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인연구 : 한비자의 세(勢)와 술(術)의 교육적 해석

        지정민 ( Jeong Min Chi ) 한국교육사학회 2003 한국교육사학 Vol.25 No.2

        The present study is an attempt to interpret Han Fei`s legalist thought as an answer to the question: How should the teacher bring up students to be moral beings through acts. Han Fei has been widely regarded to propose explicit behavioral rule (法). But to make people follow the explicit behavioral rule has a serious problem that it fails in developing true morality and becomes just conditioning. From the standpoint of this study, Han Fei can find the way to actualize the aim of the explicit behavioral rule to make people to be moral beings, putting together various legalist traditions in ancient China. It is of paramount importance that there are two other elements of fa-chih in addition to explicit behavioral rule, i. e. absolute authority (勢) and tacit art (術).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ruler instigates the belief that the righteousness of the behavioral rule is beyond doubt, so that the people follow it for the very reason that it is good. The tacit art refers to a special kind of technique which the ruler uses in the state of ``non-activity`` (無爲), so that the ruler can look through the people`s mind and know all about the people as they truly are. Han Fei`s educational theory shows an act-centered education. The three elements of fa-chih are a set of well designed steps leading to Tao. His thought can and ought to be understood as an educational theory showing the distinctive legalist perspectives and methods of act-centered education.

      • KCI등재

        호메로스 교육의 초월성과 세속성

        지정민(Jeong-Min Chi) 한국도덕교육학회 2021 道德敎育硏究 Vol.33 No.1

        서양 고대교육의 초석을 놓은 호메로스의 서사시에는 교육의 원형이 제시되어 있다. 호메로스는 영웅의 초월적 지향과 세속적 한계라는 두 축 사이에서 벌어지는 인간의 숙명적 비극을 조명함으로써 교육의 원형을 제시하였다. 교육은 고대로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초월성, 세속성, 그리고 인간의 비극성을 그 핵심적 의미 요소로 삼고 있다. 서양 고대교육사에서 흔히 「일리아스」의 아킬레우스는 죽음을 마다하지 않고 불멸의 명예를 추구하며 대업을 이룬 것으로 평가된다. 아킬레우스가 추구하는 불멸의 명예는 영웅의 초월적 지향을 강조해 준다. 반면에 아킬레우스가 죽음을 앞두고 유한한 인간 조건에 대한 통찰에 이른 것은 영웅의 세속적 한계를 강조해 준다. 초월적 지향과 세속적 한계는 분리될 수 없으며, 세속적 한계를 철저하게 깨닫는 것이 곧 초월적 지향의 진정한 의미가 된다. 또한, 호메로스의 서사시에서 아킬레우스가 고난과 시련을 통하여 내적으로 성숙하는 과정은 비언어적 상징을 매체로 하는 교육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의 서사시가 잘 보여주듯이 전쟁이라는 사회적 삶의 현장성으로 인하여 비언어적 상징에 의한 교육은 영웅의 활동 속에서 우연적으로, 비체계적으로 이루어진다. This paper attempts to reveal what is the most valuable contribution of Homeros in ancient Greek education. Homeros provided the starting point of ancient education in the West, by presenting the archetype of education. Achilleus, the hero in Ilias seeks unperishable and transcendent honor and glory, which has common ground with the concept of Idea in Greek metaphysical philosophy. At the same time, he cannot be free from any secular vulnerabilities and limits, and he realizes human predicament, when he finally meets the fate of his death. Transcendece, secularity and human tragedy are inseparable, and these are the essential elements of education. On the other hand, it is sufferings and hardships―namely, nonliguistic symbol―that leads Achilleus to his insight into human existence. What he experiences in his social and political life do not take the form of language, but they are dominant medium of education in Homeric age. According to the epic, the education with nonliguistic symbol often occurs unexpectedly and unsystematically.

      • KCI등재

        고대 중국의 교사선발제도: 학관고시

        지정민 ( Jeong Min Chi ) 한국교육사학회 2007 한국교육사학 Vol.29 No.2

        본 연구는 중국의 전통적 교사선발제도의 하나인 학관고시에 주목하여 그 역사적 전개과정을 살펴보았다. 학관고시는, 학교의 흥쇠는 궁극적으로 사표(師表)에 의해 결정된다는 유학적 신념의 제도적 표현으로서, 한대(漢代)에 출현한 이래 많은 제약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활성화가 모색되었다. 학관고시는 객관적 기준에 의거한 엄정한 평가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천거 등 기존의 선발방식에 비하여 교사의 전문성을 높여줄 것으로 기대되었다. 그러나 당대(唐代)에 이르면 학관고시는 일종의 침체기를 맞는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이때에 과거의 합격을 학관고시의 응시자격으로 삼고자 하였다는 점은 각별히 주목할 만하다. 학관고시는 송대(宋代) 중기에 제도적 완성을 이룬다. 응시자격, 시험내용, 고과등급 등이 차례로 정비되면서 학관고시는 활발하게 시행되었다. 아울러 학관고시의 성격에 대한 인식도 심화되는데, 주로 천거와 비교하여 학관고시가 가지는 부작용과 한계가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학관고시는 교사의 역할과 자격에 대한 중국적 이해방식의 일단을 보여주는 중요한 제도로 확립되기에 이른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學官考試) in the traditional China from Han Dynasty to Sung Dynasty. From Han Dynasty, several teacher recruitment systems, such as recommendation, appointment, replacement from other positions, were already established.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was one of those recruiting systems, but it had peculiar characteristics in that it evaluated candidates` academic capacity by using objective and strict standards or procedures. This unique recruitment examination, which could not be seen in traditional Korea, expressed the belief of Confucianism that teachers are the most fundamental force to improve education and, therefore, to realize ideal society. Few empirical evidences were found to show that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functioned more effectively rather than other recruitment systems for the revival of schools. However, it existed continuously because it involved an institutional expression of the Confucius belief in the traditional China.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appeared in Han Dynasty with the aim of school education reform. It was accompanied with the recommendation of high officials guaranteeing applicants` knowledge, moral behavior, and health etc. Second,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declined in Tang Dynasty. It should be noted that they needed a pass in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科擧) as a requirement for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Third,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reached to its most developed form in Sung Dynasty. Comparing with recommendation, people could understood the nature and limits of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more deeply.

      • KCI등재

        동양고전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논어집주대전』을 활용한 『논어』 강의

        지정민 ( Chi¸ Jeong-min ) 한국교육사학회 2021 한국교육사학 Vol.43 No.3

        『논어』나 『맹자』등의 동양고전을 대학 강의에서 가르치는 경우에 흔히 경구에 대한 도덕적 교훈이나 학생의 경험에 기반한 일상적 소감, 또는 원문의 소개와 어구의 풀이 위주로 다루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철학으로서의 유학을 그 성격에 충실하게 가르치기 위해서는 원전이 제기하는 철학적 논의와 다양한 해석을 학생의 수준에 적합한 형태로 가능한 한 심도있게 가르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논어』강의의 대안적 방식을 모색하기 위하여 『사서대전』의 하나인 『논어집주대전』에 수록된 성리학자들의 논의를 기반으로 삼아 간략한 강의내용 및 몇 가지 수업자료를 소개한다. 『논어』에 나타난 ‘학습의 즐거움과 괴로움’이라는 주제로 한 두 차시의 강의를 구성하고자 할 때 학생들의 흥미와 동기를 촉진하도록 도입부를 구안하고, 주제에 대한 예비 고찰을 위한 활동지를 조별로 작성하고, 『논어』의 중요 구절의 설명을 위하여 성리학자들의 주석을 다양하게 활용하고, 마지막으로 심화질문을 토의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학습뿐만 아니라 정치, 교육, 예술, 가족, 윤리, 삶과 죽음, 경제 등 다양한 주제가 『논어』에 담겨있으며, 각 주제에 따라 이와 같은 방식의 강의를 다각도로 시도할 필요가 있다. 강의의 순서나 해석, 발문, 학생 참여의 방식 등은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운영될 수 있지만, 『논어』를 『논어』답게 가르치는 일, 고전읽기의 유구한 교육적 전통을 계승하고 발전시키는 일은 교육사철학 연구자로서 피할 수 없는 중요한 소명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about how to properly teach Confucian classics such as Analects, Mencius, Myeongsimbogam(明心寶鑑), etc in universities. In most cases, professors deal with them emphasizing various moral suggestions and students’ personal opinions or simply reading word by word. However, if we consider our prominent academic traditions of philosophical discussion on those books, it is critically important to focus on traditional Neo-Confucian commentaries like Great book of Four Canons Commentary(四書大全), which show us the way how to think and to make questions philosophically through those classics. The example given in this paper is a preliminary attempt for philosophical discussion about ‘the pleasure and pain of learning’ in the Analects reading class. Based upon Great book of Analects Commentary (論語集註大全) edited by Chu Hsi, it consists of introduction, quiz for students, main issues and explanation, questions for advanced learning. Here are also provided a few more examples of quizes and issues in addition. As researchers and as teachers in the field of Eastern studies, we have the essential calling to inherit our academic and pedagogical tradition, and to develop modern way of Confucian education.

      • 정치와 교육의 공통 이상: 쉴러의 심미적 접근

        지정민 ( Jeongmin Chi )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9 사회과학논총 Vol.18 No.-

        쉴러는 「(연작편지로 쓴) 인간의 심성교육론」에서 예술의 목적을 인간의 완전한 정치적 자유로 규정하고, 교육-정치적(pedagogico-political) 예술을 통해서 그 자유에 이르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그는 칸트 철학의 현상계와 본체계의 구분에 상응하는 감각 대 이성, 자연국가 대 도덕국가, 상황 대 사람 등의 이원적 구분을 다양하게 사용하면서 양자 간의 조화로 미의 특성을 규정한다. 그러나, 칸트와는 달리, 그는 이 이상을 실현하는 과정에서의 인간의 실천 행위에 관심을 두었으며, 그 실천은 쉴러 특유의 조화 모형에 의하여 설명된다. 쉴러에 따르면 감각과 이성의 조화는 유희 충동이라는 제3의 요소에 의하여 현실 속에서 가능하며, 우리는 신적 아름다움을 흉내 낸 미의 모사품을 통하여 감성적, 심미적 태도를 함양함으로써 진정한 자유를 체험할 수 있다. 미의 모사품은 전통적인 예술작품에서 뿐만이 아니라, 교과를 배우는 활동이나 사회, 정치적 법과 관례를 따르는 활동 속에서 항시적으로 발견된다. 쉴러의 논의는 우리가 심미적 태도로 교육활동과 정치활동을 수행할 때 그것은 예술과 동일하게 자유를 구현하고 확립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ature of beauty and its relationship with human activities such as politics and education in F. Schiller’s Aesthetic Education on Man. According to Schiller, the beauty can be defined as the perfect balance between reason and sense or moral state and natural state. In the Eighteenth century, people tended to follow reason without sense or sense without reason, with no attempt to maintain the balance of both sides. Schiller criticizes it and presents the concept of ‘play-drive’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belief that we can imitate divine beauty here and now through the aesthetic attitude. In the perspective of this study, Schiller means by ‘aesthetic’ not only fine art activities but also educational or political related activities. Schiller takes different step with Neo-Confucian thoughts, in that he emphasizes balance between reason and sense while Neon-Confucian thoughts focuses on recovery to original pure state. Both of them endeavor to establish the role of human activities to realize transcendent ideal, but it is Schiller that endows our actual life with the state of imitation to divine beauty. He suggests to us that our ordinary educational or political activities can become the art when we engage these activities with aesthetic attitude.

      • 성찰과 창조의 수업 전문성 -교사연구공동체의 비교을 중심으로-

        지정민 ( Chi Jeong-min ) 창조교육학회 2020 창조교육논총 Vol.22 No.-

        This paper deals with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by comparison of three different teacher research communities―‘class critique’, ‘class reflection’, and ‘the art of teaching’. All these three communities regard classroom instruction as an art, and attempt to change our educational enviroments which have been severely distorted by competition and evaluation. They all put an emphasis on reflection and creation of teachers themselves to develop teacher professionalism, which seems to provided the only possible solution for educational reform. However, there is some ambiguity in the meaning of reflection and creation, and also in the meaning of art. Three teacher research communities interpret it in their own way. First, ‘class critique’ supposes that to see properly classroom instruction is to be able to notice teaches’ hidden intention and boarder context of particular instruction, instead of applying objective, scientific criteria. Second, ‘class reflection’ focuses its attention to more internal aspect of teacher’s self-understanding. At the beginning, his/her self as teacher indicates the conviction about what is good teaching. Later, it involves teacher’s own emotion, memory, and taste. At last, the ‘self’ means the perspective as messenger revealing to students the genuine meaning and value of human life. On the while, ‘art of teaching’ consists of relatively small groups which keep to study educational theoies including metaphysical philosophy. Teachers belonging this community ask socratic questions to students with their peculiar attitude of 好學, an attitude of being anxious to learn. Although the last community seems to have more comprehensive perception of art, each community has its own achievement and is precious resource for the better future of education in Korea.

      • KCI등재

        정치이론의 교육적 차원: 홉스와 한비자

        지정민 ( Jeong Min Chi ) 한국교육사학회 2011 한국교육사학 Vol.33 No.1

        본 연구는 홉스와 한비자의 정치이론을 고찰함으로써 진정한 정치이론은 교육이론과 필연적인 관련을 맺을 수밖에 없음을 드러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홉스의 정치학은 경험과 논리를 종합하는 특정한 방법론적 태도를 가정하고 있으며, 이 방법론은 한비자의 사상에서 형명론, 즉 일체의 인간행위의 일관성을 추구하는 하나의 인식론으로 구체화된다. 이 두 사람으로 대표되는 후향적 정치이론은 정치행위를 최종적으로 인간인식의 발전과정으로 규정한다. 이에 따르면, 정치이론의 교육적 차원을 드러내는 일은 한편으로는 정치이론의 영역을 넓히는 일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교육이론의 영역을 넓히고 나아가 올바른 의미의 교육이론을 정립하는 일이다. 정치이론과 교육이론의 교호관계를 통하여 양자는 모두 보다 심화될 기회를 얻게 된다. This study attempts to interpret Hobbes and Hanfei`s political theory as educational theory by focusing on their epistemology. In the first hand, Hobbes argued political theory should start from empirical facts rather than abstract ideas or ideologies. He criticized Aristotelian political idealism. At the same time, he emphasized logical inference as the method of political theory, which reflected his inclination with scientific and mathematical attitude in his times. Some researchers point out there exists discrepancy between his political ethics and methodology. However Hobbes made success in integrating experience and logic without any contradiction. In the other hand, Hanfei`s legalist`s political epistemology is construed mainly by the concept of Hyungmyung(形名). According to the theory of Hyungmyung, the consistency of actual life is the final criteria of knowledge and truth. Hanfe`s political epistemology is based on subtle balance between Tao and the consistency of all the empirical events. Hanfei`s education is the process of political and social life, hav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practising one`s role, which enables to develop one`s mind. In conclusion, to interpret Hanfei`s legalist philosophy, as well as Hobbes`, reveals the logical connection between the meaning of politics and the meaning of education.

      • KCI등재

        교사 전문성에 관한 역사적 고찰: 미국 미시간 대학교의 교사양성과정 변천 1879-1929

        지정민 ( Jeong Min Chi ) 한국교육사학회 2014 한국교육사학 Vol.36 No.3

        본 연구는 20세기 전후의 50년간 미국 미시간대학의 교사교육과정을 분석함으로써 교직의 전문성의 성격 변화를 역사적으로 고찰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미시간대학 교직과는 미국에서 최초로 설립된 대학 수준의 교사양성학과로서, 그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다음의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 교직과가 설립된 1879년 이래로 약 30년간 교육과정상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교육사 및 교육철학 분야로서, 이 시기에는 다양하게 분화된 교육사 과목이 개설되었다. 둘째, 1907년을 전후로 교육심리학이나 교육사회학 등의 경험과학적 교과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특히 교육심리학 분야는 ‘교육학의 과학화’라는 기치 아래 급증하였다. 셋째, 1917년을 전후로 교육행정학 및 각종 교육방법 관련 분야가 활성화되어서 숫적으로 가장 우위를 차지하게 된다. 이는 효과적인 수업 운영과 학교 체제 정비에 관한 실제적 관심이 교육학의 전면에 부각되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교육과정상의 변화는 교사가 갖춰야 하는 전문적 지식에 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즉, 교사의 전문성은 교육에 관한 역사적, 철학적 안목을 강조하는 방향에서 수업 및 학교 운영의 실제적 기법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그 내용이 변화하였다. 미시간 대학의 교사양성 교육과정의 이러한 역사적 변화에는 해당 시기의 대학 총장이나 교육학 담당교수의 성향이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으나, 그것은 동시에 당시 미국 교사 전문성의 전반적인 변화의 흐름과 일관된 방향을 취한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nge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in the United States at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The case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shows that its curriculum changed through three stages: the history of education centered period (1879-1907), the science of education centered period (1907-1916), and the practical method of education centered period (1916-1929). The most dramatic shift occurred in the 1910s, when the number of practical courses started surpassing that of theoretical courses. This transition suggests that the focus of professional teacher qualifications moved from theoretical and philosophical knowledge to practical skills and methods. This change reveals very unique patterns caused by inside and outside factor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curriculum change in teacher education program at the University of Michigan suggests that professional teachers had lost the knowledge of history of education and philosophy of education in the process of professionalization. This change was influenced by various social and historical circumstances. The decline of humanities is a phenomenon which can be widely seen in academic world or higher education areas today, while technology and science take the place of humanities. Teacher education program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at the turn of the twentieth century was under this transition. As a result, more and more professional teachers were produced with practical skills and efficient teaching methods, lacking of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knowledges of education.

      • KCI등재

        예수회의 교사교육과 "학습계획": 1546-1832

        지정민 ( Jeong Min Chi ) 교육사학회 2012 교육사학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16세기 중반부터 약 삼백년 동안 예수회의 교육활동을 교사교육과 ``학습계획``을 중심으로 소개하고, 개인의 자율과 집단의 권위의 관점에서 그것을 분석하였다. 예수회 학교가 눈부신 성공을 거둔 이면에는 엄격하고 체계적인 교사교육이 존재하였다. 또한 예수회가 개발한 통일적 교육과정인 ``학습계획``, 즉 라티오 스투디오룸도 예수회의 성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예수회는 교사교육을 통해서 교사의 전문적 자율성을 높였으며, ``학습계획``을 통해서 교단의 권위를 강력하게 행사하였다. 교사 개인의 자율은 주로 수업 내용의 측면에서, 교단 집단의 권위는 주로 수업 방법의 측면에서 발휘되었다. 예수회의 교육에서 개인의 자율과 집단의 권위는 서로 조화를 이루었고, 이 조화는 양자 모두 교육의 전문성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양자의 이러한 조화는 오늘날의 교육에 있어서도 여전히 중요한 과제가 된다. This study investigates why the Jesuit schools could achieve great success at the end of the Medieval period, and what were main features of their education. There were two important epoch-making contributions by Jesuit in western history of education. The first was their high qualification of teachers and teacher education program. After finishing Gymnasium, at least five years of higher education by the Order was required. It consisted of philosophy, religion, literature, and teaching skill etc. Overall, the teacher education of Jesuit was based upon religious passion and pursued toward a philosophical integration. The practical training in teaching skills was also emphasized, for learning was considered to be closely related with teaching in Jesuit tradition. The second was the establishment of the Ration Studiorum, the Plan of Studies, in 1599 which enabled a uniformed teaching in all the Jesuit schools. School curriculum, the method of teaching, the different roles of different status of teachers, examination were directly regulated by the Ratio Studiorum. These two characteristics of Jesuit education sometimes conflicted each other. Teacher education presupposes the individual teacher`s autonomy as an integral part of teacher professionalism. On the while, the Ratio Studiorum requires to observe the fixed rules of the Order, letting aside individual teacher`s judgement and taste. This conflict reflected the tension between reason and authority in the Reformation era. In the perspective of Jesuit, these tensions were positive as well as inevitable, as far as both of them were based on educational expertise.

      • KCI등재

        조선전기 교관천거제도의 시행과 변용

        지정민(Jeong-Min Chi) 교육사학회 2013 교육사학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조선전기 사유록의 역사적 의의를 살펴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사유록은 1439년부터 1569년까지 약 130년 동안 총 14회에 걸쳐서 천거를 통해서 자질이 뛰어난 중앙관학의 교사를 선발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여기에는 기존 관료 중에서 사유의 역할에 적합한 자를 재천거함으로써 유교사회에서 교사가 가지는 중요성을 실현하고자 하는 의지가 표현되어있으며, 동시에 교관의 선발에는 인품과 학식을 총체적으로 고려하는 천거가 적합하다고 보는 제도적 판단이 내재되어있다. 그러나 또한 사유록의 시행에는 많은 난관이 따랐으며, 결국 사유록은 임진란 이후에 기록에서 사라진다. 사유록의 문제점은 그 연계제도인 교관 구임제를 통해서 짐작해 볼 수 있다. 사유록 등재자는 교관으로서 오랜 기간 재임해야만 그 소기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었으나, 교관의 구임은 제대로 실현되지 않았다. 여기에는 교관으로서의 전문성보다는 여타 직책을 겸함으로써 정치적 능력을 쌓는 것이 관료로서 중요하다고 보는 당시의 정치-교육 통합적 사고방식과 교관 자신의 의지 여하 등이 장애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사유록의 시행과 변용의 과정은 조선시대의 교사의 전문성 및 교사 중심의 교육개혁에 관한 노력과 그 특이성을 보여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Sayurok (師儒錄), the list of teacher candidates recruited through recommendation during the Chosun Dynasty.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was the main course to recruit government officials, but it often failed to identify qualified and passionate teachers in public schools for their distinctive job. Sayurok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 supplementary recruitment system for teachers in the fifteenth and sixteenth centuries. It mitigated the rigidity of the civil service exam and, furthermore, represented the Confucian ideal method of recruiting teachers. However, Sayurok faced serious obstacles both at institutional and at conscious level in the society. The problems involved these public school teachers’ low social status and insufficient professionalism, which continuously disturbed the proper implementation of Sayurok. Sayurok eventually disappeared but its heritage has been affecting the education reform to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