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한국 노인의 복부비만 유무에 따른 신체활동 수준 및 좌식시간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

        황서현(Seo-hyeonHwang),유미성(Mi-seongYu),전용관(JustinY.Jeon) 한국체육학회 2018 한국체육학회지 Vol.57 No.4

        우리나라 고령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건강한 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에서 노인들의 생활습관이 건강관련 삶의 질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규명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노인에게서 신체활동 수준 및 좌식시간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연관성을 알아보는 것이며, 2014~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한국 노인 4,589명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활동적인 여성 노인에게서 더 좋은 건강관련 삶의 질이 나타났으며, 이는 복부비만일 경우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관계는 남성 노인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에 좌식시간이 긴 남녀 노인에게서 삶의 질이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여성 노인은 복부비만 유무에 따라 좌식시간과 건강관련 삶의 질 간의 관계에 차이를 보였다. 추가적으로 신체활동 유형과 건강관련 삶의 질 하위항목 간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노인들은 장소이동 관련 신체활동량이 증가할수록 건강관련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낮고, 좌식시간이 증가할수록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노인에게서 신체활동 수준, 좌식시간, 복부비만 유무가 건강관련 삶의 질과 관련 있음을 보여주며, 좌식시간을 줄이는 것이 삶의 질 향상과 보다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Due to the rapid increase of the elderly population in Korea,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Healthy Aging.’ In this trend,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lifestyle factors and quality of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ssociation of physical activity level, sedentary behavior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among Korean older adults. A total of 4,589 older adults at the Sixth and Seven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better HRQoL was observed among physically active older female, which was more evident among physically active female with central obesity while no such relationship was observed among older male. On the other hand, higher sedentary time was associated with lower HRQoL in both male and female subjects. Our analyses indicated that central obesity was closely related with HRQoL regardless of their physical activity levels in female subjects. Further analyses investigating association between sub-dimension of HRQoL and sub-domain of physical activity showed that higher transport physical activity was associated with better anxiety/depression score and higher sedentary time was associated with poorer score on mobility, usual activities among male and mobility, self-care, usual activity and anxiety/depression among female. Our finding suggests that physical activity level, sedentary behavior and central obesity associated with HRQoL.

      • KCI우수등재

        유방암 생존자의 라인댄스 참여효과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강민재(MinJaeKang),변지용(JiYongByeon),박지혜(JiHyePark),유미성(YuMi-seong),황서현(Seo-hyeonHwang),전용관(JustinY.Jeon)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6

        본 연구는 라인댄스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방암 생존자들을 대상으로 라인댄스 프로그램 참여 경험과 그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유목적 표집 방법에 따라 9명을 선정하였다. 자료는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참여 경험을 통한 효과에 대해 깊이 있는 의미를 도출하고자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프로그램 참여자가 경험한 라인댄스 프로그램의 효과로 신체적 효과 (생리적 변화, 소화 기능 향상, 수면의 질 향상, 신체의 유연성증가, 인지 기능 향상), 심리적 효과 (재미와 즐거움, 활력, 평온, 자신감 향상, 자기만족), 사회적 효과 (가족 분위기 향상, 친밀도의 향상), 라인댄스 지속 효과(지속적 연습 및 스스로의 복습, 라인댄스 재미 발견, 참여의 지속 원함, 수업의 기대)로 범주화하였다. 마지막으로, 참여자들은 라인댄스에 참여하면서 서로에게 필요한 정보 공유 및 습득하였고,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다른 유방암 환자들과 공감 하고 서로 위안이 되었다고 하였으며, 이로 인한 시너지 효과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그룹으로 이루어지는 라인댄스 프로그램은 향후 유방암 생존자들에게 적용될 수 있는 매우 안전하고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 중 하나로 사료되어 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breast cancer survivors’ line dance program participation experience and their perceived effects. Nine participants were selected by the purposive sampling. In the current study,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were used and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 The analyses indicated that participants’s positive experiences were categorized into physical (physiological change, improved digestive system, sleep quality and cognitive function), psychological (pleasure, vigor, peace, self confidence, and satisfaction) and social (improved mood among family members, peer support and pleasure) benefit. Furthermore, participants enjoyed unique characteristics of line dance such as continuous music and nature of group exercise where they enjoy information sharing and peer support In summary, a line dance program was safe and beneficial for breast cancer survivors and should be recommended as one of exercise options for breast cancer surviv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