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생물음향 측정기법을 이용한 북방산개구리 정밀 페놀로지 관측 연구

        김윤재 ( Yoon-jae Kim ),최대훈 ( Dae-hun Choi ),박태훈 ( Tae-hoon Park ),기경석 ( Kyong-seok K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21 No.1

        본 연구는 기후변화지표종 북방산개구리의 번식울음 발생현황을 정밀관측하여 대상지별 발생시기, 발생기간, 일주기패턴, 번식울음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중부지역 도심지와 산지지역으로 구분하였고, 도심지역은 서울시 남산 천일약수터 습지(170m)와 북한산 진관 동습지(44m)를 산지지역은 소백산 죽령습지(550m), 월악산 지릅재습지(405m)를 선정하였다. 번식울음 분석기간은 2019년 2월부터 5월, 2020년 2월부터 5월까지 2년간이었다. 번식 울음 녹음은 각 연구대상지에 생물음향 측정장비(Songmeter SM4)를 설치하여 매시간당 1분씩 WAV 포맷(44,100Hz)으로 녹음하였다. 온도와 습도는 미기상측정장비(testo 174H)를 백엽상에 설치하여 매시간당 1회씩 기록하였다. 그 외 기후 정보는 기상청의 기상자료개방포털(https://data.kma.go.kr)을 이용하였다. 번식울음 분석은 1분당 들리는 북방산개구리의 울음소리 빈도와 횟수에 따라 0~5점을 부여하였다. 분석 결과, 2019년 북방산개구리의 초성 날짜는 남산과 북한산은 3월 3일, 소백산은 3월 26일, 월악산은 3월 10일로 나타났으며, 2020년에는 남산은 2월 21일, 북한산은 2월 20일, 소백산은 3월 10일, 월악산은 2월 13일로 나타났다. 각 연도별 최대빈도(피크) 발생일은 2019년 남산은 3월 21일, 북한산은 3월 15일, 소백산은 4월 24일, 월악산은 3월 21일로 나타났으며, 2020년에는 남산은 3월 10일, 북한산은 2월 22일, 소백산은 3월 27일, 월악산은 3월 10일로 나타났다. 울음빈도는 도심지에 인근한 남산과 북한산에 비해 산지형 국립공원인 소백산과 월악산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번식울음의 일주기 패턴은 인위적인 영향이 많은 서울 남산과 북한산은 오후~저녁 시간대인 15시~20시에 울음빈도가 높았고, 인위적 영향이 적은 소백산과 월악산은 이른 시간대인 11시~19시에 울음빈도가 높았다. 북방산개구리는 2019년에 비하여 2020년에 2주에서 1개월 정도 이른 시기에 우는 경향을 보였으며, 2~3월 경 온도가 높아지는 시기에 울음을 시작하여, 비가 오는 시기에 집중적으로 우는 경향을 나타냈다. 기후 데이터를 살펴보았을 때, 2019년보다 2020년에서 북방산개구리의 초성이 시작하기 전 온도가 상승하고 높은 강수량이 관측되는 시기가 더 이른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통영시 무인도서지역 식물의 분포특성

        명현호 ( Myeong¸ Hyeon-ho ),장면 ( Jang¸ Myeon ),이점숙 ( Lee¸ Jeom-sook ),이정윤 ( Lee¸ Jong-yun ),최대훈 ( Choi¸ Dae-hun ) 한국도서(섬)학회 2021 韓國島嶼硏究 Vol.33 No.2

        본 연구는 통영시 138개 무인도서의 관속식물 분포특성과 식생 조사를 위해 2019년 5월부터 10월까지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85과 301종 3아종 24변종 2품종 등 총 330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출현종에 대한 빈도분석을 한 결과 돌가시나무가 120로 가장 높은 빈도로 분석되었으며 억새(112회), 명아주(107회), 돈나무(102회), 곰솔(100회) 순으로 확인되었다. 환경 평가, 식물의 특성 및 서식처 보전 우선순위를 정하는데 활용되는 식물구계학적 특정 식물은 총 70 분류군으로 전체 출현종 중 21.21%를 나타났다. 또한 자생식물의 서식지를 침입해 생태계 영향을 미치는 귀화식물은 21종이 확인되었으며, 그중 망초(87회), 미국자리공(54회)로 나타났다. 해안선을 중심으로 생육하며, 염분스트레스나 혹독한 환경에서 살아가기 위해 형태 및 생리적으로 잘 적응한 염생식물은 32종이 생육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출현 빈도를 분석 한 결과 해국, 갯장구채, 갯까치수염, 갯강아지풀 순으로 나타났다. 연안에 생육하는 염생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흡수 효과적이다. 식물 생활형의 분류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는 라운키에르 생활형으로 분류 한 결과 반지지중식물(H)이 87분류군(26.36%)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대형 육상식물(M)이 78분류군(23.64%), 일년생식물(Th)이 53분류군(16.06%)으로 나타났다. 식생은 대부분이 산지침염수림인 곰솔군락이 우점 분포하고 있으며 그 외에 소나무군락, 후박나무군락, 동백나무군락, 소사나무군락, 굴피나무군락, 느릅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군락, 섬향나무군락, 밀사초군락, 참억새군락, 칡군락, 이대군락, 왕대군락 등이 분포하고 있었다. 조사지역은 지리학상 남해안아구에 속하고, 식생은 난온대삼림대에 해당되어 후박나무, 동백나무, 구실잣밤나무군락과 같은 상록활엽수림 천이가 활발하게 진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도서생물지리학 이론 관점에서 식물종 분포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도서면적에 대한 환경변수에 대해 출현종수(r<sup>2</sup>=0.6544)와 귀화식물(r<sup>2</sup>=0.524)에 대해서는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났으나 귀화율 및 염생식물 출현양상은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육지와의 거리에 대해 출현 종수, 귀화식물, 귀화율, 염생식물은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통영시 무인도서는 남해안 도서 중에서도 비교적 생태계 보전과 자연경관이 뛰어난 지역으로 식물상 및 식생 분포 특성에 대한 평가를 통해 효율적 관리방안을 수립하여야 한다. This surve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and vegetation of Tongyeong uninhabited island from May 2019 to October 2019. Vascular plants were identified as 330 taxa in total, including 85 families, 301 species, 3 subspecies, and 24 varieties, with 2 forms of Rosa wichuraiana s. showing the highest frequency at 120, followed by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112 times), Chenopodium album var. centrorubrum (107 times), Pittosporum tobira(102 times), and Pinus thunbergii(100 times). There are a total of 70 taxa(21.21%) of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specially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the Environment. 21 taxa of naturalized plants were also found, among them, in the order of Erigeron canadensis(87 times), and Phytolacca americana(54 times). Halophytes were identified as 31 species and the most frequent species were Aster spathulifolius, Silene aprica var. oldhamiana, Lysimachia mauritiana and Setaria viridis var. pachystachys. Furthermore Hemicryptophytes(H) had 87 taxa(26.36%), Microphanerophyte(M) was at 78 taxa(23.64%), and Therophytes(Th) stood at 53 taxa (16.06%), which showed a high proportional ratio in life forms. According to the physio-gnomic classification, this area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5 categories. The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evergreen coniferous forest,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herb vegetation and plantation forest. such as Pinus densiflora, Pinus thunbergii, Machilus thunbergii, Camellia japonica, Carpinus turczaninowii, Platycarya strobilacea,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Castanopsis sieboldii, Juniperus chinensis, Carex boottiana, Miscanthus sinensis, Pueraria lobata, Pseudosasa japonica, and the Phyllostachys bambusoides community. Number of species and naturalized plants at the islands shows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ize of the island (r<sup>2</sup>=0.6544, r<sup>2</sup>=0.524), but the correlations with distance from the mainland is not significant. The survey area is one of the southern coastal islands with a relatively excellent ecosystem of conservation and natural landscape. Therefore, for each island, management plans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uninhabited islan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