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新羅初期石室墳의 樣相 - 新羅의 地方石室墳硏究(2)-

        崔秉鉉(Byunghyun Choi) 한국고고학회 2001 한국고고학보 Vol.44 No.-

        이 논문은 6세기 전반기 이전 신라의 수도 경주에서 적석목곽분이 축조되고 있을 때 낙동강 이동지방에서 축조되고 있었던 초기 횡혈식석실분의 유형, 구조, 장법, 계보, 그리고 이들과 경주 석실분과의 관계를 살피고자 한 것이다. 낙동강 이동지방에 횡혈식석실분이 수용되기 시작한 것은 5세기 전반기부터이며 신라에서는 중앙보다는 지방에서, 중앙귀족보다는 지방세력이 횡혈식석실분을 먼저 수용하였다. 중앙보다는 지방이 새로운 묘제의 수용에서 개방적이었던 것이다. 신라 초기 석실분의 유형과 구조는 신라 후기 경주의 석실분으로 계승·발전되었다. 그러나 신라 초기 석실분의 장법은 당시 수혈식 묘제의 장법을 따르고 있었다. 백제의 초기 석실분과 신라의 초기 석실분은 그 세부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고, 그것은 백제의 초기 석실분이 낙랑·대방고지의 전축분계 석실분에서, 신라의 초기 석실분이 고구려 석실분에서 유래된 것이기 때문이었다. 서울 강남지역 석실분에 대해서 최근 한성기 백제축조 후 신라 재사용설이 제기되었으나 근거가 없다 The aim of this essay is to identify the types, structures, burial modes and its historical derivations of the early stone chamber tomb with entrance in the east of Nakdong river which constructed before the first half of the sixth century, when the wooden chamber with stone mound tombs had been constructed in Kyungjoo, the capitol of the Shilla, and to clarify their relations to those of the stone chamber tombs in Kyungjoo area. In the east area of the Nakdong river, were introduced the stone chamber tombs with entrance from the first half of the fifth century, which found general acceptance first in the periphery rather than in the core, and first among the local gentry rather than among the central aristocrats. Accepting the new burial system, the ruling classes in the periphery were more open than those in the core. The types and structures of the early stone chamber tomb of the Shilla were succeeded and developed in the stone chamber tomb in Kyungjoo area at the period of the later Shilla. However, the burial modes of the early stone chamber tomb followed the burial system of the vertical entrance style tomb. There were many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early stone chamber tomb of the Baikje and that of the Shilla. These differences were due to the fact that the early stone chamber tomb of the Baikje originated from the brick chamber tomb with entrance of the Lo- rang, whereas the early stone chamber tomb of the Shilla took its origin in the stone chamber tomb of the Koguryo. Finally, I think the latest thesis on the stone chamber tomb in Kangnam area of Seoul to be historically unsupported that insists on the re- use of the stone chamber tomb of the Baikje builded in the Hansong phase by the Shilla for their convenience.

      • KCI등재

        한국 고대의 單鐙子 자료와 그 의의

        최병현(Choi, Byunghyun) 중부고고학회 2021 고고학 Vol.20 No.1

        백제와 신라·가야 고분에서는 單鐙子 자료들이 적지 않게 출토되었다. 이들은 고대 한국에서 雙鐙子에 앞서 單鐙子가 사용되었음을 보여준다. 또 이를 통해 고대 한국에서 단등자로부터 쌍등자로 전환되는 과정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동아시아에서 등자가 각 단계마다 처음 발생한 곳은 중국이었다. 서기 302년의 長沙 金盆嶺 21호묘 陶俑에서는 短柄의 단등자 발생을, 서기 322년의 南京 象山 7호묘 陶俑에서는 短柄의 쌍등자가 사용되기 시작한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등자의 실물이 아니어서, 중국에서 그 이상 단병등자의 발전과정을 알 수는 없다. 중국 동북지방에서는 서기 4세기 중엽 鮮卑族이 세운 前燕 시기에 長柄鐙子가 출현하였다. 그러나 그 이후 중국에서 장병등자의 발전과정을 알려주는 자료는 출토되지 않았다. 이와 같이 중국에서는 각 단계의 등자가 출현한 사실을 알 수 있지만, 그 발전과정은 알 수 없다. 이에 비해 한국에서는 이제 중국에서 출현한 각 단계의 등자들이 전해져 계기적인 발전을 이루어간 전 과정을 시초부터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백제와 신라·가야에서 단등자의 출현과 단병 쌍등자로의 전환, 신라에서 장병등자의 도입은 중국과 대략 한 세대씩의 차이를 두고 단계적으로 이루어졌다. 남중국으로부터 백제와 신라·가야의 단등자 도입과 이어서 短柄 쌍등자로의 전환은 중국의 晉書에서 보듯이 西晉 이래 한반도 남부지방 정치세력들의 대 중국 교섭을 통해 이루어졌을 것이고, 중국 동북지방의 전연시기 장병등자는 고구려를 통해 신라로 들어왔을 것이다. 한국 삼국시대의 고분 편년, 특히 신라·가야고분의 편년은 서기 415년의 北燕 馮素弗墓 등자가 세계 최고의 등자라는 穴澤-小田 프레임과 이에 기반한 서기 400년‘ 고구려군 남정 영향설’에의해 심하게 왜곡되어 있다. 穴澤-小田 프레임은 처음부터 근거가 없는 것이었다. 신라·가야 고분의 편년이 속히 바로잡히기를 기대한다. A considerable number of single-sided stirrups have been recovered from Baekje, Gaya, and Silla tombs. They illustrate that the use of single-sided stirrups preceded the use of double-sided stirrups in ancient Korea, and shed light on the transition from the former to the latter. In East Asia, the earliest use of the respective stirrup types took place in China. It is possible identify the earliest use of short-necked single-sided stirrups from the ceramic figurine unearthed from Jinpenling (金盆嶺) Tomb 21 in Changsha, which dates to 302 CE, and the earliest use of short-necked double-sided stirrups from the ceramic figurine unearthed from Xiangshan (象山) Tomb 7 in Nanjing, which dates to 322 CE. However, as these are not the actual examples of stirrups, it is difficult to gain a clearer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of short-necked stirrups in China. In the Northeast region of China, long-necked stirrups emerged in the mid fourth century, during the period of the Former Yan Dynasty, which was set up by the Xianbei people. However, data that may shed light on subsequent developments on the long-necked stirrups of China have yet to come to light. It is thus evident that while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emergence of each stirrup type in China, their developmental processes cannot be established.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development of each stirrup type using the evidence from the Korean Peninsula. The introduction of short-necked single-sided stirrups and their development into double-sided stirrups (observed in Baekje, Silla, and Gaya), and the introduction of longnecked stirrups (observed in Silla), took place with a time gap of approximately one generation from the emergence of their counterparts in China. The introduction of singlesided stirrups from Southern China into Baekje, Silla, and Gaya, and the transition to short-necked double-sided stirrups is likely to have taken place as a result of interactions between the polities of the southern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China which had taken place since the Western Jin Dynasty, as noted in the Jin Shu (晉書, Book of Jin). The long-necked stirrups introduced into Silla, on the other hand, likely originated from the period of the Former Yan period of the Northeast region of China and arrived at Silla via Goguryeo. The current chronological framework for the tomb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particularly, for the Silla and Gaya tombs) has been heavily influenced by (1) the views set forth by Anazawa Wako (穴澤咊光) and Fujio Oda (小田富士雄) which maintain that the stirrups unearthed from Northern Yan’s Feng Sufu (馮素弗) Tomb, dating to 415 CE, are the oldest in the world, and (2) and the‘ Goguryeo southern campaign theory’ (concerning the campaign of 400 CE), which was also influenced by Anazawa and Fujio’s views. Unfortunately, even at the time of their inception, the views of Anazawa and Fujio were unproven. Therefore, it can be argued that the re-examina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chronological framework for Silla and Gaya tombs is an important task of great urgency.

      • KCI등재

        신라 전기양식토기의 성립

        최병현(Choi, Byunghyun) 중부고고학회 2013 고고학 Vol.12 No.1

        Early Silla style pottery, which followed Incipient Silla style pottery, was established in the Gyeongju region from around the mid-fourth century CE. The Early Silla style mounted cup emerged through the modification of Incipient Silla style mounted cups with cylindrical and trumpet-shaped pedestal foots, such as those from the Okjeon burial ground at Hapcheon. This modification consisted of the elongation of, and the addition of perforations to, the pedestal foot. The Early Silla style long-necked jar emerged through the elongation of the neck section of the Incipient Silla style globular jar, which had centrally placed raised bands. Phase 1, the phase in which Early Silla style pottery was established, can be divided into Phase lA (dating to the mid-fourth century) and Phase 1B (dating to the late fourth century). The former phase witnessed the co-existence of mounted cups with cylindrical and trumpet-shaped pedestal foots which had four tiers of perforations. In the latter phase, the mounted cup with cylindrical pedestal foot disappeared and only the mounted cup with trumpet-shaped pedestal foot which had three tiers of perforations came to be used, along with the mounted cup with a pedestal foot shaped like a flat topped cone and two tiers of perforations. During Phase lA in the Gyeongju region, mounted cups with flame-shaped perforations were used alongside mounted cups with cylindrical pedestal foots. Based on the evidence from the Hwasan-ri kiln site in Gyeongju, it is clear that these vessels were produced in the Gyeongju region. In Phase 1, the Early Silla style mounted cups demonstrate very rapid stylistic change, with two stylistic stages observable for Phase lA and three stylistic stages observable for Phase lB. On the other hand, the Early Silla style long-necked jars demonstrate very slow stylistic change, which no significant changes observable from Phase lAa to lBa. It is only afterwards that certain changes, such as the addition of pedestal foots and the adoption of straight necks, came to take place. 'This indicates that the different ceramic types of Early Silla style pottery experienced different speeds of stylistic change and different time periods of significant stylistic transformation. It is also possible to observe that, although the Early Silla style mounted cup and the Gaya style mounted cup both developed from a common prototype, difference in vessel form appeared in Phase lA In Phase lB, the distinctive regional ceramic styles of the area east of the Nakdong River (represented by alternating pedestal perforations) and the area west of the Nakdong River (represented by vertically aligned pedestal perforations) came to be respectively established. Cross-dating with the Sueki. vessels of the Japanese K.ofun Period which have been dated through dendrochronological research, as well as with the horse trappings from the northeast region of China and the middle and northern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was attempted in order to establish the dates for the formation of the Early Silla style pottery assemblage. It is noted that the notion that the southern campaign of King Gwanggaeto the Great in 400 CE led to the termination of the Daeseongdong burial ground in Gimhae and the migration of Geumgwan Gaya groups to the Japanese Archipelago, or the notion that the stirrups of Korea or Japan cannot be older than 415 CE based on the stirrups from the Feng Sufu (馮素弗) burial, or the notion that Hwangnam Great Tomb in Gyeongju is the resting place of King Nulji have come to be regarded by certain researchers as mere stereotypical views which only act to impede upon open academic thinking. It is argued that such stereotypical notions, which have not been based upon archaeological evidence but are merely historically recorded circumstances or over interpretations of such circumstances, act only as barriers in the construction of chronologies, based on actual archaeological evidence and archaeolog 신라 전기양식토기는 경주지역에서 신라 조기양식토기에 이어 서기 4세기 중엽에 성립되었다. 신라 전기양식토기 고배는 합천 옥전고분군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신라조기의 통형고배와 나팔각고배의 기형을 계승하면서 대각이 길어지고, 길어진 대각에 투창을 뚫으면서 성립되었다. 장경호는 신라조기의 짧은 경부 중간에 돌대가 있는 구형호들의 경부가 길어지면서 성립되었다. 신라 전기양식토기의 성립기, 즉 1기는 통형과 나팔형의 4단각 고배가 공존한 4세기 중엽의 1A기와, 통형고배가 시실상 소멸되고 나팔형 3단각 고배와 함께 새로 발생한 직선형 2단각 고배가 존재한 4세기 후엽의 1B기로 구분된다 1A기 경주에는 통형고배와 함께 화염형투창 고배도 존재하였는데, 경주 화산리 요지의 예로 보아 이들은 경주지역에서 생산된 것이 분명하다. 신라 전기양식토기 1기의 고배는 빠른 형식의 변화를 보여 1A기에 2소기 1B기에 3소기의 형식이 구분되는데 비해, 장경호는 그 변화가 느려 1Aa기부터 1Ba기까지는 큰 변화가 없었고, 그 뒤에야 경부의 직선화 대각의 채용 등 형식의 변화가 뒤따랐다. 이로 보아 신라 전기양식토기는 기종에 따라 변화 속도와 주 변화 시기가 달랐던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신라 전기양식토기와 가야토기의 고배는 공동 조형에서 발전한 것이었으나 1A기부터 기형상의 차이를 보이다가 1B기부터는 교차투창 고배로 대표되는 낙동강 이동양식과 일렬투창 고배로 대표되는 이서양식으로 지역권이 완전히 분립되었다. 한편, 신라 전기양식토기 성립기의 연대는 연륜연대를 가진 일본 고분시대의 須惠器, 그리고 중국 동북지방을 비롯하여 한반도 중부 이북지방의 마구와 교차편년하여 설정하였다. 서기 400년 광개토대왕의 남정에 의한 김해 대성동고분군 축조중단과 금관가야 세력의 일본열도 이주설, 馮素弗墓 등자에 의한 한ㆍ일 등자의 415년 상한설, 경주 황남대총의 눌지왕릉설은 이제 일부 연구자들에게 자유로운 학문적 사고를 가로막는 고정관념이 되고 있다. 명확한 고고학적 자료나 근거에 의힌 것도 아니고 역사적 정황이나 이를 확대해석한 주장에 불과한 그와 같은 고정관념은 고고학자료와 고고학적 방법에 의한 동북아시아 고고학자료의 편년을 가로막는 장애물이 될 뿐이다.

      • KCI등재

        중부지방 백제 한성기 축조·신라 재사용 석실분과 고구려·신라 연속조영 고분군

        최병현(Choi, Byunghyun) 중부고고학회 2015 고고학 Vol.14 No.2

        지배국가가 여러 차례 교체된 삼국시대 중부지방에서는 삼국의 고분문화가 차례로 전개되었다. 삼국은 처음에는 각각 특색있는 고분문화를 발전시켜 나갔으나, 후기에는 모두 한 석실에 추가장을 할 수 있는, 동질성이 강한 횡혈식의 석실봉토분을 축조하였다. 그런데 지금까지 중부지방에서 조사된 횡혈식석실분 중에는 백제 한성기에 축조되어, 신라가 한강 하류역에 진출한 뒤까지 매장행위가 이루어진 고분들이 존재한다. 이들은 6세기 중기 신라가 중부지방에 진출할 무렵의 특수 상황에서 백제 한성기의 석실분을 열어 재사용한 것으로, 한시적이고 예외적인 사례들 이라고 판단된다. 그러나 그 중 가락동 3호분이 백제 한성기에 축조된 것으로서, 서울 석촌동・가락동 백제고분군 소속의 횡혈식석실분으로 재해석되는 의미는 각별하다. 이는 백제 한성기 수도의 중심고분군에서 석실봉토분이 기단식의 석실적석총과 함께 축조되고 있었을 가능성을 높여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중부지방에는 1~2기의 고구려 횡혈식석실분과 그보다 많은 수의 신라 횡혈식석실분 또는 횡구 식석곽분들로 이루어진 소규모의 고분군들이 존재한다. 이들은, 중부지방이 고구려의 지배하에 있을 때 시작된 고분 조영이 신라의 영토가 된 뒤에도 계속되어 형성된 것으로, 지역의 토착 세력들이 두 국가의 지배기에 걸쳐 연속 조영한 고분군들이라 판단된다. 이 고구려・신라 연속조영 고분군들은 고분 구성상 몇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지는데, 그것은 지배국가 교체기 지방 토착사회의 동향을 살필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부지방의 고분문화에는 다른 지방에서는 볼 수 없는 다양성이 존재한다.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fell under the domination of various states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As a result, the burial cultures of the Three Kingdoms came to established consecutively in this region. At first, the burial cultures of the Three Kingdoms were characteristically different from one another but in the later period, the use of stone chamber tombs with earthen mounds and corridor entrances, which allowed additional internments into a single burial chamber, came to be commonly adopted by all Three Kingdoms. Amongst the stone chamber tombs with corridor entrances identified thus far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 are examples which were first constructed during the Hanseong Baekje period and also evidence use during the period following Silla expansion into the lower reaches of the Han River. These Hanseong Baekje tombs, which had originally been sealed off, had come to be opened and reused again in the sixth century amidst the extraordinary circumstances of the time, which witnessed Silla expansion into the central region in the mid-sixth century. Such examples of reuse are considered to be temporary and exceptional. One example is Garak-dong Tomb 3, which was constructed during the Hanseong Baekje period - the reuse of this tomb located within the Seokcheon-dong and Garak-dong Baekje burial ground into a stone chamber tomb with earthen mound and corridor entrance is particularly significant. This is because it shows that stone chamber tombs with earthen mounds may have been used alongside stone-mound tombs with stone chambers and stair-shaped stylobates in the central burial ground of the Baekje capital of the Hanseong period. Also located within central Korea are a number of small burial grounds which consist of one or two Goguryeo stone chamber tombs with corridor entrances alongside a greater number of Silla stone chamber tombs with corridor or horizontal entrances. It is believed that these burial grounds were first established at the time when the central region was under Goguryeo control and continued to be used even after this region became Silla territory. These burial grounds were used by the indigenous communities of the region that experienced both Goguryeo and Silla rule. Such burial grounds can be divided into a number of categories, according to the different compositions of the Goguryeo and Silla tombs, which can provide insights into the strategies of the indigenous groups at this time of transition in the hegemony of the region. Due to such circumstances, a diversity in burial culture can be witnessed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 which cannot be observed elsewhere.

      • 전사법을 이용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셀 제조

        안용태(An, YongTae),최병현(Choi, ByungHyun),지미정(Ji, MiJung),구자빈(Gu, JaBin),신상호(Shin, SangHo),황해진(Hwang, HaeJi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11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전해질의 양쪽에 cathode층과 anode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셀을 제작하기 위한 구성소재 코팅법으로는 EVD, CVD, sputter등의 기상공정과 screen printing, tape casting, dip coating등의 습식공정이 있다. 이중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screen printing법은 코팅기판의 크기와 형태에 제한을 받아 원통형, 평관형에는 적용이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electrolyte 지지체 위에 전사법을 통해 연료극(NiO-YSZ), 공기극(LSCF-GDC) 코팅층의 두께 및 형상을 제어할 수 있었으며 button cell을 제작하여 실제 SOFC에 적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Changes in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eramic support

        권용진(Kwom, Yongjin),최병현(Choi, Byunghyun),지미정(Jee, Mijung),안용태(Ahn, Yongtae),설광희(Seol, Kwanghee),남산(Nham, Sha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11

        In this study, we fabricated tubular ceramic support for segmented-in-series solid oxide fuel cell (SOFC) by using MAO(MgAl-stabilized ) as main material and activated carbon as pore former. Thermal expansion properties of ceramic support with different amounts of activated carbon were analyzed by using dilatometer to decide a suitable sintering temperature. The tubular ceramic supports with different amounts of activated carbon (15, 20, 30wt.%) were fabricated by the extrusion technique. After sintering at 1400?C for 2h, cross section and surface morphology of tubular ceramic support were analyzed by using SEM image. Also, the porosity, mechanical property, gas permeability of tubular ceramic supports was measured. Based on these results, we established the suitable fabrication technique of tubular ceramic support for segmented-in-series SOFC.

      •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밀봉을 위한 SiO<sub>2</sub>-B<sub>2</sub>O<sub>3</sub>-RO(CaO, BaO, SrO)계 유리의결정상 변화에 따른 강도와 미세구조 특성

        박성태(Park, SungTae),최병현(Choi, ByungHyun),지미정(Ji, MiJung),권용진(Kwan, YoungJin),최헌진(Choi, HeonJi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11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800{sim}1000?C인 고온에서 작동하므로 적용되는 밀봉재의 요구조건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SOFC 밀봉재로서 SiO₂-B₂O₃-RO계 결정화 유리를 선정하였으며 작동온도 부근에서 결정화를 유도하여 고온점성유동을 제어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SiO₂-B₂O₃-RO계에 RO인 CaO, SrO, BaO, MgO를 상호 치환하였을 때 결정상의 생성, 생성온도, 생성결정의 종류가 sealing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검토하였다. 결정화유리를 800?C로 유지하였을 때 생성되는 주 결정상은 Calsium silicate, Strontium silicate, Barium silicate, Magnesium silicate이였으며 Strontium silicate 의 생성속도가 가장 빨랐으며 결정상은 불산으로 에칭하여 SEM으로 관찰하였다. Barium silicate를 유도한 결정화 유리가 800?C에서 1000시간 유지하였을 경우 가장 내화학성이 우수하며 강도값도 154MPa로 가장 높았다. 또한 부분 결정화를 통해 800?C 점성유동이 제어됨을 고온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 SOFC 연결재용 LaCrO<sub>3</sub> Perovskite 구조에서 Ca<sup>2+</sup>와 Co<sup>3+</sup>치환첨가효과

        안용태(An, Yongtae),최병현(Choi, Byunghyun),지미정(Ji, Mijung),권용진(Kwon, Yongjin),서한(Seo, Han),황해진(Hwang, Haeji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06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에서 사용되는 연결재의 주 기능은 각 단위 셀의 연료극과 다음 셀의 공기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공기와 사용연료의 분리역할을 하기위해 사용된다. SOFC용 연결재는 다른 구성요소 소재보다 높은 전기전도성, 낮은 이온전도성이 요구되며 SOFC는 고온에서 작동되기 때문에 다른 구성 소재들과 유사한 열팽창계수와 물리, 화학적인 안정성이 요구된다. 현재 연결재 제조기술은 plasma coating, sputtering, screen printing, 전사법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생산이 용이한 고상반응법을 적용하여 세라믹연결재를 제조하고, 그 특성을 연구하였다. 세라믹 연결재로서 선정한 합성조성은 (La_{0.7}Ca_{0.3})(Cr_{0.9}Co_{0.1})O₃로 SOFC 작동온도에서 높은 전기전도도를 나타낸다. LCCO 연결재를 1300, 1400 및 1500?C에서 합성을 진행하였을 때 출발원료로 CaCO₃를 CaF₂로 대체하였을 때의 소결특성을 평가하였고, SEM과 XRD분석을 통하여 균질하고 결정성이 우수한 분말이 합성된 것을 확인하였고 DC impedance analyzer를 사용하여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였다. TMA를 사용하여 열팽창계수를 측정한 결과 YSZ({sim}10.8{times}10^{-6}/?C)와 동일한 값을 나타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