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하복가옥의 입지와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한종구(Han, Jong-Ko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12

        The paper studies on the site and space composition of Lee Ha-Bock’s traditional thatched roof house. The house is located at a site with back to the mountain and facing the water and the rear and front mountains formulate a shape of Myungeonhyung(a sleeping dog figure) with HyungGug theory of Pungsu. The house has ㄱ shaped Anchae, 一 shaped Sarangchae and Gwangchae. Those are formulate □ lay out followed the land form. Through the research I found the house shows a typical traditional farmhouse in the middle of Korea of Josen period. Nowadays there are many large Giwajip(tile roofed house) of Josen period is remained but only a few thatched-roof house is lived. In this situation, the house has considerable architectural values as a traditional thatched roof house.

      • KCI등재
      • 기(氣)를 통한 한국 전통건축의 고찰

        한종구(Han Jong Koo) 한국정신과학학회 2007 韓國精神科學學會誌 Vol.11 No.1

        건축은 그 사회가 공유하는 동시대 사회문화의 인식관을 공유하는 인간에 의해 세워지는 것으로 인간의 인식체계를 형성하는 당대 사회의 공통된 인식관과 건축주체인 인간의 인식체계에 대한 충분한 통찰과 이해는 건축의 이해에 필수적이다. 한국을 포함한 중국, 일본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에서 학문이 시작되면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내려오고 있는 철학적 테마이자, 세계를 파악하는 관점이며, 삶 속에 용해된 문화의 주 요소 중 하나가 기(氣)이다. 동아시아 문화의 하나로서 많은 영향을 미친 자연을 바라보는 기를 중심으로 한 인식체계는 건축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런 관점에서 본 논문은 한국의 전통건축을 한국이 속한 동아시아 문화권의 인식체계였던 기를 중심으로 고찰해봄으로서 한국의 전통건축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Architecture is built by the people who shares the socio-cultural viewpoint of understanding in the same period. Therefore, the sufficient insight of the contemporary common understanding system forming human recognition system is essential to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of architecture. Gi is one of the main cultural factor melted in life, a viewpoint for apprehension of the world and also philosophical theme handed down from the starting point of the science of the east asian countries including Korea, China and Japan. It thus appears that architecture can be influenced by the understanding system on nature focused on Gi. In this context, this paper aims to have right appreciation o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by considering east asian cultural cognition system of Gi.

      • KCI등재

        인천 용유도의 조병수가옥에 대한 연구

        한종구(Jong-Koo Ha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8

        본 연구는 인천시 중구 남묵동 용유도에 위치한 조병수 가옥을 중심으로 풍수 입지분석 및 건축공간에 대한 고찰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옥은 목체형의 주산에서 내려온 토체형 현무봉을 뒤로하고 있다. 현무봉에서 내려온 용맥을 살펴 기운이 내려오고 좌청룡과 우백호로 잘 감싸여지면서 안산으로 적절히 가리워진 안온한 터에 자리하고 있다. 둘째, 가옥은 명당수 샘물이 있는 사랑마당과 서출동류하는 물을 앞에 두고 사랑채와 안채가 서로 모여 튼 □자를 형성하면서 기가 잘 보존되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가옥은 남향을 하면서도 다소 높은 안산이 집을 위압하지 않도록 살짝 동쪽으로 틀어 배치하고 좌청룡과 우백호가 살짝 벌어진 약점은 너른 방지(方池)를 조성하여 비보하였다. 셋째, 사랑채는 전면 6칸 측면 3칸으로 구성되었으며 경사지에 맞게 자연석 기단을 조성하고 사랑채를 앉혔다. 지붕은 겹처마이며 소로수장집이다. 동측에는 대문을 중심으로 동쪽에 큰사랑방이 서측에 작은 사랑방과 고방이 배치되었다. 큰사랑방은 작은사랑방보다 격을 높여 머름을 구성하였다. 대문은 육지와 달리 방어를 위해 겹대문이며 상부에 팔각형 고창을 두었다. 넷째, 안채공간은 3자 높이의 높은 기단 위에 정면 6칸 측면 4칸으로 6칸의 육간대청을 중심으로 서쪽에 안방, 동쪽에 건넌방 그리고 안방 아래로는 부엌이 있는 전형적인 중부지방 안채의 배치이다. 후원은 현무봉에서 용맥이 내려오는 곳으로 경사지로 사당이나 장독대의 배치가 여의치 않아 사당 대신 대청에 벽감을 마련하고 안방의 서측에 장독대를 마련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ite and architectural space of Byung-Su Jo"s traditional house onYongyu Island in Incheon. The house is located on a peaceful, warm site that is well protected by surrounding mountains, such as Hyunmubong to the rear, Jwacheongyong to the left, Wubackho to the right, and Ansan in front. The house was designed with an open layoutwith a sarangchae and anchae. There is a spring on the left side of the sarangchae, and a stream auspiciously flows from the west to the east in front of the sarangmadang. The house generally faces south, but to avoid pressure by the height of Ansan in the south direction, it is slightly turned to the east. There is a wide, rectangular pond that covers the pungsu weak point of the empty open view between the right and left mountains. The sarangchaespace is composed of front 6 Gan and side 3 Gan. The anchaespace is also composed of front 6 Gan andside 3 Gan,and it has a typical L-shaped anchaelayout for the middle region of Korea. There is no shrine in the backyard, where yongmag is descending from hyunmubong, and a jangdokdaeis installed to the west direction of the anbang due to narrow and slope backyard spac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충청지역 십승지지의 고찰

        한종구 ( Han¸ Jong-koo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21 東方學 Vol.- No.45

        그동안 십승지지에 대한 연구는 일부 이루어졌으나, 충청지역의 십승지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고는 충청지역 십승지지의 올바른 이해를 높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충청지역 십승지지의 위치에 대한 비결의 기록을 문헌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록된 십승지의 현 위치를 고지도 분석 및 현장답사를 통해 비정하였다. 그리고 비정된 현 위치를 대상으로 도참서가 의존하고 있는 풍수이론을 활용하여 입지를 분석하였다. 비결 중 『감결』, 『남경암십승지』, 『서계이선생가장결』에서 한 번이라도 언급된 충청지역은 단춘, 공주, 정산, 마곡 골짜기, 계룡산 밖의 네 고을, 보은 속리산 네 증항 근처, 공주 계룡산, 유구 마곡사 사이의 8곳을 들 수 있으며 세 비결에서 공통적으로 언급된 곳은 속리산 증항 근처와 공주의 유구와 마곡 사이 두 곳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들 두 지역의 대상지를 문헌 및 고지도 분석 그리고 현장답사를 통해 속리산 사증항 근처 중 적암리와 공주의 유구와 마곡사 사이의 서양골 두 곳으로 비정하고 분석하였다. 이들 지역은 본 연구를 통해서 지적했듯이 풍수적인 측면에서 부합되는 바도 많지만, 마을이 입지하는 양기풍수적인 시각에서 본다면 풍요로운 삶을 위한 합리적인 취락의 입지로서는 불리한 곳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지역은 조선 시대 사대부 집안의 서얼, 정치적으로 누명을 쓴 죄인들이나 굶주린 농민들 등이 풍수적인 길 지라는 측면보다 우선적으로 삶을 연명하기 위한 도피처로서 찾았던 곳으로 보아야 한다. Until now, some studies on the Sipseungjiji have been conducted, but studies on the Sipseungjiji in Chungcheong area have not been properly carried ou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nhance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Sipseungjiji in Chungcheong area. To this end, the literature of secret record of the location of Sipsungjiji in Chungcheong area was surveyed and the current location of Sipsungjiji based on this literature recorded, was determined through analysis of literature survey, the old map and field survey. In addition, the location was analyzed using the Pungsu theory on which Dochamseo(圖讖書, prophetic writings) relied on. Among the secrets, the Chungcheong area mentioned at least once in 『Gamgyeol』, 『Namgyeongamsipseungji』, 『Sogyei Lee Seonseng Gajanggyeol』 are eight places such as Danchun, Gongju, Jeongsan, Magok Valley, four villages outside Mt. Gyeryongsan, four Junghang near Boeun Mt. Songnisan, Mt. Gyeryongsan in Gongju. There are two places commonly mentioned in the three secrets such as the place near Jeunghang of Mt. Songni and the one between Yugu of Gongju and Magok. between Magoksa Temple in Yugu, Therefore, in this study, the target sites of these two regions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as Jeokam-ri near the four junghangs of Mt. Songni and Seoyang-gol between Yugu and Magoksa Temple in Gongju through literature and old map analysis and field surveys. As pointed out through this study, these regions are often consistent in terms of Pungsu, but from the perspective of Yanggi(village) Pungsu where the villages are located, it can be said to be an unfavorable location for a rational settlement for affluent life. Therefore, these areas should be viewed as a place where the desperate families of the Joseon Dynasty, politically accused sinners and hungry peasants, sought refuge in order to live their lives prior to the aspect of Pungsu auspicious pl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