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양도성 내 조선전기 문화층 출토 매납도기의 종류와 특징

        한혜선 ( Han Hye-sun ) 이화여자대학교 도예연구소 2017 陶藝硏究 Vol.- No.26

        최근 많은 발굴조사를 통해 한양도성 내 조선시대 유적과 유물이 다수 알려지게 되었고, 출토자료를 바탕으로 심화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필자는 최근 한양도성 내 유적에 대한 발굴성과를 토대로 비교적 안정된 조선전기 층위에서 시기를 추정할 수 있는 자기와 공반되는 매납용 도기에 집중하여 종류와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건물지에 매납된 도자기는 상부 기명과 하부 기명이 하나의 세트를 이루며, 하부 기명으로는 주로 도기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하부 기명을 중심으로 도기를 형태에 따라 구분한 결과 단경호, 장신호, 매병형호, 병으로 나눌 수 있었다. 동체가 둥글고 크기가 중소형에 해당하는 단경호는 다시 세부적인 특징에 따라 부가된 장식이나 기능이 없는 기본형태와 파수가 달린 파수단경호, 파수와 주구가 달린 파수주구단경호 3가지가 있었으며, 하부 기명으로 가장 많이 출토되었다. 장신호와 매병형호는 전체 매납도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적은 편이지만 단경호와 마찬가지로 조선전기의 대표적인 도기 기종으로 일정정도 역할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기본형태의 단경호, 장신호, 매병형호는 모두 고려후기부터 유행했던 기종으로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도 어느 시기까지는 그 형태적 특징이 여전히 지속되었다. 반면에 파수단경호와 파수주구단경호는 조선시대에 들어서서 새롭게 등장한 기형으로 추정된다. 전반적으로 매납도자기는 도기의 우세 속에 분청사기와 백자도 다수 활용되었으며, 분청사기와 백자가 조합을 이루는 경우도 확인된다. 또한 같은 층위에서 출토되는 일상기명과 매납도자기가 형태나 품질 면에서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점으로 미루어보아 매납용으로 특별히 제작하지는 않았고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도자기 중에서 선별하여 여러 조합으로 구성하여 매납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Through the recent lots of excavation investigation, historic sites and remains in Hanyangdoseong have been discovered a lot, and based on the excavated materials, more in-depth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Here,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mainly of the interment potteries associated with ceramics presumed with the period while being excavated from relative stable layer based on recent excavation output of the relics in Hanyangdoseong. As the analysis result, interment potteries in building site are composed with upper guimyeong and lower guimyeong as a set, as the lower guimyeong, potteries were mainly used. As the result of dividing potteries according to shape mainly with lower guimyeong, they can be divided into short-neck jar, jar with long and slim body, Maebyeong-shape jar, and bottle(byeong). Short-neck jar, which is round and small-medium size, again had basic type with no additional decoration or function, handle short-neck jar with handle, and handle spout short-neck jar with handle and spout according to detailed characteristic, which were mostly excavated as lower guimyeong. Short-neck jar already appeared during Goryeo period, which was widely used during the overall early Joseon, particularly, handle short-neck jar and handle spout short-neck jar newly were determined to have appeared during Joseon. Jar with long and slim body and Maebyeong-shape jar had less proportion in the whole interment potteries, however as short-neck jar, it is presumed to have a certain degree of role as the representative pottery of early Joseon. Basic form short-neck jar, jar with long and slim body, Maebyeong-shape jar were all popular since late Goryeo,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still continued until a certain period during Joseon Dynasty. Also, Buncheong ware and white porcelain were variously utilized in the dominance of pottery. On the other hand, considering there's no big difference in the form and quality between interment pottery and daily pottery excavated from the same layer, it is presumed that they were not produced particularly for interment, but were composed in various combination among daily utensils.

      • KCI등재
      • KCI등재

        대체에너지를 사용한 글라이더형 고고도 장기체공 무인항공기의 초기사이징

        한혜선(Hye-sun Han),김찬얼(Chan-eol Kim),황호연(Ho-yon Hwang) 한국항공우주학회 2014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42 No.1

        본 연구에서는 대체에너지로 태양광과 수소재생연료전지를 사용하는 고고도 장기체공무인기의 초기 사이징을 수행하였다. 박스 윙 형태의 형상 대신 해외에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상대적으로 기본 자료들이 풍부한 글라이더 형태의 형상을 선택하였다. 이륙중량 150 ㎏ 급으로 추진 시스템은 모터와 프로펠러, 태양광 전지, 전기분해를 통해 재충전이 가능한 액체수소 연료전지로 구성되어있다. 하루 동안 순항 비행 시 필요한 최소 요구 에너지와 낮 시간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태양광 에너지와의 에너지 균형을 고려하여 가로세로비, 날개 길이, 면적 등 항공기 설계변수를 변화시키면서 전체 이륙중량을 추정하였다. In this research, the initial sizing of a HALE(High Altitude Long Endurance) UAV which uses solar power and hydrogen fuel cell as an alternative energy was performed. Instead of a wing box type, a glider type was chosen since it is relatively easy to get a data thanks to many researches abroad. Maximum takeoff weight is around 150㎏ and the propulsion system is composed of motor, propeller, solar cell, and hydrogen fuel cell which can be recharged through electrolysis. Maximum takeoff weight was estimated as aspect ratio, wing span, wing area change while considering energy balance of required energy which is necessary for flight during the entire day and available energy which can be taken from the solar cell.

      • KCI등재

        羅末麗初 陶器扁球甁의 연원과 자기로의 번안

        한혜선(Han Hye-Sun) 한국중세고고학회 2017 한국중세고고학 Vol.- No.1

        동체의 종단면이 마름모꼴이고 높이가 15㎝ 이하의 소형인 도기 편구병은 羅末麗初 시기에 제작 사용된 기종이다. 편구병은 늦어도 8세기 이후 높이 20㎝ 이상의 편구형병에서부터 시작된 것으로, 9세기 이후 덧띠무늬병 · 줄무늬병 · 편병과 함께 사용되면서 편구형병의 동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편구병으로 변화하였다. 편구병은 유적 출토 상황을 종합한 결과, 생산량과 소비량 자체가 동시기에 제작되었던 다른 기종에 비해 적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양상은 편구병이 기본적으로 제작과정상 다른 기종에 비해 까다로운 과정을 거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편구병은 나말여초시기인 9~10세기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편구병은 9세기대에 청동제로도 제작된 예가 확인되고 있고, 11세기 이후에는 청자 또는 흑유자와 같은 자기제로도 재질을 달리하여 제작 사용되기도 했다. 편구병과 편병은 기종의 탄생과 발전은 도기에서 시작하였지만 본격적으로 자기가 제작되는 고려초에는 자기제로도 번안되었던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재질 상호간의 번안현상이 도기와 자기사이에도 활발하게 존재했고 도기가 자기의 형태에도 상당히 영향을 주었음을 보여준다. 자기제 편구병의 제작은 통일신라 후기 도기의 여운이 지속되는 한편 재질을 넘나드는 보다 확장된 기명의 면모를 살펴보는 근거가 될 수 있다. 단순히 왕조교체가 모든 물질문화의 변동을 추인하는 것은 아니다. 물질문화의 변화는 서서히 일어나며, 이것이 어느 정도 축적되었을 때 획기적인 변환을 이끌 수 있다. 앞으로 여러 구체적인 사례들을 통해 변동과정과 그 의미를 살펴보고, 여기에서 도출된 결과를 종합하여 당시 물질문화의 양상을 보다 입체적으로 그려보는 노력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Pottery lozenge-shape bottle,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body is in diamond shape with small type under 15cm, was produced and used during the late unified Silla early Goryeo period. lozenge-shape bottle began from Diamond-shape bottle which is in the height over 20㎝ since the 8th century, at the latest, which changed to lozenge-shape bottle as the body of lozenge-shape bottle type was actively accepted while it was used along with Striped pattern bottle (emboss)․ striped pattern bottle (engrave)․ Flattened bottle since the 9th century. As the result of aggregating the relics excavation situation, lozenge-shape bottle was smaller than other models which were produced in the same period, in respect of the quantity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Such aspect can be supposed since lozenge-shape bottle basically went through more choosy production process than other models. Nevertheless, lozenge-shape bottle was continuously utilized during the 9th~10th century, late unified Silla early Goryeo period. Also, lozenge-shape bottle is confirmed with the example of bronze made during the 9th century, which was produced and used in different ceramic materials such as celadon, Heugyuja since the 11th century. The creation and development of lozenge-shape bottle and flattened bottle began from pottery,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y were adapted to porcelain materials during the early Goryeo when porcelain was regularly produced. Such mutual adaptation phenomenon among materials frequently existed between pottery and porcelain, which shows that pottery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form of porcelain. Production of porcelain lozenge-shape bottle can be a basis to investigate the aspect of the name of pottery that was more extended beyond materials, while continuing afterglow of late unified Silla pottery. Change of mere dynasty does not promote change of every material culture. Change of material culture occurs gradually, and an innovative change can be lead when this is accumulated to a certain degree. Henceforth,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change process and the significance through various concrete cases, and the efforts should be continued to draw the aspect of the material culture of that period in three dimensions more by aggregating the results drawn from this research.

      • KCI등재

        노인실의 색채배색에 관한 연구

        한혜선(Han, Hye-Sun),박효철(Park, Hyo-Chul) 한국색채학회 2011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5 No.4

        주거공간 안에서 노인실을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실내요소는 색채이다. 노인의 시각적 특성을 고려하여 색채의 배색을 효과적으로 한다면 노인실 안에서 노인의 물리적 안전과 심리적 안정 등에 대응할 수 있다.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생산되어 시장에 나와 있어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마루, 벽지, 가정용 가구의 색채 분석을 통하여 노인실의 색채이미지별 색채배색을 제안하여 노인실의 색채계획에 있어서 바닥, 벽, 가구의 색채배색에 관한 기초적 자료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노인실 색채배색을 제안하기 위하여 첫째, 국내외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노인의 색지각 특성을 고찰하고 분석기준을 마련한다. 둘째, 마루, 벽지, 가구색채 샘플을 수집한 후, Photoshop CS 프로그램에서 RGB값을 추출한다. 추출된 RGB값을 Munsell Conversion Program을 이용하여 먼셀 값으로 변환하여 표기하고 색상과 색조 분포를 분석한다. 셋째, 추출한 색채를 IRI 색채이미지 스케일에 포지셔닝하여 각각의 마감재가 가지는 색채이미지에 대하여 분석한다. 넷째, IRI 배색사전을 통하여 측색된 마감재의 색채들을 색채이미지 별로 추출하여 바닥, 벽, 가구의 색채배색을 구성한다. 선행연구를 통하여 노인실의 색채배색에서 동일색상, 반대색상의 명도와 채도가 유사한 색상배색을 피하고 명도 또는 채도 차이가 큰 색채를 배색하는 것이 본 연구의 분석 기준이 되겠다. 벽지는 전반적으로 YR, Y계열에서 나타났고 색조는 whitish, light grayish, grayish 영역에서 주로 분포되었다. 마루의 색상은 wood소재의 특성 상 YR, Y계열에서 주로 나타났고 장판은 YR, Y계열외에도 G, B, PB, RP색상도 나타났다. 색조는 whitish, light grayish, grayish, dark grayish, pale, soft, dull영역 등 여러 영역에서 나타났다. 가구의 색채는 전체적으로 YR계열의 색채가 많이 나타났으며 색조는 whitish, light grayish, grayish영역에서 주로 분포되었다. 마루, 벽지, 가구의 색채 이미지 분석한 결과 벽지의 색채는 ‘온화한’, ‘우아한’, ‘은은한’ 이미지가 주룰 이루었다. 마루와 장판의 색채이미지는 ‘맑은’, ‘내추럴한’ ‘온화한’, ‘우아한’, ‘점잖은’, ‘화려한’ 등의 이미지가 주로 나타났고 다른 마감재보다 다양한 색채 이미지를 보이고 있다. 가구 색채의 이미지는 ‘맑은’, ‘내추럴한’, ‘우아한’, ‘점잖은’, ‘모던한’ 이미지로 나타났다. 벽지, 마루와 장판, 가구의 공통된 색채 이미지는 ‘맑은’, ‘내추럴한’, ‘우아한’, ‘점잖은’으로 분류되었다. The color is a interior factor to control easily in residential space. The effective color scheme considering visual characteristics for elderly can handle the physical safety and psychological comfort in elderly roo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color scheme of floor, wall, furniture considering color perception through the color analysis of wallcovering, flooring, and furniture that can easily get on the market.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es are drawn based upon the purpose.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perception for elderly is considered and the analysis criteria is established based on the results of existing literature. Second, the distribution of its hue and tone is analysed after collecting the color sample of wallcovering, flooring, and furniture. Third, the color image appearing in each finishing material color is analysed by color image scale positioning. Finally, the color scheme for elderly room is suggested after verifying by the analysis criteria for eliminating the color schemes that contain the disadvantage to elderly. For suggesting the color scheme of elderly room, the analysis criteria of this study is using color scheme of value or chroma difference rather than using color scheme of similar in value and chroma similarity. The hues of YR, Y with whitish, light grayish, grayish tone appeared in the wallcovering and the hues of YR, Y with whitish, light grayish, grayish, dark grayish, pale, soft, dull tone appeared in the flooring generally. In the furniture, the hues of YR with whitish, light grayish, grayish tone appeared mostly. The result of color imag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color images of wallcovering are ‘mild’, ‘elegant’, and the color images of flooring are ‘peaceful’, ‘pure’, natural’, ‘mild’, ‘gentle’ and ‘luxurious’ image. The color images of furniture are ‘pure’, natural’, ‘elegant’, ‘gentle’ and ‘modern’ image genarally. Common color images of wallcovering, flooring, and furniture are ‘pure’, ‘natural’, ‘elegant’,and ‘gentle’ image. Since the color range of finishing material is specified, not all color samples are satisfied with the analysis criteria of this study. However, the result is indicated that it is possible for color scheme based on color image which is easily discernable for color plan of elderly room.

      • KCI등재
      • KCI등재

        코워킹 공간구성과 특성에 관한 연구

        한혜선(Han, Hye-Su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3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2 No.5

        Coworking space is the ideal concept of small companies, freelancers, startups, and entrepreneurs operating out of a shared office space while working independently of one another. The coworkers share the core values of coworking: collaboration, openness, accessibility, sustainability, and community. Little academic research has been completed on the composition of coworking spaces and the businesses that use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rganization and characteristic of coworking space based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for providing basic data on the coworking space plan. This study examined existing academic literature, media, online sources to assess the environmental background of worldwide coworking space, the current status, conceptualization, and membership plan that can be appled coworking spaces. The case study for coworking space is limited to the space where there is web site that is showed floor plan. Coworking spaces are designed to be environmentally friendly, offering common area with many facilities to encouraging community and collaboration. For creating ideal coworking space, the concept of coworking space must be recognized as a community space for interaction and creativity between people and spac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appropriate zoning, circulation and specific floor plan of coworking space is needed for the next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전기로 추진되는 일반 프로펠러 항공기의 초기 사이징

        한혜선(Hye-sun Han),신교식(Kyo-sic Shin),박홍주(Hong-ju Park),황호연(Ho-yon Hwang),남태우(Taewoo Nam) 한국항공우주학회 2013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41 No.5

        전기 추진 프로펠러 항공기는 기존의 제트엔진으로부터 나오는 유해한 배기가스로 인한 환경적 우려와 국가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 새로운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항공기 사이징 방법들은 여러 종류의 에너지원과 동력 시스템을 사용하는 전기 추진 항공기에 바로 적용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화된 동력기반 사이징 기법에 기초한 전기추진 항공기 사이징의 실제 예를 제시하였다. 여기서 일반 항공기는 프로펠러, 고온초전도 모터, 수소가 연료로 사용되는 연료전지, 동력 조절 장치로 구성되는 전기 추진시스템에 의해 구동된다. 기술 향상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전기 구성품들의 두 가지 다른 기술구성을 가정하여 항공기 사이징을 수행하였고, 전형적인 형태의 기준 항공기와 사이징 결과를 비교하였다. Propeller aircraft propelled by an electric propulsion system is gaining a renewed interest because of ever-increasing environmental concern on harmful emissions emitted from conventional jet engines and national energy security. Traditional aircraft sizing methods are not readily applicable to electric propulsion aircraft that utilize a variety of alternative energy sources and power generation systems. This study showcases an electric propulsion aircraft sizing exercise based on a generalized, power based sizing method. A general aviation aircraft is propelled by an electric propulsion system that comprises of a propeller, a high temperature super conducting motor, a Proton Exchange Membrance(PEM) fuel cell system fuelled with hydrogen, and power conditioning equipment. In order to assess the impact of technology progression, aircraft sizing was conducted for two different sets of technology assumptions for electric component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conventional baseline aircraf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