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상과 역사 : 한국 고대 사유와 수운최제우(水雲崔濟愚)에서 인간관의 문제

        황경선 ( Gyeong Sun Hwang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4 동양문화연구 Vol.19 No.-

        이글은 한국 고대 사유의 인간관이 수운 최제우에게서 얼마만큼 재현되는지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것은 곧 시대를 뛰어넘어 둘 사이에 공유되고 있는 것을 찾는 시도이기도 하다. 단군신화와 이른바 선도류 문 헌들을 중심으로 살펴 본 고대 인간관에서 이상적 인간됨은 하느님을 섬기는 가운데 조화와 장생의 삶, 즉 선仙을 성취하는 데 있는 것으로 밝혀진다. 신을 무형의 실재인 기氣[三神, 至氣]와 인격신[天神, 天主, 上帝]의 일체로 이해하는 고대 신관에 따라 신에 대한 인간의 응대는 다음과 같이 드러난다. 인간은 신으로부터 품부된 제 본성을 되찾아 우주의 신령한 기운과 하나 되는 가운데 인격적 최상의 신을 섬긴다. 또한 인간 완성의 길에는 천명天命으로 주어진, 홍익인간의 과업을 완수하는 것이 따른다. 한국 고대에서 이상적 혹은 본래적 인간됨은 하느님 신앙과 성통性通과 공완功完의 전일적 조화로부터 성취되는 것이다. 1860년 하늘의 도를 얻어 동학을 연 수운에게서 그러한 인간관이 새롭게 반복된다. 그의 삶과 가르침, 무엇보다도 동학의 요체인 시천주 주문에 대한 그의 풀이를 통해 그 같은 사실을 확인하게 된다. This study attempts to find out how much of the view of human being in the korean ancient thoughts is reflected on that of Su-Un Choi-jae-Woo. At the same time, this study tries to discover what is common between them. The ideal beingness as a human, in the Korean ancient thought, is considered as achieving Sun(仙), a life of creation and transformation[造化] and longevity[長生], while serving God. We can find this in the myth of Dan-Gun and the literatures of the Korean Sun-Do(仙道). The Korean ancient thought understands God as Gi(氣) [三神, 至氣], which is an intangible being, and as having a personality[天神, 天主, 上帝]. According to this thought, the man``s response to God is as follows. The man recovers his nature, which was given by God, harmonizes with cosmic divine energy, and serves God of the best personality. And to complete the task of Hong-Ik-In-Gan(弘益人間) is an important part of being the ideal human being. In the Korean ancient, the ideal and the original beingness of a human being was to be made from the recovery of human nature[性通] and the completion of heavenly task[功完]. How much the view of Su-Un inherits the ancient view will be decided by how many of the aforementioned factors remain in his theory. Tracing back his life and teachings, the main theme of his Do(道) is as follows. Both I and my neighbors recover ``Shi(侍)``, the original nature, following the Heaven. And we harmonize with Ji-Gi(至氣), and pursues Sun, by serving the Lord of Heaven. Here we can clearly see that the Korean ancient view is repeated in the thought of Su-Un.

      • KCI등재

        살림으로 본 하이데거 존재 사유

        황경선 ( Hwang Gyeong-sun ) 한국동서철학회 2017 동서철학연구 Vol.0 No.83

        이 글은 하이데거의 존재 사유를 `살림`의 관점에서 읽고자 하는 것이다. 우리말 살림은 단순히 목숨을 살려주고 위험에서 건져주는 의미만을 갖지 않는다. 오히려 살림의 본래적인 의미는 어떤 것을 혹은 누구를 비로소 그(것)의 본질대로 있도록 지켜주는 것이다. 우리는 먼저 사전적 의미를 통해서 그리고 생生과 동일시되는 인仁에 대한 신유학의 논의에서 그와 같은 살림의 사태를 확인했다. 이어 하이데거에서 중심 주제인 존재와 인간의 관련에서 살림을 살펴보았다. 서로 떨이질 수 없는, 이 관련을 방법적으로 존재와 존재자, 존재와 인간의 관련으로 나누어서 논의를 전개했다. 이를 통해 하이데거에서 존재와 인간, 인간 이외의 모든 존재하는 것들이 한데 어울려 서로를 지키는 중심, `관계들의 관계`는 살림(서로 살림)으로서 밝혀졌다. 이러한 살림으로서 하이데거 존재 사유는 존재 역사적으로는 오늘날의 기술 시대에서 그 정점에 이른 주관적 형이상학을 극복하고 새로운 역사와 정주定住의 가능성을 연다는 데 그 의미와 긴박성을 갖는다. This paper is trying to look at Heidegger`s thinking of being from a viewpoint of `salim`〔生]. Here, a korean word `salim` primarily means `giving life`. But its intrinsic meaning lies in `keeping something(or someone) as it is, in its(or his) essence`. We made certain of the situation of `salim` first by the meaning of `salim` in dictionary, and then by the discourse of neo-confucianism which regard jen〔仁] as `salim`. And then we investigated how much the situation of `salim` could be discovered in Heidegger`s thinking of being. It hereby came to light that `the between`, or `the relation of all relations` could be called `salim`, where being, human beings(Dasein) and any being else, keep each other, belonging together. Thus Heidegger`s such thinking of being has a significant implication in history of being. It overcomes the traditional metaphysics which is culminated in the age of science and technic, and opens up a new possibility for us to dwell on earth.

      • 천부경天符經과 하이데거

        황경선(Gyeong-Sun Hwang) 세계환단학회 2022 세계환단학회지 Vol.9 No.2

        ‘영역’은 생경한 듯 보인다. 그렇지만 영역은 사실 모든 철학을 가로지르고 있다. 형이상학으로서의 철학은 존재자를 ‘넘어’ 존재를 향하고 그로부터 다수의 개별적 존재자를 설명하는 학문이다. 그러는 한 철학은 존재와 존재자 ‘사이’라는 장소성場所性 위에서 전개된다. 하이데거는 존재의 의미나 진리에 대한 물음으로써 영역을 주제화했다. 이글은 하이데거 사유를 주도하는 영역의 문제를 보다 분명히 드러내고자 의도했다. 그리고 『천부경』, 무엇보다도 그것의 핵심 주제인 ‘일一’이 그에 얼마만큼 상응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존재나 일은 스스로 밝게 트이는 발현으로서 영역적인 것이다. 이때 영역은 밝게 트이는 ‘곳’과 ‘때’로서 시공간이다. 그 시공간은 존재와 인간, 그리고 그 밖의 존재하는 모든 것들이 하나로 어울리며 저의 참됨으로 돌아가 고요히 머무는 장場이다. 그 점에서 존재와 일의 영역은 만물이 이윽고 본질로 사는 자유와 안식의 터전이다. The matter of region seems to be unfamiliar. But it penetrates in fact all kinds of philosophies. The philosophy as metaphysics goes over the beings to the Being. At the same time it explains the former from the latter. So much the philosophy is established in the placeness[Between] between Being and beings. Heidegger thematized the region as he considered the meaning(or truth) of the Being. This refers to the horizon where the Being as itself is disclosed. We intended to clarify the matter of region, which leads Heidegger’s thinking throughout. And we inquired how much the One in Chunbugyeong corresponds the Heidegger’s Being that opens brightly itself as the region. The region of the One or the Being is the time-space, where everything, belonging together, comes to be in its own nature. Here true freedom and rest could be allowed.

      • 홍익인간은 살림이다

        황경선(Hwang, Gyeong-Sun) 세계환단학회 2018 세계환단학회지 Vol.5 No.1

        이글은 이제까지 한민족의 삶을 이끌어온 홍익인간의 이념을 살림으로써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살림, 생生의 본래적 의미는 ‘~을 그것의 고유함, 본질로 있도록 지켜 줌’이다. 홍익인간에서 ‘인간을, 나아가 접하는 모든 것을 근본적으로 이롭게 함’이란 그것들이 각기 되어야 할 저의 참됨으로 있도록 하는 것이다. 홍익인 간은 곧 살림의 이념인 것이다. 살림으로서 홍익인간은 우리에게 다음과 같이 가르 친다. 인간은 저의 본성을 찾아 우주 신성과 하나로 통하는 가운데 신을 섬기며〔성통 性通〕, 아울러 신의 뜻에 따라 모든 것들이 하나의 어울림 속에 각기 참되게 존재하도록 하는 과업을 완수〔공완功完〕해야 한다. 자신을 살리고 이웃을 살리라는 것이다. 살림이나 생태와 관련하여 제기되는 다양한 주장들은 이 홍익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자연과 인간 삶을 비본래성으로 몰아넣는 ‘죽임’의 문제가 나날이 심각해질 수록, 우리는 홍익인간에 담긴 구원의 소리에 더욱 귀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tries to look at Hong-Ik-In-Gan as korean founding principle from a viewpoint of Salim 〔생(生)〕. The korean word Salim means intrinsically keeping something(or someone) as it(or he) is, in its(or his) essence . Hong-Ik-In-Gan teaches us to do good for everything, including human beings. What is the highest good for everything is to let it be in its truth. Hong-Ik-In-Gan is the principles of Salim . The core of Hong-Ik-In-Gan as the ruling principle of life lies in the recovery of human nature〔성통〕 and the completion of heavenly task〔공완〕 . Humans should retrieve their true natures and connect with the holy One of the universe. At the same time they should worship God and, according to God s will, let all beings go together and be as they are. Hong-Ik-In-Gan says that human beings and any being else should keep each other, belonging together. All the arguments surrounding the ecology and new human life do not escape this spirit of Hong-Ik-In-Gan . Our concerns about the crisis where all beings are not entirely possible in themselves are growing. At that time, it is necessary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idea of Hong-Ik-In-Gan .

      • KCI등재

        파르메니데스 해석을 통해 하이데거 읽기

        황경선(Hwang, Gyeong-Sun) 새한철학회 2015 哲學論叢 Vol.79 No.1

        이 글은 시원의 사상가인 파트메니데스의 단편들에 대한 하이데거의 해석을 통해, 하이데거 사유의 고유한 문제들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하이데거에 따르면 파르메니데스는 현존, 즉 스스로 환히 밝히며 그 밝음에서 존재자를 간수하는 탈은폐를 경험한 시원의 사상가이다. 또한 파르메니데스는 이 존재의 진리가 원으로 펼쳐지는 것으로 사유했고, 그 안에 고요함, 정적이 지배함을 보았다. 원으로 밝게 트이는 존재의 비은폐로부터 그것을 중심으로 존재는 진리로서 발현하고 존재자는 환한 밝음 안에 감싸여 어떤 외부적 규정도 벗어버리고, 그 자체로 고요히 머문다. 인간 또한 그 곳에서 존재를 지키는 저의 본질을 찾아 마침내 자유와 안식을 얻는다. 모든 것이 탈은폐, 그 원에서 하나로 어울리며, 그 가운데 마침내 고유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하이데거는 파르메니데스에게서 시원 또는 고향을 기억하는 것이다. 동시에 그것은 우리가 새롭게 건립해야 할,‘또 다른 시원’으로 도래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original issues of Heidegger’s thinking by looking at his interpretations of the fragments of Parmenides. According to Heidegger, Parmenides is a thinker who experienced unconcealment, which lights oneself and keeps beings in one’s lightness. And Parmenides also saw that the truth of the Being extends as a circle and the serenity(Ruhe) prevails in it. From that unconcealment of the being extending as a circle, Being as the truth stays authentically. And beings releases itself, free from any rule or law outside, and exist as it self. Human beings as well, from there discover their essence, which keeps the truth of Being. And they have freedom and comfort at last. In other words, everything belongs together in the circle of unconcealment, and also in there, they exist true to themselves. In this way, we can see that Heidegger was reminded of the beginning or home from Parmenides. At the same time, the beginning reachs to ‘the other beginning’, which we should build newly.

      • 천부경에서 개벽과 인간의 문제

        황경선(Hwang, Gyeong-Sun) 세계환단학회 2016 세계환단학회지 Vol.3 No.1

        이 글은 한국 전래의 경전인 천부경을 중심으로 한국 고대 사유에서 일자(一者)와 개벽, 인간의 문제를 살펴보고자 했다. 천부경에서 일자는 무형의 원리인 천도에서 현실화, 외화(外化)를 거쳐 자기의 참됨인 통일성, 곧 천지인의 일체성을 새롭게 회복하는 역사적 성격을 갖는다. 또한 천부경은 ‘인중천지일(人中天地一)’이라 하여 그 같은 일자의 통일성, 천지인 일체가 인간 안에서 인간을 통해〔人中〕 발현됨을 밝힌다. 이는 인간이 자신에게 심어진 신성인 본성을 틔워 일자를 향해 나아가 일자와 하나 됨으로써〔中一〕 이뤄진다. 일자와 인간이 함께 속하는 ‘인중천지일’에서 일자도 인간도 하늘, 땅과 그 밖의 존재자들도 제 참됨을 찾는다. 또 다른 시원, 다시 개벽이 열리는 것이다. 이로써 일자와 개벽, 인간의 관련은 다음과 같은 것으로 밝혀진다. 우주의 근본으로서 일자는 개벽과 다시 개벽의, 다함이 없는 동력이며 다시 개벽은 본래적 인간의 협력과 참여 속에 이뤄진다. This article attempts to survey the problem of the One, the New Opening and human beings in the Chunbugyeong. ‘The One’ in the Chunbugyeong has its own history. It is realized from the intangible Tao, extending to heaven, earth, and human beings, which goes through development and to ultimately restores its truth, i.e. its original unification. And the Chunbugyeong clarifies that the unification of ‘The One’, which is the oneness of heaven, earth and human being, is accomplished in and through human beings. This comes about as human beings who recover their own nature head to ‘The One’ and harmonize with it. Where and when the One and human beings belong together, they themselves and other things, including heaven and earth, return to and attain their essences. At last, the New Opening occurs as the other beginning. Hereby the relation of ‘The One’, the New Opening, and human being come to light as follows: ‘The One’ is the force that is never exhausted, driving both the opening and the New Opening (the other beginning)., and the latter takes place in the cooperation and participation of human beings.

      • KCI등재

        하이데거에서 존재에 대한 상응(Entsprechung)의 성격

        황경선(Hwang, Gyeong-Sun) 새한철학회 2015 哲學論叢 Vol.82 No.4

        하이데거는 인간의 본질을 존재에 대한 상응일 뿐이라고 한다. 이 상응은 ‘앞으로 나아감이자 동시에 뒤로 물러섬’으로 특징지어진다. 하이데거 사유의 길에서 존재는 ‘사유하게 하는 것’, ‘사역四域’, ‘언어’ 등 다르게 표현된다. 그러나 여기에는 동일한 것, 즉 자신을 열어 밝히고 그 밝음 안에 존재자를 감싸 그것들을 존재하는 탈은폐가 사유되고 있다. 그리고 이에 대한 상응은 사유, 내맡김(Gelassenheit), 청종聽從으로 말해진다. 이 글은 이렇게 다양하게 호명된 상응들에서 저 ‘앞으로 나아감이자 뒤로 물러섬’의 성격과 그것이 지시하는 사유돼야 할 것들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하이데거가 그의 존재 사유에서 늘 다음의 물음을 촉구하고 있음을 확인하다. 우리는 우리를 향해 밝게 트이는 존재를 향해 사유할, 내맡길, 청종할, 다시 말해 앞으로 나아가면서 뒤로 물러서 그것을 받아들일 준비가 돼 있는가? Heidegger says that the essence of human is only the correspondence to the Being (unconcealment or truth). Such correspondence is characterized as ‘advance towards with receding’. The Being is thought of as ‘what lets us think’, ‘region(Gegnet)’ and ‘language’ in the way of Heidegger’s thinking. But these different names indicate the same thing, what lights oneself and keeps beings as they are in one’s clearing. And the correspondence to the Being is described as ‘thinking’, ‘releasement(Gelassenheit)’, ‘listening’. This article tries to survey the character of the correspondence and the things worthwhile to think which lie in the state of affairs of correspondence itself. In our discussion we can ascertain that Heidegger always calls upon u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 "Are we prepared to think, to release ourselves to, or to listen to the unconcealment of Being?" In other words, are we ready to go forth into the Being and embrace with receding it?

      • 존재 맞이: 기억과 감사

        황경선 ( Hwang Gyeong-sun ) 한국하이데거학회 2013 존재론 연구 Vol.33 No.-

        하이데거에서 존재 맞이로서 사유의 문제를 환기하는 이 글이 특히 논의의 실마리로 삼는 것은 Was heißt Denken?에서 다루는 기억과 감사로서의 사유다. 여기서는 하이데거가 책의 이름이기도 한 ‘Was heißt Denken?’이란 물음을 통해 밝히는 사유와 그 ‘사유를 불러내는 것’인 존재의 특성 및 그 부름과 응답의 관련 방식 그리고 거기에 마련된 새로운 정주(定住)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따라 ‘불러 세움(heißen)’, 기억과 감사, ‘사유하게 하는 것’인 존재, 존재와 인간의 함께 속함, 존재사건(Ereignis)의 순서대로 논의를 진행한다. 이를 통해 ‘heißen’이 근본적으로 ‘불러 세움’, ‘∼을 불러 그 본질에 맡김’을 의미한다는 사실이 밝혀진다. 그것에 응하여 일어나는 사유란 기억과 감사로 규정된다. 이 사유는 마음을 모아 간수하여 지킴으로 수행된다. 이때 지킴은 사유거리를 그것의 고유함대로 있도록 놔두는 사태다. 즉 그것은 “본질로 있도록 지킴”이다. 인간은 ‘사유하게 하는 것’의 부름에 그와 같이 사유하는 지킴으로써 응대하면서 그 본질에 이른다. 그리고 그 ‘사유를 불러 세우는 것’이란 자신의 열어 밝힘에서 존재자를 드러내며 인간 가까이 머무는 존재의 진리다. 이로써 하이데거의 물음이 정작 향하는 것은 존재가 사유, 즉 지킴을 불러 세워 자신을 열어 밝히며 인간은 존재를 향해 자신을 바침으로써, 존재와 인간이 함께 속하는 사태가 된다. 그 가운데 존재는 이윽고 진리로 머물고 인간은 존재를 향해 사유하며 존재의 목자, 이웃이란 그의 본질을 얻는다. 오로지 사태를 좇는 현상학적 방식에 따라 진행된 이 논의는 최종적으로 하이데거가 존재사건으로 호명한 존재 진리 사태에 들어선다. 그것은 모든것이 하나로 어울리며 고유함을 얻는 곳으로, 우리가 대지에 새롭게 체류할 수 있는 가능성을 마련해준다. Diese Arbeit behandelt ‘Was heißt Denken?’, die Heidegger in seinem Buch mit dem gleichem Namen als Theme anhobt. Wir untersucht ‘heißen’, ‘Denken’ und ‘Heißender’ nach der Reichenfolge der Satzglieder, ‘Verb-Objekt-Subjekt’. ‘Heißen’ besagt im ursprunglichen Sinne ‘befehlen’, ‘anvertrauen’, ‘bergen’ und so weiter. Demgemäß ‘Heißen’ in der Frage ‘Was heißt Denken?’ meint diesen Sachverhalt : Etwas (Heißender) verweist uns allererst in das Denken und zutraut uns so unser eigenes Wesen. Heidegger sieht den Grundzug des Denkens in Gedächtnis und Dank. Gedächtnis besagt ursprunglich das unabläßige, gesammelte Bleiben bei...Es wird als “Wacht” durchgefahren. Und Die Wacht, die auch mit ‘schonnen’, ‘huten’ und ‘wahren’ in Verbindung gesetzt wird, bedeutet ‘Wahrung im Wesen’, ‘Lassen etwas im seinem Wesen wahren’. Als das so verstandene ist Gedächtnis auch schon Dank. Heißender erweist sich als die Wahrheit des Seins. Das Sein braucht das Denken des Menschens als das Offene einer Lichtung. Es west als die Wahrheit nur in und durch Denken(Gedächtnis und Dank) des Menschen. Der Mensch kann zugleich sein eigenes Wesen(die Wächterschaft der Seinswahrheit) erreichen, indem er als das denkende Wesen zueignet sich dem Sein. Durch diese wechselseitige Herausforderung gehören Sein und Mensch zusammen. Dies geschieht in der Mitte des Heißen oder des geheißenen Denken. Und Sie sind im solchem Sinne identisch. Somit fuhrt uns diese Arbeit schon zum Weg, der geht immer schon innerhalb des ganzen Verhältnisses von Sein und Menschenwesen(Ereignis).

      • 천부경天符經과 하이데거

        황경선(Gyeong-Sun Hwang) 세계환단학회 2021 세계환단학회지 Vol.8 No.2

        하이데거와 동아시아 사유 사이의 친연성은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다양한 비교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이글은 유무의 문제를 중심으로 하이데거와 천부경 사이의 대화를 자리를 만들고자 했다. 양자의 차이보다는 우선 대화 가능성에 우선 주목했다. 공감대가 확인돼야 논쟁이나 비판도 가능한 법이기 때문이다. 천부경의 일이나 하이데거의 존재는 일자로서 우주의 근본, 천하의 대본이란 자리를 차지한다. 일과 존재는 있다고도 없다고도 말할 수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유이면서 무로서 유무이혼有無而混 혹은 유무有無 공속共屬으로 있다. 서로 섞이지도 않지만 서로 떨어지지 않는 두 가지 것들은 언제나, 이미 그들 사이에 조화의 중심 자리를 전제한다. 그리고 하나인 일과 존재 자체가 중의 영역이다. 이때 중심은 근거로 이해될 수 없는 것이었다. 천부경과 하이데거에서 구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소통거리는 중심 영역이 시공간인 인간과 함께 생기한다는 점이다. 양자에게서 인간의 본질은 인간이 존재나 일에 상응하며 그를 지키는 짝이라는 데 있다. 이와 같이 존재, 일과 인간 사이 상호 호응하는 공속성에서 또한 하늘, 땅 그리고 그 밖의 모든 것들이 새롭게 하나로 어울리며 그 자체로서 들어선다. 삼라만상이 저의 본질로 자유롭게 해방되며 진정한 안식을 얻게 되는 이곳/때는 고향이다. 그런 의미로 천부경의 가르침과 하이데거의 존재 사유는 그리로 이끄는 귀향의 시詩고 원시반본原始返本의 노래이다. The affinity between Heidegger and East Asian thoughts is widely accepted. This article attempted to make a place for the dialogue between Heidegger and Cheonbugyeong around the issue of being and non-being. Rather than differences between the two, we first focused on the possibility of dialogue. This is because controversy and criticism could only be possible when consensus is confirmed. Chunbugyeong’s Il[일一] and Heidegger's Being takes the place of the highest and most common nature or ground of the universe. They let all beings be as such and bring them together into one. It turned out that they are neither being nor non-being. They simultaneously belong together. Those two things that do not mix but do not separate always presuppose a central place of harmony between them. Il or Being as the One itself is the central area. Here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the such thing as the ground in the metaphysical sense. Another common feature found in Cheonbugyeong and Heidegger is that the central area[as the time-space] takes place with humans, who, constantly gathering his heart, accepts Il or Being. The essence of man in both lies in his corresponding to Il or Being and keeping it. As such, in the community that Il or Being and human beings belong to each other, heaven, earth, and everything else also are newly unified and come to be as they are. This region where everything returns to its own essence in harmony and gains true freedom and rest will be home, which has been, but not built yet. In this sense, Cheonbu-gyeong’s teachings and Heidegger's thoughts of Being are poems and songs of returning home.

      • KCI등재

        연구논문 : 하이데거와 천부경에서 일자一者의 문제

        황경선 ( Gyeong Sun Hwang ) 한국동서철학회 2014 동서철학연구 Vol.72 No.-

        이글은 하이데거와 천부경에서 일자一者 문제를 탐문하고자 하는 것이다. 우리는 양자를 성급하게 상호 침투하며 비교하는 대신 우선, 각자의 사태를 기술하고자 했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것들이 사유돼야 할 것들로 지시돼 나온다. 첫째, 일자는 모든 것을 하나로 모으는 통일성으로서 유이며 무, 유무가 함께 속하는 것이다. 하이데거에서 일자는 존재 자체로서 빛으로 경험될 수 있는 것이었으며, 천부경에서 일자의 모습 또한 광명이었다. 둘째, 일자는 원을 이룬다. 하이데거에서 최종적으로 존재사건(Ereignis)으로 호명된 일자는 스스로 사이, 중심〔中〕이 되어 모든 것을 불러 모으는 것이자 그렇게 불러 모여 있음 전체가 된다. 그럼으로써 그것은 둥근 원으로 현성한다. 천부경에서 일자 또한 하늘, 땅, 인간이 함께 속하는 전체며 중심으로서 원이다. 셋째, 일자는 역사성을 갖는다. 하이데거 존재 사유에서 존재는 망각으로부터 참됨으로 전향하는 역운적인 것이며, 천부경의 일자 또한 시간의 바탕 위에서 자기 전개의 외화外化를 딛고 새롭게 시원의 통일성을 회복한다. 넷째, 일자의 본질 혹은 진리에서 인간은 존재론적으로 특별한 위치를 차지한다. 하이데거나 천부경에서 일자는 그것을 향한 인간의 응대 안에서, 그것을 통해 참됨으로 머문다. 이 가운데 또 다른 시원이 열리고 인간에게 본질로 거주하는, 즉 고향에서 삶이 허락된다. 위에서 드러난 것들은 이제 한국 고대 사유에서 일자가 어떤 사태와 관점에서 탐색돼야 하는지 윤곽을 일러 주는 가능한 지침으로 삼을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survey the problem of the One in Heidegger and Chunbugyeong. These are indications. The One belongs neither to beings, nor is Nothing. The One as Being itself in Heidegger is nonconcealment(aletheia, truth), which is thought of as the openness of Being. It illuminates all things as it occurs. The image of the One in Chunbugyeong is also described as lightness. The One is well rounded. The One as the event(Ereignis) in Heidegger is the circle, in and through which all beings are gathered and remain true. The One in Chunbugyeong is described as a circle as well, in which the heaven, the earth, and man come together. The One as such is the open realm, where all things return to and attain their essence. The One has its history. Being in Heidegger reveals itself in its openness and truth according to its historical destiny. The One in Chunbugyeong restores its original unification on the basis of time, too. In the truth or essence of the One, man takes an ontologically privileged place. The One reveals itself only in correspondence to man, who is ``there``, the place of the truth of One. With the occurring of the One, ``the other beginning`` opens and man is allowed to dwell in the earth authentically. What is discussed so far could be used to direct future discussion on the One in Korean ancient thou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