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중・고등학교 일본어 교과서 음성 항목 분석

        진종복 한국일어교육학회 2022 일본어교육연구 Vol.- No.60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편찬된 중・고등학교 일본어 교과서의 가나 문자의 발음 표기와 음성 항목별 도입 실태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중・고등학교 일본어 교과서에서는 가나 문자의 발음을 로마자로 표기하고 있다. 한편, 일부 교과서에서는 오류가 보이는데, 표기의 일관성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둘째, 대부분의 교과서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일본어의 음성적 특징으로 제시하고 있는 청・탁음, 장・단음, 요음, 촉음, 박, 억양 항목을 학습 초기 단계에 도입하고 있다. 반면, 한국인 학습자에게 습득이 어려운것으로 알려진 음성 항목은 도입하고 있지 않다. 한국인 학습자에게 습득이 어려운 항목에 대해서 만이라도 최소한의 설명과 연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셋째, 일부 교과서에 제시된 일부 항목의 용례와 설명에서 오류가 보인다. 학습자의 올바른 발음 습득을 위해서는 해당 항목에 적절한 용례와 설명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넷째,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분절음은 설명과 연습을 함께 도입하고 있는데 비해 운율은 설명에 그치고 있어분절음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학습자의 유창성과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해 운율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자발음성을 통해 본 한국인 학습자의 일본어 어두 유성파열음 습득 실태 : JSL 학습자와 JFL 학습자의 VOT 비교 

        진종복 한국일어교육학회 2020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52

        This study analyzed the condition of Korean learner's acquisition of the pronunciation of Japanese wordinitial voiced stops, focusing on VOT, and compared the condition of acquisition with learning environment. The result confirmed the following. First, Korean JSL learners perceived Japanese wordinitial voiced stops as +VOT. Examining this with places of articulation and followup vowels, VOT's length was longer in velar /g/ > alveolar /d/ > bilabial /b/. It was longer when closer to mouth. And VOT of front vowels /i, e/ was shorter than that of vowels except front vowels /a, o, u/. Second, pronunciation of VOT of wordinitial voiced stops by Korean JSL learners was mostly 0~50ms, which overlaps with the range of the pronnciation of Japanese speaker's wordinitial voiced stops. Third, Korean JFL and JSL learners were common in learning wordinitial voiced stops as +VOT, its range of 0~50ms, and its length in the order of Velar > Alveolar > Bilabial; the closer to vocal chords, the longer VOT appeared. With followup vowels, VOT average was longer when JFL learner's followup vowels were close vowels while JSL learner's were back vowels.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학습자의 일본어 어두 유성파열음 발음 습득 실태를 VOT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학습 환경에 따른 습득 실태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하였다. 첫째, 한국인 JSL 학습자는 일본어 어두 유성파열음을 +VOT로 습득하고 있었다. 이를 조음위치와 후속모음에 따 라 살펴본 결과, VOT값은 연구개/g/>치경/d/>양순/b/의 순으로 나타나 성대에 가까울수록 그 값이 컸다. 또한 후속 모음이 전설모음(/i/, /e/)일 때에 비해 비전설모음일 때(/a/, /o/, /u/)가 VOT값이 컸다. 둘째, 한국인 JSL 학습자의 어두 유성파열음 발음의 VOT는 대부분 0ms~50ms의 범위에 해당하여 일본어화자의 어두 유성파열음 발음과 범위가 중복된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셋째, 한국인 JSL 학습자와 JFL 학습자는 모두 어두 유성파열음을 +VOT로 발음하고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VOT 는 0ms~50ms의 범위에 해당하며, VOT 길이는 조음위치가 연구개>치경>양순의 순으로 나타나 성대에 가까울수록 VOT값이 크게 나타난다는 공통점도 있었다. 후속모음에 따른 비교에서는 JSL 학습자에게서는 후속모음이 비전설모 음일 때, JFL 학습자에게서는 후속모음이 협모음일 때 각각 VOT 평균값이 컸다.

      • KCI등재

        한국인 학습자의 일본어 어두 유성파열음의 발음 습득 실태

        진종복(陳宗福),민광준(閔光準) 한국일본어학회 2018 日本語學硏究 Vol.0 No.57

        This study describes the acquisition status of Japanese initial voiced plosive of Korean learners using spontaneous speech, the descriptive contents and the pronunciation teaching method of Japanese initial voiced plosive’s VOT in commercial Japanese voice textbooks.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confirmed. First, most of Korean learners were acquiring Japanese initial voiced plosive as +VOT. The longest +VOT value appears in the phonetic environment where the point of articulation is the soft palate and the subsequent vowel is /i/ whereas the longest -VOT value appears when the point of articulation is the alveolar ridge and the subsequent vowel is /e/. Second, the VOT value of Japanese initial voiced plosive by both Korean learners and Japanese speakers is most distributed in common in the range of 0ms to 50ms , but in terms of the proportion , Korean learners’ VOT values were higher than Japanese speakers`. Third, commercial Japanese voice textbooks describe Japanese initial voiced plosive as -VOT, and suggest learners pronounce it by adding ‘ん’ or a vowel before the voiced stop. But, it is necessary to modify and complement the explanation and the pronunciation teaching method of VOT considering the fact that +VOT appears in the pronunciation of most Japanese speakers and Korean learners, and it is also necessary to examine the validity and the need for improvement of existing pronunciation teaching methods.

      • 한국인학습자의 일본어 발음 습득 종단 분석

        진종복 ( Jongbok Jin ),민광준 ( Kwangjoon Min ) 건국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교사와 교육(구 교육논집) Vol.33 No.-

        본 연구는 한국인학습자가 습득과 운용에 있어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지적되어 온 일본어 발음 항목 전체에 대해 그 습득 과정의 실태를 종단 분석을 통해 종합적으로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학습자의 오용을 발음 항목별로 살펴보면 직음의 요음화(1,207건), 어중 무성 파열음·파찰음의 유성음화(922건), 어두 유성 파열음·파찰음의 무성음화(629건), 장모음의 단모음화(613건), 촉음 삽입(342건), 단모음의 장모음화(320건), 어중 は행자음의 약화·탈락(164건), 촉음 탈락(139건) 순으로 많이 관찰되었는데, 이 8개 항목의 오용이 4,336건으로 전체의 약 88%를 차지하였다. 둘째, 발음의 오용은 대부분의 항목에서 학습기간에 관계없이 광범위하게 발생되었다. 이것으로 학습기간이 경과하더라도 발음은 자연히 습득되는 것이 아님을 종단 분석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한국인학습자의 발음 습득 과정을 분석한 결과, 학습 기간의 경과와 발음 항목에 따라 오용 빈도의 증가와 감소가 반복되는 학습자와 서서히 감소하는 학습자가 있었다. 이것으로 보아 일본어 발음의 습득 과정에는 개인차가 있으며, 또한 그 경향에 있어서도 발음 항목마다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reports on a longitudinal study of Korean learners of Japanese through an examination of Japanese phonetics, which Korean learners have difficulties in acquiring, and the interlangauge of the students. Analysis of the data showed following these results. First, learners` phonological and phonetic errors were often observed in the following order: the transition from single-kana sounds to contracted sounds(1,207), medial voiceless plosive·affricate voicing(922), initial voiced plosive·affricate devoicing(629), long vowel shortening(613), the double consonant insertion(342), short vowel lengthening(320), medial ``ha`` line consonants deletion·weakening(164), and the double consonant omission(139). 4,336 cases of these eight kinds of errors encompassed almost 88 percent of the total cases. Second, misuse of pronunciation was observed extensively in most phonetic items, irrespective of the learning period. It tells that pronunciation acquisition is not achieved naturally despite of an increase of learning period. Third, an analysis of the process of Korean learners` pronunciation acquisition shows a difference in the individual case and each phonetic item.

      • KCI등재

        한국인학습자의 일본어 ざ행음 습득에 관한 종단적 분석

        진종복 ( Jong Bok Jin )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15 日本語敎育 Vol.0 No.71

        This study analyzed Korean learners’ acquisition process of za-gyo-sounds and the actual process of acquisition using longitudinal spontaneous speech data of three Korean JSL learners. As the result, the following facts were found. First, error had a higher frequency of occurrence when the occurrence position of za-gyo-sounds was an initial rather than the middle. However,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objectivity through further analysis. Second, as the error occurred regardless of the time of the investigation, za-gyo-sounds was difficult to acquire for Korean learners as the speed of acquisition was too slow. Third, the error of za-gyo-sounds appeared to be concentrated in particular vocabulary. This implies that pronunciation instruction of vocabularies with a high frequency of error can greatly reduce the error rate of za-gyo- sounds. Furthermore, it means that instructing and correcting a particular vocabulary item, depending on the learning topic and stage,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pronunciation capabilities of learners.

      • KCI등재

        한국인학습자의 일본어 어두유성파열음 습득 -회화 음성을 대상으로 한 종단적 분석 결과를 토대로-

        진종복 ( Jong Bok Jin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5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32

        본 연구는 한국인 JSL학습자 3명의 회화 음성을 대상으로 어두유성파열음의 무성음화가 주로 나타나는 음성 환경과 학습 기간의 증가에 따른 어두유성파열음의 습득 경향을 살펴보고, 어두유성파열음의 무성음화와 무성음화 발생어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것이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어두유성파열음의 무성음화 빈도는 조음 위치가 치경/d/일 때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연구개/g/, 양순/b/의 순이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발화 환경이 통제되지 않은 자연 발화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조음 위치에 따라 출현 빈도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어두유성파열음은 이른 시기에 습득이 이루어진 학습자와 늦은 시기에 습득이 이루어진 학습자가 있는 반면, 학습 개시 후 약 3년이 경과해도 습득이 이루어지지 않는 학습자가 있어 습득에 개인차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어두유성파열음의 무성음화는 학습자 모두에게서 특정 어휘에서 집중되어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 학습기간의 증가와 관계없이 유지되고 있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phonetic environments of conversation between three Korean JSL learners where devoicing of initial voiced plosive sounds occur frequently and the acquisition tendency of initial voiced plosive sounds according to the learning period. The correlation between devoicing of initial voiced plosive sounds and devoicing occurrence in vocabulary was analyzed. As a result, the following facts were found. First, the frequency of devoicing of initial voiced plosive sounds was highest when the articulation place was an alveolar /d/, followed by a velar /g/ and a bilabial /b/. However, there was a frequency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rticulation place as this research used natural speech with uncontrolled speaking environments.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s as some learners acquired initial voiced plosive sounds at an early stage or late stage while other learners could not acquire the sounds even after three years from the beginning of study. Third, every learner tended to devoice initial voiced plosive sounds, particularly in specific vocabularies and they maintained this tendency regardless of the learning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