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940년대 판소리와 창극 연구

        김민수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13 국내박사

        RANK : 250671

        This thesis is intended to identify the reality of Pansori and Changgeuk ('Korean traditional opera') through investigating patterns of their activities under the social background in the 1940s which is divided into the first and the second half in that period depending on the nature of social background. In the 1940s, there was different social environment in which were the strong control over a performance culture conducted under wartime at the end of the Japanese occupation and an eager to revive the national culture in a new era began with Independence. Nevertheless, Pansori and Changgeuk in the 1940s were adapted to a given period and gave Pansori and Changgeuk activities in the upcoming 1950s prospects by continuing the accomplishment of the 1930s steadily. The evolution of Pansori and Changgeuk in the 1940s can be summerized as follows. Pansori and Changgeuk in the 1940s were an extension of the prosperous activities in 1930s. Pansori of the 1930s was actively performed through Clean Pansori Movement and other projects led by Korea Melody Association formed in 1930. Also, in the 1930s, Master Singers' Competition of the original performance style which started from the 1920s under the auspices of newspapers and other organizations providing main stages for Pansori were prevailed throughout the country. Like this prevalence of Master Singer's Competition acted as an factor to make Pansori promoted and prevailed it in nationwide. In the 1930s, Pansori performance as Changgeuk gradually increased with the efforts of Korea Vocal Music Study Association from its formation in 1934. With the Association that had a producer and adapter to apply itself to spruce up the form, Changgeuk came to have clearly distinguished dramatis personae and a perfect paraphernalia including appropriate costumes and stage lighting. Furthermore, it used various musiucal instruments for accompaniment, thus perfecting the frame of Changgeuk. Chapter III surveys the development of Pansori and Changgeuk in the early 1940s, which underwent changes in the wake of the cultural control policy strongly enforced throughout Korea by Japanese Imperialists on a war footing. Starting in December 1940, Japanese Imperialists put all performance culture in Korea under their control and formed various associations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it as entertainment for efficient war operation. Korea Vocal Music Study Association that had been active became affiliated with Korea Theater Association, while some of the Association's members were affiliated with Korea Music Association. Besides, several small Changgeuk companies were active as members of Korea Entertainment Association. To make sure that all performances were possible with permission from them, Japanese Imperialists put a comprehensive ban on all autonomous activities of Pansori organization. Moreover, Japanese Imperialists shut down the two local dailies of Chosunilbo and Dongailbo to force the simultaneous disappearance of 'excellent singers' competitions' previously flourishing around the country. Meantime, as Japanese Imperialists made sure that all Pansori performances were possible through the events supervised by Maeil shinbo and Korea Music Association as their arms, Pansori performance in the early 1940s suffered a drastic decline. Changgeuk in the early 1940s had its legitimate start with Hwarang Changgeuk Company, created as a spinoff from Korea Vocal Music Study Association. Especially the new pieces of Changgeuk performed by the companies in that period were created by the writers who belonged to Korea Playwrights Association. Japanese Imperialists formed Korea Theatrical Culture Association by merging Korea Theater Association and Korea Entertainment Association to further promote the activity of the Changgeuk companies. The Changgeuk companies steadily performed with the existing Changgeuk, the pro-Japanese works provided by Korea Playwrights Association, and the new pieces with sure-fire commercial potential. Japanese Imperialists not only let the Changgeuk companies perform in Japanese, but also politically charged plays in conformity to the wartime regime. Furthermore, in an attempt to bring maximum nationwide publicity to their colonial policy, Japanese Imperialists encouraged the regional performance by the Changgeuk companies, thereby turning them into entertainment as a tool of their political propaganda. Chapter IV checks how Pansori and Changgeuk responded to the period after the national liberation when people had such a strong craving for a revival of the national culture. After the brief euphoria following the Liberation, the Korean society was awash in the conflict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Nonetheless, the Korean traditional musicians were united in creating Korean Classical Music Hall to rebuild Korean classical music and promptly engaged in independent activities. Especially, Korean Classical Music Hall formed Gukgeuksa ('Korean Theater Company') and operated with a focus on Changgeuk, a comprehensive performance art form that ensured participation of all genres of the Classical Music Hall. Meanwhile, the Korean traditional musicians called the traditional music and Chenaggeuk each "gukak" ('national music') and "gukgeuk" ('national theater'), and made efforts to inscribe anew the national music with the advent of a new era. As Dongailbo and Chosin Ilbo that had been closed in the late 1940s resumed their publication and new newspapers like Kyunghang Shinmun were founded, not only 'excellent singers' competitions' but also new types of performances came in sight, thus revitalizing Pansori performance. Especially the 'excellent singers' competitions' and new performances that appeared after the national liberation provided in outdoor settings a combination of traditional Korean music and folk entertainment, thereby contributing to the elevation of the national spirit through revival of the national culture. Immediately after the Liberation, there appeared Yeolsaga, a newly-created Pansori piece based on a story of four independence fighters who resisted the Japanese Imperialists. Yeolsaga, created by Park Dong-sil with lines that inspired anti-Japanese spirit and in pursuit of a popular quality that ensured everyone's sing-along, would be loved by all nation for the next two decades. Its popularity made a considerable contribution to reviving Pansori whose popularity was slowly recovering with the Liberation. Changgeuk in the late 1940s was performed mostly by Gukgeuksa, the umbrella of Korean Classical Music Hall. The organization made efforts to clear up the remaining influence from the Changeeuk activiti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Occupation by presenting the existing pieces as well as the newly-created ones by new writers. After the Liberation, several small Changgeuk companies were engaged in their independent activities around the formation of Gukgeuksa. Notably, Gwangju Vocal Music Study Association promptly united Pansori singers into a Changgeuk company as its umbrella organization, which spearheaded Changgeuk performance ahead of Gukgeuksa. Besides, women's Changgeuk groups formed after the creation of Gukgeuksa instantly found popularity among people, predicting a change in performance with diversification of the genre. 본 논문은 1940년대를 그 시대가 지닌 특성에 따라 일제강점기말을 전반기로 광복 이후를 후반기로 구분하여 판소리와 창극의 활동양상을 그 사회적 배경과 함께 파악하여 1940년대 전개된 판소리와 창극의 실상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40년대 전반기에 일제는 전시체제 하에 공연문화에 대한 강력한 통제 정책을 실시하였다. 1940년대 후반기인 광복 이후는 광복과 함께 시작된 새 시대의 도래에 따른 민족문화를 부흥하고자 열망하던 때였다. 이렇듯 1940년대는 사회적 격변기에 따른 시대적 특성이 선명하게 양분되었던 혼돈의 시기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40년대 판소리와 창극은 그 시대에 적응하며 1930년대 번성했던 판소리와 창극의 성과를 꾸준히 지속시키고 조금씩 성장시키며 이어질 1950년대 판소리와 창극 활동의 전망을 밝게 해 주고 있었다. 주어진 시대에 때로는 수긍하고 때로는 대응했던 1940년대 판소리와 창극의 전개과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940년대의 판소리와 창극은 1930년대의 융성했던 그 활동의 연장선상에서 시작되었다. 1930년대 판소리는 1930년에 결성된 조선음률협회가 판소리 정화운동과 함께 주최했던 단체의 기획물을 통해 활발히 공연되었다. 또한 이전부터 신문사와 여러 단체의 후원을 통해 판소리에 주요무대를 제공해 왔던 순수 연주회 형식의 명창대회가 전국에 걸쳐 개최되며 큰 인기를 끌었다. 이와 같은 명창대회의 성행은 판소리 공연을 융성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창극은 1934년 결성 이후부터 시작된 조선성악연구회의 노력으로 판소리 작품들이 점차 창극으로 공연되었고 신작 창극까지 선보였다. 연출자와 각색자를 두고 정비에 몰두했던 조선 성악연구회의 창극은 모든 배역이 명확히 구분되었으며 작품에 맞는 의상을 구비하고 무대조명까지 갖추게 되었다. 나아가 다양한 반주악기가 동원되는 등 마침내 창극으로서의 형태를 완비하였다. 이처럼 번성했던 1930년대 판소리와 창극 활동은 1940년대로 지속되었다. 1940년대에 접어들면서 일제는 1940년 12월을 시점으로 전시체제기에 따른 강력한 통제 하에 조선의 모든 문화 분야를 자신들의 전쟁 수행을 위한 도구로 이용하고자 각종 협회를 조직하고 관련 단체를 강제 가입시켰다. 이에 따라 활발히 활동 중이던 조선성악연구회는 조선연극협회에 소속되었고 단체의 주요 구성원들은 조선음악협회에도 가입되었다. 이밖에 여러 군소창극단은 조선연예협회에 소속되어 활동하게 하였다. 일제는 모든 공연을 일제의 허가를 통해서만 가능하도록 하여 판소리 창자들의 자율적인 활동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였다. 또한 일제는 민족지였던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를 강제 폐간시켜 전국에 걸쳐 번성했던 명창대회를 사라지게 하였다. 그리고 일제는 자신들의 관변단체였던 ≪매일신보≫와 조선음악협회가 주관하는 행사를 통해서만 판소리를 공연하도록 조치하면서 1940년대 전반기 판소리는 급격히 위축될 수밖에 없었다. 1940년대 전반기 창극의 초기 활동은 조선성악연구회와 이 단체에서 분립하여 창단한 화랑창극단에 의해 본격화되었다. 1942년 일제는 공연문화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기 위해 조선연극협회와 조선연예협회를 통합, 조선연극문화협회를 발족하면서 활동 중이던 여섯 개의 창극단을 세 개로 강제 통합시키고 창극 활동을 더욱 선동하였다. 창극단들은 기존 창극뿐 아니라 일제가 작품의 규제를 위해 조직한 극작가협회가 제공하는 친일성향의 작품과 흥행성 위주의 신작 창극으로 지속적인 공연활동을 전개하였다. 일제는 일본어 상용 정책에 발맞춰 창극단들로 하여금 일어극을 공연하도록 하였고 전시체제기에 따른 시국극도 공연시켰다. 나아가 일제는 식민 정책이 전국에 걸쳐 선전될 수 있도록 창극단들의 지방공연을 독려 하여 창극을 그들의 정치적 선전도구로 전락시켜 철저히 이용하였다. 한편 1940년대 전반기의 창극은 배역의 세분화에 따른 분창과 대화체 구사가 자연스러웠으며 창극에 수성반주를 사용하여 극적 효과를 배가시키고 있었다. 또한 창극의 대목과 사설은 소리를 축소하거나 새로 짜 넣고 대화체 아니리를 사용하는 등 효율 적으로 구사되고 있었다. 이렇게 1940년대 전반기 일제의 철저한 통제 속에서 전개되었던 판소리와 창극 활동은 광복으로 일시에 종식되었다. 1940년대 후반기 광복 직후에는 첨예한 좌우대립으로 사회는 혼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통 음악인들은 단결하여 일제의 음악활동을 청산하고 민족음악 수립을 통한 국악의 재건을 위해 국악원을 창설하고 주체적인 활동에 신속히 착수 하였다. 특히 국악원은 산하에 국극사를 창단하고 종합공연예술형태로써 전통음악 분야를 고루 참여시킬 수 있는 창극을 중심으로 활동을 전개하였다. 한편 전통 음악인들은 광복 이후 새로운 시대에 부응하고자 전통음악을 ‘국악(國樂)’이라 칭하고 창극을 ‘국극(國劇)’이라 부르며 민족음악을 새롭게 각인시키고 있었다. 광복 이후에는 일제하에 폐간되었던 ≪조선일보≫와 ≪동아일보≫가 복간되고 ≪경향신문≫ 등의 새로운 일간지가 창간되어 명창대회를 비롯한 여러 공연들을 후원함에 따라 판소리 공연도 활기를 되찾기 시작하였다. 특히 광복 이후에 열린 명창대회와 새로운 공연물들은 야외무대를 배경으로 전통음악에 전통 민속놀이를 가미하여 민족문화의 부흥을 통한 민족정신을 고취시키는데 앞장서고 있었다. 판소리의 활기와 더불어 광복 직후에는 일제에 항거한 네 명의 열사를 주제로 한 신작 판소리 <열사가>가 등장하였다. 박동실이 작창한 <열사가>는 항일의식이라는 시대정신이 반영된 사설에 누구나 부를 수 있는 대중성을 추구하여 만들어짐에 따라 등장 이후 20여 년간 사람들에게 애창되었다. <열사가>의 인기는 광복과 함께 회복되어 가던 판소리를 부흥시키는데 기여하였다. 1940년대 후반기 창극은 국악원 산하의 국극사를 중심으로 공연되었다. 국극사는 기존 창극뿐 아니라 새 시대에 따른 새로운 작가들의 참여에 의한 신작 창극을 선보이며 일제강점기의 창극 활동에 대한 잔재를 청산하고자 노력하였다. 광복 이후에는 국극사 이외에도 여러 군소창극단이 활동하며 창극을 활성화하는데 일조하였다. 특히 광복 직후에 결성된 광주성악연구회는 사회의 혼란 속에서도 국극사에 앞서 판소리 창자들을 신속히 결집시켜 산하에 창극단을 결성하고 창극공연을 이끄는 선도적 역할을 하여 이후 국극사의 창극 활동에 힘이 되어주었다. 또한 국극사 창단 이후에 결성된 여성창극단체는 등장과 함께 대중들의 관심과 인기를 끌며 차후 창극의 다양화에 따른 공연판도의 변화를 예고하고 있었다. 이처럼 1940년대는 전반기의 일제에 의한 통제와 후반기의 광복에 따른 새 시대라는 이 시기가 지닌 시대적 특성으로 인해 혼란했다. 그러나 1940년대 판소리와 창극은 이러한 공연환경 속에서도 1930년대에 이뤄낸 판소리와 창극의 성과를 지속과 성장으로 꾸준히 이어가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1940년대에 전개된 판소리와 창극은 1950년대로 이어질 판소리와 창극 활동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면에서 의의가 있다고 보았다.

      • 한국 사회의 장애인 자립생활에 대한 연구

        나랑어치르 볼강치멕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고는 사회복지학의 한 분야인 장애인복지에 대한 연구로서, 한국사회의 장애인 자립생활에 대한 접근이 개인의 문제를 넘어선 사회와 구성원 전체의 문제라는 관점으로 접근한다. 이를 위한 사례연구로서 성남시 장애인 복지의 현황과 정책, 그리고 자립생활센터의 내용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성남시 <중원장애인자립생활센터>와 <분당장애인자립 생활센터>에 방문하여 서비스체계와 활동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하고, 기본서비스가 되는 권익보호, 동료상담, 활동보조 서비스, 주택개조 서비스, 정보제공 및 서비스 연결, 자립생활훈련, 보장구 서비스 등의 현황과 실태를 조사 연구한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2장에서는 한국 장애인 자립생활의 개념, 장애에 대한 사회적 관점, 한국에서 장애인복지 모델의 전환배경 등에 대해 살펴본다. 1절에서는 한국 장애인 자립생활의 개념과 한국에서 장애인 자립생활의 이해 등을 살펴본다. 2 절에는 장애인에 대한 이론적 관점을, 재활에서 사회학 관점에 이르는 내용 등을 살펴본다. 3절에서는 한국에서 장애인복지 모델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에 대해서 살펴본다. 제3장에서는 한국에서 장애인 자립생활의 전개를 살펴본다. 1절에서는 장애인 자립생활의 역사, 2절에서는 장애인 자립생활센터의 서비스 유형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제4장에서는 성남시 장애인 복지의 현황과 정책, 그리고 장애인자립생활센터에 대한 정의, 기관들의 기능과 역할, 서비스, 필요성에 대한 상황과 현황 등을 살펴본다. 1절에서는 성남시의 장애인 복지에 대한 현황을 살피고, 2절 에서는 중원장애인자립생활센터와 분당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역사와 서비스의 현황을 살펴본다. 제5장에서는 성남시 지역 장애인 자립생활에 대한 심층조사를 통해 자립 생활에 대해 살펴본다. 1절에서는 조사 대상과 자료를 수집하고, 2절에는 자립생활센터의 특징을 분석한다. 3절에서는 자립센터와 장애인의 연결을, 4절 에서는 서비스 이용자의 특성과 만족도를, 5절에서는 자립생활센터의 장애인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살펴본다. 제6장 결론에서는 장애인의 자립생활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네 가지로 제안해 보았다. 첫째, 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운영상에서 발견된 재정적인 어려움과 인력 확보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 확대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중앙정부인 보건복지부와 성남시청이 장애인자립생활에 대한 예산 조정을 통해서 적극적으로 해결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문제에서 문제가 된 재정 적‧인적 문제들을 해결 할 수 있다. 둘째, 장애인자립생활센터와 장애인을 연결할 수 있는 공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서비스를 홍보할 수 있는 공간과 장애인들이 연계될 수 있는 물리적‧가상적 공간 등의 마련을 제안하였다. 셋째, 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서비스를 이용한 결과에 따른 문제는 서비스를 좀 더 확대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현재 장애인 자립생활센터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유형은 11가지이지만, 실제로 센터에서 제공하고 운영되고 있는 서비스는 9가지를 밑돌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장애인자립생활센터를 이용할 수 있는 자격, 활동보조 서비스의 시간의 확대 등을 제안하였다. 넷째, 장애인자립생활센터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역량강 화를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서는, 장애인 스스로가 자신의 삶에 좀 더 애착을 갖고, 삶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줄 수 있는 교육이나 세미나, 자조모임 등의 지원을 제안하였다. This is a study of the welfare of the disabled, which addresses the issue from the view that the independent living of the disabled is not only an individual matter but also a social concern. This case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e of affairs and the government policies for the welfare of the disabled by looking at the Centers for Independent Living in Seongnam. Information for this study was gathered through site visits to the Centers for Independent Living of the Disabled in the Jungwon and Bundang districts. During such visits, I ha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taff, parents of the disabled, and the disabled people. This study begins with a review of the concepts of independent living of the disabled in Korea, including the social model of disability studies and background information regarding the change of models of disability welfare. Next, this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of the independent living of the disabled in Korea, beginning with a review of the history of independent living of the disabled and proceeding to an explanation of the types of services provided at the Centers for Independent Living. The following section scrutinizes the current system and policies for the disabled in Seongnam, including a definition of the Centers for Independent Living of the Disabled and an analysis of the functions, roles, services, and necessity of the institutions. This begins with a descrip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welfare for the disabled in Seongnam, and then proceeds to look into the history and services of the Centers for Independent Living of the Disabled in Jungwon and Bundang. In-depth research is then presented on the independent living of the disabled in Seongnam. This includes the presentation of research material collected through surveys and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enters for Independent Living. This study then investigates the link between the centers and the disabled by discussing the service users and their levels of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s provided, and by discussing the programs for helping the disabled in the Centers for Independent Living. This study concludes by making four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centers for independent living of the disabled. First, financial support from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s requir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budget and human resources in the centers. The Departments of Health and Welfare in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Seongnam City Hall need to take more proactive actions in terms of their budgets for the independent livings of the disabled. Financial support from these government agencies would help the centers solve financial difficulties. Second, the establishment of facilities for the promotion of services of the centers should be done as a solution the problem of a lack of connection between the centers and the disabled. Third, the centers need to expand their services. While eleven types of services are supposed to be provided at the centers, in actuality only nine of these are available. In addition,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centers enlarge the qualifications for the use of the centers and extend the operating opening hours for activity supports. Fourth, in order to develop the programs for helping the disabled who use the centers, more support needs to be made for providing education, through seminars and self-help meetings, which may help the disabled overcome their disabilities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lives.

      • 이슬람 금융의 한국 도입 가능성에 대한 연구 : 이슬람 은행과 채권을 중심으로

        압둘라힘 모함메드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50671

        세계 경제는 2008년 미국 발 경제위기를 기점으로, 2000년대부터 시작 된 세계 경제위기의 징조가 현실화 되었다. 2007년과 2008년의 세계 경제률은 각각 5.3% 와 2.8%을 기록하였지만, 금융위기 이후에는 2009년에는 -0.6%의 성장에 머물렀다. 이러한 세계경제위기 가운데에서도 이슬람 금융이 비교적 안정적인 성과를 거두었다는 점에 경제학자들은 주목하였다. 이슬람 금융이란 이슬람율법인 샤리아에 근거하여 이자가 배제된 금융거래를 말한다. 또한 샤리아는 불확실한 계약과 투기, 도박행위를 금지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이유로 금융기관들의 무분별한 거래행위가 근본원인이었던 2008년 위기에서 이슬람금융은 회피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유에서, 이슬람 금융을 중심으로 걸프국의 오일머니를 자국의 자본시장에 유치하려는 움직임 활발해졌고, 이슬람 금융이 급속하게 성장하였다. 또한 이슬람인구가 증가하면서 전통 금융보다 이슬람법에 부합하는 이슬람금융의 수요가 많아졌다.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이슬람 국가를 물론이고 유럽, 미국, 일본과 싱가포르 등 과 같은 나라들은 이슬람 금융을 도입했고 잘 활용하고 있다. 한국정부 또한 이슬람 금융에 대한 관심을 가졌으며 이를 도입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을 하고 있다. 한국정부는 2009년 이슬람 금융 도입을 위한 조세특례 제한법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하였지만 부결되었다. 이는 이슬람 금융의 금융적인 지식 및 문화적 이해의 부족에 한국은 이슬람 금융 도입에 걸림돌로 보이는 조세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문화적인 장애요소를 극복하고 이슬람 금융을 도입한다면 안정적이고 새로운 자금조달원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한국에 유입된 자본은 대체로 미국이나 영국과 독일 등 주로 선진국 자본들이다. 이슬람금융의 한국 도입은 중동과 동남아시아 지역의 자본을 유치의 기회를 제공하고, 자금공급원을 다양화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슬람 금융이 근거한 샤리아의 기본적인 원리를 설명하고 이슬람 금융의 발전 역사를 살펴본다. 또한 이슬람 금융 시장 중 이슬람 은행 시장과 이슬람 채권 시장(수쿠크)을 중심으로 일반 금융과 비교와 분석을 통해 이슬람 금융의 기본적인 구조와 특징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를 전제로,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의 원인을 살펴보고 이슬람 금융이 안정적인이었던 이유들을 분석하고자 한다. 마지막에는 한국이 이슬람 금융 도입에 직면하는 조세적인 장애 및 문화적인 장애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omen of global economic crisis that resulted from the 2008 US financial crisis has come true. The global growth rate was 5.3% in 2007 and 2.8% in 2008 respectively, however, after the financial crisis it reached -0.6% in 2009. Islamic Finance, meanwhile, obtained relatively stable growth, which has drawn economists' attention. “Islamic Finance” refers to financial transactions which rule out interest based on Shari'a, Islamic law. Also, the reason Islamic Financial institutions were able to avoid the global crisis in 2008 which was caused by reckless transactions of financial institutions was because Shari ‘a forbids ambiguous contracts, speculation and gambling. For this reason, a lot of countries started to try to attract oil money from the Gulf into their capital markets which lead Islamic Finance to grow dramatically. In addition, as the Islamic population increases, so does the demand for Islamic Law which is more suitable than traditional finance. In order to satisfy this demand, not only Islamic countries, but Europe, the U. S, Japan and Singapore have also adopted Islamic Finance and are utilizing it successfull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lso recognized Islamic Finance and is making an active attempt to adopt Islamic Finance. The Korean government submitted an amendment bill for a 'special taxation measures' law to adopt Islamic Finance in 2009, however, it was rejected. This was due to a lack of financial knowledge and cultural understanding concerning Islamic Finance. The South Korean government would be able to obtain stable and new financial sources if it can overcome the cultural obstacles and solve the taxation problems that hamper the adoption of Islamic Finance. The current foreign capital that is flowing into Korea consists of developed-countries' capital such as English and German capital. The adoption of Islamic Finance would provide the chance of adopting capital from the Middle-East and help to diversify sources of finance. This study explains the basic principles of Shari’ a, on which Islamic Finance is based and examines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Islamic Finance. Also, the fundament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Islamic Finance will be examined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between traditional finance and Islamic Finance by focusing on the Islamic Banking market and the Islamic Bond market. Based on this discussion, this study will determine the cause of the 2008 US financial crisis and analyze reasons why Islamic Finance remained stable. At the end of the study, an examination of taxation practices and cultural obstacles which hinder the adoption of Islamic Finance in South Korea and solutions to these problems will be off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