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hifting Focus in Development Studies

        Shin-Kap Han(한신갑),Sang-Jic Lee(이상직),Yun-Joo Sung(성연주)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14 Journal of Asian Sociology Vol.43 No.1

        How has development studies ? especially the one on and in East Asia in general, and South Korea in particular ? changed over the last decade and a half? We trace the recent trends through a review of articles published in Development and Society (D&S). Bibliographic metadata on a total of 201 authors and 199 papers for the period of 1998-2013 a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context, we find that, both in terms of authorship and regional coverage, the range of locales has expanded steadily. For content, research appears to have moved away from topics largely associated with quantity of development toward quality of development during the period. We conclude by discussing th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development studies and suggesting strategies for D&S to follow in order to enhance its role in the field of development studies.

      • KCI등재

        생애사 연구의 자료기반 확장: 생애사 시간표를 활용한 구술 생애사 자료의 조직 및 분석

        한신갑 ( Shin-kap Han ),이상직 ( Sang-jic Lee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7 조사연구 Vol.18 No.2

        생애사 연구자들은 대개 특정 사건을 겪은 사람들이 자신의 삶을 어떤 식으로 이해하고 표현하는지에 관심을 두고, 그 생애 체험을 깊게 해석하려는 목적으로, 소수의 사례를 분석한다. 아직까지는 상대적으로 다수 사례의 생애사 자료로 생애이력을 비교하고 분류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관심이 적다. 이 연구는 생애사 연구의 방식을 확장해 보려는 시도의 일환으로, 생애사 시간표를 활용하여 생애이력을 비교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생애사 시간표는 주로 생애과정에 대한 조사연구에서 자료수집 용도로 사용되어 왔지만 이미 수집된 구술 생애사 자료를 조직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령이나 연도 단위로 시간의 흐름을 나타내는 축과 가족, 학교, 노동, 혼인 등의 범주로 구성된 주요생애 영역을 나타내는 축을 교차하여 만든 표에, 주요 사건의 발생 시점과 지속 기간을 표시하면 한 개인의 생애이력을 체계적으로 요약해 정리할 수 있다. 이렇게 요약된 사례별 생애이력을 모아 유사한 생애이력을 가진 사례들끼리 묶으면 하위집단별 생애이력의 패턴을 파악할 수 있어 개별 생애사의 특성을 집단 전체 생애사의 맥락에서 검토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노숙인 생애사 자료를 사례로 소개하면서 관련된 이론적, 방법론적 함의를 검토한다. The usual approach in life history research concerns how people understand and narrate their particular experience, and is typically implemented with a deep yet narrow focus on a small number of cases. As a result, how to organize, sort, compare, and map a large number of cases has yet to receive much sustained attention. We propose a method to scale it up-life history calendar. We are particularly interested in applying it to repurpose existing oral history archive. The calendar we showcase here is constructed in tabular format to summarize individual information on various life history domains, such as family, school, and work, over time. Using the oral history archive data on 60 homeless people, we sort and group them to produce an interpretable framework that charts various paths to homelessness, and within which individual life history can be meaningfully contextualized. We conclude with a discussion on its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implications.

      • KCI등재
      • KCI등재

        협동조합의 조직생태학

        한신갑(Shin-Kap Han) 한국사회학회 2016 韓國社會學 Vol.50 No.2

        ‘세계협동조합의 해’였던 2012년 1월에 제정된 「협동조합기본법」은 그해 12월부터 시행되었다. 그로부터 불과 2년 반이 지난 2015년 5월까지 전국에 무려 7,100여개의 협동조합이 설립되었다. “열풍”으로까지 불리던 이 시기 협동조합 설립의 양상과 추이를 경험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이 연구의 일차적 목적이다. 특히 주목하는 것은 경제와 사회, 사업체와 결사체 등 보통 서로 대립항으로 개념화되는 두 원칙을 동시에 구성 원리로 하는 협동조합의 혼종성이다. 이 연구에서는 분석의 수준을 조직군에 두는 생태학적 시각에서 서울시에서 설립된 1,807개 일반협동조합의 공간적, 시간적 분포를 검토해 협동조합 조직군의 구성 양상과 형성 추이를 살펴보았다. 먼저 지역과 업종에 있어서의 공간적 분포를 검토하고, 그 구조를 시각화했다. 다른 한편으로는 월별 설립조합수의 추이에 대한 모형을 구성해, 시간, 밀도, 유형 효과를 추정했다. 이들 공간과 시간의 분석을 통해 조직군 수준에서 혼종의 양상을 간접적으로나마 보여줄 수 있었다. 그에 따른 몇 가지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면서 글을 맺는다. 2012 was the year the United Nations declared as the International Year of Cooperatives. That year,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enacted the Cooperatives Act, which went into effect in December. Since then, in the short span of two and a half years, over 7,000 cooperatives were founded nationwide. Examining the empirical pattern and trend of this fever of founding is the primary goal of this study. Of particular interest is the hybridity between the two opposing organizational principles of economy and society, or those of enterprises and associations. Set at the organizational population level, the ecological approach here focuses on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s of 1,807 general cooperatives founded in Seoul during the period. What they are made of across various regions and industries and how they are formed over time with regard to various intertemporal effects, such as density and rate dependencies, are modeled, visualized, and estimated. Although indirect, some suggestions as to how the hybridity is constructed and sustained are made. I conclude with a few policy implications drawn from these findings.

      • KCI등재

        『구별짓기』의 한국적 문법

        한신갑(Han Shin-Kap),박근영(Park Keun-Young) 한국사회학회 2007 韓國社會學 Vol.41 No.2

        이 글에서는 『구별짓기』로 대표되는 부르디외의 문화자본론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발견되는 몇가지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실제 자료의 분석을 통해 이 이론의 경험적 근거들이 현재 한국사회에서는 어떤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 지를 살펴본다. 분석은 2005년에 시행된 문화향수에 관한 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두 단계로 진행하였다. 먼저 여가활동 항목들이 응답자들의 선택을 통해 어떻게 자리 매겨지는 지를 다차원척도분석을 통해 그려내고, 그 결과에 나타나는 문화적 취향의 구조를 찾아보았다. 지금까지의 연구들에서 보고된 ‘계급/계층적 차별화’ 라는 결론과는 달리, 이번 연구에서 발견된 구조는 상층계급-하층계급이나 고급취향-대중취향 같은 어느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위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다기보다는, 다양한 사회적 구분의 축들에 의해 동시복합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각각의 항목들이 어떤 축에 따라 어떤 식으로 나뉘어 선택되는 지를 다중모델을 적용해 살펴보았다. 여기서도, 기존의 연구에서 문화적 취향을 결정하는 것으로 보고된 독립변수들 ― 계급, 경제자본, 문화자본 등― 사회적 구분의 축이 될 수 있는 다른 변수들 ― 성별, 연령, 거주지역 등 ― 을 함께 고려했을 때 대부분 그 설명력을 잃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지금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경험적 연구들과는 상당한 거리를 두는 내용으로 기존의 분석틀을 재고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roblems in applying Bourdieu’s theory of cultural capital, as epitomized in his Distinction, to contemporary Korean context are addressed. More specifically, we examine how its theoretical implications are borne out empirically in Korean society by analyzing a recent data ― The Survey of Women’s Cultural Consumption (2005). The analysis proceeds in two stages. First, to identify the structure of cultural consumption, we generate a map, in which a set of 30 leisure activities are arrayed according to the choices made by the respondents. Contrary to the prior research, no clear pattern of stratified differentiation was found. The finding, instead, shows a pattern influenced by multiple factors. In the second stage, we conduct multivariate analyses to ascertain the factors that affect these choices. We find that the factors considered previously ― such as class, economic and cultural capital ― lose much of their explanatory power once the other dimensions of social differentiation ― such as gender, generation, and area of residence ― are taken into account. On the whole, the discrepancy between the results we report here and those of prior research suggests a need to reconsider the existing analytical framework.

      • KCI우수등재

        빅데이터와 사회과학하기

        한신갑(Shin-Kap Han) 한국사회학회 2015 韓國社會學 Vol.49 No.2

        빅데이터와 사회과학하기의 관계에 논의의 초점을 맞추는 이 글에서는 이론-방법-자료를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의 구도를 사회과학하기의 기본 틀로 잡고 논의를 시작하여, 빅데이터가 가져온 자료기반의 변화와 그 특성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분석전략을 가늠해보고자 한다. 사회과학에서 자료가 차지하는 위치와 그동안의 변화 추세, 그리고 빅데이터의 출현을 가져온 배경과 그 영향에 대해 논의하면서 자료의 양과 질에 있어서의 변화가 오랜 기간 계속되어온 것이라는 점을 짚고, 그 연장선상에 빅데이터의 출현도 자리매김한다. 빅데이터 시대가 가져온 새로운 사회과학의 시제품 역할을 하면서 그 가능성과 한계를 극명하게 보여준 구글 독감추세예측 서비스를 취사선택의 필요성과 근거, 방향을 경험적으로 보여주는 유용한 실제 사례로 검토한다. 이 논의들을 원론적 사회과학하기의 틀 안에서 다시 정리하고 이 비판적 검토에 근거하여 앞으로의 전망을 제시하는 것으로 글을 맺는다. 글머리에 제시한 삼각구도의 요소들 각각의 내용과 상대적 비중, 그들 간 연결의 구조와 방향 등은 재조정되어야 하겠지만, 크게는 이 기본 틀의 개조와 확장을 통해 빅데이터의 잠재력을 수용할 수 있을 것이라 조심스러운 진단을 내린다. How do we do social sciences? It is a question that needs to be asked more often. Commonly found in the various answers is a tripartite structure of theory-method-data. I ask the question yet again in the context of a recent and drastic change in the data environment: the emergence of “Big Data.” Reviewing the change and its characteristics, I consider possible analytical strategy to take advantage of the new development.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the data environment has been changing constantly. Big Data, too, can be located in the continuum. To illustrate its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I describe the case of Google Flu Trends (GFT). These critical discussions suggest what to do with the Big Data-what to take and what not to and, when you do, how to. With adjustments and extensions, the theory-method-data tripartite structure still seems to be capable of providing a solid framework to integrate the potentials of Big Data.

      • KCI우수등재

        빅데이터와 사회과학하기

        한신갑(Shin-Kap Han) 한국사회학회 2015 韓國社會學 Vol.49 No.1

        빅데이터와 사회과학하기의 관계에 논의의 초점을 맞추는 이 글에서는 이론-방법-자료를 꼭짓점으로 하는 삼각형의 구도를 사회과학하기의 기본 틀로 잡고 논의를 시작하여, 빅데이터가 가져온 자료기반의 변화와 그 특성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분석전략을 가늠해보고자 한다. 사회과학에서 자료가 차지하는 위치와 그동안의 변화 추세, 그리고 빅데이터의 출현을 가져온 배경과 그 영향에 대해 논의하면서 자료의 양과 질에 있어서의 변화가 오랜 기간 계속되어온 것이라는 점을 짚고, 그 연장선상에 빅데이터의 출현도 자리매김한다. 빅데이터 시대가 가져온 새로운 사회과학의 시제품 역할을 하면서 그 가능성과 한계를 극명하게 보여준 구글 독감추세예측 서비스를 취사선택의 필요성과 근거, 방향을 경험적으로 보여주는 유용한 실제 사례로 검토한다. 이 논의들을 원론적 사회과학하기의 틀 안에서 다시 정리하고 이 비판적 검토에 근거하여 앞으로의 전망을 제시하는 것으로 글을 맺는다. 글머리에 제시한 삼각구도의 요소들 각각의 내용과 상대적 비중, 그들 간 연결의 구조와 방향 등은 재조정되어야 하겠지만, 크게는 이 기본 틀의 개조와 확장을 통해 빅데이터의 잠재력을 수용할 수 있을 것이라 조심스러운 진단을 내린다. How do we do social sciences? It is a question that needs to be asked more often. Commonly found in the various answers is a tripartite structure of theory-method-data. I ask the question yet again in the context of a recent and drastic change in the data environment: the emergence of “Big Data.” Reviewing the change and its characteristics, I consider possible analytical strategy to take advantage of the new development.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the data environment has been changing constantly. Big Data, too, can be located in the continuum. To illustrate its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I describe the case of Google Flu Trends (GFT). These critical discussions suggest what to do with the Big Data-what to take and what not to and, when you do, how to. With adjustments and extensions, the theory-method-data tripartite structure still seems to be capable of providing a solid framework to integrate the potentials of Big Data.

      • 한국인의 문화적 경계와 문화적 위계구조

        한준(Han Joon),한신갑(Han Shin-Kap),신동엽(Shin Dongyoub),구자숙(Koo Jasook) 한국문화사회학회 2007 문화와 사회 Vol.2 No.-

        한국인의 문화적 경계가 사회경제적 지위와 어떻게 상응하는가 그리고 한국에서의 문화적 위계는 어떻게 인지되는가를 알기 위해 문화적 취향에 대한 설문 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문화자본 이론 및 옴니보어 이론의 입장에서 한국 사회의 문화적 경계의 변화를 가져오는 원리들에 대해 경험적 자료를 통해 분석하였고, 또한 문화적 위계가 내재적 계급 구분에 의해 또한 외래문화의 수용에 의해 두 차원에서 형성되었을 가능성에 대해 역시 경험적 자료를 통해서 분석하였다. 사회경제적 및 사회 인구적 구분을 대변하는 교육 수준과 연령에 따른 집단별 평균 비교를 통해서 문화자본 이론 및 옴니보어 이론이 주장하는 바를 검증해본 결과 두 이론 모두 일정하게 지지를 받았다. 문화적 위계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응답자의 장르별 선호 패턴을 이용해 다차원 척도를 구성한 결과 서로 구분되는 장르들의 집락을 확인할 수는 있었지만 이러한 장르들의 집락 구분의 축은 우리가 찾고자 했던 고급/저급과 한국/외래의 축과는 차이가 있었다. 한국/외래의 축은 비교적 잘 보이는 반면 고급/저급의 축보다는 대중/비대중의 축이 나타났기 때문이다. We analyzed empirical data from survey on musical tastes in order to investigate how cultural boundaries of Korean people correspond to their socio-economic status and how cultural hierarchy is perceived in Korea. Cultural capital theory of Bourdieu and omnivore theory of Peterson provided explanations for scio-economic correlates of cultural boundaries, and historical study on changing cultural hierarchy in America is adapted to include influence from foreign culture. Analysis of data provided partial support for both cultural capital theory and omnivore theory. Multi-dimensional scaling showed that clusters of distinct musical genres exist but their positions don't correspond exactly to two-dimensional space constructed by foreign/domestic and high/low distinction. While foreign/domestic distinction appears salient, high/low distinction is not.

      • KCI등재후보

        한국 근대적 음악계의 형성과 분화

        한준(Han Joon),한신갑(Han Shin-Kap),장유정(Zhang Eu-jeong),권도희(Kwon Do-Hee) 한국문화사회학회 2011 문화와 사회 Vol.10 No.-

        본 논문은 1930년대를 전후한 식민지 한국에서 근대적 음악계가 형성되는 과정 및 그 특성을 사회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근대적 음악계가 한국에서 본격적으로 모습을 갖추기 시작한 것은 식민지하의 1930년대였다. 과거로부터 내려온 전통음악에 덧붙여 서양음악이 도입되고 당시 새롭게 등장한 대중음악의 활발한 전개 속에서 근대적 음악계는 형성되었다. 본 논문은 근대적 음악계의 특성 중에서도 장르의 구분이 명확해지는 과정과 아울러 작곡가와 가수의 관계가 변화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당시 녹음된 유성기 음반의 자료를 사회연결망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서로 다른 장르간의 경계 구분이 명확해지고 동일 장르 내의 상호작용이 활발해지는 경향을 발견하였으며, 작곡자와 가수 간의 관계는 대중음악계의 불확실성을 반영하여 지속적으로 재편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We examine the formation and differentiation of the modern music world in colonial Korea in the 1930s. While the legacy of traditional music Persisted Korean modern music world was also heavily influenced by the newly introduced Western music and Japanese popular music. The modern music world in Korea evolved in that mixture. We focus on the boundary dynamics among different musical genres and the relational dynamics between composers and singers. Our analysis of two-mode network data (genre-singer, genrecomposer, and composer-singer) reveals that, our analysis find that the boundary between genres became more established over time a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sers and singers showed limited stability reflecting the high level of uncertainty in the popular music market.

      • KCI등재

        나이테 다시 그리기

        김이선(Ee-Sun Kim),한신갑(Shin-Kap Han) 한국사회학회 2014 韓國社會學 Vol.48 No.4

        사람들은 나이에 따라 사회적 위치가 달라지고, 경제활동이나 정치적 태도, 문화적 경험, 그에 따른 사회적 정체성과 행동양식까지도 변한다. 그래서 연령은 사회과학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기본 속성 중 하나다. 그러나 많은 분석 과정에서 연령은 그 중요성에 비해 지나치게 단순한 방식, 즉 5년, 10년 등의 등구간 범주로 사용되고 있다. 사회구조 안에서 발생하는 생애 사건들과 그에 따른 역할관계의 변화를 연령이라는 변수에 담아내기 위해서는, 나이에 따른 사회적 관계 변화를 반영하는 연령 구간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사회적 도움이 필요한 세 가지 상황에서 누구에게 어떤 지원을 요청하는가를 바탕으로 사회적 지원 연결망을 구성하고, 이 연결망이 연령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가를 분석하여 새로운 연령 구분선을 그어 보았다. 2004년 한국인의 사회적 지원 연결망은 배우자와 친한 친구로 구성된 중심층과, 부모·자식·형제로 구성된 중간층, 여타 주변층으로 이루어진다. 연결망의 구성은 연령에 따라 달라졌는데, 혼인기에 배우자가 등장하여 중심층을 이루다가 노년기에 사라지고, 나이가 들수록 부모와 친구의 비중은 줄어드는 대신 자녀와 이웃의 비중이 늘어나는 등 한국인의 생애주기를 보여주었다. 이 변화를 기준으로 판별분석을 통해 연령구간을 재구성했다. 이렇게 재구성한 연령구간은 정치적 태도나 사회적 지원 행위, 가족과 친구에 대한 가치관과 같이 나이에 따라 변하는 준거변수들에서 연령구간별 차이를 기존의 방법에 비해 보다 명확히 드러내보였다. Age is one of the key indicators reflecting person’s social role and position. What they mark socially changes through the life course and is shaped by the social structures and norms therein. The ways in which age is typically employed in the social science research, however, do not account for this variable yet discrete nature ? either by treating it as a continuous and linear variable or a categorial variable with arbitrarily assigned intervals. It should denote and distinguish different statuses of life course and social positions. To illustrate the issue, we reconstruct age categories based on theoretical and empirical grounds: social network theory and social support network data from KGSS 2004, respectively. In the analysis, we find the following: 1) The social support network of Koreans shows a three-tiered hierarchical structure with core (spouse and close friends), middle (parents, children, siblings, children, and neighbors), and periphery strata (the others). 2) Shape and content of the social network change through the life course, which could be categorized into six stages. The new categorization shows better ? statistically stronger and substantively cleaner ? performance with regard to some of criteria variables (political attitude, behavior of social support, values for family and frien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