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중국 기후변화 관계 변화와 지자체의 역할: 코펜하겐에서 파리 정상회담

        제니퍼세진오 ( Jennifer Sejin Oh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7 社會科學硏究 Vol.43 No.1

        이 논문은 2009년 코펜하겐 유엔기후변화 총회 이후 일어난 미국-중국 기후협력 관계 변화에 대해 고찰한다. 코펜하겐 정상회담에서 보인 갈등 양상과 달리 양국은 파리 정상회담을 앞두고 적극적인 국제적 기후 개선을 약속했으며, 2015년 파리협약을 맺는데 공헌했다. 이러한 변화는 최근 미국과 중국의 지자체 정부가 기후 개선 정책의 구상과 실행에 점차 역할을 키워왔다는 데에 기인한다. 지역 차원의 기후 정책 강화는 양국의 기후 개선 목표의 용이한 달성과 보다 신뢰성 있는 국제 기후 개선 공약 발표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심도있는 양자 및 다자 기후 협상을 유도한다. This paper examines changes in U.S.-China climate relations since the 2009 Copenhagen summit to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UNFCCC). U.S.-China bilateral climate engagements are shifting away from its narrow focus on the clean energy sector to include more comprehensive climate projects with clear climate mitigation targets. Likewise, in contrast to their hostile relations at the Copenhagen summit, the U.S. and China committed to ambitious international climate pledges prior to the Paris summit and contributed to the successful adoption of the Paris Agreement in 2015. How do you explain these changes? In recent years, lower level governments (i.e., state, province, city) in the U.S. and China have assumed increasingly important roles in designing and implementing climate initiatives. Strengthening local climate initiatives enable deeper bilateral and multilateral climate relations by allowing each country to achieve their climate targets more easily and credibly make international climate pledges.

      • KCI등재

        미국-중국간 재생에너지 상호 협조와 분쟁

        제니퍼세진오 ( Jennifer Sejin Oh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社會科學論集 Vol.48 No.1

        2000년대 말 이후 재생에너지와 관련한 미국과 중국간 상호 협조 및 무역 분쟁은 동시적으로 증가했다. 중국이 재생에너지의 생산과 수출의 주도국으로 부상하고 미국의 대중국 무역적자가 심화되는 현상이 최근 무역 분쟁의 단기 촉매제 역할을 하고는 있지만, 이 같은 요소만으로는 재생에너지와 관련한 미국과 중국간 협조와 분쟁의 동시적 증가를 설명하기에 부족하다. 이에 본 논문은 미국 내 재생에너지와 관련된 정치경제의 중대한 변화를 볼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미국노동과 소규모 국내 재생에너지 생산 기업의 무역 보호주의적 연합으로 인해, 노동의 협조를 필요로 하는 친환경 세력이 무역 분쟁에 반대하기 힘들어졌다는 데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국내 정치 경제적 변화 때문에 미국정부는 중국과 재생에너지에 관해서 상호 협조는 적극적으로 추진하면서도 이와 관련한 무역분쟁은 막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concurrent rise in cooperative engagements and trade disputes in U.S-China relations on renewable energy since the late 2000s. China`s sudden ascent as a leading producer and exporter of renewable energy products and the U.S.`s trade deficit against China on renewable energy products are short-term catalysts for recent trade disputes. Yet, these factors are not sufficient to explain the simultaneous rise in cooperation and conflict in U.S.-China relations on renewable energy. Bilateral cooperative engagements and trade disputes reflect the interests and influence of important domestic actors who are shaping renewable energy politics in the U.S. and China. This paper suggests that important changes in the U.S.`s domestic political economy of renewable energy have led to the rise in trade disputes despite both countries` stronger commitment to strengthen collaboration on renewable energy. Specifically, the formation of a cross-class coalition between U.S. labor interests with protectionist business interests within the U.S. solar and wind industries has weakened opposition to trade disputes from pro-green domestic actors in the U.S. who need labor`s support on other political agendas. Such changes are likely to have detrimental effects on future U.S.-China relations on renewable ener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