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훼손 수목 이식에 대한 이해관계자 인식 연구

        문윤정 ( Yoonjung Moon ),박홍준 ( Hongjun Park ),차재규 ( Jaegyu Cha ),나진주 ( Jinjoo Na ),이선미 ( Seonmi Lee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21 환경영향평가 Vol.30 No.6

        환경영향평가 시 개발사업으로 훼손되는 수목의 약 10%를 이식 또는 재활용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식 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이식 시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였다. 2020년 10월 9일부터 25일까지 실시한 설문조사에 협의기관, 검토기관, 사업자·대행자 그룹별 각각 36명, 44명, 83명(총 163명)이 참여하였다. 세 그룹 모두 개발사업으로 인한 훼손이 심각하므로 개발 부담금이 증가하더라도 훼손 수목의 일부를 이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가장 심각하다고 응답한 문제점은 고사율이었다. 고사 시 대체 방안으로 세 그룹 모두 동일한 수종과 수량을 식재해야 한다는 응답 비율이 높았다. 고사율을 줄이기 위해 이식 수목은 크기가 작은 것을 이식하고, 이식 수종은 식재종과 조경 수종을 포함하여 확대시키고, 이식 수목량은 자생 수목량 대비 이식 비율을 산정하자는 응답 비율이 높았다. 관리자를 별도로 배치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한 비율도 높았다. 본 설문조사의 결과는 훼손 수목의 이식 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것이다. About 10% of trees damaged by the development projects are to be transplanted when conducting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However, various problems have been raised during transplantation. In this study, we confirm the stakeholder’s perceptions of the problems that occur during transplant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9 to 25, 2020. Among the stakeholder groups, 36 respondents participated in the consulting institute group, 44 from the review institute group, and 83 from the developer·agency group (total of 163). All three groups responded that it was necessary to transplant some of the damaged trees even if the development charge increased because the damage caused by the development project was serious. The most serious problem was ‘high mortality’. The response rate was high that all three groups should plant the same species with the same quantity as an alternative method in case of withering. In order to reduce the mortality rate, small-sized trees were transplanted and transplanted trees were expanded to include planted species and landscape trees. In addition, the number of transplanted trees was high in response to calculating the transplant ratio to the number of native tree damaged.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who said that it was necessary to allocate a separate manager was also high. The results will be used as basic data to improve problems that occur during transplantation of damaged trees.

      • KCI등재

        생태복원사업의 식재 현황과 개선 방안

        이선미 ( Seonmi Lee ),윤주은 ( Jueun Yun ),강다인 ( Dain Kang ),차재규 ( Jaegyu Cha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20 환경영향평가 Vol.29 No.5

        본 연구는 생태복원사업의 식재 및 유입식물의 현황을 파악하여 식재식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적극적 복원을 실시한 환경부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지역과 산림청 민간인 통제선 이북지역 산림복원사업지역에서 식재 및 유입식물을 조사하여 자생, 외래, 재배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식재식물 중 자생식물의 식재 및 서식 지역, 서식지 특성 비교·분석, 생활형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생보협 사업의 식재식물 중 자생식물은 50.4%, 외래식물은 6.8%, 재배식물은 42.9%이었다. 민북 사업에서 식재식물 중 자생식물은 78.6%, 외래식물은 21.4%이었고, 재배식물은 없었다. 식재 지역과 서식 지역의 거리가 가깝지 않고 서식지 특성이 상이한 곳에 식재되었다고 판단되는 자생식물도 여러 종 확인되었다. 라운키에르 생활형의 경우 식재식물은 대형지상(MM)과 미소지상(N)식물의 비율이 높았고, 유입식물은 일년생(Th)과 반지중(H)식물의 비율이 높았다. 따라서 생태복원 시 외래 및 재배식물 보다 자생식물의 식재 비율을 높이고, 자생식물 선정 시 서식지와 생태적 특성을 고려하여 생태복원의 효과를 높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information relevant to resolving problems related to artificially introduced plants in ecological restoration projects. We investigated artificially introduced plants and plants growing naturally from its surroundings in the active restoration sites of the Ecosystem Conservation Fund Return Project (ECFRP)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Civilian Control Zone Forest Restoration Project (CCZFRP) of the Korea Forest Service. We also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native, exotic, and cultivated plants in addition to their Raunkiaer’s life forms. Furthermore, we compared the planted areas and inhabited areas,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bitats of native plants among the planted plants. We found that among theplants planted in the ECFRP, 50.4% were native, 6.8% were exotic, and 42.9% were cultivated. Meanwhile, in the CCZFRP, 78.6% were native, 21.4% were exotic. We also noted that many native plants were found in the planted areas that were far from their habitats. In addition, we identified many native plants that were planted in areas judged to have characteristics different from that of their natural habitat. In the case of Raunkiaer’s life forms, the planted plants showed high ratios of megaphanerophytes (MM) and microphanerophytes (N), while the invasive plants showed high ratios of therophytes (Th) and hemicryptophytes (H). When restoring the ecosystem, the ratio of planting native plants should be higher than that of exotic or cultivated plants. Moreover, the habitats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when selecting native plants to enhance the effect of ecological resto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