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뉴노멀 시대의 미술 : 그 존재론적 이행

        조주연 ( Jo Juyoun ) 한국미학회 2021 美學 Vol.87 No.4

        서양 미술의 존재론적 이행은 ‘아름다운 자연’으로 대변되는 이상적인 세계의 재현(현대 이전)으로부터 ‘순수한 예술’로 대변되는 초월적인 세계의 구성(모더니즘)을 거쳐, 참으로 문제는 많아도 피할 수 없는 우리네 현실의 내재적인 세계와 접속(아방가르드와 포스트모더니즘)하는 위치를 지나, 이제 동시대 미술에서는 참여하는 위치로 이동했다. 이 논문은 현대 미술의 동시대적 전환을 연접과 이접의 관계로 보는데, 연접은 두 시대가 반예술의 문제의식으로 이어진다는 점을, 이접은 그 문제의식을 실천하는 방식과 결과가 다르다는 점을 강조한다. 2019년은 코로나 팬데믹이 인류를 미증유의 위기로 몰아넣으며 기존의 ‘노멀’을 무화시키고 ‘새로운’ 노멀의 수립을 요청하기 시작한 시점이고, 또한 현대 미술이 동시대적 전환을 이룬 1989년 무렵으로부터 한 세대가 지난 시점이기도 하다. 그동안 동시대 미술은 이전 시대 미술의 텍스트성을 넘어 실제성(actuality)으로 나아가려는 다양한 모색을 경주해왔다. 그러나 이 논문은 동시대적 전환의 주축을 비판적 담론성의 실제화라고 보며, 이 관점에서 오늘날 요청되는 동시대 미술의 새로운 작업 기준들을 세 명의 미술가 클레르 퐁텐트, 레버 파글렌, 케리 제임스 마셜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The ontologies of Western art have shifted from representation of ideal worlds represented by beautiful nature(pre-modern art) through composition of transcendental worlds represented by pure art(Modernist art) and critical contact with our problematic world represented by anti-art(Avant-garde and Postmodernism) into participation in the troubled world where we now live in. This article sees the relation of the contemporary and the modern in art as both junction and disjunction, the former stressing that two periods share the aesthetics of anti-art, the latter that the ways and results of anti-art practice differ. In 2019, the Covid-19 pandemic forced the mankind into the unprecedented crisis, annihilated existed ‘normal’ standards, and required ‘new’ normals to be established. It happens that it was also the time when contemporary art has passed over a generation since its turn in 1989. In those years, contemporary art sought diverse ways to go beyond textuality of the earlier period into actuality. But this article proposes that the real stake of contemporary turn in art consists in making critical discursivity into actuality. In this regard, new working standards required in our time are surveyed through the works of three contemporary artists, Claire Fontaine, Trevor Paglen, and Kerry James Marshall.

      • KCI등재

        의미를 촉진하는 가면? 의미에 저항하는 실재! : 롤랑 바르트의 사진론과 그의 기호학적 모험에 대한 상호텍스트적 분석

        조주연 ( Jo¸ Juyoun ) 한국미학회 2020 美學 Vol.86 No.4

        이 논문은 롤랑 바르트의 기호학적 여정에서 그의 사진론이 차지하는 위치를 규명한다. 바르트는 소쉬르의 언어학을 바탕으로 기호학을 발전시킨 후 전 생애에 걸쳐 기호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간 급진적 모험가다. 이 모험을 1978년의 『강의』에 따라 세미오피지스, 세미오클라스티, 세미오트로피의 3단계로 나누어 고찰한 이 논문은 바르트의 궤적이, 실재와 거리를 두고 기호의 의미작용에 전념한 구조주의 기호학으로부터, 기호의 분해를 통해 의미작용에 갇히기를 거부하는 기호학의 해체를 거쳐, 기호 너머의 실재를 통해 의미-이후를 내다본 포스트구조주의 기호학으로의 이행임을 제시했다. 이러한 기호학적 모험의 변곡점마다 어김없이 등장했던 주제가 사진이다. 기호와 실재 사이에 위치한 이중적 속성을 통해 사진은 바르트의 기호학적 모험에서 근본 동인이었던 의미화의 문제에 성찰의 계기를 제공했던 것이다. 더욱이 기호에 대한 주목으로부터 실재에 대한 주목으로 나아간 사진론의 궤적도 의미작용에 대한 주목으로부터 의미생성에 대한 주목으로 이행한 그의 기호학적 궤적과 정확하게 일치한다. 따라서 바르트의 사진론은 바르트의 기호학적 모험을 선명하게 대변하는 위치에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article sheds light both on Roland Barthes as a semiologist and on as a photography theorist among his various identities. First, Barthes the semiologist is the one who had continued to go on the radical adventures from the start when he had developed his semiology based on Saussure’s linguistics to open new horizons for the rest of his life. His semiological adventures begun with Mythologie(1957) is here divided into three stages of sémiophysis, sémioclastie, sémiotropie according to Leçon(1978), because these stages clearly show the trajectory of Barthes’ semiological shifts from Structuralist semiology concentrating on signification of signs, through dismantling semiology by seperation of signs to refuse to be constrained in signification, to Post-structuralist semiology seeking the post-signification by the real. Then, this article reveals that Barth's photography theory is in a central position to represent Barth’s semiological adventures more clearly than any other discussion of media. Because photography as a theme that had appeared at every shifting point of his semiotic adventures for a quarter century, from Mythologie to La chambre claire(1980), did it not only provide an opportunity for fundamental reflection on the matter of making meaning which was the ultimate concern of Barthes’ semiotic adventures through the unique dual attribute of being located between a sign and a thing, but the trajectory of his photography theory itself, which shifted from attention to the sign to attention to the thing, accurately represents his semiotic trajectory from attention to signification to attention to significance.

      • KCI등재

        벤야민과 바르트 사이 : 수잔 손택의 사진론

        조주연 ( Jo Juyoun ) 한국미학회 2020 美學 Vol.86 No.2

        1970년대에 사진은 마침내 미술의 세계까지 접수하며 이미지의 세계를 전 방위에 구축했다. 수잔 손택의 『사진에 관하여』(1977)는 이 미증유의 변화를 성찰한 최초의 텍스트로서, 그동안 유럽에서 개진되었던 사진 이론을 발전시켜 미국에서 곧 도래할 포스트모더니즘 사진이론의 토대를 깐 선구적 저작이다. 이 논문은 사진에 대한 반성적 사유의 역사에서 뚜렷이 독보적 업적을 남겼음에도, 국내에서는 이제껏 학술적 주목을 받지 못한 수잔 손택의 사진론을 탐구한다. 시기상 사진 이론의 역사에서 발터 벤야민 및 전기의 롤랑 바르트(『신화론』) 다음, 그리고 후기의 롤랑 바르트(『밝은 방』) 직전에 위치하는 수잔 손택의 『사진에 관하여』를 분석하여, 손택의 사진론에 벤야민과 바르트의 사진론이 미친 복합적인 영향 관계와 수용 및 비판의 측면들을 밝혀내고, 이를 바탕으로 손택의 위치를 벤야민과 바르트 사이로 제시한다. 끝으로, 약 30년 후 나온 『타인의 고통』(2003)을 분석하여, 손택은 『사진에 관하여』의 회의주의(사진의 마비 효과)를 일반적 이해와 달리 폐기한 것이 아니라 유지했으며, 그러면서도 사진만이 고통에 찬 현실에 대해 생각과 행동을 촉구하는 유일한 이미지가 될 수 있음을 인정했고, 이것이 두 책 사이의 변화임을 정확하게 규명한다. In the 1970s, photography finally entered into the world of art, and succeeded in constructing the ubiquitous world of images which left no space without photography. Susan Sontag's On Photography(1977) is the first serious and critical response which dealt with this unprecedented change. In doing that, Sontag's texts developed earlier European theories of photography, paving a way for the Postmodernist theories of photography soon to come in the U.S. This is a research on Susan Sontag’s theory of photography, which offered quite original perspectives and interpretations in the history of theories of photography, and yet has never received a proper scholarly attention here in Korea. Analysing On Photography which is located in the history of theories of photography after Walter Benjamin and early Roland Barthes(Mythologies, 1957) and before later Roland Barthes(La Chambre claire, 1980), this article figures out the complexity of influences from Benjamin and Barthes to Sontag and her critical reception of the two, through which it presents Sontag’s location as between Benjamin and Barthes. Lastly, also analysing Regarding the Pain of Others(2003) which appeared some thirty years after On Photography as her second and last book on photography, this article rectifies the general understanding that Sontag discarded her skepticism on photography(especially, its numbing effect from its flooding), showing the changed and unchanged between the two books. Sontag remained to keep her skepticism(the unchanged), but approved the unique power and possible function of photography(the changed) which is able to be an invitation to think and act for this painful re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