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왕자귀나무(Albizia kalkora)의 분포특성과 개체군 동태 - 목포지역을 중심으로 -

        황호림 ( Hwang Ho-rim ),이계한 ( Lee Kye-han ),안기완 ( An Ki-wan ),강진택 ( Kang Jin-taek ) 한국도서(섬)학회 2017 韓國島嶼硏究 Vol.29 No.4

        왕자귀나무는 중국, 일본, 인도, 타이완, 미얀마, 베트남 등지에 분포하며 국내에는 주로 전남 목포 및 인근 도서의 바다에 가까운 산지의 매우 좁은 지역에만 분포하는 식물구계학적 Ⅴ 등급에 해당하는 식물로서 분포지역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따라서 식물자원의 보호와 생물다양성의 보전 측면에서 현지내보존이 필요한 식물이다. 본 연구는 희귀식물(EN)이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Ⅴ등급에 해당하는 왕자귀나무(Albizia kalkora)의 분포특성과 개체군 동태를 조사, 분석하여 현지내보존방안을 수립하고, 생물종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목포지역 왕자귀나무 주요분포지 유달산, 입암산, 부흥산에서 왕자귀나무 개체군의 분포특성과 개체군 동태를 파악하였으며, 9개의 방형구를 설치하여 중요치와 종 다양성 지수를 산출하였다. 왕자귀나무는 경사가 완만하고 햇볕이 잘 드는 해발 31~60m의 남쪽 사면에서 밀도가 높고, 확인된 1,857개체의 왕자귀나무는 대부분 수령이 10년 미만이며, 최고치는 각각 수고 12m, 근원경 245cm, 수령 40년으로 나타났다. 다른 수종과 교목층을 형성하는 조사구는 왕자귀나무가 우점하고 있으나 치수 발생이 빈약하고 참나무류의 밀도가 높아 천이과정에서 왕자귀나무의 쇠퇴가 예상된다. 어린 왕자귀나무가 많이 분포하는 조사구는 생육상태가 양호하고 치수 발생률이 높아 향후 교란에 의한 식생 구조의 변화가 없으면 왕자귀나무가 군락을 형성할 것으로 판단된다. 종 다양성 분석결과 균재도(J’) 0.68~0.78, 우점도 (1-J’) 0.15~0.32의 범위로 개체분포가 균일하고 다수의 종이 우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포지역 왕자귀나무는 평균산림토양보다 비옥도가 낮은 토양에서 자라고 있다. 서식지가 매우 협소한 왕자귀나무의 현지내보존을 위해서는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기적인 왕자귀나무의 개체수 증감현황과 생장상태를 조사하고 이에 따른 관리방안의 정립이 필요하다. 아울러 유해 덩굴식물의 제거, 경쟁 수종의 간벌을 통한 유효 광량을 확보하여 치수 발생과 성장을 유도하고 인간의 간섭을 제한하는 등의 조치와 함께 왕자귀나무를 보호수 또는 보호지역으로의 지정을 통한 근본적 보호방법도 고려되어야겠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conservation methods for Albizia kalkora (Roxb.) Prain, at its natural habitat in the region of Mokpo. A. kalkora is one of Korean rare plant species and Ⅴ grade of floristics specific species. Yudal, Ipam and Booheung mountains, densely populated were completely surveyed for the distribution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species. A. kalkora was densely populated in gentle and sunny slopes of the south between 31 and 60 meters above the sea level. We found 1,857 trees, and most of them were less than 10 years old, the tallest was 12m, the greatest diameter at root was 245cm, and the oldest was 40 years old. Because the seedlings was rare while oak trees were dense, A. kalkora might be diminished in the next succession process. In the surveying areas where the young A. kalkora trees were in good condition, A. kalkora could become a community, if there are no radical change or disturbance in the community structures. As analyzing species diversity, the ontogeny of plants was equal(Evenness, J', 0.68~0.78: Dominance, 1-J', 0.15~0.32), and the greater parts of species were dominant. The soil of A. kalkora stands in Mokpo was not fertile than the average forest soil in Korea. For the in-site conservation of A. kalkora, harmful twiners and competitive tree species should be eliminated, also the densely populated A. kalkora habitat must be designated as a protection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