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자원 배분과 성과 모니터링을 위한 보건사업 가중치 개발

        김상아(Sang A Kim),허영혜(Young Hye Hur),박웅섭(Woong Sub Park)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09 농촌의학·지역보건 Vol.34 No.1

        이 연구는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객관성과 타당성이 높다고 평가되는 자료와 산출방식을 적용하여 보건사업의 가중치를 산출함으로써 지방자치단체 보건사업의 자원 배분과 평가에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계량적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HP 2010에서 제시한 중점과제를 기초로 선행연구의 결과와보건복지부 사업담당자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분류안을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선행연구 결과들을 검토하여 각 보건사업과 관련된 질병부담 자료를 수집하였고, 전문가 의견 조사를 실시하여 각 보건사업과 관련된 문제의 심각도와 사업의 추정 효과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수집된 자료들을 BPRS 방식에 적용하여 보건사업의 가중치를 산출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을 BPRS 공식에 대입하여 가중치를 산출한 결과 전염성질환이 58.97%로 가장 높았고, 금연이 14.07%로 두 번째로 높았다. 그 다음은 고혈압(3.87%), 당뇨(3.40%), 암(2.90%), 심?뇌혈관질환(2.86%), 운동(2.10%), 절주(2.07%), 건강검진(1.92%), 정신건강증진(1.72%), 중증정신 질환(1.62%), 영양(1.52%), 구강위생관리(1.15%), 구강질환(1.10%), 중독(0.73%) 순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중앙정부가 지방자치단체 보건사업에 자원을 배분할 때 계량적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평가점수 산정 시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사업에 더 높은 점수를 부여하여 사업의 효과성을 정책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health service weight for resource allocation and performance monitoring using Basic Priority Rating System. Methods: The Health service would be classified according to New Health Plan 2010, and Burden of disease collected from preceding studies. The data of severity of health problem and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were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of experts" suggestion. The health service weight was estimated in the formula which is Basic Priority Rating System. Results: In the result of analysis, the health service weight of Infectious disease was ranked highest at 58.97% followed by Anti-smoking campaign(14.07%), Hypertension(3.87%), Diabetes mellitus(3.40%), Cancer(2.90%), Cardiovascular-Cerebrovascular diseases(2.86%), Physical activity(2.10%), Moderate drinking(2.07%), Medical examination(1.92%), Mental health promotion(1.72%), Serious mental illnesses(1.62%), Nutrition(1.52%), Oral health promotion(1.15%), Oral diseases(1.10%), Addiction(0.73%). Conclusions: We think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ides a rational basis for resource allocation and performance monitoring of health service.

      • KCI등재

        종교적 기부 및 상호부조적 기부와 자선적 기부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다양한 형태의 기부행동 간 연관성 분석

        강철희 ( Chul Hee Kang ),김계정 ( Kye Jung Kim ),허영혜 ( Young Hye Hur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2 사회복지정책 Vol.39 No.1

        본 연구는 종교적 기부 및 상호부조적 기부가 자선적 기부와 어떠한 연관성을 갖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기부에 대한 실증적 지식의 확장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인의 기부행동에 관한 대표적 자료인 아름다운 재단의 Giving Korea 2010 자료를 분석하여 세 가지 형태의 기부행동 간 관계에 대한 이해 기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종교적 기부 및 상호부조적 기부와 자선적 기부의 연관성을 검증하기 위해 규모와 노력이라는 측정방식을 활용하여 토 빗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종교적 기부규모는 자선적 기부규모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정적 연관성을 갖지만, 상호부조적 기부규모는 유의한 연관성을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종교적 기부규모와 상호부조적 기부규모의 상호작용은 부적 방향에서 연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난다. 한편 소득에 대비한 기부의 수준인 기부노력을 통해 측정했을 때는 종교적 기부노력 및 상호부조적 기부노력 각각은 자선적 기부노력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정적 연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기부규모를 통한 분석에서와 마찬가지로 종교적 기부노력과 상호부조적 기부노력의 상호작용은 자선적 기부노력과 부적 방향에서 연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는 종교적 기부 및 상호부조적 기부 각각은 자선적 기부와 보완적 관계 (complementary relationship)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지만, 종교적 기부와 상호부조적 기부가 결합적으로 증가되는 경우에는 자선적 기부와 대체적 관계(substitutive relationship)를 형성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대부분의 종교는 친사회적 행동을 장려하고 기부의 책임을 강조하며 실천을 동기화하기 때문에 종교적 기부의 규모와 강도가 크고 강한 사람들은 자선적 기부에서도 역시 그러한 경향을 갖는 것으로 추정된다. 사회적 관계망을 바탕으로 한 상호부조적 기부의 경우에는 공동체 의식에 기반한 나눔실천의 확장이라는 기제가 발현되어 자신과 무관할 수 있는 타인을 배려하고 돌보는 행동으로까지, 즉 자선적 기부행동으로까지 연계되어지는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한편, 종교적 기부와 상호부조적 기부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종교적 기부와 상호부조적 기부가 결합적으로 증가되어지는 경우 자선적 기부에 대한 자원 할당이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해 주는데, 이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is targeted to understand citizens` secular giving in the relationship with religious giving and mutual aid giving. It explores core predictors of secular giving which is measured by absolute amount and effort(share of giving by household income) by focusing on religious giving, mutual aid giving, and their interaction with controlling for significant variables such as demographic variables and volunteering. For the analysis, this study utilizes the data called "Giving Korea 2010" by the Center on Philanthropy of the Beautiful Foundation and employs Tobit regression model to correct sample selection bias. The findings show that (1) religious giving amount(+) and interaction between religious giving amount and mutual aid giving amoun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citizens` secular giving amount and (2) religious giving effort(+), mutual aid giving effort(+), and interaction between religious giving effort and mutual aid giving effor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citizens` secular giving effort. The findings show that there ar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giving and secular giving in terms of amount and effort and there could b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mutual aid giving and secular giving in terms of effort. In addition, it shows that there can be substitutive relationship between these giving and secular giving when religious giving and mutual aid giving are practiced simultaneously Indeed, the findings implies that there should be continuous research on different types of giving behaviors. This study has made a start in a new area of inquiry attempting to explain diverse giving behaviors of citizens in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with broadening and promoting understanding on Koreans` giving behaviors. Moreover, it raises an implication for policy development to mobilize secular resources.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사의 근로조건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최수찬(Soo-Chan Choi),김상아(Sang-A Kim),허영혜(Young-Hye Hur),박웅섭(Woong-Sub Park)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08 농촌의학·지역보건 Vol.33 No.2

        이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척도로 측정된 서울시 복지기관 사회복지사의 직무 스트레스 수준은 남성 45.2점, 여성 45.3점이었으며, 다른 변수들의 효과를 통제하는 다중회귀분석 결과 장시간 근무 여부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반면, 정규 휴식시간을 가지는 사회복지사는 그렇지 않은 사회복지사에 비해 직무 스트레스 점수가 8.4점 유의하게 낮았다. 정규 휴식시간의 표준화 회귀계수 값은 -0.31로 회귀모형의 변수들 중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연구에서 구성한 회귀모형의 R2값은 0.168이었는데, 정규 휴식시간 유무 변수가 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0.086으로 나타났다. 또한 겸임업무를 수행하는 경우 직무 스트레스 점수가 5.7점 유의하게 높았고, 표준화 회귀계수 값이 0.17, 부분 R2값이 0.028로 나타나 정규 휴식시간 다음으로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영향력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밖에 관리직에 비해 일선 사회복지사인 경우,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에 비해 장애인복지기관 사회복지사인 경우에 직무 스트레스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정규 휴식시간의 확보가 사회복지사들의 직무 스트레스 감소에 가장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사회복지사 본연의 임무인서비스 제공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역시 그들의 직무 스트레스 감소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점을 시사하고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 사회복지사들의 직무 스트레스 개선을 위한 근로조건 향상에 유용한 정책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것이다. 사회 취약계층의 복지와 욕구충족에 사회복지사가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을 고려할 때, 사회복지사의 직무 스트레스를 적절히 관리하고 감소시켜나가는 일은 사회복지사의 삶의 질 향상은 물론 서비스 대상자의 욕구충족과 사회복지기관 효과성 증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사회복지사의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는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한 영역이다. 향후 후속 연구에서는 클라이언트와의 관계적 측면까지도 고려하여 보다 정교한 확률추출표집에 근거한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ork conditions on job stress of social workers in Seoul. Method: For this survey,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administrated to 1,000 social workers working in all of organization for social welfare practice in Seoul. The number of responded questionnaires was 431.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for job stress as the dependent variables and control variables. Results: The result of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regular rest breaks had significantly effect on job stress level but long working hours did not. When regular rest breaks was guaranteed job stress of social workers significantly lowered 8.4 point. In addition 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s and partial R2 of regular rest breaks was the highest score among the variable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the most important to guarantee regular rest breaks in the work schedule in order to alleviate job stress of social wor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