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과 예술 : 그 수렴과 접점을 위한 시론

        홍성욱(Hong Sungook) 한국과학기술학회 2005 과학기술학연구 Vol.5 No.1

        최근 들어 예술가들은 과학과 기술에 더 많이 의존하고, 과학자들은 ‘아름다움’과 같은 미학의 언어를 더 자주 사용하고 있다. 양쪽 모두의 필요에 의해서 ‘두 문화’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있으며, 과학과 예술 사이의 상호작용이라는 주제는 최근 미술사학자들은 물론 과학기술사학자들에 의해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과학적 실행 (practice)의 다양성과 복잡성이 밝혀지면서, 서로 전혀 다른 것이라고 간주되던 과학적 실행과 예술적 실행 사이의 유사성도 지적이 되었다. 과학과 예술의 관련과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본 논문은 아래와 같은 세 가지 목적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 목적은 과학과 예술이 서로 상대의 영역에 미친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과학과 예술이라는 두 문화 사이에 놓여있는 간극을 좁히고 공동 관심사와 중첩된 영역을 드러냄으로써 서로에 대한 관심을 유발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과학적 실행과 예술적 실행에 대한 최근의 연구 성과를 소개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분석을 통해서 과학적 창의성과 예술적 창의성의 본질에 한 발 더 접근한다는 것이다. 이 논문은 과학적 창의성과 예술적 창의성 사이에 상당한 유사성과 심지어 공통점이 있음을 지적할 것이다. 이 연구의 세 번째 목적은 과학과 예술의 창의성의 공통점을 조명함으로써 예술과 마찬가지로 과학에서도 ‘상상력’, ‘직관’, ‘감정’, ‘시각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다. In recent times, artists rely increasingly on science and technology, whereas scientists frequently use such an aesthetic term like "beauty." This shows that the gap between the "two cultures" are narrowing down due to the necessity of both sides. The historical interaction between science and art has been extensively discussed by the historians of art and those of science. As the complexities of scientific and artistic practices were uncovered, similarities between them were also revealed. The goals of this paper, which explores the relationship and interactions between science and art, are the following three. The first is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 two cultures (i.e., science and art) by disclosing the mutual influences between them Second, drawing on recent works on the nature of scientific and artistic creativity, this paper aims to show some similarities and even common factors between scientific and artistic creativity. Finally, by highlighting similarities and common elements between scientific and artistic creativity, this paper will emphasize the role of imagination, insight, emotion and visualization not only in art but also in science.

      • KCI등재

        ’선택적 모더니즘’(elective modernism)의 관점에서 본 세월호 침몰 원인에 대한 논쟁

        홍성욱(Sungook HONG) 한국과학기술학회 2020 과학기술학연구 Vol.20 No.3

        본 논문은 세월호 침몰 원인을 둘러싼 지난 6년 사이의 논쟁을 살펴보면서 세월호 침몰 원인에 대한 분석에 누가 참여해야 하는가라는 규범적인 문제를 다루려 한다. 본 논문은 이 주제를 과학기술학자 해리 콜린스(Harry Collins)와 로버트 에번스(Robert Evans)의 ʻ선택적 모더니즘ʼ(elective modernism)의 이론 틀에 비추어서 평가해 볼 것이다. 과학기술이 낳은 논쟁은 정치적 주제와 기술적(technical) 주제에 대한 토론과 논쟁을 모두 포함하는데, 선택적 모더니즘은 기술적인 주제에 대한 논의가 이에 대해 전문성을 가진 두 그룹—기여 전문가와 상호작용 전문가—에 국 한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필자는 본 논문을 통해 세월호 침몰 원인에 대한 사회적 논쟁이 선택적 모더니즘이라는 이론 틀의 유용성과 한계를 동시에 드러내는 사례임을 보일 것이다. 특히 세월호 참사의 경우 기술적 국면과 정치적 국면 외에 ‘법적 국면’이 존재했음을 보이고, 이것이 기술적 국면에 크게 영향을 주었음을 보이려 한다. 본 논문은 이런 과정을 고려함으로써 과학기술논쟁을 다루는 선택적 모더니즘의 틀을 보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월호를 둘러싼 논쟁이 왜 합의점에 이르지 못했는지를 더 잘 이해할 수 있음을 보일 것이다. This paper discusses the normative problem of who should participate in the investigation of the cause of the Sewol ferry capsize, looking into the debate over it during the past six years. This paper will evaluate this subject in the light of “elective modernism,” a framework proposed by STS scholars such as Harry Collins and Robert Evans. The controversy promoted by technoscience encompasses debates on both political and technical topics, and elective modernism requires that discussions on technical topics be limited to two groups of experts—contributory experts and interactional experts. In this paper, I will show that the social debate on the cause of the Sewol ferry capsize is an example that simultaneously reveals the usefulness and limitations of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elective modernism.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Sewol ferry disaster, there existed a “legal phase” in addition to the technical and political phases, and this legal phase greatly influenced the technical phase. This paper will show that by considering this process, not only can the framework of elective modernism dealing with technoscientific controversy be supplemented, but it is also possible to better understand why the debate over the cause of the Sewol ferry sinking did not reach a consensus.

      • KCI등재후보

        실험실과 창의성

        홍성욱(Sungook Hong),장하원(Ha Won Chang) 한국과학기술학회 2010 과학기술학연구 Vol.10 No.1

        과학적 창의성은 새롭고 중요한 과학적 사실, 방법, 이론, 설명, 측정기구와 이를 낳는 활동이다. 지금까지 창의성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지만, 대학의 실험실에서 팀 단위의 협동 연구에서 발현되는 과학적 창의성에 대한 이해는 부족하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에서 대표적으로 창의적인 실험실로 간주되는 서울대학교 RNA 유전체학 연구실에 대한 미시적, 경험적 참여관찰과 이론적 분석을 통해 실험실의 창의성을 구성하는 요소를 찾아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창의적인 업적은 순간적인 영감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복잡하고 지속적인 진화의 과정을 필요로 하며, 이 과정에서 다양한 지식과 능력을 지닌 연구자들에게 맞는 분업과 협동 체계가 중요하게 요구된다. 또한 이러한 구조를 활성화 하는 실험실 문화와 실험실 책임자의 리더십이 중요하게 작용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Scientific creativity is defined as the production of novel scientific facts, methods, theories, explanations, and instruments, as well as the entire process by which these novel facts, theories, explanations and instruments are generated.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scientific creativity, but there were few studies on the scientific creativity of a research team collaborating in laboratory settings. This paper aims to find the elements that constitute the creativity of a laboratory through empirical participant observation and theoretical analysis of RNA Biology Lab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 a lab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creative laboratory in Korea. Creative accomplishments demand not just a sudden inspiration but also a complicated and continuous evolutionary process which requires a systematic division of labor and a corporation between researchers who have diverse knowledges and capabilities. Also, this paper shows that laboratory culture and leadership are an important factor for vitalizing the corporative structure of the laboratory.

      • KCI등재

        포스트휴먼 테크놀로지

        홍성욱(Hong, Sungook)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인문학연구 Vol.35 No.-

        우리에게 기술이란 무엇인가? 본 논문은 기술을 포스트휴머니즘의 관점에서 이해하려는 시도로, 기술이 인간과 함께 오랜 기간 공진화했으며, 지금 이 순간에도 서로를 만들면서 진화하는 ‘반려종’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음을 제안한다. 기술을 이렇게 보는 것을 필자는 ‘포스트휴먼 테크놀로지’라고 부를 것인데, 이 관점에 의하면 기술에 대한 이해는 인간에 대한 이해로 연결되며, 인간에 대한 이해는 기술에 대한 이해를 필수적으로 수반한다. 포스트휴먼 테크놀로지는 다른 포스트휴먼 사상이나 감수성에서처럼 인간을 관계적 존재로 파악하는데, 인간이 기술과 맺는 관계인 ‘기술적 매개’가 인간이 다른 인간, 동물, 자연, 영적인 존재와 맺는 관계만큼이나 중요하다고 간주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기술은 새로운 관계를 만들어 내며, 동시에 기존의 관계를 무력화하거나 약화하거나 망각하게 만드는 역할을 수행하는 존재로 정의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술에 대한 포스트휴먼적인 관점을 제시한 도나 해러웨이, 질베르 시몽동, 브뤼노 라투르, 베르나르 스티글러의 철학을 살펴본 뒤에, 노인을 위한 반려로봇 ‘효돌’과 최근 사회적으로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는 ‘리얼돌 real doll’의 사례를 들어 인간과 기술과의 상호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서, 포스트휴먼 테크놀로지의 개념적 유용성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What is technology to us? This paper is an attempt to understand technology from the point of view of post-humanism and suggests that technology has co-evolved with humans for a long period of time, which can be thought of as "companion species." Looking at technology in this way, I will label it ‘posthuman technology’. According to this point of view, an understanding of technology leads to an understanding of humans, and an understanding of humans necessarily entails understanding technology. Posthuman technology recognizes humans as relational beings, as in other posthuman thoughts and sensibility, and considers that ‘technical mediation’, which i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echnology, is as important a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other humans, animals, nature, and spiritual beings. In this paper, I will examine the philosophy of Donna Haraway, Gilbert Simondon, Brno Latour, and Bernard Stigler, who presents a posthuman perspective on technology. I will then take the case of a companion robot for the elderly, “Hyodol,” and a highly controversial “real doll,” to look into the mutual construction of humans and technology, highlighting a conceptual usefulness of posthuman technology.

      • KCI등재

        예술을 바꾸는 기술, 기술을 바꾸는 예술

        홍성욱(Hong, Sungook)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논총 Vol.34 No.-

        본 논문에서는 백남준의 비디오 아트의 사례를 분석해서 기술과 예술이 맺는 관계의 하나의 양식을 규명하려 한다. 이를 위해서 우선 백남준이 어떻게 기술을 이용해서 자신의 예술을 새롭게 재창조했는가를 보일 것이다. 그리고 거꾸로 그가 예술을 통해서 기술과 기술에 의해서 지배받는 현대 사회를 어떻게 바꾸고 새롭게 창조할 수 있다고 생각했는지를 드러낼 것이다. 이런 과정을 보임으로써, 우리는 예술과 기술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재설정되고, 새롭게 만들어지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예술과 기술의 다차원적인 상호작용을 규명할 수 있다. 이런 작업은 백남준의 예술세계를 더 잘 이해하게 해 줄 뿐만 아니라, 21세기의 과학기술과 예술의 융합을 위해 필요한 과학기술적 상상력과 예술적 상상력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Focusing on Nam June Paik’s video art, this paper explores a mode of relationship by which art and technology interact. For this, this paper first shows how Nam June Paik recreated his art by using technologies. Then it will reveal how he, with his new video art, conceived of subverting modern technology and the technological society. With this, we will understand how the boundary between art and technology is blurred, redrawn, and then reconstructed ? a process which reveals the multi-layered and multi-dimensional interactions between art and technology. This not only leads us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Nam June Paik’s art world, but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artistic and technoscientific imagination. Such understandings are essential to the convergence of art and technoscience for the 21st century.

      • KCI등재

        기술결정론과 그 비판자들

        홍성욱(Sungook Hong) 한국서양사연구회 2013 서양사연구 Vol.0 No.49

        This paper examines the idea of technological determinism from historical and historiographical perspectives. By discussing several notable historical studies on technology, it discusses how historians of technology have criticized technological determinism and suggested alternative historiographical narratives. It also examines whether or not technological determinism has been effectively criticized and virtually discarded. It will show that it is difficult to claim that “technological determinism is dead” since several variant forms of technological determinism began to reappear in the 2000s. This paper explores why technological determinism did not disappear completely, and provide possible suggestions for this.

      • KCI등재

        과학 다큐멘터리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 EBS <뇌로 보는 인간>의 “섹스” 편의 콘텐츠 변화를 중심으로

        이미솔(MeeSol Yi),홍성욱(Sungook Hong)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21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23 No.-

        과학 다큐멘터리는 과학 대중화를 촉진하고 매개하는 중요한 매체이다. 본 논문은 2020년에 방영해서 큰 화제를 불러일으킨 EBS의 <뇌로 보는 인간> 다큐멘터리 5부작 중에서 “섹스” 편의 제작 과정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큐멘터리 제작과정에 초점을 맞추면 일반적으로 ‘사실’로 받아들여지는 과학 다큐멘터리가 실제로는 수정, 보완, 타협의 여러 단계를 거치면서 만들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다큐멘터리에서 다루는 과학이 불변의 사실이라기보다 경합하는 지식들 중에서 선별된 것임을 엿볼 수 있다. 특히 “섹스” 편은 남/녀의 섹슈앨러티의 차이를 강조하는 진화심리학에 기초한 내용이 내부 제작팀의 토론을 통해 크게 바뀌고, 결국 전통적인 진회심리학의 해석에서 보면 ‘이단적’이라고 볼 수 있을 정도로 남/녀 섹슈앨러티의 평등에 토대를 둔 스토리 라인을 채택해서 만들어 졌다. 이 과정을 분석하는 본 논문은 과학 다큐멘터리의 사회적 구성성을 드러낼 것이다. The science documentary is an important medium that promotes and mediates the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documentary "Sex" of EBS"s <Neuro Sapiens> series, which aired in 2020 and attracted much attention. If we focus on the documentary production process, we can see that scientific documentaries that are generally identified as "facts" are actually constructed through various stages of revision, supplementation, and compromise. It can be said that the knowledge it presents was selected from among competing knowledges. In particular, the major story of the “Sex” part, which originally planned to be based on evolutionary psychology that emphasizes the difference between male/female sexuality, is greatly changed through the discussions in the production team, and in the end, the team adopted a story line based on the equality of male/female sexuality, which can be seen as a ‘heresy’ from the perspective of evolutionary psychology. This paper, which explores this production process in depth, highlights the socially constructed nature of science documentaries.

      • KCI등재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사람을 차별하는가?

        오요한(Oh, Yoehan),홍성욱(Hong, Sungook) 한국과학기술학회 2018 과학기술학연구 Vol.18 No.3

        빅데이터에 근거하여 자동적인 의사결정을 내리는 알고리즘이 사회의 각종 영역에서 점차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저변에는 알고리즘의 의사결정이 사회의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분배하리라는 기대 뿐만 아니라 그 결정이 선입견, 편향, 자의적 판단 등이 개입될 수 있는 인간의 의사결정보다 더 공정한 결과를 낳으리라는 희망 또한 자리잡고 있다. 하지만 알고리즘 의사결정이 그 결정에 의해 영향 받는 이들을 공정하게 다루지 않는다는 주장이 여러 사례와 함께 거듭 제기되면서, 의사결정이 어떻게 절차화되었는지, 또한 특정한 의사결정을 공정하다고 판단하는 데에 어떤 요인이 고려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들이 새롭게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은 사법, 치안, 국가 안보의 세 가지 알고리즘 활용 영역에서 차별의 문제가 제기되는 상황을 구체적으로 분석한 연구들을 검토함으로써, 인공지능 알고리즘이 과연 특정 집단의 인간을 차별하는지, 그리고 공정한 의사결정을 분별하는 기준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격적인 검토에 앞서 데이터 마이닝 각 단계에서 의도적으로 그리고 비의도적으로 편향적인 결과가 산출될 수 있는 원인에는 무엇이 있는지를 살필 것이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이론적이고 실질적인 검토가 현대 한국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 간추려 제시할 것이다. The contemporary practices of Big-Data based automated decision making algorithms are widely deployed not just because we expect algorithmic decision making might distribute social resources in a more efficient way but also because we hope algorithms might make fairer decisions than the ones humans make with their prejudice, bias, and arbitrary judgment. However, there are increasingly more claims that algorithmic decision making does not do justice to those who are affected by the outcome. These unfair examples bring about new important questions such as how decision making was translated into processes and which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to constitute to fair decision making. This paper attempts to delve into a bunch of research which addressed three areas of algorithmic application: criminal justice, law enforcement, and national security. By doing so, it will address some questions about whether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discriminates certain groups of humans and what are the criteria of a fair decision making process. Prior to the review, factors in each stage of data mining that could, either deliberately or unintentionally, lead to discriminatory results will be discussed. This paper will conclude with implications of this theoretical and practical analysis for the contemporary Korea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