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Multi-GCMs과 RDI를 이용한 농업용 저수지 가뭄 대응 능력 분석

        나라 ( Ra Na ),조성권 ( Sung-gwon Jo ),유승환 ( Seung-hwan Yoo ),이상현 ( Sang-hyun Lee ),최진용 ( Jin-yong Choi ),정경훈 ( Kyung-hun Jeong ),박태선 ( Tae-seon Park ) 한국농공학회 201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8 No.-

        수문학적 가뭄의 경우 과거 시기 대비 강우량의 부족함을 가뭄 판단의 기준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농업의 경우, 강우의 부족으로 인한 토양수분의 감소도 중요한 가뭄판단 기준이 되지만, 농업용저수지에 의해 용수가 공급되는 지역의 경우 농업용저수지의 저수량 저하로 인한 용수공급량 부족이 가뭄을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특히, 우리나라의 상당량의 논 지역은 농업용저수지를 통해서 용수가 공급되기 때문에 농업용저수지의 특성에 맞는 가뭄 분석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저수지의 저수량을 기준으로 하는 가뭄지수(Reservoir Drought Index: RDI)를 산정하고, 과거 및 미래시기 기후변화에 의한 농업적 가뭄의 심각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계절별로 가뭄지수 산정 결과를 비교하여 대표적인 농업재해인 봄 가뭄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분석대상 농업용저수지는 중부지역에서 4개소, 남부지역에서 4개소를 선정하였다. 대상저수지에 대해서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저수지 물수지를 모의하고, 모의된 저수량 결과의 적정확률분포형을 도출하고, 비초과확률을 바탕으로 농업용저수지 가뭄지수 (RDI, Reservoir Drought Index)를 산정하였다. 또한 기후변화 영향 평가는 적용된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큰 영향을 받게 되므로, 총 10개의 GCMs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하고, 앙상블 기법을 통하여 극한 가뭄 발생 시나리오를 추정하였다.

      • SNAK을 이용한 미래 쌀 재배에 따른 자원 관리의 통합적 영향 평가

        유승환 ( Seung-hwan Yoo ),이상현 ( Sang-hyun Lee ),최진용 ( Jin-yong Choi ),허승오 ( Seung-oh Hur ),조성권 ( Sung-gwon Jo ),나라 ( Ra Na ),임세윤 ( Seyun Lim ),김윤형 ( Yoon Hyung Kim ),김광수 ( Kwang Soo Kim ) 한국농공학회 201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9 No.-

        우리나라는 식량 주 수입국이지만 가장 대표적인 식량작물인 쌀의 자급율을 2015년 기준 100%로 유지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쌀의 높은 자급율을 통하여 타 작물의 식량안보 위험을 낮추는 완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쌀 시장은 국내 농가의 주 수입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쌀의 자급율을 유지하는 측면이 국내 전체 식량 안보와 농가의 경제 안정성을 위해서서 필수적일 수 있다. 이에 기후변화에 따른 국내의 쌀 생산에 따른 다양한 타 자원들과의 연계성 속에서 검토 및 평가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쌀 생산량 및 관개량 변화 등의 각 자원들의 통합적인 영향을 물-에너지-식량 넥서스 기반의 SNAK(Smart Nexus for Agriculture in Korea)을 활용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생산량, 관개량 등의 주요 관련 요인들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물, 식량, 에너지 및 탄소배출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고, 이를 자원별 국내 최대 이용가능량과 비교하여 지속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