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간비용이 조건부 프로모션에 대한 평가에 미치는 영향

        주경희(Chu, Kyounghee),김지윤(Kim, Ji Yoon),이두희(Lee, Doo-Hee) 한국상품학회 2014 商品學硏究 Vol.32 No.2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기업이 보편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조건부 프로모션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조건부 프로모션이란 소비자가 기업에서 제공하는 제품 혹은 서비스를 얻기 위해서는 소정의 비용(금전적 혹은 비금전적)을 지불해야 하는 프로모션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소비자가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자신의 시간을 할애하는 상황에서, 가치평가과정 그리고 제품(사은품) 유형에 따라 시간비용(소요시간)이 조건부 프로모션에 대한 태도와 이용의도에 미치는 효과가 다르게 나타남을 검증하였다. 연구 설계 및 방법론: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두 번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두 번의 실험 모두 시나리오 기반 실험을 수행했다. 첫 번째 실험은 2(시간비용: 고 vs. 저) x 2(가치평가과정: 감정 vs. 계산)의 집단 간 설계로 구성하였고, 두 번째 실험은 2(시간비용: 고 vs. 저) x 2(제품 유형: 쾌락적 vs. 실용적)의 집단 간 설계로 구성하였다. 분석방법으로 계획대조(planned contrast)를 이용하였다.. 분석 및 연구 결과: 첫 번째 실험 결과, 소비자가 계산에 근거한 가치평가과정(valuation process by calculation)을 거치는 경우, 시간비용이 높은 경우보다 낮은 경우에 조건부 프로모션에 대한 태도와 이용의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에 반해 소비자가 감정에 근거한 가치평가과정(valuation process by feeling)을 거치는 경우, 시간비용이 높은 경우와 낮은 경우 간 조건부 프로모션에 대한 태도와 이용의도에 차이가 없었다. 두 번째 실험 결과, 제품 유형이 실용적 제품인 경우, 시간비용이 높은 경우보다 낮은 경우에 조건부 프로모션에 대한 태도와 이용의도가 더 높게 나타났고, 제품 유형이 쾌락적 제품인 경우, 시간비용이 높은 경우와 낮은 경우 간 조건부 프로모션에 대한 태도와 이용의도에 차이가 없게 나타났다.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 본 연구는 시간비용과 소비자 평가 사이에 심리적 가치평가과정과 제품 유형의 조절 효과를 연구함으로써 시간비용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였다. 또한 마케팅 실무자에게 조건부 프로모션 기획 시 소비자 시간비용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이며, 프로모션 효과 제고를 위한 방법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향후 연구방향: 향후 연구들은 시간비용과 조건부 프로모션에 대한 소비자 평가간의 관계를 조절할 수 있는 개인 특성 및 상황 변수를 파악하는 시도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다양한 조건부 프로모션 형태(금전적, 비금전적 )에 따른 차별적인 효과에 대한 연구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공헌점: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이 서비스 맥락에서 대기시간을 중심으로 시간비용을 연구한 것과는 달리, 현재 많은 기업들의 실행하고 있는 조건부 프로모션 맥락에서 시간 비용이 소비자 평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첫 시도라는 점에서 차별점을 갖는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at the effect of time cost on attitude and usage intention of conditional promotions differs depending on the valuation process and product type in the context of consumers spending their own time in order to get what they want. Design/methodology/approach: We adopted a scenario-based experiment in studies 1 and 2. The first experiment was structured as between-subjects of 2 (time cost: high vs. low) x 2 (valuation process: feeling vs. calculation). Then, the second experiment was structured as between-subjects of 2 (time cost: high vs. low) x 2 (product type: hedonic vs. utilitarian). Results/findings: The first experiment demonstrated that when consumers take the valuation process by calculation, a low time cost yielded a higher attitude and usage intention of the conditional coupon than a high time cost. On the contrary, when consumers take valuation by feeling,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ttitude and usage intention of the conditional coupon between the high and low time cost. The second experiment indicated that when product type is a utilitarian product, a low time cost yielded higher attitude and usage intention of the conditional coupon than a high time cost. However, when the product type is a hedonic produc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ttitude and usage intention of the conditional coupon. Research implications/limitations: Marketers can gain insight into the ways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conditional promotions. Future work/research: A future study that can figure out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al variables as a boundary condition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cost and consumer evaluation toward conditional promotion will be promising. Originality/value: This study first verified the effect of time cost in the context of conditional promotions, which are commonly utilized by many companies, whereas previous research has mainly studied the time cost (waiting time) in the context of servic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혼합감정을 소구하는 기부광고에 대한 소비자 평가 차이

        주경희(Chu, Kyounghee),이은영(Lee, Eun Young) 한국상품학회 2020 商品學硏究 Vol.38 No.1

        본 연구에서는 혼합감정 소구를 이용한 기부광고에 대한 소비자 평가가 개인의 인지적 특성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검증하였다. 혼합감정 소구란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을 함께 경험하게 하여, 광고 수용자들에게 호소하는 방식 혹은 표현 방법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혼합감정 소구방식이 어떠한 소비자 유형에게 더 적합한지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혼합감정 소구방식을 이용한 기부광고에 대해, 추상적 마인드 셋 성향을 보유한 소비자들이 구체적 마인드 셋 성향을 보유한 소비자들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와 함께, 이러한 차별적 효과가 나타나는 심리적인 기제에 대한 분석 결과, 소비자가 광고 노출 후 경험하게 되는 심리적 불편감이 주요한 매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다시 말해, 추상적 마인드 셋 성향을 지닌 소비자들이 혼합감정을 소구하는 기부광고에 대해 심리적 불편감을 상대적으로 적게 경험하였고, 이는 보다 더 호의적인 광고 태도로 이어졌다. 본 연구는 혼합감정을 소구하는 기부광고에 대한 소비자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의 인지적 성향을 제안함으로써, 혼합감정 소구 광고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고 관련 의미있는 연구를 활성화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시사점을 지닐 것이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gnitive mind-set on the evaluation toward a mixed emotion appeal ads in the context of donation advertising. Specifically, this study verifies that charity advertising using mixed emotion appeal strategy embedded with negative and positive emotions are more persuasive for consumers with abstract mind-set tendency than consumers with concrete mind-set tendency. Furthermore, this study finds psychological discomfort experienced through encountering mixed emotion appeal advertisements as an important underlying mechanism. Finally, this study have some contributions in that it builds theoretical foundations on mixed emotion appeal literature which is still under-researched domain, and broadens the understanding of underlying mechanism for the mixed emotion appeal effect in advertisements. Also, this research has advertising managers some managerial implications. First, utilizing mixed emotion appeal in the ads will be a differentiated approach to appealing to specific target segments. Next, advertising managers must pay attention to consumers with abstract mind-set tendency for a more persuasive communication.

      • KCI등재후보

        사회 자본이 윤리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주경희(Chu, Kyounghee),신재원(Shin, Jae Won),김향미(Kim, Hyang Mi) 한국문화산업학회 2015 문화산업연구 Vol.15 No.4

        사회 자본은 사회학에서 시작되었으나, 그 중요성의 증대와 함께 최근에는 경제학, 경영학에서 논의되며 그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사회 자본은 네트워크, 신뢰, 규범이라는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다. 사회 자본 구성요소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사회 자본은 사회 구성원간의 결속을 통해 단순히 직접적인 교환의 관계를 넘어서 보다 확장된 교환관계로의 긍정적인 효과를 이끌어 낸다. 사회 자본은 개인의 사회 생활에 필요하고 중요한 자산이 되며, 사회 전체 구성원들의 생활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크게 기여한다. 사회 공동체 간 협력은 사회 전체에 이익을 가져다주며, 개인에게도 주변 이웃과의 교류, 상호협력, 연대감 등을 통해 이익을 가져다준다. 또한 마케팅 분야에서는 시민들의 윤리적 행동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이에 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자본이론 관점에서 사회 자본이 윤리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회자본이 윤리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업 혹은 정부에서 보다 시민의 윤리적 행동 제고를 위해서는 사회 자본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적극적으로 시민의 사회 자본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장려해야 할 것이다. Social capital started from sociology and has been recently expanded to economics and business administration with its increasing importance. Social capital has key components of social network, trust and norms. As such, social capital leads to an expanded exchange relationship which is an affirmative effect through cohesion of social members over a direct exchange relationship. Social capital becomes an essential asset for individuals’ social life and largely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the whole society’s standard of living. Cooperation among social members provides benefits to the whole community and individuals also gain advantages through exchange with neighbors, mutual cooperation and social solidarity. As the importance of citizens’ ethical behavior has been highlighted in themarketing field, it has been increasingly studied. Accordingly,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conduct an empirical study on the social capital’s impact on citizens’ ethical behavior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capital theory. The results indicate that social capital had a positive effect on ethical behavi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government will need to provide more chances to create social capital and encourage people to actively take part in social capital activities in order to improve citizens’ ethical behavior. 사회 자본은 사회학에서 시작되었으나, 그 중요성의 증대와 함께 최근에는 경제학, 경영학에서 논의되며 그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사회 자본은 네트워크, 신뢰, 규범이라는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다. 사회 자본 구성요소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사회 자본은 사회 구성원간의 결속을 통해 단순히 직접적인 교환의 관계를 넘어서 보다 확장된 교환관계로의 긍정적인 효과를 이끌어 낸다. 사회 자본은 개인의 사회 생활에 필요하고 중요한 자산이 되며, 사회 전체 구성원들의 생활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크게 기여한다. 사회 공동체 간 협력은 사회 전체에 이익을 가져다주며, 개인에게도 주변 이웃과의 교류, 상호협력, 연대감 등을 통해 이익을 가져다준다. 또한 마케팅 분야에서는 시민들의 윤리적 행동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이에 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자본이론 관점에서 사회 자본이 윤리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회자본이 윤리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기업 혹은 정부에서 보다 시민의 윤리적 행동 제고를 위해서는 사회 자본을 창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적극적으로 시민의 사회 자본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장려해야 할 것이다. Social capital started from sociology and has been recently expanded to economics and business administration with its increasing importance. Social capital has key components of social network, trust and norms. As such, social capital leads to an expanded exchange relationship which is an affirmative effect through cohesion of social members over a direct exchange relationship. Social capital becomes an essential asset for individuals’ social life and largely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the whole society’s standard of living. Cooperation among social members provides benefits to the whole community and individuals also gain advantages through exchange with neighbors, mutual cooperation and social solidarity. As the importance of citizens’ ethical behavior has been highlighted in themarketing field, it has been increasingly studied. Accordingly,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conduct an empirical study on the social capital’s impact on citizens’ ethical behavior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capital theory. The results indicate that social capital had a positive effect on ethical behavi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government will need to provide more chances to create social capital and encourage people to actively take part in social capital activities in order to improve citizens’ ethical behavior.

      • KCI등재후보

        인터넷 댓글문화에서 플레이밍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주경희(Chu, Kyounghee),최지은(Choi, Ji-Eun),이성규(Lee, Sungkyu) 한국문화산업학회 2013 문화산업연구 Vol.13 No.2

        최근 들어 악성 댓글로 인한 유명 연예인들의 자살사건을 계기로 사이버언어폭력의 심각성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사이버 언어 폭력은 그 언어폭력에 동조한 사람들 혹은 그 현상을 관망하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단순한 흥미거리 혹은 이슈거리일 수 있으나, 피해자에게는 상당한 정신적 피해를 동반한다는 점에서 매우 심각한 반사회적 행동이라고 할 수 있다. 정부에서는 일명 ‘최진실법’이라고 불리는 사이버모욕죄처벌관련규정을 제정하여 악성댓글에 대한 법적인 처벌을 강화하였고, 포탈사이트 기업들도 별도의 인력을 할당하여 게시물의 댓글을 24시간 모니터링하면서 건전한 인터넷문화를 형성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악성루머와 악성댓글로 인해 많은 피해 사례들이 생겨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 언어 폭력을 일컫는 플레이밍(flaming)의 개념을 소개하고, 플레이밍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원인변수를 통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과거 사회학, 심리학, 그리고 법학에서 이루어져온 플레이밍에 관한 연구들과 소비자행동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플레이밍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변수를 상황적 특성, 개인적 특성, 동기요인으로 분류하였으며, 각각의 변인들이 플레이밍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인구통계학적 변수들 중에서 성별과 불법컨텐츠 다운로드 경험이 플레이밍 행동경험의 주요한 원인 변인으로 나타났다. 남성이 여성보다, 불법컨텐츠 다운로드 경험이 많을수록 플레이밍 경험을 많게 나타났다. 상황적 특성 변수들중에서 플레이밍 규범이 플레이밍 행동경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플레이밍이 하나의 규범처럼 인식되는 웹사이트에서 그렇지 않은 웹사이트보다 더 많은 플레이밍 행동이 일어났다. 개인적 특성 변수들중에서 언어적 폭력 성향과 자기통제력이 플레이밍 행동경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을 발견하였다. 플레이밍 동기중에서 일상 긴장의 표출이 플레이밍 행동경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을 발견하였다.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와 긴장감이 높은 사람들이 인터넷상에서 플레이밍 행동을 더 많이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개인의 댓글 이용동기는 플레이밍 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온라인상에서의 플레이밍 행동의 원인을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플레이밍 행동을 방지할 수 있는 실질적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가 크다고 볼 수 있다. The problem of abusive postings in cyberspace is emerging as a serious issue lately. It is not only a simply social issue drawing people’s interests, but also causing serious damages for the victim. For all those reasons, the government introduced the Cyber Slender Law to punish the producer of cyber smears. This study introduces the concept of ‘flaming’ which means cyber linguistic violence and mainly studied in sociology, psychology, and law field. Also causal variables affecting flaming behaviors are examined, and which variables are classified as situational characteristic, personal characteristic, and motivational factor. Results show among demographic factors, gender and the experience of downloading illegal content in the interne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flaming behaviors: more females than males, and people having more experiences of downloading illegal content showed more flaming behaviors. Among personal characteristic factors, verbal abuse the tendency and self-control als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flaming behaviors. the tendency of expressing own tension in daily life among flaming motivational factors affects significant flaming behaviors: people having more stress and tension in daily life behaves more flaming. Personal motivations for internet comments have no significant effects on flaming behaviors. This study contributes to understand the causes of flaming behaviors, and to propose alternatives of reducing and preventing flaming behaviors. 최근 들어 악성 댓글로 인한 유명 연예인들의 자살사건을 계기로 사이버언어폭력의 심각성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사이버 언어 폭력은 그 언어폭력에 동조한 사람들 혹은 그 현상을 관망하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단순한 흥미거리 혹은 이슈거리일 수 있으나, 피해자에게는 상당한 정신적 피해를 동반한다는 점에서 매우 심각한 반사회적 행동이라고 할 수 있다. 정부에서는 일명 ‘최진실법’이라고 불리는 사이버모욕죄처벌관련규정을 제정하여 악성댓글에 대한 법적인 처벌을 강화하였고, 포탈사이트 기업들도 별도의 인력을 할당하여 게시물의 댓글을 24시간 모니터링하면서 건전한 인터넷문화를 형성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악성루머와 악성댓글로 인해 많은 피해 사례들이 생겨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 언어 폭력을 일컫는 플레이밍(flaming)의 개념을 소개하고, 플레이밍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원인변수를 통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과거 사회학, 심리학, 그리고 법학에서 이루어져온 플레이밍에 관한 연구들과 소비자행동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플레이밍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변수를 상황적 특성, 개인적 특성, 동기요인으로 분류하였으며, 각각의 변인들이 플레이밍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인구통계학적 변수들 중에서 성별과 불법컨텐츠 다운로드 경험이 플레이밍 행동경험의 주요한 원인 변인으로 나타났다. 남성이 여성보다, 불법컨텐츠 다운로드 경험이 많을수록 플레이밍 경험을 많게 나타났다. 상황적 특성 변수들중에서 플레이밍 규범이 플레이밍 행동경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플레이밍이 하나의 규범처럼 인식되는 웹사이트에서 그렇지 않은 웹사이트보다 더 많은 플레이밍 행동이 일어났다. 개인적 특성 변수들중에서 언어적 폭력 성향과 자기통제력이 플레이밍 행동경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을 발견하였다. 플레이밍 동기중에서 일상 긴장의 표출이 플레이밍 행동경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을 발견하였다.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와 긴장감이 높은 사람들이 인터넷상에서 플레이밍 행동을 더 많이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개인의 댓글 이용동기는 플레이밍 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온라인상에서의 플레이밍 행동의 원인을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플레이밍 행동을 방지할 수 있는 실질적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가 크다고 볼 수 있다. The problem of abusive postings in cyberspace is emerging as a serious issue lately. It is not only a simply social issue drawing people’s interests, but also causing serious damages for the victim. For all those reasons, the government introduced the Cyber Slender Law to punish the producer of cyber smears. This study introduces the concept of ‘flaming’ which means cyber linguistic violence and mainly studied in sociology, psychology, and law field. Also causal variables affecting flaming behaviors are examined, and which variables are classified as situational characteristic, personal characteristic, and motivational factor. Results show among demographic factors, gender and the experience of downloading illegal content in the interne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flaming behaviors: more females than males, and people having more experiences of downloading illegal content showed more flaming behaviors. Among personal characteristic factors, verbal abuse the tendency and self-control als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flaming behaviors. the tendency of expressing own tension in daily life among flaming motivational factors affects significant flaming behaviors: people having more stress and tension in daily life behaves more flaming. Personal motivations for internet comments have no significant effects on flaming behaviors. This study contributes to understand the causes of flaming behaviors, and to propose alternatives of reducing and preventing flaming behaviors.

      • KCI등재

        크로스모델 광고에 대한 소비자 평가

        주경희(Chu, Kyounghee) 한국상품학회 2015 商品學硏究 Vol.33 No.4

        본 연구는 최근 들어 기업이 많이 활용하고 있는 크로스모델 광고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개인 특성 변수인 조절초점을 제안하여, 이러한 개인 특성이 크로스모델 광고에 대한 평가(광고태도, 구매의도)를 조절함을 확인하였다. 기존의 크로스모델 광고에 대한 연구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개념 정의나 사례 소개 등에 국한되어 연구되어져 왔다. 특히 조절초점은 소비자의 여러 행동영역을 설명할 수있는 중요한 심리적 요인이지만 조절초점의 두 동기에 따른 크로스모델 광고제품에 대한 구매의도의 패턴 차이는 충분히 입증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에 크로스모델 광고에 대한 기존 연구들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크로스모델 광고 행동의 주요 변수로서 조절초점성향에서 기인한 정보처리 행동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향상초점 소비자는 일반광고보다 크로스모델 광고에 대하여 더 호의적인 평가를 했으며, 예방초점 소비자는 크로스모델 광고보다 일반 광고에 대하여 더 호의적인 평가를 했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조절초점이 크로스모델 광고에 대한 소비자 평가에 차별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크로스모델 광고 연구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를 촉진시키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지닌다. 또한 마케팅 실무자에게 크로스모델 광고기획 시 어떠한 소비자를 타깃으로 해야 더욱 효과적일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실무적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였다는데 연구의 실무적 의의가 있다. The incongruence between a advertisingmodel’s gender and a product’s gender image in advertising has been increasing over time. Despite this cross-model phenomenon in practice, academic research on cross-model advertising is still very limited. Moreover, prior research shows mixed results concerning the effect of cross-model advertising.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empirically examine how a consumer's regulatory focus (prevention/promotion focus) moderates the effect of cross-model advertising on consumer evalua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motion-focused consumers evaluate a cross-model advertisement more positively than a general advertisement. The prevention-focused consumers, on the other hand, evaluate a general advertisement more positively than a cross-model advertisement. This study has its theoretical contributions in that it tries to clearly conceptualize the cross-model advertising and extends research on the cross-model advertising. From a managerial perspective, the current research provides useful guidelines for marketers to be responsible for designing the cross-model advertisements.

      • KCI등재

        누구에게 아트 마케팅이 더 효과적일까?

        주경희(Chu, Kyounghee),이은영(Lee, Eun Young) 한국상품학회 2021 商品學硏究 Vol.39 No.2

        아트 인퓨전은 제품 디자인, 패키지, 광고물 등에 예술 작품을 주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아트 인퓨전 광고의 효과를 팝아트를 대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소비자의 사고체계 중 하나인, 구조화동기를 제안하고, 모던 팝아트 인퓨전 광고의 효과를 개인의 구조화동기가 조절함을 밝혔다. 실험연구 결과, 낮은 구조화동기를 가진 소비자들은 일반적인 광고보다 모던 팝아트 인퓨전 광고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높은 구조화동기를 가진 소비자들은 모던 팝아트 인퓨전 광고보다 일반적인 광고에 대한 태도가 더 호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인지적인 구조화동기에 따라 모던 팝아트 인퓨전 광고의 차별적 효과가 존재함을 검증함으로써, 아트 인퓨전 광고 관련 연구의 범위를 소비자의 인지적 사고체계로 확장시키는데 기여하였다고 사료된다. 또한 아트 마케팅을 기획하는 실무자에게는 아트 인퓨전 광고가 보다 강력한 설득 효과를 가지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광고의 목표 청중의 인지적 사고체계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필요하고, 더불어 적합성을 고려하여 광고를 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Art Infusion refers to injecting art works into product design, packages, advertisement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art infusion advertising according to individual personal need for structure. This study predicts that the effect of art infusion advertisingwould bemoderated by consumers personal need for structure tendency. The study showthe following results. For consumerswith lowpersonal need for structure tendency, they showa higher attitude towardmodern pop-art infusion advertising rather than general advertising while for people who have high personal need for structure tendency, they show a higher attitude towards general advertising than modern pop-art infusion advertising. Thus, this research has the contribution in that it expands the scope of art advertising literature in terms of consumer’s cognitive structure.Moreover, this research suggest advertising practitioners themanagerial implication in that art infusion advertisingwould be a powerful tool for some specific target customerswho have lowpersonal need for structure tendency

      • KCI등재

        K-콘텐츠의 수사적 표현에 대한 소비자 평가

        주경희(Chu, Kyounghee),이은영(Lee, Eun Young),박종철(Park, Jong Chul) 한국상품학회 2022 商品學硏究 Vol.40 No.1

        본 연구는 K-콘텐츠 제목에 수사적 표현을 사용하였을 때 소비자 평가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수사적 기법은 직유법, 은유법, 역설법, 반어법, 과장법, 모순어법, 의인화법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K-드라마 제목에 은유법을 사용할 때 어떤 동기적 특성을 가진 시청자들이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향상초점의 시청자들이 예방초점의 시청자들보다 은유법을 사용한 K-드라마 제목에 대해 보다 더 긍정적 태도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시청의도를 분석한 결과 향상초점의 시청자들이 예방초점의 시청자들보다 은유법을 사용한 K-드라마 시청의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수사적 표현에 대한 기존 연구는 커뮤니케이션 영역에서 주로 이뤄져 왔다. 이에 K드라마 제목을 대상으로 수사법을 적용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이 존재한다. 더불어 K-콘텐츠의 제목을 짓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흥행에 K-콘텐츠의 제목이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또한 K-콘텐츠의 제목은 제품의 브랜드 역할을 한다고 해고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처럼 K-콘텐츠 제목의 중요성은 실무에서 잘 알고 있고 관심이 매우 높음에도 불구하고, 관련 연구가 매우 미흡하다. K-콘텐츠의 제목과 관련된 다양한 후속 연구를 활성화시키는데 본 연구가 기여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 how consumers evaluate when rhetorical figures are used in the title of K-contents. Rhetorical figures exist in various forms, such as simile, metaphor, paradox, irony, exaggeration, oxymoron, and personification. This study aims to find out what types of viewers respond more positively when using metaphors in the title of K-drama.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viewers with promotion-focus prefer K-drama titles using metaphors to viewers with prevention-focu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viewing intention, viewers with promotion-focus had higher intention to watch K-drama using metaphors than viewers with prevention-focus. Existing research on rhetorical expression has been mainly conducted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Therefore, there is a difference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rhetorical expression applied to the title of the K-drama. It is very important to title K-content. This is because the title of K-contents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hit. As such, it would not be an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title of K-contents serves as a brand of a product. so despite its big importance in practice and high interest, related research is very insufficient due to the lack of attention from marketing academia. Therefore, this study would serve as a cornerstone for promoting derivative research related to the titles of various K-contents.

      • KCI등재

        기업의 리브랜딩 전략, 누가 더 선호할까?

        주경희(Chu, Kyounghee),이두희(Lee, Doo-Hee),김소연(Kim, Soyeon),김지윤(Kim, Ji Yoon) 한국상품학회 2015 商品學硏究 Vol.33 No.6

        리브랜딩은 타깃과 포지션을 변화시키거나 브랜드 자산을 강화, 재획득, 변화 또는 창조시키기 위해 이루어진다. 하지만 브랜드 명을 변경하는것은 복잡하고 위험하기 때문에, 리브랜딩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브랜드명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최근 기업들이 리브랜딩을하는 다양한 사례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학계의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관련 연구 역시 미흡하다. 현존하는 연구들은 기업 관점에서 리브랜딩을 위한 브랜드 관리 모델이나 리브랜딩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효과에 초점을 맞춘 경우가 대부분이고, 소비자 관점에서 리브랜딩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는 여전히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리브랜딩에 대한 소비자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특성 변수 중에서 조절초점의 조절 역할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실험을통해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향상초점 소비자의 경우, 기존 브랜드와 일치(유사)한 신 브랜드명보다 불일치한 신 브랜드명에 대한 브랜드 태도가 더 호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예방초점 소비자의 경우, 기존 브랜드와 불일치한 신 브랜드명보다 일치한 신 브랜드명에 대한 브랜드태도가 더 호의적임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조절초점이 리브랜딩에 대한 소비자 평가에 차별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리브랜딩 연구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를 촉진시키는 초석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지닌다. 또한 마케팅 실무자에게 리브랜딩 기획 시 어떠한 소비자를 타깃으로 해야 더욱 효과적일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실무적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였다는데 연구의 실무적 의의가 있다. In order to build up company’s brand uniqueness from competitors and differentiate brand positioning, the number of cases in companies changing their existing brands(i.e. rebranding) are keep increasing. Especially, rebranding by changing the brand name, which is the biggest brand factor affecting the brand image and consumer’s perception is the most complicating and dangerous way of rebranding. Therefore, it needs to be carefully decided. Recently, there are increasing cases of rebranding. However, rebranding is under research in the academic marketing field, and there is still no guideline on the effective way to rebrand.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s how the effect of incongruity between an existing brand name and a new brand name on the new brand name attitude differs depending on a consumer’s individu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regulatory focus). The results of experiments show that consumers with a promotion focus show a better attitude towards a new brand name which is rebranded incongruently compared to congruent conditions . On the contrary, consumers with a prevention focus showa better attitude towards a newbrand name which is rebranded congruently compared to incongruent conditions. This study has its theoretical contributions in that as it lays the foundation for the future research on rebranding in the brand management and reexamines the incongruity effect in the context of rebranding . Froma managerial perspective, the current research provides useful guidelines for marketers to be responsible for designing the rebranding.

      • KCI등재후보

        사회 자본으로서의 온라인 팬덤 문화

        주경희(Chu, Kyounghee),이소영(Lee, So Young),김향미(Kim, Hyang Mi),서정치(Seo, Jungchi) 한국문화산업학회 2013 문화산업연구 Vol.13 No.4

        온라인 매체 중에서도, 특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는 팬덤을 확장시키는데 일조하고 있다(Baym2000). SNS는 정보의 공유 및 확산이 다른 어떠한 매체보다도 빠르기 때문에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소셜 네트워크는 팬덤을 보다 활성화시키는 좋은 매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소셜 네트워크에서 형성되고 발전된 사회 자본은 구성원 간에 서로 가치 있는 정보나 지식을 공유하는데 영향을 미친다(Chiu, Hsu, andWang 2006).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자본 이론(social capital theory)을 바탕으로 소셜 네트워크 상에서의 팬덤 행동 중에서도, 특히 팬덤의 정보 공유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들에 대해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SNS 상에서 팬덤의 정보 공유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특성 및 행동 변수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의견 선도력과 혁신성이라는 개인 특성이 팬덤의 스타에 관한 컨텐츠(정보)를 공유하는 행동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발견하였다. 또한 팬덤의 정보 생산 행동이 SNS 상에서 팬덤의 정보 공유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더불어 팬덤의 정보 생산이 개인 특성(의견 선도력, 혁신성)과 SNS 상에서 팬덤의 정보 공유행동 간의 관계를 조절함을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SNS 상에서 팬덤의 정보 공유 및 확산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기업 실무자들이 어떠한 팬덤 층을 우선적으로 타겟팅하고, 어떠한 행동을 이끌어내는 것이 효율적인가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실무적 의의를 가진다.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an enhance information sharing by lowering temporal an spatial barriers between fandom members, and improving access to information about their favorite star. However, the biggest challenge in fostering information sharing in online fandom is the supply of information , namely the willingness to share information with other fandom member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eterminants of personal traits and behavioral variable influencing on fan"s information sharing in SNS drawing on the Social Capital Theory. The study holds that the important facets of structural social capital ? social interaction through information sharing ? will be influenced by individuals" personal traits(opinion leadership and innovativeness) and information creating behavior. We also argue that information creating moderate the relationship personal traits(opinion leadership and informativeness) and information sharing. Data are collected from 260 members of online fandom for popular star. The results help in identifying the determinants of fans" information sharing behavior in online fandom. The implications for theory and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온라인 매체 중에서도, 특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는 팬덤을 확장시키는데 일조하고 있다(Baym2000). SNS는 정보의 공유 및 확산이 다른 어떠한 매체보다도 빠르기 때문에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소셜 네트워크는 팬덤을 보다 활성화시키는 좋은 매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소셜 네트워크에서 형성되고 발전된 사회 자본은 구성원 간에 서로 가치 있는 정보나 지식을 공유하는데 영향을 미친다(Chiu, Hsu, andWang 2006).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자본 이론(social capital theory)을 바탕으로 소셜 네트워크 상에서의 팬덤 행동 중에서도, 특히 팬덤의 정보 공유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들에 대해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SNS 상에서 팬덤의 정보 공유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특성 및 행동 변수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의견 선도력과 혁신성이라는 개인 특성이 팬덤의 스타에 관한 컨텐츠(정보)를 공유하는 행동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발견하였다. 또한 팬덤의 정보 생산 행동이 SNS 상에서 팬덤의 정보 공유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더불어 팬덤의 정보 생산이 개인 특성(의견 선도력, 혁신성)과 SNS 상에서 팬덤의 정보 공유행동 간의 관계를 조절함을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SNS 상에서 팬덤의 정보 공유 및 확산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기업 실무자들이 어떠한 팬덤 층을 우선적으로 타겟팅하고, 어떠한 행동을 이끌어내는 것이 효율적인가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실무적 의의를 가진다.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an enhance information sharing by lowering temporal an spatial barriers between fandom members, and improving access to information about their favorite star. However, the biggest challenge in fostering information sharing in online fandom is the supply of information , namely the willingness to share information with other fandom member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eterminants of personal traits and behavioral variable influencing on fan"s information sharing in SNS drawing on the Social Capital Theory. The study holds that the important facets of structural social capital ? social interaction through information sharing ? will be influenced by individuals" personal traits(opinion leadership and innovativeness) and information creating behavior. We also argue that information creating moderate the relationship personal traits(opinion leadership and informativeness) and information sharing. Data are collected from 260 members of online fandom for popular star. The results help in identifying the determinants of fans" information sharing behavior in online fandom. The implications for theory and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