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한일회담에서의 선박 문제

        현대송(Hyun Daesong) 한국정치학회 2016 한국정치학회보 Vol.50 No.1

        본고는 한일회담에서의 선박 문제가 어업·평화선·독도 문제와 착종(錯綜)되며, 최종적으로 정치적 타결을 통해 매듭지어지는 과정을 한일 양국의 외교문서를 기초로 역사적 방법으로 분석한 것이다. 본고의 구성은 전반부에 미국의 전후 처리 정책 및 선박 문제에 관한 한국과 일본 정부의 인식과 정책에 대해 살펴보고, 후반부에서는 교섭과정을 예비회담부터 제7차 회담까지 시계열적으로 고찰한다. 한일회담에서 선박 반환 문제는 평화선 문제와 연동되었고, 평화선 문제는 한일어업협정의 가장 큰 쟁점이었으며 독도 문제와도 직결되었다. 결국, 선박 반환 협상은 냉전이라는 국제정치의 논리와 양국의 역사인식을 바탕으로한 내정 상의 논리가 연동하는 과정에서 어업·평화선·독도 문제와 얽히며 변용을 거듭했고, 최종적으로는 정치적 타결로 미봉되었다. This paper analyzed how ship restitution issue became entangled with fishery, peace line and Dokdo issue, and concluded in the Korea-Japan Normalization talks, by historical analysis on the basis of diplomatic documents. At first this paper examines the US post-war policy and the perceptions and policies of the Government of Korea and Japan. Then, it studies the negotiation process until the seventh round of talks since the preliminary talks in chronological order. Ship restitution issue was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had to return its ships to the Korean government. Ship restitution issue linked with Peace line issue that was the biggest issue in the negotiation of Korea-Japan Fisheries Agreement. And it was directly linked to the Dokdo issue. In conclusion: this paper argue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ship restitution issue had been changed with Fishery, Peace line, Dokdo issue, interlocking mutually in and with the logic of the Cold War system and domestic political system based on historical perceptions. And it argues that Korea and Japan patched the issue up with political compromise.

      • KCI등재

        전후 일본의 독도 정책

        현대송(HYUN Daesong) 한국정치학회 2014 한국정치학회보 Vol.48 No.4

        본고는 전후(戰後) 일본의 독도 정책의 추이를 거시적 관점에서 통사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전후의 독도 문제는 해방 직후 태동하여,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과 한일기본관계조약이라는 두 기점(起點)을 가지며, 잠복기, 소강기(구조화 단계), 분쟁 전환기, 분쟁기(공고화 단계)를 거쳐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독도 문제가 그러한 단계를 거쳐 ?문제?에서 ?분쟁?으로 변천하는 과정에서 일본이 어떠한 정책을 취했으며, 그러한 정책의 배경과 특징 등이 일본의 정치시스템, 국제정치시스템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함께 분석한다. 분석결과, 전후 일본의 독도 정책은 그 결정의 중심축이 ?관(官)에서 정(政)?으로, ?중앙과 지방의 갈등?에서 ?중앙에의 수렴으로? 옮겨지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정책의 내용은 ?고유영토 주장?과 ?국제사법재판소(ICJ) 제소?라는 두 가지 축을 중심으로, 법제도의 정비(영해법 개정과 UN 해양법 협약의 비준), 영토 교육과 해외 홍보의 강화, 영토 문제 전담기구 설치?의 순(順)으로 유향폐로 그래프(Directed Cycle Graph)를 그리며, 그 성격이 적극적 공세와 소극적 공세의 단순 반복 주기를 가졌음을 밝혔다. This paper analyzed and explored the postwar Japanese Dokdo/Takeshima policy from the perspective of macro-level and comprehensive history. The Postwar Dokdo Problem has two starting point of the issue, that is,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and Treaty on Basic Relations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Japan, followed by the incubation period, the structuring stage, transition to dispute, conflict period (consolidating stage). This paper also analyzed the Japanese Dokdo/Takeshima policy in transitional period in which ‘the problem’ transformed into ‘the dispute,’ and 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chanism of Japanese Dokdo/Takeshima policy correlate with international political system and domestic political system. This paper reveals the fact as follows as the results of analysis; Firstly, the axis of Japanese political decision making is moving from ministries and agencies to the prime minister’s office. Secondly, the conflict between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over the Takeshima policy was eliminated gradually and converged to central government’s policy. Thirdly, the main claim of Japanese government developed from the theory of inherent territory and proposing to Korea government to institute proceedings before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enacting Territorial Seas Act, ratification of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strengthening of education and overseas public relations, launching the Territorial Sovereignty Office of Planning and Coordination within the Cabinet Secretariat, in series. Finally, the cycle of Takeshima policy delineated Directed Cycle Graph and had simple reiteration cycle of active aggression and passive agg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