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용이 발달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사회·정서적 변인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정희정 ( Heejoung Joung ) 한국무용과학회 2021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이 발달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사회·정서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2000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국내에 발표된 논문 중 선별기준에 적합한 19개의 연구를 대상으로 CMA ver.3(Comprehensive Meta-Analysis)을 사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변인은 사회적 변인군(사회·정서발달, 사회성, 대인관계, 부적응행동, 적응행동)과 정서적 변인군(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자기표현, 자아개념)이다. Hedge’g를 적용하여 효과크기를 추정하였고, 출판편의와 민감도 진단검사를 통해 내적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체 사회·정서적 요인(0.811, 29.1%)에는 큰 정도의 효과크기를 보였다. 둘째, 전체 사회적 변인군(0.785, 28.23%)에는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보였고, 사회성(1.227, 39.8%), 문제행동(-0.813, 29.1%)에서는 큰 정도의 효과크기를, 적응행동(0.594, 22.24%)에서는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보였다. 셋째, 전체 정서적 변인군(0.996, 33.89%)에는 큰 정도의 효과크기를 보였고, 자기효능감(1.6, 44.52%), 자기표현(1.055, 33.31%), 자아존중감(0.733, 26.73)에서도 큰 정도의 효과크기를 보였다. 넷째, 연구 대상자 연령군에서는 아동 집단(0.599, 22.24%) 보다 청소년 집단(0.904, 32.64%)에서 더 큰 정도의 효과크기를 보였다. 다섯째, 프로그램 유형은 무용교육(0.899, 31.33%), 무용/동작치료(0.764, 27.64%)순으로 모두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프로그램 실시는 1회기 진행시간은 40분~60분(1.113, 37.08%), 주당 회기 수는 2~3회 (0.798, 28.52%), 총회기 수는 31회 이상(2.144, 48.38%)에서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무용이 발달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사회·정서적 요인 향상에 효과적인 활동임을 확인하였고, 하위변인과 무용 중재 방법에 관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발달장애아동을 대상으로 무용의 효과성을 분석한 첫번째 연구로 의의가 있으며 추후 장애무용연구 및 현장 적용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ance intervention on variables related to social and emotional facto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This study conducted a meta-analysis using CMA ver. 3 (Comprehensive Meta-Analysis) version 3 on 19 studies that meet the inclusion criteria among the studies published in Korea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20. The outcome clusters included social·emotional development, socia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maladjusted behaviors, and adaptive behavior in social factors and self- efficacy, self-esteem, self-expression, self-concept). Effect size were calculated using Hedge’g. We examined the publication bias and Jacknifed Residual for internal valid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was large(0.811). Seconde, the social variable cluster was medium(0.785), including sociality(1.227), maladjusted behaviors(-0.813), and adaptive behavior(0.594). Third, the emotional variable cluster was large(0.996), including self- efficacy(1.6), self-expression(1.055), and self-esteem(0.733). Forth, the overall effect size was higher in the adolescent group(0.904) than the children group(0.599). Fifth, both dance program and dance/movement therapy showed a high effect size. With regard to program implement, 40~60 minutes per a class (1.113), 2~3 times per a week (0.798), and over 31 times for the total frequency were more effective than other variables to perform dance program.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e effectiveness of dance for improving social and emotional factors, providing comprehensive informations on the implementation of dance program.

      • KCI우수등재

        12주간 한국무용에 기반한 낙상예방 프로그램 참여가 노인의 균형감각, 보행기능,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유수 ( Sujung Yoo ),정희정 ( Heejoung Joung ),이용호 ( Yongho Lee ) 한국체육학회 2021 한국체육학회지 Vol.6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12주간 한국무용에 기반한 낙상예방 프로그램 참여가 70세 이상 노인의 균형감각, 보행기능,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로 모집된 실험군에게는 12주간, 주 3회, 60분 간 중재프로그램을 제공하였고, 통제군에게는 건강교육 1회를 제공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사전과 사후에 신체조성, 간단신체수행력, 균형감각, 보행기능, 낙상효능감에 대해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Window SPSS 23.0 version을 이용하여 제 2요인을 반복측정한 이원분산 분석과 이원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질량지수는 두 집단 모두 시간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신체수행력은 실험군에서 보행속도와 의자 일어서기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균형검사와 종합점수에서도 향상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균형감각은 정적균형감각에서 실험군과 통제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확인하였다. 동적균형감각에서는 실험군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하였다. 셋째, 보행기능은 시간적 보행변수인 분속수는 감소한 반면, 보행속도는 실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공간적 보행변수인 활보장과 보장은 실험군에서 좌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하였다. 넷째, 낙상효능감의 경우 통제군은 감소하는 반면 실험군은 중재 이후에도 유지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a 12-week Korean traditional dance based fall prevention program on balance, gait function, and falling efficacy among Korean older adults over 70 years old. The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60 minutes of Korean traditional dance based fall prevention program 3-times per week for 12 weeks and the control group was provided one session of health education program. Both groups were measured on body composition, physical function, balance (BBS, TUG), gait function, and fall efficacy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For statistical data analysis,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 on the 2nd factor and two-way ANCOVA with repeated measure on the 2nd factor were performed using Windows SPSS 23.0version program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ody mass index tended to decrease with time in both groups, and the physical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walking speed (p<.01) and sit to stand up (p<.01)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balance test and the overall score within the physical performance test showed a tendency to improve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in balance, significant improvement was observed in the static balance (BBS) on both groups (p<.01). But,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dynamic bala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p<.01). Third, in the gait function, cadence decreased in both groups, while the gait speed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the experimental group as the temporal gait parameters (p<.01). The spatial gait parameters stride length (p<.01) and step length (p<.01)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both left and right legs of the experimental group. Finally, fall efficacy score decreased in control group whil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tendency to be maintained after the interv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