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론』에 나타난 무자성과 행(行)에 대한 수학적 논증

        허준범 ( Heo Jun-beom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0

        불교에서 가장 중요한 관심사 중에 하나는 무아이다. 그러나 연기사상은 무아를 이해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 많은 논서 중에 특히 중론은 무아와 연기의 관계성을 가장 잘 설명하고 있는 논서 중에 하나이다. 비록 가장 논리적이고 체계성을 가지고 있지만, 일반인들에게 있어서 중론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은 쉽지 않다. 명확한 답을 얻기 위해서, 수학적 방식을 사용하여 중론의 논리적 세계를 이해하려고 하였다. 무아는 무상으로 인해 생기기 때문에, 전 찰나에 자신이 다음 찰나에도 자신이 존재한다면 자성을 가지는 것이다. 불교도들은 이 정의를 명백하게 알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순환적 운동성을 가진 존재도 자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자성에 대한 개념의 확장뿐만 아니라 무자성에 대한 운동성도 좀 더 명확해졌다. 무자성을 가지고 있으면 행이 있다고 생각했던 관점은 전도된 생각이라는 것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한객체의 운동성에 대한 관점도 명확해졌다. 기존의 물리학에서 속도를 사용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서술할 때, 아(我)와 무아(無我)를 혼동하여 사용함을 본고는 밝힐 수 있었다. 결국, 부처와 용수의 올바른 세계관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 전도된 생각은 행을 만들기 때문에, 사람들은 탐욕과 성냄 그리고 어리석음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일련의 마음의 작용에 대한 중론의 관점을 이해할 수 있었다. 중론에 대하여 좀 더 많은 연구를 하면 더 많은 지혜를 우리에게 안겨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In the Buddhism, Anatman is one of the most interest matters. but the concept of samsara would prevent a man of learning from understanding anatman. The Mulamadhyamakakarika(MMK) is one of the best described texts that presents the relation of anatman and samsara. Although MMK has the perfect reasoning and systematical structure, it is also not easy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MMK. To take an obvious answer, the way of mathematics is being attempted of catching the meaning of logical world of MMK. The anatman produces due to the Anitya(無常), if something itself that existed at the previous ksana(刹那) is kept in the next ksana, we can say that it has the character of an atman. A lot of Buddhists clearly understand that definition. But these researches could find that the object which takes a cyclical movement has a characteristic of anatman. It is more clearly presented the expansion of the definition of atman and the non-cyclical movement of anatman. This study reinforms us of the wrong idea(viparyaya) that if an object has a characteristic of anatman, it takes samskara(行). And the movement of an object can more clearly watched. In the existing physics, the velocity of an object is used to describe the movement of it, but this paper can show the result that two terms of atman and anatman are confused and used interchangebly. Finally, we can find the right perspective of world of Buddha and Nagarjuna. Because the wrong idea(viparyaya) is making the samskara(行), a person will make raga, dvesa and moha. We can understand the point of views of MMK that the mind is following this series of process. If a lot of people try to study MMK, they are taking more wisdom of the right perspective of world, I thin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