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속리산 국립공원의 버섯발생과 환경요인과의 관계

        박용우 ( Yong Woo Park ),구창덕 ( Chang Duck Koo ),이화용 ( Hwa Yong Lee ),류성렬 ( Sung Ryul Ryu ),김태헌 ( Tae Heon Kim ),조영걸 ( Young Gull Cho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4 No.6

        버섯발생과 환경요인(강수랑, 토양수분량, 온도, 식생)과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하여 2003년부터 2008년까지 6년 동안 매년 6월∼10월에 속리산 국립공원 내 소나무 우점림과 참나무 우점림에서 버섯 발생종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버섯 발생종은 연간 94종~167종으로 연간 변이가 있었으며 그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주로 외생균근성 버섯으로 송이과(Tricholomataceae), 광대버섯과(Amanitaceae), 무당버섯과(Russulaceae), 끈적버섯과(Cortinariaceae), 그물버섯과(Boletaceae)의 종이었으며, 가장 많이 발생한 시기는 7월부터 8월에 l3~90종이었다. 버섯발생종수는 6월∼10월의 강수랑과 r=0.897의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장기적으로는 파머가뭄지수와 단기적으로는 표준강수지수와도 관련이 있었다. 또한 토양수분량에 따라 버섯발생종과 수가 달랐다. 토양수분량이 20% 이상인 시기에 버섯발생종수는 50여종이었으나, 10%이하 에서는 5∼20종이었다. 노란젖버섯(Lactarius chrysorrheus), 기와버섯(Russula virescens) 등은 토양수분량이 20% 이상일 때 발생하였다. 발생버섯의 종수는 대기온도와 r=0.77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21℃~25℃에서 많았다. 대기온도가 25℃이상에서 주로 발생하는 종은 금버섯(Tricholoma flayayirens), 구근광대버섯(Amanita gymnopus), 굴털이젖버섯(Lactarius piperatus), 삿갓땀버섯(Inocybe asteropora), 마른산그물버섯(Xerocomus chrysenteron) 등이었고, 온도변화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장기간 발생하는 버섯은 졸각버섯(Laccaria laccata), 독우산 광대버섯(Amanita virosa), 수원무당버섯(Russula mariae) 등이었다. 식생에 따라 발생버섯종이 달랐는데, 소나무 우점림에서만 발생한 종은 황소비단그물버섯(Suillus bovinus), 흰굴뚝버섯(Boletopsis leucomelas) 등 38종이었다. 굴참나무 우점림에서만 발생한 종은 좀벌집버섯(Polyporus arcularius), 노루궁뎅이(Hericium erinaceum) 등 42종이었다. 그리고 졸각버섯(Laccaria laccata), 말불버섯(Lycoperdon perlatum) 등 50종은 두 식생림에서 모두 발생하였다. 결론적으로 버섯 발생종과 종수는 강수량, 토양수분, 온도 그리고 우점 기주수종에 따라 크게 달라졌다. Mushroom fruiting was investigated in pine and oak dominated forest stands in Songni National Park located in central Korea for six years from 2003 to 2008,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ushroom diversity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precipitation, temperature, soil moisture and vegetation. The most frequent fruiting families were those of ectomycorrhizal mushrooms, Tricholomataceae, Amanitaceae, Russulaceae, Cortinariaceae, and Boletaceae. The frequency of mushroom fruiting varied from 94 to 167 species per year, with July and August having the highest(13~90 species). Mushroom fruit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precipitation(r=0.897), using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for the long term period and Standard Precipitation Index for short term period. Soil moisture content also affected mushroom fruiting, with Lactarius chrysorrheus and Russula virescens fruiting only at soil moisture content higher than 20%.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ushroom fruiting and temperature was also noted(r=0.77), with optimum rates at 21~25℃. Tricholoma flayayirens, Amanita gymnopus, Lactarius piperatus, Inocybe asteropora and Xerocomus chrysenteron were able to fruit at temperatures higher than 25℃. However, Laccaria amethystea, Amanita virosa and Russula mariae fruited at relatively wide temperature range. The influence of vegetation on mushroom fruiting was likewise noted, with 38 species, including Suillus bovinus and Boletopsis leucomelas being specific to pine dominated stands, while 42 species, including Polyporus arcularius and Hericium erinaceum were specific to oak dominated stands. On the other hand, around 50 species, including Laccaria laccata and Lycoperdon parlatum, were able to fruit in both types of vegetation. In conclusion, mushroom fruiting greatly varies with changes in precipitation, soil moisture, temperature and vege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