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강화 고구리암각화의 성격과 의미

        한국암각화학회 한국암각화학회 2015 한국암각화연구 Vol.19 No.-

        2014년 11월 22일 울산대학교 반구대암각화유적보존연구소와 한국암각화학회는 강화 교동 도 화개산 일원에서 선각암각화 1곳, 바위구멍 유적 2곳, 윷판형 암각화 1곳을 새로 발견하였 다. 고구리암각화는 한반도 최북단에 소재한 무산 지초리암각화를 제외하면 한국 암각화 가운 데 가장 북쪽에서 발견된 유적이다. 대부분의 암각화 유적이 경상남북도 지역에서 발견되었음 을 고려하면 강화 고구리암각화는 한국 암각화 문화권을 한반도 중부까지 확대시킬 수 있게 하 는 유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제주도를 제외한 일반 도서지역도 암각화 문화권에 포함시킬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도 강화 고구리암각화의 발견과 보고는 연구사적 의의를 지닌다고 하겠다. 강화 고구리암각화는 각선과 바위구멍을 조합시킨 선각암각화이다. 선각암각화는 경주, 포항 등 경상남북도에서도 여러 차례 발견되었고 제주도 광령리에서도 확인되었다. 한국의 암각화 연구자들은 선각암각화를 한국 청동기시대 후기의 농경용 기우의례, 혹은 풍요의례와 관련하여 해석하기도 한다. 강화 고구리암각화에도 이와 같은 해석이 적용될 수 있는지는 앞으로의 연구 를 기다려야 할 것이다. 현재까지 발견된 선각암각화는 암각화유적에서 확인되는 다음과 같은 요소를 고려하며 연구될 필요가 있다. 암각화 유적이 물과 관련이 깊은 곳에 입지하는 경향, 암각화 유적 주변에 고인돌 무덤을 비롯한 청동기시대 문화의 흔적들이 다수 남아 있는 경우가 자주 보인다는 사실, 암각화 유적과 성혈유적이 같이 발견되는 사례가 적지 않은 점, 암각화유적 중 상당수가 성소로서의 이 미지를 덧입고 후대까지 신앙의례의 장소로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는 점 등이다. On November 22th 2014, University of Ulsan Bangudae Petroglyphs Conservation Institute and Korea Petroglyphs Research Association discovered in Gangwha Gyodong-do Hwagae mountain area one line engraving, two rock hole sites, and one grid-type petroglyph. Gogu-ri petroglyph is the northernmost site among Korean petroglyphs with an exception of Musan Jicho-ri in the uppermost region of Korean Peninsula. Considering that most of the petroglyphs were found in Gyeongsangnam- do and Gyeongsangbuk-do, Gogu-ri site expands the Korean petroglyph cultural zone to central Peninsula. Additionally, the discovery holds further academic value in that it brings regions other than Jeju-do into the petroglyph culture. Gangwha Gogu-ri petroglyphs consist of line engravings that connect holes on the rock surface. Line engravings have been found multiple times in various regions of Gyeongsangnam-do and Gyeongsangbuk- do including Gyeongju and Pohang as well as Gwnagryung-ri in Jeju-do. Korean petroglyph researchers analyze such line engravings in relation to late Bronze Age rain ceremony or fecundity rituals. Whether or not such analysis can be applied to Gogu-ri Petroglyph remains to be seen. Line engravings discovered until today need to be studied considering following factors: the fact that the site is usually located in places deeply related to water, the fact that dolmen graves and other traces of Brone Age culture are found along with the petroglyphs, and the fact that many of such sites are later sanctified to function as religious and ceremonial place.

      • 석검형ㆍ석촉형ㆍ검파형 암각화의 도상과 상징 - 남성과 여성의 성적 표현을 중심으로 -

        한국암각화학회 한국암각화학회 2015 한국암각화연구 Vol.19 No.-

        마제석검과 마제석촉은 청동기시대 고인돌무덤에서 대표적으로 출토하는 도구다. 석검과 석 촉은 무기, 의기로 사용되었으며, 남자들이 제작하고 소유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마제석검과 마 제석촉이 영일만 일대 포항, 경주지역의 암각화에 등장하고 있다. 영일 인비리 고인돌 개석에는 석검과 석촉 문양이 새겨져 있는데, 석검의 검파식(劍把飾)에서 장식(裝飾)이 등장한다. 석검의 검파식에서 파생된 검파형 문양이 흥해 칠포리에서 발달하고, 마제석촉이 경주 금장대 암각화에 서 인형상으로 묘사되어 나타나는데, 이 신상암각화는 조상신상(祖上神像)을 표현한 것으로 보 인다. 인비리의 석검문양은 남자생식기 문양으로 변모하는 모습도 보이고. 석검의 검파식이 석 검에서 분리되어 검파형으로 발달하면서 독자적인 신상암각화로 변모한다. 검파형 암각화는 여 자생식기 암각화와 함께 한곳에 새겨져 여자상 또는 여신상(女神像)으로 해석이 가능해졌다. 그 리고 여자생식기는 실물모사형부터 역삼각형의 도상까지 다양하게 제작되어 있다. 이와같이 칠 포리와 금장대 암각화에서 마제석검과 마제석촉의 주인공들이 종족번식과 풍요다산을 기원하는 신앙의례로서 석검형·석촉형·검파형·여자생식기형 암각화를 발달시켰다. 이처럼 성적 상징 의 암각화가 영일만 일대에서 발달할 수 있는 배경에는 장식석검이 있었다. 장식석검은 마제석 검의 검파식에 여러개의 구멍을 갈아파서 장식한 석검을 말하는데, 포항 흥해, 경주지역을 중심 으로 하는 경상남북도에서 출토하고 있다. 검파형 암각화도 흥해 칠포리에서 발달하여 경상남 북도 전역으로 확산되어 갔다는 점에서, 장식석검과 검파형 암각화는 상호 연관성이 매우 깊다. Majaesukgeom (a stone sword) and Majaesukchok (a stone arrowhead) are tools excavated from Dolmen. They were made during the period of Bronze. The stone swords and stone arrowheads were made by men and used as weapons and vessels for ritual ceremonies. These appear in petroglyphs found in Pohang around Youngilman and Kyeongju. There are stone swords and stone arrowheads carved on Dolmen in Inbi-ri, Youngil and the stone swords have a grip-like shape. This shape was developed in chilpo-ri, Hoonghae. Stone arrowheads appear as a doll in petroglyphs found in Gumjangdae in Kyongju, which looks like an ancestor. The stone sword-shape found in Inbi-ri has turned into a shape of man’s genital. The gumpa (grip of a stone sword) was separated from the stone sword and became an independent shape and it was called gumpahyeong (gumpa-shape). The gumpahhyeong petroglyph was interpreted as a shape of a woman or a goodness since it was carved with woman’s genital. The shapes of them were various, such as an inverted triangle and a copy of a woman’s genital. The petroglyphs carved in Sukgeom-shape, sukchok-shape, gumpa-shape, and woman’s genitalshape were developed via Majaesukgeom and Majaesukchok found in Chilpo-ri and in Gumjangdae for ritual ceremonies for breeding of the race and fertility. The back ground of the development of the petroglyphs that have genitals of male and female was Jangshiksukgeom. The Jangshiksukgeom is a sukgeom that has many holes on the grip of Majaesukgeom, which come from Gyeongsangnamdo and Gyongsangbuk-do, especially Pohang in Honghae and Kyeongju. The petroglyphs that have a Gumpa-shape were also developed in Chilpo-ri in Honghae and went to Gyeongsangnam-do and Gyongsangbuk-do, which suggests Jangshiksukgeom and Gumpa-shaped petroglyphs are connected each other.

      • 군위 수서리암각화의 발견과 의의

        한국암각화학회 한국암각화학회 2015 한국암각화연구 Vol.19 No.-

        검파형 암각화는 세계의 다른 지역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한국식 암각화로 부를 수 있다. 군위 수서리암각화는 경주 안심리 암각화의 조사 보고 이후 20년만의 검파형 암각화 발견 사례라는 점에서 한국 암각화 연구사상 지니는 의미가 크다. 군위 수서리암각화는 암각화 문화의 전파, 확산과정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학술정보를 제공 해주는 유적이다. 군위 수서리암각화는 형산강이 흐르는 경주와 포항 일대에서 시작된 검파형 암각화의 조형 감각과 제의 관념이 영천을 거쳐 고령으로 이어지는 남쪽 길 외에 영천에서 군위 를 지나는 북쪽 길로도 전파되었음을 알게 한다. 선사 및 역사시대 초기를 아우르는 종교제의 및 미술문화 전파 경로가 여러 갈래였음을 확인시켜 주었다는 점에서 군위 수서리암각화가 지니는 종교문화사적 의의는 높이 평가 받아야 할 것이다. As hilt motif petroglyphs are not found in any other regions in the world, they can be reasonably categorized as Korean style petroglyphs. Gunwi Suseo-ri petroglyphs hold much meaning as it is the first discovery of hilt motif petroglyphs in twenty years since the examination of Gyeongju Anshim-ri. Gunwi Suseo-ri petroglyphs provide important academic information regarding the spread of petroglyph culture. The site shows that the formal characteristics and the ceremonial concept of hilt motif petroglyphs that originated in Gyeongju and Pohang regions spread south to Youngcheon through Goryeong and north to Gunwi. As a reminder of the fact that religious practices and artistic culture from prehistoric to early historic times spread through many routes, Gunwi Suseo-ri petroglyphs hold much significance in religious and cultural historical context.

      • 암각화에서 샤먼표현의 형태적 속성

        한국암각화학회 한국암각화학회 2015 한국암각화연구 Vol.19 No.-

        한국 암각화에서 샤먼을 나타내는 표현상 속성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그동안의 한 국 또는 인근지역을 중심으로 조사된 암각화에서 샤먼이 갖고 있는 표현상의 속성을 살펴보면, 먼저 정적인 자세를 들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샤먼은 팔 다리 사지를 벌리고 정면을 향하여 서있 다. 따라서 정면성의 법칙을 갖는다. 이러한 속성아래 세부적인 표현방법을 보면 팔다리, 손 또 는 발, 그리고 손가락이나 발가락을 보다 크게 과장하거나 하나하나 묘사해서 나타내는 등의 표 현방법이 발견된다. 이상과 같은 사항은 그동안의 해외연구자들이 분석한 내용과도 크게 부합 하는 것으로서, 그들이 제기하는 수직형, 기원형, 신호형, 부유형으로 분류되는 샤먼의 자세와 도 비교해서 분석할 수 있었다. 샤먼의 고유한 표현속성으로서 정면성과 같은 것은 형태에 대한 순수한 이성적 접근을 가능하 게 하는 형태소에서 비롯된 현상이라고 할 수 있으며, 팔다리나 손 또는 발이 강조된다거나 허 공에 떠 있는 부유형의 모습으로 나타나는 경우, 이러한 표현상의 목적은 샤먼의 초월적 능력을 가시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데서 나온 것으로 판단된다. 본고에서 사람표현, 그 중에서도 샤먼을 바라보는 생각은 이상과 같다. 이러한 조건에 맞는 표 현물을 우선적으로 암각화에서 샤먼으로 분류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한국 암각화를 말하는 데 있어서, 대부분의 사람표현물을 의례적 현상과 관련해서 보고자 했던 시각은 달라져야 하며, 아울러 한국 암각화에서 샤먼과 같은 표현물은 반구대 좌측하단부의 사지를 벌린 사람이나 석 장동의 사람표현을 제외하고는 더 이상 샤먼으로 규정되기 어렵다. There are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ng shaman in Korean petroglyphs as follows:Shaman has a static posture. It stands facing forward with his legs wide apart and fingers or toes are described exaggeratedly or in detail one by one. Sometimes, there are some cases that it is in the air. The purpose of such expression is to show shaman’ transcendental capacity. This article tried to distinguish shaman from the expression of peoples depending on the above contents. Therefore, in Korean petroglyphs, we think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identify shaman, if excluding the picture 3-a or the expression of people in Seokjangdong.

      • 선사시대 바위그림에 표현된 인물상 고찰

        한국암각화학회 한국암각화학회 2015 한국암각화연구 Vol.19 No.-

        선사시대 바위그림에 표현된 인물상은 당시 집단의 정신세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상징이자 삶 의 단면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인물상은 흔히 신상처럼 독자적으로 표현되기도 하지만 동물이나 도구 등과 함께 하나의 장면을 연출하거나 현실세계에서 볼 수 없는 환상의 존재로 표현되기도 한다. 우리나라 선사시대 바위그림에 표현된 인물상은 반인반수상, 사냥이나 어로 등 장면 속에 표현된 전신상, 얼굴만 표현한 그림, 음문과 같은 생식기관이나 이를 기호화한 그림, 발자국, 의 인화한 듯이 표현한 그림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초자연적인 대상을 표현한 것으로 보이는 반 인반수상은 반구대와 천전리 암각화에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인물상은 종교나 신화적 스토리 를 배경을 갖고 있는 당시 집단의 제의의 대상으로 특별한 존재를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사냥이 나 어로 등 장면 속에 표현된 인물상은 대부분 전신상으로 표현되어 있다. 반구대암각화 인물상 에서만 남근을 표현하고 있으며 다른 유적에서 볼 수 있는 음문은 볼 수 없다. 이는 신석기 수렵 사회와 청동기 농경사회라는 시대와 생업의 차이에서 비롯된 상징 관념의 변화로 여겨진다. 청 동기 지석묘 집단에서 표현한 것으로 추정되는 암각화에서는 반구대암각화와 반대로 남근이 표 현된 인물상을 볼 수 없으며, 검과 생식기관을 모티브로 한 그림들이 많다. 청동기시대 암각화 에서 나타나는 생식기관을 모티브로 한 그림들은 남근/음문=검신/손잡이=검파형/삼각형=삼각형/역삼각형과 같은 이항적 대립구조를 갖는 기호와 의인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Anthropomorphe Character expressed on the rock art of prehistoric times is an important symbol that shows the inner world of the group of that period and a picture that shows an aspect of life. Anthropomorphe was often expressed independently as the figure of God, however it was created with a scene along with the animal or tool, etc..., or as the fantastic being that cannot be seen in the actual world. Anthropomorphe figures expressed on the rock art of Korean prehistoric times can be divided into half man and half beast figure, whole body figure that was expressed in hunting of fishing, etc., figure of the face, picture of generative organs as the vulva or that symbolized this, footprint, and the picture that expressed as if by personification, etc. Half man and half beast figure, which seemed to express supernatural object, could be found in Bangudae and Cheonjeonri rock art. Such character seemed to have expressed a special being based on the ritual ceremony of the group that had religion or mythic story. Anthropomorphe expressed in the scenes as hunting or fishing, etc. were mostly expressed in the whole body figure. Only Bangudae rock art human figure expressed the penis, which had no vulva that could be found in other relics. This is regarded as the change of symbolic concept based on the hunting period of Neolithic Age and agrarian society of Bronze Age and difference in occupation. In the rock art, presumed to have expressed in the dolmen group of Bronze Age, there’s no character expressed with penis, on the contrary to Bangudae rock art, however there are lots of pictures with the motif of sword and generative organs. The pictures of Bronze Age rock art based on the motif of generative organs were presumed to be the symbol with binominal conflict structure e.g. penis/vulva= god of sword/handle= Geompa type/triangle= triangle/inverted triangle and personification.

      • 岩刻畵에 나타난 性形象 그림에 대한 지역비교 - 사람 소재의 그림을 중심으로 -

        한국암각화학회 한국암각화학회 2015 한국암각화연구 Vol.19 No.-

        아시아 8개국, 아메리카 8개국, 유럽8개국, 중동과 아프리카 9개국등 모두 33개국에 분포한 암각화 중에서 사람이 모티프가 되어 전개한 성신앙의 성형상 그림들만을 가려내 형상별로 그 성격을 정리해 보았다. 그림은“남성상”과 여성상”,“교합상”과“임산상”,“수간상”으로 나누어 보았고 신앙의식 을 가름해 볼 제의그림을 따로 구분해 살펴보았다. 이 그림들은‘수렵과 어로’,‘목축과 농경’의“생업활동”그림과 祈子 등“생식행위”의 그 림 중에서 주로 등장하는데 집단의 번성과 풍요와 안전을 보장받기 위해 생식주술로 의례를 행 했던 제의물이다. 이 같이 그림 제작의 배경에 샤머니즘 사유세계의 의식을 폭넓게 공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나 타난 그림 양상에 있어서도 범세계적 지역 간 크게 다르지 않았다. 다만 시기가 지나면서 신앙 의식이 깊게 고도화됨에 따라 그림 형식에도 변화가 왔는데 초기 구상적 실상묘사의 회화성 그 림에서 후기 상징적 추상묘사의 도형그림으로 점차 遷移되어 갔다. 또한 철기 도구를 사용하면 서부터 만기에는 형상축약의 세선 그림이 새겨지기 시작했다. 이런 현상은 여성 그림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Select only sexual figures on petroglyph developed based upon anthropomorphic figures distributed in 33 countries (8 nations Asia, 8 nations in America, 8 nations in Europe, nine countries in Middle East and Africa), arranged according to its specific characters. As for the figures, divided “male figure”, “female figure”, “coitus figure”, “Pregnancy and Delivery Figure”, “ bestiality figure” and as for the religious figures, describing religious ceremony, divided seperately. These figures appeared mainly in the figures of occupational activities such as hunting and fishing, pasturage and agriculture, and coitus activities praying for their son, and all of these interpreted as religious materials praying for prosperity, abundance and safety for their community. As for the background in creating petroglyph, being having globally in common, shamanic speculative consciousness world, the appearance of the figures presented were not differed greatly according to the regions of the world researched. Only but, passing times, with the religious conception developed profoundly, the style of figures changed, such as depicting figures to symbolic and abstractive figures. And also, from the time of using iron implement, in later time, fine-lined figures engraved. And these phenomena were remarkable for the figures depicing female.

      • 울산 천전리 서석곡의 명문과 세선화에 보이는 여성

        한국암각화학회 한국암각화학회 2015 한국암각화연구 Vol.19 No.-

        본 논문은 울산 천전리 서석곡의 명문과 세선화에 보이는 여성을 통하여 그들의 역할이 무엇 이었는지, 그리고 제의형태는 어떠하였는지, 또 그것이 당시 사회에서 가지는 의미가 무엇이었 는지에 대하여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 울산 천전리 서석곡의 명문과 세선화에 보이는 여성들 은 제의에 참여하며 제의를 주재함으로서 신라 왕실의 초기 불교정책에서 대중화와 토착화를 주 도한 여사제들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제의가 거행된 시기는 새로운 왕의 즉위와 관련되어 있었 으며 불교정책이 추진되는 과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천전리 서석곡은 법흥왕으로부터 唐軍을 축출하며 삼국통일을 이루는 신라의 변혁과 도약의 시기에 여제사장이 주재한 제의 속에서 신라 불교의 대중화와 토착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 여줌으로서 울산 천전리는 고대로부터 이어온 전통종교의 맥을 계승하면서 한국 불교의 대중화 와 토착화를 이룬 곳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he women’s role through the letters and pictures of Chunjeonli(川前里) in Ulsan(蔚山). And how about the type of these rituals, and what is the social meaning of these rituals. As a result the women who were revealed to the letters and pictures were attended the ritual. And as a priestess, they heading up the rituals. These priestess were carried out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t with all social position and regardless of the gender. Also they carried out the perpetuating of Buddhist in Silla dynasty. This faith of Buddhism connected with defense of the fatherland religion. This sprit were centripetal force of unified three nations in Silla dynasty. It started at Chunjeonli in Ulsan. Ulsan seoseokgok(書石谷) is the place where the priestess were carried out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t and the perpetuating at 6th centuries.

      • 선사시대 바위 그림에 표현된 사람 형태에 대한 일 고찰 - 몽 베고(mont Bego), 발 카모니카(Val Camonica), 타실리의 바위 그림을 중심으로 -

        한국암각화학회 한국암각화학회 2015 한국암각화연구 Vol.19 No.-

        이 논문은 선사시대 바위 그림에 표현된 사람 형태에 대한 것이다. 인용된 자료는 바위 그림 유적지인, 프랑스의 몽 베고(mont Bego), 이탈리아의 발 카모니카(Val Camonica), 알제리 타 씰리(Tassili)의 바위 그림에 표현된 사람 형상들이며 후기 구석기 시대의 지닐 예술품(L’art Mobilier)에 표현된 사람의 형태는, 바위 그림에 표현된 사람 형상의 기원을 이해하기 위하여 인용되었다. 선사시대 바위그림에 표현된 사람의 형태는, 전체적인 사람 형태가 나타나는 경우와 부분 적 인 사람의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로 나뉘어진다. 때로는 사람과 동물의 형태가 합쳐진 반인반수 (半人半獸)의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으며 추상적인 형태로 표현되기도 한다. This paper aimed to research on anthropomarphic figures represented on prehistoric rock art. Materials cited are derived from the rock art figures in the sits of mont Bego(France), Val Camonica(Italy) and Tassili(Algeria). The anthropomorphic figures represented on mobile art in paleolithic age quoted to understand the origin of anthropomorphic figures on rock art. The anthropomorphic figures on rock art in prehistoric age are divided in 2 types : represented as whole body and partially. Sometimes, it appeared as the shape, mi- human-mi-animal, and also represented in abstract fig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