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시아인들의 슬관절 전치환술 이후의 체질량 지수의 변화

        최원기(Won-kee Choi),남준호(Jun-Ho Nam),전충무(Chung-Mu Jun),최승철(Seung Cheol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2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7 No.3

        목적: 아시아인들의 슬관절 전치환술 이후의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의 변화를 분석하고, 술 후 무릎 기능에 대한 체질량 지수의 영향과 체질량 지수 증가의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술자 1인에 의해 시행된 100예의 슬관절 전치환술에 대하여 전향적 관찰연구를 시행하였다. 비만은 체질량 지수가 25 kg/㎡ 이상으로 정의하였다. 수술 전과 수술 1년 후의 환자의 체질량 지수와 Knee Score와 Function Score로 구성된 Knee Society Score를 측정하였다. 결과: 수술 1년 후, 체질량 지수는 34예(34%)에서 감소 혹은 유지되었으며, 66예(66%)에서 증가되었다. 임상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판단이 되는 5% 이상의 체질량 지수의 증가는 28예(28%)에서 발생하였다. 5% 이상의 체질량 지수가 증가된 환자는 대조군에 비하여, 슬관절 전치환술 1년 후,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Function Score를 보였다. 나이와 술 전의 낮의 Function Score가 술 후 1년의 5% 이상의 체질량 지수의 증가와 관련이 있는 환자 인자였다. 나이가 1년 증가할수록 수술 1년 후의 체질량 지수가 5% 증가할 오즈비(odds ratio)는 0.905이었으며, 술 전의 Function Score가 1점 증가할수록 수술 1년 후의 체질량 지수가 5% 증가할 오즈비는 0.902이었다. 즉, 술 전 나이가 젊을수록, 술 전의 Function Score가 낮을수록 술 후 체질량 지수가 5% 이상 증가할 위험성이 높았다. 결론: 슬관절 전치환술 1년 후 5% 이상의 체질량 지수의 증가는 28%의 환자에게서 일어나며, 해당 환자는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Function Score를 보인다. 슬관절 전치환술 1년 후 5% 이상의 체질량 지수의 증가를 보이는 환자 요인은 나이가 젊은 환자와 술 전에 낮은 Function Score를 가진 환자였다. 그러므로, 술자들은 술 후 환자들에게 체질량 지수가 증가되지 않도록, 나이가 젊은 환자와 술 전에 낮은 Function Score를 보인 환자를 특히 중점적으로 교육하여야 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the body mass index (BMI) and the effects of BMI on the knee function and risk factors for an increase in BMI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TKA) in Asians. Materials and Methods: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was conducted on 100 cases of TKA performed by one surgeon. Obesity was defined as BMI ≥25 kg/m². The BMI and Knee Society Score, consisting of the Knee Score and Function Score, were measured on the day before surgery and one year after surgery. Results: The BMI decreased or was maintained in 34 cases (34%) and increased in 66 cases (66%) one year after surgery. An increase in BMI of 5% or more was considered a clin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BMI and occurred in 28 cases (28%). The patients with an increased BMI by more than 5%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knee function score. The age and preoperative function scor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BMI by more than 5%. As the age increased by one year, the odds ratio at which the BMI would increase by more than 5% one year after surgery was 0.905. Moreover, as the preoperative function score increased by one point, the odds ratio that the BMI would increase by 5% one year after surgery was 0.902. In other words, a younger preoperative age and a lower preoperative function score mean a higher risk of a more than 5% postoperative increase in BMI. Conclusion: The BMI increased by more than 5% one year after surgery in 28% of the TKA patients examined. They had a lower functional score. The risk factors for a more than 5% increase in BMI after TKA were young age and a low preoperative function score. Therefore, surgeons should educate patients, particularly those who are young or have a low preoperative function score, so that the patient’s BMI would not increase after surgery.

      • 견관절의 화농성 및 결핵성 복합 관절염의 관절경적 치료 - 증례보고 -

        고상봉,김신근,최원기,박재현,최창혁,Ko, Sang-Bong,Kim, Shin-Keun,Choi, Won-Kee,Park, Jae-Hyun,Choi, Chang-Hyuk 대한관절경학회 2008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2 No.2

        결핵은 새로운 항결핵제의 개발, 생활 여건의 향상, 예방 대책의 발달로 유병률이 적어진 질환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최근 예방 접종률의 저하와 항결핵제에 내성을 보이는 균주가 출연하는 등 다시 증가하는 추세이며 또한, 견관절 질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일차 치료로써 다양한 견관절내 주사 치료가 시행되면서 화농성 견관절염 역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저자들은 견관절의 결핵과 화농성 관절염이 동반 감염된 증례를 경험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관련 문헌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lthough the incidence of tuberculosis has been decreased due to new anti-tuberculous agents, improved socioeconomic status and development of multimodal preventive methods, in recent that is increased due to low vaccination rate and appearance of multidrug resistence organism. And the incidence of pyogenic shoulder joint arthritis is increasing due to frequent injection therapy as primary treatment. We have managed the mixed shoulder joint arthritis-pyogenic and tuberculous-with arthroscopic debridement and antituberculous medication successfully and then we report this case with relevant literatur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는 초심자에게 네비게이션이 줄 수 있는 장점

        조명래(Myung-Rae Cho),송석균(Suk-Kyoon Song),최원기(Won-Kee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1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2 No.5

        목적: 숙련된 술자와 인공 슬관절술을 단독으로 시작하는 초심자의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의 결과를 비교하고 초심자에게 네비게이션이 주는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의 경험이 풍부한 술자와 단독으로 슬관절 전치환술을 처음 시행하는 초심자가 2015년에 시행한 연속적인 각각의 60예의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의 결과를 후향적 방식으로 비교하였다. 수술 전과 술 후 3개월에 외래에서 스캐노그램을 측정하여 술 후 정렬과 골 절제의 정확성을 측정하였다. 네비게이션이 나타내는 숙련된 술자와 초심자의 대퇴부 외과적 상과축과 후방과축의 값을 비교하여 대퇴부 삽입물의 외회전을 비교하였다. 술 후 기능의 검사를 위해서 술 후 1년째 외래에서 Knee Society Score (KSS)를 측정하였다. 결과: 숙련된 술자는 60명 중 49명에서 술 후 안정적인 관상면상 축(hip knee ankle angle 값 0°±3°)을 획득하였으며 초심자는 60명 중 51명에서 획득하였다. 네비게이션에 표시된 대퇴부 외회전에 대해서는 골 지표의 입력 이후 표시된 대퇴부 상과축 값은 후방과축 값에 대하여 숙련자의 경우 평균 3.8°±2.9°, 초심자의 경우 평균 1.2°±3.0° 외회전되어 있었다. 대퇴부 상과축이 후방과축보다 내회전되는 것을 이상점(outlier)으로 보았을 때, 초심자에서는 60명 중 18명이, 숙련된 술자에서는 6명이 이상점에 해당했다. 대퇴부 삽입물 외회전을 후방과축에 3° 외회전된 기구를 이용하여 교정한 결과 초심자에서는 60명 중 명 중 10명이, 숙련된 술자에서는 0명이 이상점에 해당했다. 수술 1년 이후 시행된 KSS에서는 KSS knee에 대하여 숙련된 술자의 환자는 평균 83.2±6.8, 초심자는 평균 83.1±7.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네비게이션의 사용이 초심자에게 비교적 안정적인 관상면 축의 획득과 정확한 대퇴부와 경골부의 골 절제를 하도록 도움을 준다. 하지만 네비게이션이 초심자에게 목표된 대퇴부 외회전의 획득에 도움을 주지는 않는다. Purpose: To compare the outcomes of navigation-assisted total knee replacement conducted by a skilled surgeon and novice surgeon, as well 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the navigation assistance to a novice surgeon.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made a comparison between 60 total knee replacement surgeries conducted by skilled surgeon and 60 total knee replacement surgeries by a novice surgeon during the 2015. Scanograms were taken both preoperatively and at 3-month postoperatively to measure the accuracy of bone cutting and alignment. As for external rotation of the femur, we checked the values of the distal femur surgical epicondyle axis, and the posterior condyle axis displaced by the navigator after bone registration for both novice and skilled groups. For postoperative functional examination, Knee Society Score (KSS) were evaluated at 1-year follow-up. Results: Forty-nine knees in the skilled group, and 51 knees in the novice group achieved coronal axis alignment of hip knee ankle values of 0°±3°. The mean external rotation degree of the femoral epicondyle axis against the posterior condyle axis, measured by the navigator, was 3.8°±2.9° in skilled group, and 1.2°±3.0° in novice group. When regarding femoral epicondyle axis, which showed a more internal rotation than the posterior condylar axis as an outlier, six cases were outlier in skilled group, while, 18 cases were outlier in novice group. After revising external rotation value of femoral implants comparing values navigation displaced and values using 3° external rotation manual jig against femoral posterior condylar axis, the skilled group showed 0 case of outlier and the novice group showed 10 cases of outlier. The mean KSS knee assessed at 1 year postoperatively was 83.2±6.8 in skilled group, and 83.1±7.0 in novice group, wit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Navigation provides advantages to novice surgeon to achieve stabilized coronal plane axis, as well as accurate resection of the femur and tibia. However, the navigation does not provide any advantages in achieving the aimed amount of femoral external rotation to novice surgeons.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 이후 발생한 좌골 신경 손상

        권재범(Jae Bum Kwon),오태범(Tae Bum Oh),최원기(Won-Kee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3 No.2

        슬관절 전치환술 이후, 근전도의 이상과 함께 해당 근육의 근력 저하를 보이는 좌골 신경 마비는 드문 편이다. 통상적인 사용 기준으로 여겨지는 300 ㎜Hg의 압력과 72분 동안의 지혈대를 사용해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78세 여자에서 좌골 신경의 지배를 받는 근육의 근력 저하와 함께 근전도상에서 이상을 보이는 좌골 신경 손상을 발견하였다. 술 후 1년째, 환자는 근력완의전 한 회복을 보였지만, 무릎 밑으로의 저린 증상을 호소하였다. 지혈대 사용 이후의 신경 손상이 허혈성 손상임을 고려한다면, 해당 환자는 심방세동과 뇌동맥류로 인한 클립 삽입술 경험이 있어 통상적인 지혈대 사용에도 신경의 허혈성 손상에 취약한 고위험 환자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순환기 문제가 있는 환자의 경우 지혈대 사용에 주의하여야 한다. Sciatic nerve palsy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accompanied by motor power weakness and electromyographic evidence, is a rare occurrence. In a 78-year-old female, pneumatic tourniquet was used for 72 minutes, with a pressure of 300 ㎜Hg. The time and pressure are generally accepted values. We noticed sciatic nerve palsy showing motor power weakness and electromyographic evidence. One year after the operation, she recovered full motor power, but complained about a tingling sensation below the knee. Given that the nerve injury after using tourniquet was due to neural ischemia, and since our patient had vascular circulation problems such as atrial fibrillation and clip insertion due to internal carotid artery aneurysm, our patient can be considered as a high-risk patient with weakness to neural ischemic damage, even with the use of conventional tourniquet. Therefore, surgeons should be cautious when using tourniquet in patients with vascular circulation problems.

      • KCI등재

        간격 차이(90° 굴곡 간격-신전 간격)와 슬관절 전 치환술 1년 후의 무릎 기능과의 관계

        조명래(Myung-Rae Cho),도정석(Jung-Suk Do),김경태(Kyung-Tae Kim),최원기(Won-Kee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1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4 No.3

        목적: 슬관절 전 치환술 시, 90° 굴곡과 신전 시의 간격(gap) 차이와 술 후 1년째의 슬관절 기능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7년 3월부터 6월까지 골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시행된 내비게이션을 이용한 전치환술의 연속된 82예를 대상으로 시행된 전향적 연구이다. 간격 측정은 내비게이션을 이용하였으며, 슬개골을 towel clip을 이용하여 정복한 이후 간격을 측정하였다. 신전 시의 내측과 외측 간격의 평균과 90° 굴곡 시의 내측과 외측 간격의 평균값을 구한 이후 간격 차이(90° 굴곡 시의 간격-신전 간격)를 계산하였다. 간격 차이<0 mm, 0 mm≤간격 차이<2 mm, 2 mm≤간격 차이를 각각 1군, 2군, 3군으로 나누었다. 술 후 1년째, Knee Society score (KSS)와 함께 무릎의 최대 굴곡 각도를 측정한 이후, 각 군 간의 값을 비교하였다. 결과: 간격 차이의 값에 따라 나눈 군의 수는 1군이 37예, 2군이 29예, 3군이 16예였다. 술 후 1년째의 KSS knee는 평균 81.21±8.31, KSS function은 71.34±9.84, 그리고 무릎의 최대 굴곡 각도는 126.48°±7.28°였다. 간격 차이에 따른 1년 후의 KSS의 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Mann-Whitney test를 이용한 두 군 간의 비교에서 2 mm≤간격 차이를 보이는 3군이 1군과 2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큰 최대 무릎 굴곡 각도를 보였다. 결론: 슬관절 전 치환술 시, 90° 굴곡 시의 간격이 신전 시의 간격보다 2 mm 이상 큰 경우에서 다른 군에 비하여 술 후 1년째의 최대 무릎 굴곡 각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Purpose: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nee function at 1 year postoperation and the gap difference (90˚ flexion gap–extension gap) in total knee replacement. Materials and Methods: Eighty-two consecutive osteoarthritis knees that underwent primary total knee replacement using navigation from March 2017 June 2017 were evaluated prospectively. The gap was measured using navigation after reducing the patella with towel clips. After checking the average values of the medial and lateral gaps at extension and 90˚ flexion knee, the gap difference (90˚ flexion gap–extension gap) was calculated. The kne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gap difference (gap difference<0 mm, 0 mm≤gap difference<2 mm, 2 mm≤gap difference). The Knee Society score (KSS) and maximal knee flexion were compared at 1 year postoperation among three groups. Results: The numbers of knees according to groups were 37, 29, and 16 knees in regular order. The average of the KSS knee, KSS function, and maximal knee flexion at the 1-year follow-up were 81.21±8.31, 71.34±9.84, and 126.48˚±7.28˚, respectively.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KSS was observed among the 3 groups. The third group (2 mm≤gap difference) showed a larger maximal knee flexion than the other groups in the Mann–Whitney test. Conclusion: The group of total knee replacement (2 mm≤90˚ flexion gap–extension gap) showed larger maximal knee flexion than the other groups at the 1-year follow-up in statistics.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출혈을 줄이기 위한 관절강 내 트라넥삼산 주사와 네비게이션 사용의 상승 효과

        송석균(Suk-Kyoon Song),전충무(Chung-Mu Jun),최승철(Seung-Cheol Choi),최원기(Won-Kee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2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7 No.2

        목적: 슬관절 전치환술 후 출혈과 수혈을 줄이기 위한 네비게이션(navigation)과 관절강 내 트라넥삼산(tranexamic acid) 주사의 상승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2016년 1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한 명의 술자로부터 골관절염으로 일차성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고식적 슬관전 전치환술로 트라넥삼산 주사를 맞은 환자 군을 그룹 1 (58예),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았지만 트라넥삼산 주사를 맞지 않은 군을 그룹 2 (30예), 그리고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로 트라넥삼산 주사를 맞은 환자 군을 그룹 3 (32예)으로 나누었다. 세 그룹의 수술 후 수혈의 빈도를 비교하였고, 수술 후 출혈량을 비교하기 위해 24시간 동안 배액관으로 배액된 양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그룹 1은 5예(8.6%), 그룹 2는 9예(30%), 그룹 3은 3예(9.4%)의 환자에서 수혈을 했다. 그룹 간의 차이는 카이제곱 검정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16). 수술 후 24시간 동안 배액관으로 배액된 양은 그룹 1에서 343.67±165.20 ml, 그룹 2에서 452.10±197.91 ml, 그리고 그룹 3에서 311.00±129.32 ml였다. 이 차이는 ANOVA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03). 그룹 2는 그룹 1보다 수혈의 필요성이 3.71배 높게 나왔고, 그룹 3보다는 4.14배 높게 나왔다. 결론: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네비게이션과 트라넥삼산을 함께 사용하는 것은 수술 후 수혈의 필요성과 출혈량을 감소시키는 상승 효과는 없었다. 그리고 관절강 내 트라넥삼산 주사가 네비게이션에 비해 수술 후 수혈의 필요성과 출혈량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더욱 높게 나타났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ynergistic effects of an injection of tranexamic acid and using navigation to reduce the need for blood transfusion and postoperative bleeding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TKA).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compared. Group 1 (58 cases) included those who had manual TKA with the injection of tranexamic acid in the joint. Group 2 (30 cases) was comprised of those who had navigated TKA without tranexamic acid. Group 3 (32 cases) consisted of patients who had navigated TKA with tranexamic acid. The frequency of transfusion after the operation was measured. To compare bleeding after surgery, drainage volume during 24 hours after surgery was compared and analyzed. Results: Group 1 had five cases of transfusion (8.6%), while there were 9 cases in group 2 (30%) and three cases in group 3 (9.4%). The Chi-squared test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16). An average of 343.67±165.20 ml, 452.10±197.91 ml, and 311.00±129.32 ml was drained in the 24 hours after surgery in groups 1, 2, and group 3, respectively. This difference was analyzed using ANOVA test,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03). The need for transfusion in group 2 was 3.71 times higher than that in group 1. The need for transfusion in group 2 was 4.14 times higher than that of group 3. Conclusion: The combination of navigation use and injection of tranexamic acid has no synergistic effect in reducing the need for blood transfusion and post TKA bleeding. In addition, an injection of tranexamic acid in the joint is more effective in reducing blood transfusions and blood loss after TKA than navigation.

      • KCI등재

        항 혈소판 제제의 술 전, 일시적 중단은 슬관절 전치환술 이후의 실혈량 및 동종수혈의 필요성을 증가시키지 않는가?

        조명래(Myung-Rae Cho),이영식(Young Sik Lee),권재범(Jae Bum Kwon),이재혁(Jae Hyuk Lee),최원기(Won-Kee Choi) 대한정형외과학회 201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4 No.2

        목적: 항 혈소판 제제(아스피린, 클로피도그렐, 실로스타졸)의 술 전 일시적 중단이 슬관절 전치환술 이후의 초기 실혈량 및 동종수혈의 필요성을 증가시키지 않는 안전한 방법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3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단일 센터에서 단일 술자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시행된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일차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방식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총 369건의 환자가 포함되었으며, 항 혈소판 복용 과거력이 없는 271명과 항 혈소판 제제를 술 전 7일간 일시적으로 복용 중지한 98명을 각각의 군으로 나누었다. 두 군 간의 입원기간 동안의 동종혈액 수혈 빈도와 함께 초기 실혈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술 후 1일과 2일에 혈색소 수치 및 적혈구 용적률의 변화량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7일 전까지 항 혈소판 제제를 복용한 군과 항 혈소판의 복용 과거력이 없는 군 간의 수술 1일과 2일 후의 적혈구 용적률, 혈색소 수치의 변화량, 동종혈액의 수혈 빈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69명 중에서 입원기간 동안 총 149명이 수혈을 받았다. 수혈을 받은 환자의 군에서 받지 않은 환자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대적으로 고령의 나이, 작은 키, 작은 몸무게, 술 전의 낮은 혈색소와 적혈구 용적률 수치를 보였다. 수혈을 받은 군과 받지 않은 군 간의 성별과 술 전에 시행한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등급, 수술 7일 전까지 항 혈소판 제제 복용 과거력 유무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점은 없었다. 결론: 항 혈소판 제제의 술 전 7일간의 일시적 중단은 항 혈소판 제제의 복용 과거력이 없는 환자군에 비하여 슬관절 전치환술 이후의 출혈량 및 동종수혈의 필요성을 증가시키지 않는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preoperative temporary discontinuation of antiplatelet medication (aspirin, clopidogrel, or cilostazol) is a safe procedure that does not increase early postoperative bleeding and allogenic blood transfusion after a total knee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conducted among consecutive patients who underwent navigation assisted primary total knee arthroplasty performed by a single surgeon, from January 2013 to December 2016. A total of 369 patients enrolled in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271 patients with no history of antiplatelet therapy and 98 patients who underwent 7 days of temporary withdrawal of antiplatelet therapy.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two groups, on the variation of hemoglobin and hematocrit during the first and second postoperative day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mount of early postoperative bleeding and the frequency of allogenic blood transfusion during hospitalization. Results: The variation of hemoglobin, hematocrit during the first and second postoperative days and the frequency of allogenic blood transfusion between no history of antiplatelet medication and discontinuation antiplatelet medication before 7 days from surgery were similar in both groups. Of the 369 patients, 149 patients received a blood transfusion during their hospitalization. Compared to patients who did not receive a blood transfusion, those who did received blood transfusion were significantly older in age, smaller in height, lighter in weight, and showed significantly lower preoperative hemoglobin and hematocrit value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 preoperative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scores, and the history of antiplatelet medication until 7 days prior to surgery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blood transfusion. Conclusion: Compared to patients with no history of antiplatelet medication, the temporary discontinuation of antiplatelet medication 7 days prior to surgery in patients undergoing antiplatelet medication did not increase the amount of postoperative bleeding or the need for allogenic blood transfusion.

      • KCI등재

        포스트모더니즘 문화교육의 방향성 제언을 위한 이론적 고찰 : 데리다/마페졸리/보드리아르/메를로퐁티의 논의를 중심으로 J. Derrida/M.Maffesoli/J. Baudrillard/M.Merleau-Ponty

        최원기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2 사회과교육 Vol.41 No.3

        오늘날의 현실은 매우 급격하게 변화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화변동 속에 위치하고 있는 한국사회의 문화적 정체성의 모습은 그렇게 긍정적이지 못하다. 이들 문제의 주요 원인은 문화변동의 방향성에 대한 정확한 해석의 혼란, 과거로부터의 왜곡되어진 가치관 상존, 올바른 문화교육 방향성에 대한 본질론적 논의 부족 등으로 지적될 수 있다. 특히, 미래적 존재인 청소년들에 대한 문화교육의 방향성 정립문제는 한국문화의 미래를 결정할 수 있다고 하는 의미를 지니며 따라서 무엇보다도 시급히 재구성되어야 하는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 문화변동의 현실과 의미를 정확하게 해석하고 이로부터 관계되어지는 제반 학문적 기본 관점들을 정립하여 미래지향적 문화교육을 위한 현실적 방향성을 구축하는 것이 오늘날의 한국적 문화교육이 지향해야 할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이며 더불어 본 연구가 지향하고자 하는 궁극적인 목적이다. The transformation of present reality is very rapid. But the appearance of korean society related to the cultural identity that is situated in this transformation is not so. positive. The main reason of this result can be analysed with the wrong definition on the direction of cultural change, the existence of the deformed traditional value, and the lack of argument on the direction of the cultural education, etc.. This study confront these problems boldly, and present briefly, for find a solution, a theoretical discussion on the orientation of the korean cultur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