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터랙티브 전시 프레젠테이션 방법에 따른 방문객 참여 특성 - 국립어린이과학관을 중심으로 -

        홍슬기 ( Suelgi Hong ),전예슬 ( Yesel Jun ),황동은 ( Dongeun Hwang ),김소연 ( Soyeon K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0 한국디자인포럼 Vol.25 No.1

        연구배경 박물관의 역할 변화 및 관람객 요구에 따라 다양한 참여형 인터랙티브 전시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인터랙티브 전시물은 개별적 체험의 형태로 다양한 대중과의 커뮤니케이션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터랙티브 전시의 프레젠테이션 유형에 따른 관람객의 참여특성 분석을 통해 다양한 방문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인터랙티브 전시 프레젠테이션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인터랙티브 전시의 프레젠테이션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이를 기반으로 국립어린이과학관의 인터랙티브 전시물을 분석한 후, 대표유형을 선정하여 관람객들의 행동관찰조사를 통해 유형별 참여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터랙션과 몰입도가 높을수록 적극행동단계의 참여특성이 많이 나타났으며, 참여자의 인터랙션 행동 및 인터랙션의 결과가 시청각적으로 많이 공유될수록 주변의 많은 간접체험자가 관찰되었다. 결론 직접체험자의 자연스러운 인터랙션을 통해 높은 몰입도를 유도할 뿐 아니라, 직접참여자의 인터랙션이 타 방문객에게 쉽게 노출될 수 있는 프레젠테이션 방법의 모색을 통해 더욱 다양한 방문객과 다채로운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Background Various participatory interactive exhibits are being introduced in response to the expansions of the role of museums and of consumer expectations. However, these exhibits are experiencing limitations in communication due to the fact that the majority of them involve only a small number of participants at a time. This study explores the ways in which interactive exhibits can communicate more effectively with a wider range of audience by analyzing visitor engagement characteristics induced by different types of interactive exhibit presentations. Methods Interactive exhibit presentations are classified, by which exhibits at the National Children’s Science Museum are analyzed. Representative presentation classifications are selected, and behavioral observations are conducted to deduce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ation types. Result Active behaviors were observed more frequently for exhibits rated high in interaction level. Further, the number of indirect participants is found to increase as direct participants' active interaction behavior and exhibits' responses were shared audiovisual. Conclusion Interactive exhibits can achieve a rich communication with a more diverse range of visitors by inducing higher levels of immersion from naturally participating behaviors of direct participants as well as by adopting presentation types that expose direct participants’ behaviors to peripheral visitors.

      • KCI등재

        디자이너 실무능력 양성을 위한 디자인 교육의 방향성 연구 - 시각디자인전공 실무진과 학생들의 니즈를 중심으로 -

        마예나 ( Yena Ma ),이성은 ( Sungeun Lee ),홍슬기 ( Suelgi Hong ),이지예 ( Lisa Lee ),강두혜 ( Duhye Kang ),카밀라 ( Camilla Maia ),이청하 ( Qingxia Li ),김소연 ( Soyeon K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9 한국디자인포럼 Vol.24 No.1

        연구배경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시각디자인의 영역이 확장되고 실무에서 시각디자이너의 역할 또한 빠르게 변화됨에 따라 대학 디자인 교육은 다양한 전공 커리큘럼을 개발 및 운영하고 있으나, 학생들은 취업 후 실무현장에 대한 이해의 부족으로 여러 어려움을 겪으며 실무에서 활용 가능한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커리큘럼에 대한 니즈(needs)는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무와 대학 디자인 교육의 연계성 향상을 위해 디자이너에게 필요한 역량과 대학 디자인 커리큘럼에 대한 학생들의 니즈를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디자인의 세부 영역 중 시각디자인에 집중하여 서울권 3개 대학의 시각디자인 전공 학생들과 실무에서 5년 이상 일한 시각디자이너들을 대상으로 실무에서 필요한 디자이너의 역량과 대학 디자인 커리큘럼에 관해 반구조화된 심층 인터뷰(semi-structure interview)를 진행하였으며,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인터뷰 내용을 경쟁력 분야, 배경지식과 기술, 개인적 특성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경쟁력 분야의 측면에서는 UX/UI, 영상, 광고 등 다양한 시각디자인 영역을 경험할 수 있는 대학 커리큘럼에 대한 니즈가 높음을 알 수 있었으며 배경지식과 기술의 측면에서는 커뮤니케이션 스킬과 소프트웨어 스킬 그리고 실무 디자인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가 중요한 디자이너의 역량으로 논의되었다. 개인적 특성의 측면에서는 디자이너의 미적 감각과 끈기 그리고 인성적인 측면도 강조되었다. 결론 따라서 다양한 시각디자인 영역과 실무 프로세스를 경험할 수 있고 팀워크 및 커뮤니케이션 스킬을 학습할 수 있는 방향으로 대학 디자인 커리큘럼이 보완, 개발되어야 한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향후 대학의 디자인 교육은 기본적인 지식 뿐 만 아니라 실무에서 중요시되는 다양한 역량을 교육하는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Background As the digital technology advances, the field of graphic design is expanding. Consequently, the role of graphic designers is continuously changing which results in universities’ education to adjust to the current trend. Nonetheless, students encounter hardship due to a lack of understanding the profession of graphic designer which increase demands for curriculum that prepare students in developing competencies for the industry. This study identifies students’ demands from university curriculum as well as functional competencies that graphic designers need in order to enh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ity education and the industry. Methods This study is concentrated specifically on graphic design field and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students from three different universities in Seoul who are majoring in graphic design and professional graphic designers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 Based on previous studies, interviews were analyzed by competence areas, background knowledge and skill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Result In the competence area, high demands of courses in relation to UX/UI, film, and advertisement were discovered. In the background knowledge and skills section, acquiring communication skills, software skills, and the awareness of the practical design process were discussed as important competencies for graphic designers. In personal characteristics section, having aesthetic sensibility, perseverance, and open-mindedness were emphasized. Conclusion The curriculum for graphic design major in universities should be supplemented to allow students to experience various field of graphic design and enhance communication and teamwork skills. This research can be utilized in the future design education of universities to develop not only the basic knowledge but also educating various important competencies for the industry.

      • Hyper Screenshot : Mobile Image Screenshot with Hyper Text Concept Interaction Design

        Bokgyu Choi(최복규),Camilla Maia(카밀라마이아),Ge Xu(갈소은),Suelgi Hong(홍슬기),Sangwon Lee(이상원) 한국HCI학회 201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2

        The memory system of modern people who face huge amount of information is growing to have a tendency to rely on smartphone. A phenomenon when a person passes on one’s memory burden to reduce the cognitive load can be explained as Transactive Memory System. Various channels and information with numerous formats exist along with bigger memory storage. This study propose user ‘Hyper screenshot’ interaction design to explore such information and to remember them effectively. We designed image screenshot interaction that can be used to manage various formats of information by connecting links and nodes so that users are able to ease their cognitive burd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