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식산업에서 효율적인 식재료 재고관리모형에 관한 연구

        형만(Hyung Man Ham) 한국조리학회 2000 한국조리학회지 Vol.6 No.1

        In hotels or Food service industrials they make efforts on cost control. In the modem time how to control costs of food materials are perceived to be important even if there are many ways of cost control. Ideas that the cost of food material should be accounted have been change to that the cost of food material should be controlled. change of thought and the spread-over of computer give us the means of effective cost control over the processes of buying, controling, selling food materials. Even if stocked in good places, the food materials are changing in quality from the first time they are stocked, the storage control give us the least loss of this damages and make us to provide customers progressive food services in quality rather than the past. We can make plans to save costs corresponding to take various way of buying suitable to various situation.

      • KCI등재

        기술교사의 실천적 지식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 기술적 문제해결수업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

        함형인(Hyung-in Ham),김기수(Ki-Soo Kim) 한국기술교육학회 2021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1 No.1

        이 연구는 기술교사의 실천적 지식이 형성되는 과정에서의 경험과 그 의미를 탐구하고, 이를 설명하는 실체이론을 발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하여 질적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 참여자의 선정 기준에 의거하여 이론적 표본추출(theoretical sampling)을 수행하였으며, 총 14명의 현직 기술교사를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기술교사의 실천적 지식 형성과정을 탐구하기 위하여 반구조화된 면담과 수업 관찰, 수업에서 생산된 문서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의 단계를 거쳐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적 문제해결수업에서 기술교사의 경험과 관련된 범주는 총 110개의 개념, 39개의 하위범주, 13개의 범주로 도출되었다. 둘째, 기술적 문제해결수업에서 기술교사의 실천적 지식 형성과정의 중심현상을‘기술적 문제해결의 선(先)경험 제공하기’로 상정하고 패러다임 모형을 도출하였다. 셋째, 기술적 문제해결수업에서 기술교사의 실천적 지식 형성과정의 핵심범주를 ‘기술적 교양인을 키우는 기술교사 되기’로 도출하고, 이에 대한 이야기 윤곽을 기술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기술적 문제해결수업에서 기술교사가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는 과정을 그들의 생생한 목소리로 담아냈기 때문에 기술교사의 경험과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현직 기술교사와 예비 기술교사를 대상으로 기술수업에 대한 이해 및 실천적 지식 형성을 도울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the process in which practical knowledge of technology teachers are formed, and to discover the theory of substance that explains it. To accomplish this goal,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research using grounded theory.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study conducted theoretical sampling based on the selection criteria of research participants, and a total of 14 in-service technology teachers were studied. This study collected semi-structured interview, observation of class work, and document materials produced in class to investigate practical knowledge formation process of technology teachers,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steps of open coding, axis coding, and selective coding. experience of technology teachers in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instruction were derived into total of 110 concepts, 39 subcategories, and 13 categories. Second, the process in which practical knowledge of technology teachers in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instruction is formed was‘to provide prior experience,’ and a paradigm model was derived. Third, this study derived the core category of practical knowledge formation process of technology teachers in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instruction as ‘to become a technology teacher who raises technological literate person, and described the outline of this. It is meaningful in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helped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technology teachers in depth because this study has captured the process of technology teachers forming practical knowledge in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instruction in their vivid voices, and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 fundamental data for in-service and pre-service technology teachers to help understand technology instruction and to form practical knowledge.

      • KCI등재

        더 나은 기술수업 만들어가기를 위한 실행연구 - 노마드 중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함형인(Hyung In Ham) 한국실과교육학회 2024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7 No.1

        이 연구는 중학교 기술수업에서 더 나은 수업의 의미를 이해하고 이를 밝혀냄으로써 좋은 기술 수업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한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사가 연구자가 되어 수업 개선을 위한 계획과 실행, 실행 후 반성 그리고 또다시 실행의 과 정을 반복적으로 탐색하는 실행연구의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장소는 공립 대안교육 특성 화 중학교인 G 광역시 노마드 중학교이며, 연구 기간은 2022년 3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4학 기 동안 이루어졌다. 연구자는 수업 촬영, 학생 면담, 수업자의 성찰 일지, 수업 결과물 등 다 양한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여 더 나은 기술수업의 본질을 이해하고자 노력하였다. 이에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더 나은 기술수업 만들어가기를 위한 첫 번째 과정인 현장에 대한 이해에서 연구자 가 알게 된 노마드 중학교 학생들의 기술수업에 대한 인식은 ‘노는 수업’, ‘재미없는 수업’, ‘일부 학생만 참여하는 수업’이었다. 둘째, 더 나은 기술수업 만들어가기를 위한 실행은 ‘대화를 통해 생각을 나누며 수업에 초 대하기’, ‘온라인 포트폴리오 작성을 통한 성찰의 기회 제공하기’, ‘학생의 삶과 연결된 수업하 기’, ‘학생 맞춤형 과제 제시하기와 도움주기’, ‘학생의 성향을 반영한 방법으로 수업하기’, ‘진 로와 연계한 수업하기’, ‘기술 활동을 위한 시간과 공간 제공하기’로 주제화하였다. 셋째, 실행의 과정을 통해 ‘텍스트와 컨텍스트를 연결한 수업’, ‘반성적 사고를 통해 몰입하 는 수업’, ‘서로의 존재를 인정하는 수업’으로의 변화가 나타났다. 넷째, 더 나은 기술수업 만들어가기의 교육적 의미를 ‘학습과 교수의 해석적 상호작용’, ‘더 나은 인간 형성의 존재론적 지향’, ‘변증법적 대화의 과정’이라는 세 가지 교육의 본질에 비추 어 논의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더 나은 기술수업을 만들어가기 위해 노력하는 기술교사와 좋은 기술수 업의 본질을 탐구하는 연구자에게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을 기대한다.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what constitutes better technology classes in middle school technology education and to uncover the essence of quality technology education. Employing the action research method, with the teacher assuming the role of a researcher, the study explores the process of planning, implementing, reflecting on, and re-implementing lessons for class improvement. Conducted at G Nomad Middle School, a public alternative education specialized middle school, from March 2022 to December 2023 across four semesters, the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data such as class recordings, student interviews, teacher's reflective journals, and class outputs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better technology classes. Key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n initial step in understanding the field to create better technology classes, the researchers gained insights into how students at Nomad Middle School perceived technology classes, which were described as playful classes, uninteresting classes, and classes where only some students participate. Second, the process for creating better technology classes was categorized into themes such as inviting students to participate in class through dialogue, providing opportunities for reflection through online portfolio writing, connecting class with students' lives, providing customized assignments and assistance to students, teaching classes that reflect students' preferences, incorporating career-related aspects into classes, and providing time and space for technological activities. Third, implementation resulted in observable changes in the classes, transforming them into classes that connect text and context, classes that foster immersion through reflective thinking, and classes that recognize each other's existence. Fourth,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creating better technology classes was discussed within the context of three educational essences: interpretive interaction between learning and teaching, existential orientation towards better human formation, and dialectical dialogue process. This study offers valuable insights for technology teachers striving to enhance their classes and researchers exploring the essence of effective technology classes.

      • KCI등재
      • KCI등재

        안드로이드 모바일 단말에서의 실시간 이벤트 유사도 기반 트로이 목마 형태의 악성 앱 판별 메커니즘

        유정 ( You Joung Ham ),이형우 ( Hyung-woo Lee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4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5 No.3

        안드로이드 기반 모바일 단말 사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어 안드로이드 마켓에 배포되고 있다. 하지만 오픈 마켓 또는 3rd party 마켓을 통해 악성 어플리케이션이 제작 및 배포되면서 안드로이드 기반 모바일 단말에 대한 보안 취약성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대부분의 악성 어플리케이션 내에는 트로이 목마(Trojan Horse) 형태의 악성코드가 삽입되어 있어 모바일 단말 사용자 모르게 단말내 개인정보와 금융정보 등이 외부 서버로 유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악성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능동적인 대응 메커니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 악성 앱 탐지 기법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안드로이드 모바일 단말내에서 실시간 이용시 발생하는 이벤트를 수집한 후 Jaccard 유사도를 중심으로 악성 어플리케이션을 판별하는 메커니즘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임의의 모바일 악성 앱에 대한 판별 결과를 제시하였다. Large number of Android mobile application has been developed and deployed through the Android open market by increasing android-based smart work device users recently. But, it has been discovered security vulnerabilities on malicious applications that are developed and deployed through the open market or 3rd party market. There are issues to leak user`s personal and financial information in mobile devices to external server without the user`s knowledge in most of malicious application inserted Trojan Horse forms of malicious code. Therefore, in order to minimize the damage caused by malignant constantly increasing malicious application, it is required a proactive detection mechanism development.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existing techniques` Pros and Cons to detect a malicious application and proposed discrimination and detection result using malicious application discrimination mechanism based on Jaccard similarity after collecting events occur in real-time execution on android-mobile devices.

      • KCI등재
      • KCI등재

        국내 기술교사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함형인(Hyung-In Ham) 대한공업교육학회 2021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이루어진 기술교사 관련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후속 연구에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0년도부터 발행된 기술교사 관련 국내 학술지 147편을 분석대상으로 발행 연도, 연구 방법, 연구 대상, 연구자별 특성을 양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주제 및 내용을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주제분석법을 활용한 질적 분석을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기술교사 관련 논문은 2005년 이후로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5년 단위로 40여 편 이상의 논문이 발행되었다. 연구 방법 측면에서 양적연구 방법이 92편(62.6%)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질적연구 방법이 24편(16.3%), 혼합연구 방법이 18편(12.3%), 문헌연구 방법이 13편(8.8%)으로 나타났다. 5년 단위로 연구방법별 발행 추이를 살펴보면 양적연구는 2000년도부터 꾸준히 연구되었으며, 질적연구는 2005년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연구가 시작되어 5년 단위로 10편 이내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연구대상별로 살펴보면 중등 기술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87편(59.2%), 중등 기술 예비교사 18편(12.2%), 초등실과교사 16편(10.9%), 초등 실과 예비교사 21편(14.3%), 발명교사 5편(3.4%)으로 나타났다. 연구자 특성별로 분석한 결과, 단독 연구는 59편(40.1%), 공동 2인 45편(30.6%), 공동 3인 이상은 43편(29.3%)으로 나타났으며, 주저자의 소속을 분석한 결과 대학교 90편(61.2%), 중학교가 29편(19.8%), 고등학교가 14편(9.5%), 연구기관 9편(6.1%), 초등학교가 5편(3.4%)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용분석법을 활용한 연구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대주제 5개 영역, 중주제 20개 영역, 소주제 112개의 내용 요소가 도출되었으며, 대주제 영역으로 교사교육, 교육과정, 교사 일반, 기술 수업, 정책 및 제도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추후 기술교사에 대한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rends of technology teacher related research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147 journals related to technology teachers published after 2000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for the year of publication, methods, subjects(targets), and researchers. A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content analysis methods to understand the research topics and contents in depth. The quantitativ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ings: 1) The number of technology teachers related papers began to increase since 2005 and over 40 papers were published on a five-year basis. 2) Regarding research methods, quantitative methods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with 92(62.6%), followed by qualitative methods with 24(16.3%), mixed methods with 18(12.3), and literature based research with 13 (8.8%). 3) Quantitative research has been steadily studies since 2000. And qualitative research has begun since 2005 and less than 10 papers have been published on a five-year basis. 4) Study subjects were secondary school technology in-service teachers(59.2%), elementary school in-service teachers(14.3%), secondary school technology pre-service teachers(12.2%),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10.9%). 5) There were one author paper(40.1%), two authors(30.6%), and over 3 authors(29.3%) regarding the number of the author. And the affiliated institutes of the authors were university(61.2%), middle school(19.8%), high school(9.5%), research institute(6.1%), elementary school(3.4%). The qualitative results of analyzing the contents of research us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5 major topics, 20 specific subjets, and 112 detailed subjects were derived. The mjaor subjects wer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teacher general, technology class, policy and system.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e implications of further research on technology teachers were presented.

      • KCI등재

        기술교사의 자기연구(self-study)를 통한 수업 성찰 - 기술교과 생명기술 단원을 중심으로 -

        함형인(Hyung-In Ham) 대한공업교육학회 2022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지방소재 공립중학교에 근무하는 기술교사 ‘나’가 자기연구(Self-Study)를 통해 생명기술 단원 수업을 성찰하여 수업을 개선하는 데에 있다. 연구 자료수집은 연구자가 생명기술 단원 수업을 준비한 2021년 5월부터 수업을 마친 11월까지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로는 연구자의 성찰 노트, 학생과의 면담자료, 수업 촬영 동영상, 수업 산출물 등이 중요하게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나’는 생명기술 단원 수업을 실행함에 있어 ‘학생 체험활동의 부족’, ‘이론과 실습의 유기적 연계의 어려움’, ‘생명기술 단원의 난이도 조절 어려움’, ‘모둠활동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둘째,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나’는 수업의 목표를 학생의 기술적 문제해결력 향상으로 정하고, 생명기술 시스템과 활용을 중심으로 ‘생명기술 연구소’라는 프로젝트 과제를 계획하였다. 셋째, 수업이 실제로 운영되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직접 연구소의 이름과 로고를 제작하여 자신의 문제로 받아들이도록 유도하였으며, 연구소의 핵심기술을 선정하고 관련 동영상과 홈페이지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생명기술 시스템의 원리를 삶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했다. 넷째, 생명기술 단원 수업을 통해 기술교사인 ‘나’는 학생중심 수업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생명기술 프로젝트 과제의 중요성, 지원적 안내자에서 참여적 안내자로서의 교사의 역할에 대한 성찰, 모둠 활동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이 연구는 그간 기술교과 수업에 대한 연구가 수업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분석이라는 양적 연구에 편중되었다는 한계에서 벗어나 기술교사가 생명기술 단원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과 이를 해결하는 과정을 미시적으로 고찰하고 그 과정에서 교사의 성찰을 조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a technology teacher, ‘I’ working at a public middle school located in a local area reflects on the difficulties of the biotechnology unit class through self-study and improves the class by implementing a solution. Research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May 2021, when the researcher prepared the biotechnology unit class, to November, when the class was finished. As the collected data, the researcher"s reflection notes, interview data with students, class video clips, and class output were used as import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 experienced "lack of practical topics", "difficulty in organic connection method between theory and practice", "difficulty adjusting the difficulty level of biotechnology unit", "difficulty in group activities" for the biotechnology unit class. Second, in order to solve these difficulties, ‘I’ was set as the goal of the class to improve technology problem-solving ability, and a project learning project called ‘Biotechnology Research Center’ was planned focusing on the ‘process’ element of the biotechnology system. Third, in the course of the actual operation of the class, the students made the name and logo of the research institute, motivated them to accept it as their own problem, and helped me to apply the principles of the biotechnological system in my life. Fourth, through the biotechnology unit class, "I" experienced changes in perception about a student-centered class, the importance of the biotechnology project task, a reflection on the role of the teacher from a supportive guide to a participatory guide, and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group activities. This study aims to break away from the limitation that research on technology subject classes has been focused on quantitative research such as class program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analysis, and microscopically examine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echnology teachers in class and how to solve them.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looked at the reflection of teachers.

      • 임상 : 상척수-연수 연접부의 혈관모세포종; 6례에서의 임상적, 수술적 고찰

        형용 ( Hyung Yong Ham ),정신 ( Shin Jung ),장우열 ( Woo Youl Jang ),문경섭 ( Kyung Sub Moon ),정태영 ( Tae Young Jung ),김인영 ( In Young Kim ) 대한뇌종양학회 2011 대한뇌종양학회지 Vol.10 No.2

        Objectives: Surgery with complete excision is the best avenue for obliteration of hemangioblastoma. However, in brainstem hemangioblastoma, surgical risks make difficult for exact planning of a surgical strateg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our experience for hemangioblastoma on cervicomedullary junction with regard to clinical and surgical features. Material and Methods: Seven hemangioblastomas in 6 consecutive patients underwent surgical resection in our department between January 2005 and May 2010.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functional outcomes and operative finding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Results: The studied patients consisted of 2 men and 4 women aged from 19 to 55 years (mean, 32 years). The most presenting symptoms were headache, followed by deterioration of mental status, hemiparesis and dizziness. Von-Hippel Lindau disease was confirmed in 3 case. Preoperative embolization was performed in 2 cases. All of the targeted lesions were totally resected via midline suboccipital craniotomy and well-demarcated surgical plane from the brainstem. Complications included aspiration pneumonia (2 cases), transient aggravation of hemiparesis and unpredicted pneumothorax (each one cases). There was no permanent neurological deficit except 1 case, consecutively performed surgical removal for huge thoracic hemangioblastoma. In two cases, gamma knife radiosurgery should be performed for remaining cerebellar tumors. Conclusions: The hemangioblastoma on cervicomedullary junction can be successfully removed with an acceptable level of risk. In selected cases, preoperative emblolization can be helpful in reducing the possibility of intraoperative disasters.

      • KCI등재

        COVID-19 상황에서 기술교사의 온·오프라인 병행수업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함형인(Hyung-In Ham) 한국기술교육학회 2021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1 No.2

        이 연구는 COVID-19로 인한 온·오프라인 병행수업에서 기술교사의 수업 적응과정과 그 의미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직 기술교사 5명을 대상으로 관찰, 면담, 현지 자료 수집 방법을 이용해 자료를 수집했으며, 모든 자료는 에믹 코딩(emic coding)과 구조 코딩(structural coding)을 통해 자료의 패턴을 파악하고 범주화했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은 COVID-19로 인한 유례없는 수업 상황에서 ‘도구를 사용하는 기술교과 수업 구현의 어려움’, ‘관계 형성의 어려움’, ‘평가의 어려움’, ‘실재감 구현의 어려움’, ‘예산 확보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혼란: 나도 모르고 애들도 모르고’,‘수용: 시스템이 잡혀있지 않으면 원격수업이 망한다고 보거든요.’, ‘도전: 이 시대에 맞는 실습방식을 우리가 못 찾아본 거란 생각이 들어요.’, ‘도약: 온라인으로 하면 시너지가 있어요.’의 과정으로 적응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술교사의 온·오프라인 병행수업 적응과정의 의미를 ‘교사와 학생이 함께 성장하는 기술수업 만들기’, ‘실습 과정에서의 성찰을 강조하는 기술수업 만들기’로 주제화했다. 이 연구는 COVID-19라는 세계적인 전염병 확산의 상황에서 좋은 기술교과 수업을 실현하는 기술교사의 노력을 내부의 목소리로 담았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 기술교과 수업의 방법과 확장에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the technology teacher s class adaptation process in online and offline blended classes due to COVID-19. To accomplish the research goal, data were collected from 5 in-service technology teachers through interviews, field data collection, and observation. All data patterns were identified and categorized through emic coding and structural coding.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realizing the value of technology subjects using tools in an unprecedented class situation due to COVID-19, difficulties in forming relationships, difficulties in evaluation, difficulties in realizing a sense of reality, and difficulties in securing budgets, Despite these difficulties, he was adapting to this situation through a process of confusion, acceptance, challenge, and leap forwar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eaning of the technology teacher s online/offline blended class adaptation process was thematically categorized as creating technology classes in which teachers and students grow together and creating technology classes that emphasize experience in the process rather than results .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tains the efforts of technology teachers to realize the value of technology education in the context of COVID-19 as an internal voice, and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method and expansion of future technology classe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