교육에 적용해야 하고, 교회가 재화를 가난한 자에게로 흘러가도록 미소금융이나 협동조합 등의 활동을 전개해야 하고, 고난당하는 노동자들을 위한 기도회, 예배, 교회가 노동자의 교육 공간, 상담 공간, 치유공간이 되어 주님 안에서 안식을 통해 자기의 정체성과 자긍심을 회복하고 치유 받은 치유자가 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그리고 교회부터 비정규직을 정규직화하고, 최저임금을 준수하고, 생활임금을 지급하며, 이웃종교인들과 시민사 회단체들과 함께 국가의 불의한 법을 개정하고 제도와 의식을 개혁하고 비정규직과 실업자를 중심에 두는 사회보장제도와 경제민주화를 위해 힘을 모아야 한다. There are about six million to ten million irregular workers out of eighteen million wageworkers in South Korea. The lack of social security systems force those irregular workers to accept such discriminated jobs in terms of payment and labour conditions. Their pain and despair are beyond imagination. Most of Korean churches, however, do not concern even do not know about them. The aim of this paper is to help Korean churches to understand them in terms of the definition of irregular workers, the scope of irregular workers, the background of a birth of irregular jobs, their current situation and their problems and alternatives and to recognize their missionary tasks for irregular workers. Problems of irregular jobs include low-wage, social instability, the exclusion from the protection by the labour law and the labour union, social bi-polarity and the increase of social conflicts as its result. To solve problems of irregular jobs needs transitions from neoliberal economic policy to economic democratization, from the policy of flexibility of labour to the labour-centered labour market policy, from the regular worker-centered social security policy to the irregular worker-centered social security policy. Complementary measures to these ones are the Labour Standard Act revision, the establishment of counseling center for irregular workers, and the inclusion of labour issues in church education and school education. According to John Calvin, there are close relationships between the restoration of men and that of society, a material life and a spiritual life, and a spiritual link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resulting in a circulation of wealth. He regarded the rest before God as a human essence so that only such a labour can be liberative and creative. He taught us that the ministry of a deacon is to support the circulation of wealth. He insisted that the responsibility of the circulation of wealth was up to the state. The wage is a sign of God’s grace to both of workers and owners. The paper also deals with issues such as economy, globalization and capitalism from the theological perspective. The writer suggests as missionary tasks of Korean churches for irregular workers: biblical and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labour and workers, the inclusion of labour issues in church education and theological education, prayer meeting and worship for suffering irregular workers, churches’ participation in the social economy such as social enterprise, co-operative, and micro credit, the use of worship place for a counseling center and labour education, the transformation of irregular workers of church into regular workers, and churches’ effort to change in the Labour Standard Act and in social security system with religious leaders and NGOs.

      • KCI등재

        한반도에서 남북의 화해와 평화통일을 위한 한국교회의 평화선교 과제

        황홍렬(Hong Eyoul Hwang) 한국선교신학회 2013 선교신학 Vol.32 No.-

        Peace should be approached by inclusivism, consisted of politics, economy, international relationship, social welfare, community health care, education, and culture. For the current government of South Korea has been obsessed with ideology rather than national interests during the last five years, the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s in crisis. Theological foundations for reconciliation are truth, memory, repentance, justice, forgiveness, and love. The presupposition of reconciliation is to know what happened to the victim. The truth of the victim can be recognized through memory, that is the center of one’s identity. Repentance of the perpetrator is necessary for the process of reconciliation. In return the victim should forgive the perpetrator. In the whole process of reconciliation, love is a dominant factor. Theological foundations for peace are justice, reconciliation, non−violence, just peace, and economic justice. Justice is the pre−condition for peace. And reconciliation is the way to peace. Non−violence is the hope for peace. Just peace is suggested by the WCC as an alternative to the just war and pacifism. Economic justice is identified as an essence for peace. Tasks of the peace mission of the Korean Church for reconciliation and peace reunification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re such as non−violent communication, nurturing of the peace−builders, the peace education for encouraging the culture of peace, the care for the victim of violence and programs for violence prevention, media as a peace messenger, the peace mission in the public area, and strategies of peace mission in the troubled areas. The peace mission should be approached by inclusivism and Christian realism as well. For practicing the peace mission the Korean Church can learn about important lessons from the various examples of the peace mission done by the member churches of the WCC during the Decade to Overcome Violence, from 2001 to 2010. The Korean Church is encouraged to study the precious experiences of the Peace Church (the Mennonites, the Quakers, and the Brethren Church) for enacting the peace mission.

      • KCI등재

        고용 허가제 이후 이주 노동자 선교의 과제와 전망

        황홍렬(Hong Eyoul Hwang)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08 선교와 신학 Vol.21 No.-

        이 논문은 고용 허가제가 실시된 2004년 이후 변화된 상황을 전제하고 이주 노동자의 현실을 살피고(Ⅱ장), 이주 노동자의 선교 현황에 대해 민중의 사회 전기(傳記)를 통해서(Ⅲ장), 설문 조사를 통해서(Ⅳ장) 알아본 후 이주 노동자 선교신학을 모색하고(Ⅴ장), 이 모든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해서 이주 노동자 선교의 과제와 전망을 제시하려 한다(Ⅵ장). 본 연구는 2005년 11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학술진흥재단에서 지원하여 진행된 박사 후 연수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그 연구 결과 전문은 2007년 2월 한국선교신학회에서 발표된 바 있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제한된 지면으로 인해 그 중요한 흐름만(특히 Ⅱ장과 Ⅲ장) 실었음을 밝힌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방법론으로 제시된 민중의 사회 전기, 타자와 만남의 선교론, 그리고 설문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Ⅱ장에서는 이주 노동자의 일반 상황으로서 국제 노동력의 이동과 고용 허가제 실시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Ⅲ장에서는 14개 국가 출신 이주 노동자 39명(어린이 2명 제외)의 사회전기를 통해 본 이주 노동자 선교의 과제는 한국 교회의 갱신, 감동을 주는 선교, 치유 선교, 이주 노동자 양육, 돈의 유혹 극복과 하나님 사랑, 한국 교인에 대한 교육, 정주화 대비, 세계 선교의 새로운 지평 확대, 종교 간 갈등 대비 등이었다. Ⅳ장에서는 10개 국가(11개 그룹)를 대상으로 546명에 대한 설문 조사를 한 결과 이주 노동자의 42%가 입국 전에 기독교 신자였지만 입국 후 57%로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이주 노동자 선교가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긍정적 평가를 받지만 이주 노동자 선교의 주요 과제로는 첫째, 한국 교회가 복음으로 돌아가야 한다. 둘째, 한국 교회나 선교 단체의 욕구가 아니라 이들의 종교적 욕구를 수용해야 한다. 셋째, 한국인들의 외국인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넷째, 정주화 경향이 나타나는 만큼 가정을 돌보는 사역, 자녀 양육 사역 등에 대해 대비해야 한다. Ⅴ장에서는 이주 노동자 선교신학으로 성경적 전거를 보았다. 구약이나 신약 모두 이주민과 미등록 노동자에 해당하는 각각의 용어가 있지만 성경은 지속적으로 법적으로 보호받지 못하는 이주 노동자들을 섬기고 보호하라고 명한다. 이웃 사랑의 대상은 이주민을 넘어서서 미등록 이주 노동자를 향한 것이 성경의 가르침이다. 그리고 이주 노동자 선교가 함의하는 교회론은 나그네 교회와 만민이 기도하는 집으로서의 교회를 보았다. 나그네/이주민 교회는 집 없는 자들에게 집이 되는 교회, 사회적으로 소외당하는 자들에게 새로운 가정이 되는 교회, 인종성으로부터의 해방이 아니라 인종성을 통해 이루어지는 해방을 체험하는 교회이며, 이를 통해 다른 인종이나 사람들에게도 참된 해방을 이루게 함으로써 하나님 나라가 이 땅에 이루어지게 히는 데 기여하는 교회이다. 만민이 기도하는 집으로서의 교회는 다인종 교회, 다문화 교회를 가리키는데 교회 성장 신학에 기반을 둘 수도 있고, 인종 간 화해를 지향하거나 평화 공동체나 하나님 나라를 지향할 수 있지만 이 글에서는 후자에 무게를 두었다. 이주 노동자 선교신학의 유형으로는 개종 유형, 회심 유형, 환대로서의 선교, 역전된 선교, 소수자 선교 등으로 나뉜다. 이러한 구분은 타자와의 만남의 선교론에 바탕을 두고 구별했다. 가장 바람직한 유형으로서 소수자 선교를 제시했다. Ⅵ장에서는 이주 노동자 선교의 전망을 살펴보았다. 이주 노동자 선교는 이제 막 드러나기 시작한 세계 선교의 새로운 방법과 접근 방식을 많이 보여주는데 앞으로는 세계 선교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 줄 것으로 본다. 또 이주 노동자들의 정주화에 대비해야 한다. 그리고 이주 노동자들이나 이주민 가운데 타종교인들과 한국 기독교인들, 또는 이주 노동자들 사이에 종교 간 갈등의 우려가 있어 이를 예방하는 것이 필요하다. 중국 동포를 통한 중국 선교와 남북의 평화 통일에 기여해야 한다. 이주 노동자 선교가 이주민 선교에 기여하는 길을 찾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아시아 출신의 이주 노동자 선교를 통해 아시아인들이 연대하여 아시아의 평화에 참여하는 길을 찾도록 하는 데 기여해야 한다. The research on the migrant worker mission was carried out as the post-doctorate course supported by the Korea Research Fund from November 2005 to October 2006.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as too long to reproduce within this limited space, the writer had to omit two chapters(literature survey and characteristics of migrant worker mission of Korean churches /mission centers) from the original report including some parts of the second, third and fourth chapters. Three methodologies adopted by the research were explained in the first chapter: the social biography of minjung suggested by Kim Yong-bock, missiology as the encounter with the others, and survey by the questionnaires. The second chapter deals with the current situations of the migrant workers such as the move of the international labor force, the life of migrant workers, the implementation of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and some perspective on the migrant workers. In the third chapter, the writer applied the social biography of minjung to 39 migrant workers coming from 14 countries. According to their social biographies the writer identified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the churches/mission centers they attended and their suggestions for the churches/mission centers. These migrant workers made some suggestions as main tasks for migrant worker mission of the Korean church/mission center such as: renewal of Korean church, mission that moved migrant workers, healing mission, nursing migrant workers’ faith, education for the Korean Christians, and preparing for the religious conflicts. The fourth chapter analyzed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s responded by 546 migrant workers coming from 10 countries. This chapter deals with their nationality, age, gender, length of stay, current job, status of visa, worship and table community, preaching, and missionary tasks of Korean church. These migrant workers suggested to the Korean church that she return to the Gospel; she accept their religious aspirations; she teach Korean Christians how to understand the migrant workers; she care for their families, especially their children. Theological reflections on the migrant worker mission was presented in the fifth chapter. First of all, the biblical foundation for the migrant worker mission was identified by the Old Testament and the New Testament. Then the church for the stranger and the church as the house of prayer for all nations were identified as the ecclesiology for the migrant workers. Lastly, five types of mission theology for the migrant worker were suggested as proselytism, conversion, mission as hospitality, mission in reverse, and minority mission. The last chapter presented the prospects of migrant worker mission. Even though the migrant worker mission is at the beginning stage, it opens a new dimension for the world mis-sion in terms of missionary methods and approaches. And it should prepare for the forthcoming immigrants. Also it has to find out how to contribute to the peace and reunification of Korea by serving Korean Chinese and how to contribute to the peace of Asia by Korean Christians solidarity with Asian migrant workers.

      • KCI등재

        WCC의 생명선교와 한국교회의 생명선교 과제

        황홍렬(Hong Eyoul Hwang)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4 선교와 신학 Vol.34 No.-

        이 글의 목적은 생태계 위기, 경제 위기, 사회적/국가적/전지구적 위기 등 지구생명공동체의 위기에 대응하는 WCC의 생명선교를 소개하고 한국 교회 생명선교의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그런데 WCC는 “생명선교”라 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그래서 WCC가 1970년대에 다룬 창조세계, 1980년대에 다룬 창조보전, 1992년부터 시작한 기후변화에 대하여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에 참석한 활동과 논의를 소개한다. 특히 기후변화와 관련한 WCC의 5개 주요 성명서의 내용을 제시한다. 그리고 WCC 부산총회가 다룬 기후변화, 경제정의, 정의로운 평화 등 핵심주제에 대해 서 총회 전체회의와 주요문서들, 에큐메니칼 대화에서 다뤄진 내용을 중심으로 소개한다. WCC는 기후변화가 윤리적, 영적 문제로서 생태정의를 세워야 함을 국제사회에 역설했고, 기독교인의 삶의 방식과 사고방식의 철저한 회개가 필요하며 기존 경제구조의 변화와 교토 의정서 체제의 붕괴를 막고 이후 의 대안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경제정의와 관련해서 WCC는 경제 위기, 생태 위기, 사회 위기 등 복합적 위기의 뿌리에 인간의 탐욕이 있음을 고백하고 탐욕, 이기주의, 인간중심주의의 죄로부터 회개를 촉구하며, 자선의 신학 대신에 정의의 신학을 세워야 하고 자신을 변화시키는 변혁적 영성을 필요로 하며, 국제금융기구를 개혁하도록 해야 한다. WCC는 정의로운 전쟁과 평화주의의 대안으로 정의로운 평화를 제시했다. 비록 정의로 운 평화가 성서의 샬롬에 근거하고 있지만 적극적 내용이 결여되었고, 실 제 갈등하는 국제사회에서 ‘법치’의 한계를 지적했고 강자보다는 약자에게 비폭력을 강조하는 것은 문제로 지적되었다. WCC 생명선교의 의의는 창조세계, 창조보전, 기후변화 등 논의와 활 동에 발전이 있었으며 신학적 입장을 정리했다는 데 있다. 그렇지만 WCC가 생명선교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는 것처럼 생명신학과 생명선교에 대 한 통합적 접근과 이해가 부족하고, 부산총회는 후쿠시마 핵발전소 폭발참사 이후에 인근 지역에서 모인 총회에도 불구하고 핵발전소에 대한 입장정 리를 하지 못했고, 창조보전과 기후변화에 대한 WCC의 활동과 신학이 회 원교회에 충분히 전달되지 못하고 활동으로 연계되지 못한 것이 한계다. WCC 생명선교의 과제로는 복합적 위기의 근원에 있는 문명사적 위기 와 제국의 문제를 다뤄야 하고, 하나님과 맘몬을 동시에 섬기려는 혼합주의화된 기독교를 신학적으로 규명하는 작업이 필요하며, 이로부터의 철저 한 신학적 회개와 더불어 생명, 정의, 평화의 개념을 정리하고 통합하는 신 학적 작업이 요구된다. WCC의 생명선교의 흐름에서 한국교회의 생명선교의 과제를 예장통 합에 국한해 살펴보았다. 이는 통합이 “생명살리기운동 10년”(2002-2012) 을 전개했고, 현재는 “치유와 화해의 생명공동체운동 10년”(2012-2022) 을 전개하고 있기 때문이다. “치유와 화해의 생명공동체운동 10년”(2012- 2022)의 과제로는 치유, 화해, 생명선교의 신학적 방향을 제시하고 생명선 교에 적절한 성서연구 교재를 발간하고, 치유와 화해와 생명선교가 필요 한 현장과 대안적 현장을 소개하며 신학화하며, 생명선교를 신학교육과 교회교육과 목회자 재교육과 연계하고, 노회가 생명선교를 전개할 수 있도록 신학교와 연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 KCI등재

        부산지역 이주민 현황과 이주민선교의 과제

        황홍렬(Hwang Hong-eyoul) 한국선교신학회 2009 선교신학 Vol.22 No.-

        Over 1.1 million foreigners live in South Korea now. The number of marriage-related immigrants is 125,673 and that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y is 107,689. These facts are brand new ones during the last five thousands year history of Korea. Such a change challenges Korean people and Christians to rethink about their identity. This article aims at describing the current situation of immigrants, especially marriage-related immigrant women and multicultural family, identifying tasks for immigrant mission in Busan area and searching for immigrant theology. Methodologies used in the article are: literature study, interview with specialists in immigrant mission, social biography of marriage-related immigrant woman/multicultural family, and missiology of encounter with other. In Busan there are four church/mission center/Christian NGO participating in the immigrant mission in 2009. They are the Immigrant Culture Center, the Busan Gangseo Community Welfare Center of YWCA, the Busan Jingu Community Welfare Center of YWCA, and Hanul Church. The selection of interviewees for social biography of multicultural family was suggested by four centers/church mentioned above. Their nationalities and genders are four Vietnamese women, three Peruvian women, two Philippin women, two Korean women, one Chinese woman, one Indonesian woman, and three Korean man. The results of the social biography of multicultural family are: first of all, recovery of 'normality' of the multicultural family, for the family has been represented by the mass media as 'abnormal' one with family violence: secondly, Christian faith contribute for them to accommodate to Korean culture and to overcome conflicts between husband and wife of multicultural family: thirdly, the international marriage initiated by commercial agency is blamed as money- exchange-marriage but the reality of such a family life is similar to that of a marriage arranged by a go-between: lastly, marriage-related immigrant women are faster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an migrant workers. Tasks for immigrant mission are to serve them with love of God, to strengthen the multicultural family by overcoming cultural conflicts, to support for their children education, to establish multicultural faith community, to develop a Bible study program appropriate for multicultural family, to suggest education programs for Korean Christians and Korean citizens, and to prevent from religious conflicts through peace education among religious groups.

      • KCI등재

        에큐메니칼 운동에서 본 한국 기독교의 회심과 변혁의 과제

        황홍렬(Hong Eyoul Hwang)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6 선교와 신학 Vol.40 No.-

        이 글의 목적은 WCC의 정의, 평화, 생명을 향한 회심과 변혁의 내용인 성(性)정의, 정의로운 평화, 경제정의, 기후정의와 생태정의의 관점에서 한국 기독교 에큐메니칼 운동을 평가하고, 그 대안을 한국 기독교의 회심과 변혁의 과제로 제시하고자 한다. 회심은 그리스도를 향한 돌이킴이며 회심과 변혁은 문화의 회심, 세계로의 회심을 포함한다. 회심과 변혁은 개인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을, 역사적 차원과 종말론적 차원을 지닌다. 회심과 변혁의 문제는 ‘누가 누구를 변화시키는가?’라는 질문과 ‘무엇이 변화하는가?’라는 질문에 답변해야 한다. 회심과 변혁은 변화의 수행자가 현지인이고 현지의 우주론을 토대로 일어난다. 회심과 변혁은 정체성, 윤리, 정치의 상호작용이다. WCC의 회심과 변혁의 내용으로서 성정의, 정의로운 평화, 경제정의, 기후정의, 생태정의 등의 관점에서 한국 기독교 에큐메니칼 운동을 평가하면 첫째, 성정의는 교회가 스스로 변화시킬 수 있는 부문이지만 가장 변하지 않은 부문이다. 성정의는 여성의 문제가 아니라 교회론, 신학적 문제이다. 또한, 사회의 여성 의식이 변하고 여성 활동이 급증하는 가운데 교회 내에서 여성 차별이 광범위하게 이뤄져 감소 교인 중 여성의 비율이 높아 교회의 미래가 어둡다. 둘째, 한교협과 한국 에큐메니칼 진영은 정의로운 평화, 평화통일, 경제정의, 기후정의, 생태정의 등에 큰 기여를 해왔고 의의가 크다. 그렇지만 에큐메니칼 진영의 활동은 사건에 대응하는 데 치중되어 있어 중장기 전망 속에서 활동할 필요가 있다. 셋째, 중앙 에큐메니칼 운동과 지역 에큐메니칼 운동 사이에 서로를 강화시켜주는 선순환, 한교협의 에큐메니칼 활동과 회원 교단의 에큐메니칼 운동 사이의 선순환이 일어나도록 해야 한다. 넷째, 에큐메니칼 운동이 행동주의, 주지주의를 넘어서서 이성과 감성에 모두 호소하는 활동을 통해 교인들과 교회와 세계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변혁을 향한 에큐메니칼 행동과 활동이 예전과 영성에 뿌리를 두어야 한다. 다섯째, 정의, 평화, 생명의 풍성함을 위한 에큐메니칼 운동은 한국 기독교 전체로 보면 거의 교회 주변부에 속한 소수의 그리스도인들, 작은 교회, 소수의 기독교기관/NGO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대다수 교회는 이런 활동에 대해 무관심하거나 반대하고 있다. 이러한 괴리를 극복하는 것이 에큐메니칼 운동의 가장 어렵고도 시급한 과제이다. 한국 기독교 에큐메니칼 운동의 회심과 변혁의 과제는 교회일치(정체성)와 교회개혁(윤리), 정교분리와 민주화에 참여(정치), 변혁적 영성(정체성, 윤리, 정치를 연결)이다. 교회일치는 하나님의 선물이자 하나님이 주신 과제다. 이런 과제를 이루는 노력의 근거는 하나님의 선물로서의 일치다. 교회분열의 원인은 신학 노선 대립, 신사참배, WCC 관계 등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선물로서의 일치를 강조하고 한국교회사에 나타난 일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교회가 여·남 신앙공동체로 거듭나면 기독여성들이 정의, 평화, 생명을 향한 활동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교회일치가 교회개혁을 통한 윤리적 변화를 초래할 것이다. 정교분리에 대한 개념혼란을 바로 잡아야 교회/그리스도인의 민주화에 대한 기여가 활발해진다. 역사적 사실로, 법적 규범으로 정교분리는 종교에 대한 국가의 간섭을 배제하여 종교의 자율권을 획득하는 것이다. 그런데 일부 교회 지도자들이 정교분리를 교회/기독교인의 정치참여 금지라고 주장하는데 이러한 금지는 역사적, 성서적, 신학적 뿌리가 있다. 정교분리는 정치참여에의 자유를 부여한다. 기독교(인)/교회의 정체성, 윤리, 정치를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변혁적 영성, 신학적 회심, 성서의 해석학적 순환, 대안적 신비주의의 길 등이 필요하다. 회심과 변혁의 주체는 삼위일체 하나님이고 변혁의 내용은 정의, 평화, 생명이다. 변화의 수행자는 한국 교인들이고 평화와 관련한 변화가 일어나는 한국의 우주론으로 샤머니즘 무당(한의 사제)의 한풀이가 있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identify tasks of conversions and transformations of the Korean Christianity from the ecumenical perspectives. Conversion is not just a distinct moment but a continuous process of turning away from idols, toward Jesus Christ and the reign of God. Conversion is a historical process and an eschatological adventure toward the ultimate fulfillment of the reign of God. So conversion has personal and communal dimensions as well as eschatological and historical dimensions. And conversion is influenced by a larger interplay of identity, politics, and morality. The evaluations on the ecumenical movement of the Korean Christianity toward justice, peace and life from the WCC’s perspectives were: gender justice is the most underdeveloped area and it is not a woman justice issue but a theological/ ecclesiastical one; NCCK has contributed to just peace, economic justice, and climate justice but it needs medium-and long-term plan for the ecumenical movement; the ecumenical movement of Korean Christianity needs virtuous circles between NCC’s ecumenical movement and the local ecumenical movement and also between NCC’s ecumenical movement and the ecumenical movement of member churches; one of tasks of the ecumenical movement of Korean Christianity is to overcome activism and intellectualism; the most serious and urgent task of the ecumenical movement of Korean Christianity is to bridge the gap between ’mainline’ churches and ’marginal’ churches/Christian NGOs participating in the ecumenical movement. Tasks of the ecumenical movement of Korean Christianity are: to make an effort to keep a balance between church unity as a gift from God and church unity as a task, and to participate in the church renewal toward justice, peace and life through the works of the Holy Spirit; the right understanding of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in order for Korean Christianity to participate in democratization movement without government’s intervention for the reign of God deals with powers and principalities; for the sake of connecting the identity of Korean Christianity, its mora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urch and state need transformational spirituality, theological conversion, hermeneutic circle for the Bible and alternative ways of mysticism(Sölle).

      • KCI등재

        한국기독교의 디아코니아 사례와 선교신학적 의의

        황홍렬(Hwang, Hong-eyoul) 한국선교신학회 2008 선교신학 Vol.19 No.-

        In the age of neo-liberal, global capitalism various kinds of human communities are continuously deconstructed and the creation is severely demolished. Under this circumstance diakonia should overcome the dichotomy of giver and receiver, which means the Baal type of diakonia theology. On the one hand, the giver always wants to be a giver/stronger, so that s/he has never accepted help from others and s/he denies the justification by faith. On the other hand, the receiver could be a crippled inside by negating the possibility of becoming a giver. However, there is an alternative model of diakonia, alternative community model. This model is an “alternative” to the neo-liberal, global capitalism and an alternative “community” model rather than an alternative individual one. In this paper, diakonia is defined as a salvation act through establishing faith community aiming at the Kingdom of God. This thesis aims at suggesting some cases of diakonia of Korean Christianity as alternative community models. There are four types of alternative communities: community type (Pulmu school and its local community), church type (Jagun church), church-community type (Baegun church and Hanmaum community, and Multicultural church and the Borderless Village), and NGO type (Youngdungpo-UIM based credit cooperative,Kwanak Self-support Center, and Ulsan Social Enterprise). The missiological significance of these alternative communities is such as: their aim is the kingdom of God and church should be a sign-community orienting toward the kingdom of God; their model is the koinonia of trinity;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diakonia and koinonia; members of alternative communities are the little, outcasts, and minjung; we learn from them that the mission paradigm shifts from social mission to life mission; the center of the life mission is economy so that alternative economic community is very important; the importance of spirituality, concentrating toward the inner mind in oder to serve others(people and the creation). Though we are looking for alternative community models, they are particular ones, fit to their own socio-political, cultural and economic traditions and systems. However their missiological significance shows us some contour of a universal picture.

      • KCI등재

        민중교회의 선교역사(1983-2005)와 새로운 과제

        황홍렬(Hwang, Hong-eyoul) 한국선교신학회 2008 선교신학 Vol.17 No.-

        The aim of the article is to outline the history of the mission of the minjung church from 1983 to 2005 and to identify its new missionary tasks in a changed world. At the end of the cold war, the minjung movement in general, the minjung mission in particular, seemed to be unnecessary any more. After the economic crisis of 1997, however, the minjung mission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taking care of victims of the structural adjustment programs of many corporations, and for establishing alternative communities. Its history divides into four periods: the formation period (1983-1987), the development period (1988-1992), the transformation period (1993-1997), and the professional period (1998-2005). Each period deals with its socio-economic, political, cultural background and minjung mission’s main contents,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 The history of the mission of the minjung church is interpreted by the results of the social biographies of 26 minjung pastors. According to their social biographies, minjung pastors changed themselves in the process of the minjung mission rather than changed the minjung. They rediscovered the importance of the Bible and religion in relation to the social change. Also they found negative aspects of the minjung. They regarded spirituality and life as pillars for the forthcoming minjung mission. Some reflections on mission of the minjung church was carried out through analy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ith and ideology, the dilemma of identity-involvement, positive understanding of religion, understanding of minjung, and theories of community organization and conscientization. In a changed world, spirituality,the minjung and life are identified as new tasks for the minjung mission.

      • KCI등재

        선교적 교회론에서 본 한국 민중교회

        황홍렬(Hong Eyoul Hwang) 한국선교신학회 2014 선교신학 Vol.36 No.-

        이 글은 한국교회에서도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선교적 교회에 대해 북미 교회 위기의 상황에서 복음과 문화와 교회 사이의 삼자대화를 통해 신학적으로 깊이 있게 제기된 문제와 대안을 배우고, 그런 관점에서 한국의 민중교회를 살핌으로써 양쪽의 장단점을 비교하여 상호보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국교회 뿐 아니라 북미 교회에서도 선교적 교회를 이해하기 어려운 점은 신학적으로 깊이 있는 논의이기 때문이어서 이해가 쉽지 않은 측면이 있고, 목회자들이 결국은 교회중심적 선교관을 포기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글은 선교적 교회론이 태동된 배경과 신학적 전제와 정의, 신학적 회심과 신학적 방향을 비교적 자세히 다루고 있다. 그리고 선교적 교회가 지역교회를 강조하기 때문에 선교적 지역교회에서 신학함을 다루고, 지역교회로서의 선교활동이 갖고 있는 내용이 앞에서 언급했던 신학적 방향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밝히려 한다. 그리고 선교적 공동체를 육성하는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또 선교적 리더십이 선교적 공동체를 만들어내기 때문에 선교적 리더십의 기초와 형태를 다룬다. 그리고 선교적 교회론의 장점과 한계를 지적한다. 이런 선교적 교회론을 민중교회에 적용해 보면 우선 신학적 회심과 방향에 대해 논의해 볼 수 있다. 북미교회가 복음과 문화와 교회 사이의 대화를 한다면, 민중교회는 시대적 과제와 씨름하려 했기 때문에 삼자대화가 큰 의미를 갖기보다는 민중교회에 대한 민중의 반응이 초래한 민중에 대한 부정적 이해가 민중교회와 목회자의 정체성을 변화시키고, 이전보다 더 확대된 민중선교를 하게 됨을 본다. 그리고 민중교회에서 선교적 교회의 구성요소와 신학함, 그리고 선교활동을 살펴본다. 이런 과정을 거쳐 선교적 교회론에서 본 민중교회의 장점과 한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uggest some main points of the missional church of the North America and to apply them to the Minjung church in South Korea so that the merits of both churches, the missional church and the Minjung church could complement each other. It is not easy for us to understand the missional church, for the missional church is produced by the results of the theological trialogue among Gospel, culture and church in depth. Even though we agree with the theological assumptions and new orientations such as the Trinity, the reign of God and the missio Dei, it is almost impossible for us to be liberated from the attractional church. In other words, unless the mind-set of the attractional church is dead the missional church cannot be born. That is the reason why so many pastors looking for the missional church turn out to be satisfied with new mission strategies rather than to keep those theological orientation in mind. As the local church is the focal point of the missional church doing theology of the local church is necessary for the missional church. There are three types of doing theology, community theology, prophetic theology and outsider theology. The local church should participate in the missio Dei for the sake of the reign of God through identifying the boundary-breaking activities of the Holy Spirit, becoming a witness to the reign of God and challenging to the current unjust systems of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Foundations of the missional leadership are Jesus Christ who confronts the current power of the world, the Holy Spirit who leads the people of God toward the reign of God, and the recovered eschatology. The Minjung church aims at the reign of God through participating in the missio Dei,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the peaceful reunification of Korea. As the Minjung church wrestles with the signs of the times the Minjung church is beyond the trialogue among Gospel, culture and church. From the beginning of the Minjung church on its theological orientation was radical enough to accept those theological assumptions and orientation of the missional church. The Minjung mission became diversified from the mid-nineties for Minjung pastors who participated in the boundary-breaking mission of the Holy Spirit. This resulted in the change in the identity of the Minjung church. Doing theology of the Minjung church, however, is limited to Minjung pastors so laity and women of the Minjung church must involve in doing theology in the near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