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능성 채소 생산을 위한 형질전환 상추의 생육 및 수량에 관한 연구

        주문갑,임지수,최장원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07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9 No.3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get the basic informations for production of high quality in leaf lettuce. In case of germination, DK1 of transformation Lettuce was accelerated as compared to control, but the other treatment were decreased. Number of leave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nd was accelerated at planting 20 days. leaf length of all treatment were accelerated when planting days were increased, but leaf widt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ontrol and transformation treatment. In case of leaf fresh weight, Transformation Lettuce were accelerated as compared to control at planting 20 days and leaf fresh weight was decreased when planting days were increased. In case of progenies derived with transformation as selfing(DK1-S and DK2-S), chlorophyll was increased as compared to control, but vitamin C and NO3- were deceased as compared to control. vitamin C was increased as compared to all treatment. 본 실험은 형질전환된 기능성 잎상추의 안정적 생산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대조구(청치마상추)와 형질전환상추(DK1, DK2) 및 형질전환된 상추를 자식하여 얻은 후대상추(DK1-S, DK2-S) 공시 재료로 하여 2005년 8월부터 2005년 12월에 걸쳐 단국대학교 무난방온실과 열대원예학 실험실에서 수행하였다. 대조구(청치마상추)와 형질전환상추(DK1, DK2) 및 형질전환된 상추를 자식하여 얻은 후대상추(DK1-S, DK2-S)의 발아율, 생육 및 수량 그리고 chlorophyll, 비타민 C 및 NO3- 함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한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형질전환된 상추의 발아율은 DK1 처리구에서 98.0%로 다른 처리구에 비해 가장 좋았으며, 자식하여 얻은 후대상추 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 엽수는 모든 처리구가 정식 후 20일이 되었을 때 가장 증가하였으며, 엽장은 정식 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엽폭은 처리간에 큰 유의차는 나타내지 않았으며, 생체중은 정식 후 20일 되었을 때 모든 처리구가 증가하였다. 생육에 있어서 대조구에 비해 형질전환된 처리구들은 큰 유의차가 없었다. 3. chlorophyll의 함량은 형질전환된 처리구보다 형질전환된 상추를 자식하여 얻은 후대상추(DK1-S, DK2-S)에서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Vitamin C의 함량은 DK1 처리구에서 2,010ppm으로 모든 처리구에 비해 증가하였다. NO3- 함량은 모든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KCI등재

        Winged bean(Psophocarpus tetragonolobus(L .)DC)의 생육에 따른 식물체 , 녹래(綠萊)및 종실(種實)의 성분변화

        주문갑,윤성탁,손석용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994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6 No.1

        우리나라 氣候條件下에서의 Winged bean의 영양적 가치를 檢討코자 일련의 試驗을 實施한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Winged bean 植物體의 蛋白質함량은 定植後 5週 平均 29.32%로 가장 많았으며 品種別로는 TPT-8이 30.44%로 가장 많았다. 脂肪含量은 定植後 3週에 3品種 平均 3.75%로 가장 많았으며 品種別로는 TPT-8이 3時期 平均 3.57%로서 가장 많았다. 2. 緣莢의 蛋白質, 脂肪의 含量 變化는 生長함에 따라 減少되는 傾向을 보였으며 蛋白質含量은 TPT-8이 가장 많았다. 3. 種實의 蛋白質 含量은 Winged bean이 32.33%, 大豆가 40.24%로 大豆가 많았으며 아미노산 組成比率은 大豆와 거의 有意하였으나 염기성 아미노산의 含量은 Winged bean이 높은 편이었다. To evaluate the changes of nutritional composition of plant, green pod and grain of winged bean a series of experiment were conducted under the climate of Korea. The average protein content of 3 varieties was 23.92% at 5 weeks after transplanting and TPT-8 showed the highest content among 3 varieties by 30.44%. The average fat content of 3 varieties was 3.35% at 3 weeks after transplanting and TPT-8 showed the highest fat content among 3 varieties. The content of protein and fat of green pod decreased as ripening advanced and TPT-8 showed the hightest protein of fat content among 3 varieties. In the seed protein content of winged bean and soybean, winged hean seed showed less content of 32.33% than that of soybean of 40.24% and amino acid composition of winged bean was similar to those of soybean, but dibasic amino acid was tended to be higher in winged bean.

      • KCI등재

        도입백합 및 아이리스의 양액재배시 양액조성 , pH 및 배양토가 생장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

        주문갑,이애경,최영재,서정근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998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0 No.4

        1. 백합의 상자형 관비재배시 배양토는 'Casablanca' 의 경우 Peatmoss와 Vermiculite : Perlite : Peatmoss( 1 : 1 : 1 v/v)처리에서 초장이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 'Elite'는 Peatmoss 처리에서 초장이 다른 처리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2. 백합의 상자형 관비재배시 양액조성은 'Casablanca'의 경우 Ca(NO₃)₂, 4H₂O, KNO₃, MgSO₄ 7H₂O, NH₄H₂PO₄의 조성이 1- 2 - ½ - ⅓(mM)인 처리에서 소화경장 및 화폭이 대조구와 비교하여 증가하였으나, 'Elite'는 각 처리별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아이리스의 순환식 담액재배시 주요필수원소의 수준은 원시표준액을 기준으로 0.5배 및 0.25배 처리에서 화경장이 45.1㎝와 44.1㎝로 다른 처리와 비교하여 증가하였다. 2.0배 처리에서는 엽생육이 다른 처리구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4. 순환식 담액재배시 주요필수원소의 수준별 아이리스의 생장은 원시표준액을 기준으로 1.5배 처리에서 엽장이 54.0㎝로 가장 증가하였으나 2.0배 처리에서는 엽장, 엽폭 모두 현저히 감소하였다. 구근의 비대는 표준액 처리에서 8.7㎝로 가장 증가하였다. 5. 아이리스의 순환식 담액재배시 pH는 6.5 처리에서 화경장 35.3㎝, 엽장 52.9㎝로 다른 처리와 비교하여 가장 증가하였으며, pH 7.0처리에서는 생육이 감소하였다. Plant height of 'Casablanca' oriental lily was increased with the medium of peatmoss alone, and the mixed medium of vermiculite : perlite : peatmoss(1 : 1 : 1 v/v) in box culture. Plant height of 'Elite' asiatic lily was increased with the medium of peatmoss. In case of 'Casablanca' oriental lily, length of pedicel and flower diameter were increased with nutrient solution of Ca(NO₃)₂·H₂O, KNO₃, MgSO₄ 7H₂O, NH₄H₂PO₄ at the ratio of 1 : 2 : ½ : ⅓ mM in box culture. But those were not effected by the level of nutrisolution 'Elite' lily. In case of 'Blue magic' Iris, length of flower stalk was increased with the solution strength 0.5×and 0.25×standard concentration(N : P : K : Ca : Mg = 15 : 3 : 6 : 8 : 4 me/L) in deep flow technique. Leaf growth was somewhat decreased with 2.0× standard concentration as compared to other treatment. Leaf length was increased with 1.5× standard solution. Leaf growth in terms of length and width was strikingly decreased with 2.0× standard concentration. Bulb circumference was increased with standard solution. Flower stalk and leaf length were increased at pH 6.0 and 6.5 in deep flow technique.

      • KCI등재후보

        배 밀식과원의 간벌이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주문갑,임지수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03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5 No.4

        밀식되어진 배 과원의 간벌 시 수량의 감소를 최소화하기 위한 간벌방법을 3년차에 걸쳐 감천배를 공시품종으로 한 배 과원에서 실시한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체 생장에 있어서 1/2주 간벌구와 1주 간벌구 보다는 2주 간벌구에서 생장량이 많았다. 2. 과실크기는 간벌구가 밀식구 보다는 컸으며 과중도 1주 간벌구와 2주 간벌구가 밀식구 보다는 무거웠다. 3. 과실의 경도 및 당도는 간벌구가 밀식구 보다는 약간 높게 나타났지만 간벌 처리구별 큰 차이는 없었다. 4. 단위 면적당 주당 평균 착과수와 수량(중량)은 1주 간벌구에서 년차별 증가폭이 컸다. 5. 상품성에 있어서 상품과와 중품과가 1주 간벌구에서 많으나 그 비율은 2주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et information for development of optimum tree thinning method to minimize yield loss of high density pear orchard. Trunk diameter and main-branch diameter of pear tree in dense planting orchard is higher at two plant thinning than half plant thinning and one plant thinning. Length, width and fresh weight of fruit was higher at tree thinning than control. Number of fruit per tree and yield were the highest at one plant thinning. Number of high quality and middle quality fruit were increased at two plant thinning and low quality fruit was increased at one plant thinning.

      • KCI등재

        바나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비료 3요소의 시비반응(施肥反應)

        주문갑,유인수,최근법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993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5 No.1

        施設栽培 바나나의 窒素, 燐酸 및 칼리의 適正施肥量을 究明하기 위하여 1990年 6月부터 1992年 5月까지 檀國大學校 農科大學 FRP溫室에서 遂行된 試驗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窒素 40㎏/10a 施用區에서 假莖長과 假莖直徑이 가장 컸으나 그 이상에서는 減少 하였으며 葉長과 葉幅도 窒素 40㎏/10a 施用區에서 현저히 增加되었다. 또한 果房重, 果掌重 및 果指重도 역시 窒素 40㎏/10a 施用區에서 가장높았으며 그 이상의 水準에서는 減少하는 경향이었다. 2. 窒素施用量 水準과 葉長 및 葉幅간에는 正의 相關이 있었고 果房當 果掌數 및 果指數와는 負의 相關이 있었다. 3. 燐酸의 施用量 水準間에는 假莖長, 假莖直徑, 葉數, 葉長 및 葉幅에서 유의한 增減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燐酸 20㎏/10a 施用區에서 果房重, 果房當 果指數, 平均果掌重, 平均 果指重이 가장 높았다. 4. 칼리의 80㎏/10a 施用까지는 平均果掌重, 平均果指重, 果房當 果指數가 增加하였으나 120㎏/10a 施用區에게는 유의적인 減少 경향이었다. 5. 칼리의 施用水準과 각 形質間의 相關에서 葉數, 果指長, 果指直徑 및 果指重과는 유익적인 正의 相關이 있었고 葉數와 收量간에도 유의한 正의 相關이 있었다. 6. 3要素 肥料의 收量에 대한 反應曲線式에서 10a當 窒素 56.4㎏, 燐酸 11.3㎏, 칼리 62.2㎏에서 最大收量을 나타냈으며, 肥料價와 果實價格을 適用했을때 適正施用量은 10a當 窒素 34.7㎏, 燐酸 1.5㎏, 칼리 12.7㎏ 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cure the optimum levels of application of nitrogen, phosphate and potash to banana at the conditions of greenhouse at agricultural research farm, Dankook University, Cheonan, Korea, from Jun 1990 to May 1992.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At the application of 40Kg nitrogen per 10a, pseudostem length, pseudostem diameter, leaf length and leaf width were increased more than other treatments, also increased more in bunch weight, band weight and finger weight.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evels of nitrogen application and leaf length and width, on the other ha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nitrogen applications and number of hand and finger per bunch. There was no singnificant differences at different levels of phosphate applications to pseudostem length pseudostem diameter, leaf numbers, leaf length and leaf width. However, bunch weight, fingers per hunch, hand weight, and finger weight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application of 20Kg phosphate per 10a. As the application of potash increased up to the level of 80Kg per 10a, hand weight, finger weight and fingers per bunch were increased, but significantly decreased at the application of 120Kg potash per 10a. Positive correlations were shown between the different levels of potash application and leaf number, finger length, finger width and finger weight, and also sin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eaf number and fruit yield. Maximum fruit yield was showed at the level of 56.4Kg nitrogen, 11.3Kg phosphate, and 62.2Kg potash per 10a from the formula of response curve. In the consideration of the price of fertilizer and fruit, the optimum level of nitrogen, phosphate and potash application were 34.7Kg, 1.5Kg, and 12Kg per l0a respectively.

      • KCI등재

        저장기간별 배추의 종자활력과 발아 중 가용성 단백질의 함량 및 전기영동 패턴 변화

        주문갑,주용하,윤혜성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00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2 No.3

        배추종자의 자연노화시 종자활력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온에서 4개월, 3년 및 6년간 보관된 배추품종 '맛나배추(서울종묘)'를 공시하여 저장기간별 발아특성과 발아과정 중에 변화하는 가용성 단백질의 함량 차이 및 전기영동 패턴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저장기간이 4개월 및 3년이된 종자의 발아율은 각각 95%와 92%이었으며, 평균발아일수는 각각 1.4일과 2.9일이었고, 6년간 저장된 종자는 발아되지 않았다. 2. TTC 검정 결과에서 발아가능 종자의 비율은 4개월 저장종자가 90%이었으며, 3년 저장 종자는 77%이었고, 6년 저장종자는 전혀 염색되지 않아 종자활력이 없었다. 3. 발아과정 중 배추종자내 가용성 단백질 함량의 변화는 4개월 저장종자의 경우 발아 후 6 시간까지 증가후 급격히 감소하다가 48시간째에 다시 증가하였으며, 3년 저장종자는 발아 후 6시간까지 약간 감소한 후 다시 24시간까지 증가하다가 48시간째에 매우 감소하였고, 6년 저장종자는 발아후 24시간까지 약간씩 감소하다가 48시간째에 조금 증가하였다. 4. 발아과정 중 전기영동 밴드에서 저장 기간이 4개월 및 3년된 종자는 각각 45 KDa와 63 KDa의 분자량을 가진 가용성 단백질이 발견되었으나 6년 저장된 종자에서는 밴드가 나타나지 않았다. 5. 분자량 45 KDa의 가용성 단백질은 저장기간이 4개월 및 3년된 종자에서 모두 침윤 초기에 존재하다가 각각 6시간 및 12시간 전후에 밴드에서 관찰되지 않았으며, 분자량 63 KDa의 가용성 단백질은 4개월 저장종자의 경우 침윤후 2시간후에 생성되었다가 6시간 전후에 사라졌고, 3년 저장종자는 침윤 2시간후에 생성되었다가 12시간 전후에 사라졌다. 6. 저장기간이 4개월, 3년 및 6년간된 종자를 침윤후 6시간만에 종피, 자엽 및 배를 분리하여 단백질 존재여부를 조사한 결과 분자량 63 KDa의 가용성 단백질이 4개월 및 3년간 저장된 종자의 자엽에서만 관찰되었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seed viability, amounts of water-soluble protein(WSP) and eletrophoretic band patterns during germination of Chinese cabbage seeds were stored for 4 months, 3 years, and 6 years in natural environment conditions. The percentage of germination of seed stored for 4 months and 3 years were respectively 95% and 92% in natural environment conditions whereas the seeds stored for 6 years did not germinate. The average days to germination was 1.4 days in 4 months storage and 2.9 days in 3 years storage. In the seeds stored for 4 months, the amounts of WSP increased until 6 hours after germination and decreased greatly after 6 hours, and then increased again at 48 hours in high. The seeds stored for 3 years increased until 24 hours and decreased greatly at 48 hours. In case of seeds stored for 6 years, the amounts of WSP decreased gradually until 24 and increased a little at 48 hours. In the change of WSP patterns, the WSP of 45 KDa and 63 KDa appeared in germinating seeds stored for 4 months and 3 years. But the both of WSP did not appeared in 6-year-stored seeds. The WSP of 45 KDa was presented in seeds stored for 4 months and 3 years at early stage of imbibition and then disappeared at 6 and 12 hours after imbibition. The WSP of 63 KDa in the 4-month-stored seeds was produced from and disappeared at 6 hours imbibition. The WSP of 63 KDa in the 3-year-stored seeds was produced from 2-hour-imbibition and disappeared at 12 hours. The 63 KDa of WSP was found at the cotyledons of seed imbibed for 6 hours in both 4-month and 3-year-stored seeds.

      • KCI등재

        크로톤(Codiaeum variegatum)의 반입정도와 생장에 미치는 광도 , 생장조절제 , 질소시비 , 및 pH 의 효과

        주문갑,이애경,서정근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998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0 No.4

        1. 차광처리 실험은 55%차광시 초장이 10.86㎝로 가장 촉진되었으며 엽록소 함량은 차광수준이 증가할수록 높아졌다. 안토시아닌 함량은 신엽에 비해 성엽에서 증가하였으며 신엽의 경우 35%차광시 가장 높게 나왔다. 2. 생장조절제 실험에서는 생육에 유의차는 없었으나 엽록소함량은 신엽의 경우 PP333에서 11.53㎎/g·F.W., 성엽의 경우 GA₃에서 11.41㎎/g·F.W.로 가장 높았다. 안토시아닌 함량은 신입에 비해 성엽이 증가하였으며, 성엽의 경우 GA₃처리시 다른 처리구에 비해 다소 증가하였다. 3. 질소 농도별 처리 실험은 질소농도 400㎎/L에서 초장 14.10㎝, 신엽의 엽장, 엽폭이 각각 21.88㎝, 10.14㎝로 다른처리와 비교하여 생육이 촉진되었으며 신엽수는 무처리보다 질소를 시비한 처리구에서 증가하였다. 엽록소 함량은 질소농도 800㎎/L에서 27.42㎎/g·F.W.로 높은 측정치를 보였으며, 안토시아닌 함량은 신엽의 경우 거의 차이가 없고 성엽은 질소 농도 800㎎/L에서 가장 낮은 측정치를 나타내었다. 4. pH처리 실험은 pH 6.5에서 초장이 12.44㎝로 가장 촉진되었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신엽수는 무처리와 비교하여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였다. 엽록소 함량은 신엽의 경우 pH 5.5에서 28.99㎎/L·F.W., 성엽은 pH 7.5에서 22.60㎎/L·F.W.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안토시아닌 함량은 신엽의 경우 처리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성엽은 pH 5.5 에서 가장 낮은 측정치를 나타내었다. Plant height of Codiaeum variegatum was markedly promoted with 55% shading treatment. Chlorophyll content was increased with darker condition. Antocyanin content was increased in mature leaf as compared to new leaf, and increased strikingly with 35% shading in new leaf. Chlorophyll content of new leaf increased with paclobutrazol and considerably increased by GA3 treatment in mature leaf. Anthocyanin was more increased in mature leaf than new leaf. Plant height, leaf length and width of new leaf were promoted with 200㎎/L nitrate as compared to other levels. Number of new leaf was increased with 200㎎/L nitrate treatment. Chlorophyll content was the highest with 800㎎/L nitrate. However, antocyanin content was not affected by nitrate level in new leaf, and was decreased strikingly by 800㎎/L nitrate in mature leaf. Plant height was somewhat promoted at pH 6.5. Number of new leaf was increased at pH 4.5∼7.5. Chlorophyll contents were the highest at pH 5.5 in new leaf, and at pH 7.5 in mature leaf. Anthocynin content of mature leaf was the lowest at pH 5.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H levels.

      • KCI등재

        커피나무의 삽목번식에 미치는 용토 , 삽수 및 발근촉진제효과

        주문갑,서정근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1996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9 No.1

        본 실험은 새로운 실내 관상분화식물로 유망시되는 Coffea 나무의 우량묘 증식을 위한 삽목시 삽상 용토, 삽수조건 및 생장조절제 처리가 발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용토는 peatmoss : vermiculite : perlite(1 : 1 : 1 v/v) 처리구에서 발근율이 가장 높았으며, peatmoss 단용처리구에서는 고사율(70%)이 높게 나타났었다. 녹지삽목시 NAA 200ppm 침지처리구에서 발근 (100%)이 가장 잘 되었고, 뿌리 수 및 뿌리 길이도 다른 처리구에 비해 증가되었다. IBA powder 1.0% 도포처리구에서도 비교적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녹지삽목시 IBA puwder 1.0% 도포처리한 밀폐샵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발근개체수가 촉진되었으며, 숙지삽수의 IBA powder(0.5% 및 1%)도포처리구가 녹지삽수 처리구에 비해 발근이 현저히 증가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NAA 침지와 IBA talc 처리는 커피나무의 삽목시 유용하게 이용 가능함을 제시할 수 있었다. This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media, cuttings condition and plant growth regulators on cutting propagation of Coffea arabica as a new indoor ornamental pot plant. Rooting rate was considerably increased with mixed medium of peatmoss : vermiculite : perlite(1 : 1 : 1 v/v). Mortality was 70% in peatmoss treated with individually. Rooting rate was strikingly increased with NAA dip treatment at 200 ppm concentration(100%) in greenwood cuttings, and also increased number and length of root as compared to other treatment or IBA powder 1% application. Number of rooting was incresed at IBA powder 1.0% with moist green cutting. Rooting response of hardwood cutting was markedly promoted by IBA powder (0.5% and 1.0%) as composed with moist green cutting. It is therefore, suggested that NAA dip and IBA talc application can be used effectively for Coffea cuttings propagation.

      • KCI등재

        An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as an Underwater Glider and Its Depth Control

        주문갑,Zhihua Qu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5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rol, Automation, and Vol.13 No.5

        To provide a conventional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with gliding capability, we assume a moving battery and a buoyancy bag installed in a torpedo shaped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We develop a mathematical model for the underwater vehicle and derive a stable gliding condition for it. Then an LQR controller is designed to control the zigzag depth of the vehicle, where the derived gliding condition is used as set-points of the control system. For control efforts in the gliding movement, the changes in the center of gravity and the net buoyancy are used, but neither thruster nor rudders are used. By using the gliding capability, the underwater vehicle can move to a farther location silently with less energy consumption and then start operating as a normal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We show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by simulations using Matlab/Simulin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