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양한 포스트와 코어의 물성이 근관치료된 치근의 응력분산에 미치는 영향

        조진현,이청희,Cho Jin-Hyun,Lee Cheong-Hee 대한치과보철학회 2006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4 No.1

        Statement of problem : The various kinds of properties of post and core may affect the stress distribution to the root of endodontically treated teeth Purpose: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various kinds of properties of post and core to the stress distribution to the root of endodontically treated teeth. Material and methods: Mandibular first premolar, prepared by general shape of post and core with gold crown, was used to two dimensional axisymmetric modeling for finite element analysis. Then property values of 8 different kinds of post and core was substituted for each. Finally, stress distribution shown areas around the root of post and core was analysed after applying 50N of vortical and oblique load. Results: 1. Stress value of oblique load was much higher than the maximum stress value of vertical load. 2. Under oblique load, very concentrated stress was located on post periapical area and variations in stress were very severe. Contrary to this, stress distribution was relatively uniform in vertical load. 3. Post materials with higher elastic modulus showed relatively more apically focused stress, and post materials with lower elastic modulus showed stress focused on cervical area on the axial wall of post. 4. Stress change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core was shown only in the cervical area of post and below core as the higher elastic modulus, then increased in stress. 5. Post and core with medium value of elastic modulus showed relatively uniform stress distribution. Conclusions: Post materials with higher elastic modulus showed relatively more apically focused stress, and post materials with lower elastic modulus showed stress focused on cervical area on the axial wall of post. Stress change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core was shown only in the cervical area of post and below core.

      • KCI등재

        골유착전 임플란트 고정체의 의원성 동요가 골결합에 미치는 영향

        조진현,조광헌,조성암,이규복,이청희,Cho, Jin-Hyun,Jo, Kwang-Heon,Cho, Sung-Am,Lee, Kyu-Bok,Lee, Cheong-Hee 대한치과보철학회 2012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0 No.3

        연구 목적: 이 논문은 임플란트 고정체가 골융합이 이루어지기전 의원성 동요가 있을 경우 골결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 보고자 한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실험에 사용한 임플란트는 직경 3.73 mm, 길이 4 mm의 순수한 타이타늄과 RBM ($MegaGen^{(R)}$: Ca-P) 처리된 임플란트(Grade IV)를 사용하였다. 몸무게 3.5kg 이상의 토끼(Female, New Zealand White)의 한쪽 경골에 2개씩 양쪽 다리에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모두 80개의 임플란트가 식립되었다. 비틀림 제거력(Removal torque)의간격에 따라 그룹 I (6주), 그룹 II (4일+6주), 그룹 III (4일+1주+6주), 그룹 IV (1주+6주), 그룹 V (1주+1주+6주), 그룹 VI (2주+6주), 그룹 VII (2주+1주+6주), 그룹 VIII (3주+6주), 그룹 IX (3주+1주+6주), 그룹 X (10주)으로 10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본 실험에서 그룹 I과 그룹X가 대조군이며, 비틀림 제거력은 digital torque gauze (Mark-10, USA)를 사용하여 6주와 10주에 측정하였다. 실험군에서는 마지막 비틀림 제거력을 측정하기 전에 의원성 동요를 가하여 한 번 혹은 두 번 비틀림 제거력을 측정하여 그 수치를 기록하였다. 그 후, 대조군을 제외하고 비틀림 제거력을 측정한 임플란트는 가급적 원래의 위치로 돌려 놓고 봉합을 하였다. 모든 실험군은 마지막 비틀림 제거력 측정전까지 6주간의 치유기간을 주었으며, 마지막 비틀림 제거력은 실험군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비틀림 제거력값과 비교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마지막 비틀림 제거력 측정값에서 그룹X (10주)의 값이 대조군인 그룹 I (6주)의 값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첫 번째 비틀림 제거력 측정치에서, 실험군(4일혹은1주)에서 다른 실험군(2주혹은3주)의 수치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 치유기간에 따른 각 실험군의 비교에서, 최종 비틀림 제거력 값이 첫 번째 비틀림 제거력 값 보다 현저히 높은 값을 보였다. 결론: 골유착이 형성되기 전 한 번 또는 두 번 의원성으로 동요는, 만약 충분한 치유기간을 가지게 될 경우 임플란트의 골유착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mobilization on bone-implant interface prior to osseointegration of fixtures. Materials and methods: The experimental implants (3.75 mm in diameter, 4.0 mm in length) were made of commercially pure (Grade IV) titanium, and were treated with RBM ($MegaGen^{(R)}$: Ca-P). The 80 implants (two in each tibia) were inserted into the monocortical tibias of 20 rabbits which each weighed more than 3.5 kg (Female, New Zealand White). According to the removal torque interval, the groups were divided into 10 groups, Group I (6 wks), Group II (4 days+6 wks), Group III (4 days+1 wk+6 wks), Group IV (1 wk+6 wks), Group V (1 wk+1 wk+6 wks), Group VI (2 wks+6 wks), Group VII (2 wks+ 1 wk+6 wk), Group VIII (3 wks+6 wks), Group IX (3 wks+1 wk+6 wks) and Group X (10 wks). The control groups were Group I and X, the removal torque was measured at 6 wks and 10 wks with a digital torque gauge (Mark-10, USA). In the experimental groups, the removal torque was given once or twice before the final removal torque and the value was measured each time. After which, the implants were put back where they had been except the control groups. All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given a final healing time (6 wks) before the final removal torque test, in which values wer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s and the 1st and/or 2nd removal torque values in each experimental group. Results: In the final removal torque tests, the removal torque value of Group X (10 wks) was higher than that of Group I (6 wks) in the control groups but not statistically differen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s and control groups (P>.05). In the first removal torque comparison, the experimental groups (4 days or 1 wk) value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other experimental groups (2 wks or 3 wks). In the comparison of each experimental group according to healing time, the final removal torque valu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1st torque test value. Conclusion: Once or twice mobilization of fixture prior to osseointegration did not deter the final bone to implant osseointegration, if sufficient healing time was given.

      • KCI등재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microRNAs in Candida albicans

        Jin-Hyun Cho(조진현),Heon-Jin Lee(이헌진) 한국생명과학회 2017 생명과학회지 Vol.27 No.12

        Candida albicans에 의한 구강 감염(캔디다증)은 구강 점막에 빈번하게 발생하며 잘 알려진 질병이다. 구강 캔디 다증은 생명을 위협하는 정도의 곰팡이 감염증은 아니나, 특정상황에서 개인에게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다. 마이크로 RNA는 세포 내에서 다른 타겟 유전자를 저해하는 작은 크기의 RNA 분자이며 단백질을 코딩하지는 않고 번역과정을 억제하는 조절자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C. albicans의 마이크로RNA를 처음으로 동정하고 그러한 마이크로RNA가 지닌 기능을 조사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C. albicans의 small RNA를 차세대 염기분석법을 통하여 분석하고 그러한 RNA들의 2차 구조를 생물정보학적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분석한 small RNA들은 마이크로 RNA라고 불리울 수 있는 특징들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별히 높게 발현되고 있는 두개의 마이크로 RNA 정도 크기의 RNA가 CBP1 유전자의 3’ 말단 비번역구역(UTR)에서 반대방향으로 발현하는 것을 밝혀내었다. 우리는 이러한 C. albicans의 RNA가 CBP1 유전자를 타겟으로 하여 조절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RNA를 인위적으로 합성한 후 세포 내로 주입하고, 형광형미경으로 도입 사실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4시간과 8시간 후에 CBP1의 발현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C. albicans가 마이크로RNA에 의한 RNA 간섭(RNAi) 작용이 다른 진핵세포와는 다르게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Oral infection due to Candida albicans is a widely recognized and frequent cause of superficial infections of the oral mucosa (oral candidiasis). Although oral candidiasis is not a life-threatening fungemia, it can cause severe problems in individuals under certain conditions. MicroRNAs (miRNAs) are noncoding, small RNA molecules, which regulate the expression of other genes by inhibiting the translation of target mRNA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miRNAs in C. albicans and determine their possible roles in this organism. miRNA-sized small RNAs (msRNAs) were cloned in C. albicans by deep sequencing, and their secondary structures were analyzed. All the cloned msRNAs satisfied conditions required to qualify them as miRNAs. Bioinformatics analysis revealed that two of the most highly expressed C. albicans msRNAs, Ca-363 and Ca-2019, were located in the 3" untranslated region of the corticosteroid-binding protein 1 (CBP1) gene in a reverse orientation. miRNA mimics were transformed into C. albicans to investigate their RNA-inhibitory functions. RNA oligonucleotide-transformed C. albicans was then observed by fluorescent microscopy. Quantitative PCR analysis showed that these msRNAs did not inhibit CBP1 gene expression 4 hr and 8 hr after ectopic miRNA transform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sRNAs in C. albicans possess an miRNA-triggered RNA interference gene-silencing function, which is distinct from that exhibited by other eukaryotic system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상악의 소수 잔존치와 실패한 하악의 임플란트 오버덴처의 재수복 임상증례: 프릭션핀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법

        하석준,조진현,Ha, Seok-Joon,Cho, Jin-Hyun 대한치과보철학회 2016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4 No.3

        이중관 가철성 국소의치는 지대치 간의 이차고정(secondary splinting), 응력의 수직 방향, 지대치 지렛점(fulcrum)의 내 외관 margin 부위 위치로 인한 지렛대 길이(the length of lever arm)의 감소로 소수 잔존치이거나 지대치의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도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중관(double crown)을 이용한 의치는 치아가 얼마 남지 않은 부분 무치악 환자 뿐만 아니라, 소수의 임플란트를 식립한 임플란트 오버덴처에 있어서 성공적인 치료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상악은 소수 치아가 잔존했고, 하악은 치조골 흡수 및 수축이 심하고 임플란트가 실패한 상태였다. 상악의 소수 잔존치는 치주적으로 불량하였고, 하악에는 2개의 임플란트만을 다시 식립하였다. 이러한 불리한 조건에서 이중관 가철성 국소의치를 이용한 치료를 계획하였다. 1년여 정도의 관찰 기간 동안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중관 가철성 국소의치의 효용성을 증명하였기에 본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Double crown prostheses can be used in patients who have a few remaining teeth and poor periodontal condition because of secondary splinting of abutments, vertical loading, decrease of the length of lever arm due to fulcrum line located on margin of inner and outer crown. Successful results of treatments using double crown prostheses for the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who have a few remaining teeth and implant overdenture using a small number of implants have been reported. In this case, there were a few remaining teeth with a very poor periodontal condition in maxilla, and there were a failed implant with severe alveolar bone resorption and shrinkage in the mandible.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port is to introduce our case because a double crown partial denture showed satisfactory results in functional and esthetical aspects during more than one-year follow-up period.

      • KCI등재

        장기간 사용한 이중관 의치의 실패원인 및 자연치와 임플란트를 이용한 이중관 의치 수복증례

        서정교,조진현,Seo, Jeong-Gyo,Cho, Jin-Hyun 대한치과보철학회 2018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6 No.4

        치주적으로 지지가 불리한 소수의 잔존치가 남은 환자에게 있어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형 이중관의치는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예후를 보이는 치료가 된다. 편측 악궁에 소수 잔존치가 남고 반대측 악궁에 다수의 자연치가 존재 하는 경우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자연치와 혼재된 형태의 이중관 의치를 제작 할 시 의치의 지지 및 안정요소의 향상과 더불어 저작력의 균형을 맞추어 줄 수 있게 된다. 본 증례는 55세 여자 환자로 만성 치주염으로 인해 치주 지지가 감소한 소수 잔존치 상태에서 자연치만으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형 이중관 의치 치료를 통해 9.5년간 의치를 사용하였다. 9.5년 후 지대치 파절로 내원 하여 임플란트의 식립을 통해 자연치와 임플란트가 혼재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형 이중관 의치로 재수 복 하였으며, 이를 통해 재 치료에서도 장기적 예후의 안정성을 기대 할 수 있다.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have ever been good treatment option for patient with periodontally unfavorable few remaining teeth for successful prognosis. Tooth and implant combined telescopic double crown can be used for improving retention and support for denture with strategically placed implants on edentulous ridge. In this case, an 55-year-old female patient had chronic periodontitis with few remaining teeth on maxilla and fixed partial prosthodontics on mandible. Treatment of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with friction pin lasted 9.5 years only with natural teeth. After 9.5 years, additional implants was installed due to fracture of cast-posted abutment teeth. After implantation, tooth and implant combined double crown had fabricated. Through re-treatment, no complications of new denture has been found during 2 years follow up. This case presents fair prognosis of tooth and implant combined double crown denture in periodontally unfavorable condition.

      • KCI등재

        임플란트 식립 초기 의원성 동요가 최종 골결합에 미치는 영향

        곽명배,조진현,이두형,이청희,Kwak, Myeong-Bae,Cho, Jin-Hyun,Lee, Du-Heong,Lee, Cheong-Hee 대한치과보철학회 2014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2 No.2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임플란트 식립 초기 수회의 의원성 동요가 최종 골결합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순수한 티타늄(Grade IV) 으로 직경 3.75 mm, 길이 8 mm의 실험용 임플란트를 제작한 후, 하방 4 mm에 RBM 표면처리($MegaGen^{(R)}$: Ca-P)를 하였다. 임플란트의 하부만 골에 식립되었으며 비침하시켰다. 수술은 3.5 kg이상의 토끼의 좌우 경골의 단층 치밀골에 각각 2개씩 130개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식립하였다(Female, New Zealand White). 비틀림 제거 간격에 따라, 다음과 같은 13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Group I (1일), Group II (1일 + 2일), Group III (1일 + 2일 + 3일), Group IV (1일 + 2일 + 3일 + 4일), Group V (2일), Group VI (2일 + 4일), Group VII (2일 + 4일 + 6일), Group VIII (2일 + 4일 + 6일 + 8일), Group IX (4일), Group X (4일 + 7일), Group XI (4일 + 7일 + 10일), Group XII (4일 + 7일 + 10일 + 14일), 그리고 대조군. 대조군은 식립 후 8주의 치유기간을 준 후 최종 비틀림 제거력을 측정하였다(Mark-10, USA). 실험군은 각각의 조건에 맞추어 1회에서 4회에 걸쳐 비틀림 제거력을 측정하였다. 비틀림 제거력을 측정한 이후에 대체적으로 임플란트를 측정 전의 위치로 재위치시켰다. 모든 실험군에서 임플란트 식립 후 8주간의 치유기간을 준 다음 최종 비틀림 제거력을 측정하여 대조군, 각 실험군의 1, 2, 3, 4번째 비틀림 제거력과 비교하였다. 결과: 실험군 간에 최종 비틀림 제거력을 비교한 결과에서, XII군을 제외한 실험군의 비틀림 제거력은 대조군과 유의할만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그리고 실험 I군과 II군의 값은 VI, VIII, X, XI, XII군의 값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III, IV, V군은 XI, XII군의 값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각 실험군간 비틀림 제거력 비교에서, 최종 비틀림 제거력은 VIII, X, XI, XII군을 제외한 모든 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결론: 충분한 치유기간이 주어진다면, 토끼에게 임플란트 식립 후 매우 이른 초기에 지대주에 가해지는 약간의 동요는 임플란트 골결합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Purpose: The aim of present investigation wa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several times iatrogenic mobilization in the initial stage of implant installation on bone-implant osteointegrat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experimental implants (3.75 mm in diameter, 8.0 mm in length) were made of commercially pure (Grade IV) titanium, and were treated with RBM ($MegaGen^{(R)}$: Ca-P) on lower 4.0 mm part. Only lower part of implant was inserted to bone and the implants were nonsubmerged. The 130 implants (two in each tibia) were inserted into the monocortical tibias of 33 rabbits which each weighed more than 3.5 kg (Female, New Zealand White). According to the removal torque interval, the groups were divided into 13 groups, group I (1 day), group II (1 day + 2 days), group III (1 day + 2 days + 3 days), group IV (1 day + 2 days + 3 days + 4 days), group V (2 days), group VI (2 days + 4 days), group VII (2 days + 4 days + 6 days), group VIII (2 days + 4 days + 6 days + 8 days), group IX (4 days), group X (4 days + 7 days), group XI (4 days + 7 days + 10 days), group XII (4 days + 7 days + 10 days + 14 days) and control group. In the control group, the removal torque was measured at 8 weeks with a digital torque gauge (Mark-10, USA). In the experimental groups, the removal torque was given once, twice, three times or four times by experiment design before the final removal torque and the value was measured each time. The implants were then screwed back to their original positions. All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given a final healing time of 8 weeks after placement, in which values wer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s and the 1st, 2nd, 3rd or 4th removal torque values in each experimental group. Results: In comparison of the final removal torque tests among experimental groups, the removal torque value of experimental groups except group XII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that of control group. And the values of group I and II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values of group VI, VIII, X, XI, and XII. In addition, the values of group III, IV, and V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group XI and XII. In comparison of the removal torque in the each experimental group, the final removal torqu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ll groups except group VIII, X, XI, and XII. Conclusion: If sufficient healing time was allowed, a few mobilization of fixture at the very early stage after the implant placement in the rabbits didn't interrupt the final bone to implant osseointeg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