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등학교 경제교육에서 모의재판의 활용가능성에 대한 연구 :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중심으로

        정효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Growing national interest in economic education, effective training plan are underway for a detailed discussion. However, a reasonable economic problem- solving skills and active community participation to foster the goal of economic education is not being run properly. In particular, the formation of values ​​important to the life of adolescence, economic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economic actors through economic education is very important. To do this, the teacher-led classroom away from the center of, a wide variety of student-centered teaching methods should be attempted. In this study, a civil mock trial on economic issues is presented as the new method of economic education. Through which students actively participate with interest and can have knowledge of subjects taught in connection with reality, because it is practical. Therefore in this study, to improve the problem of economic education, Economic textbook lesson in learning abou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 the new economy clas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have been tried. At this point in fact, students' awareness of economic entities particular, this study was analyzed Whether this affects awarenes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consumer rights. The result and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o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with the civil mock trial, 80 percent of students gave positive responses. Through this study, I became sure that associated with real-world economic learning is necessary to students in order to effective and practical economic lessons. Because students' responses and needs are greater, A variety of teaching methods are being developed should be tried continuously. Second, most students agreed that companies perform social responsibilities. but they said unsatisfactory perceive abou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for consumers. Both experimental and comparison group students cognized strongly about economic responsibilities of companies. Experimental group students responded that legal liabilities of companies are most important after the class. particular, there were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company's legal responsibility and liability for social responsibility depending on teaching. Third, experimental group students than the comparison group students recognized strongly 8 consumer rights in term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y responded sensitively about the rights to organize organizations and act, in addition to they recognized higher about the need of company's fair trade. this shows that mock trial classes than instructor-led classes teach effectively about the principal consumer rights awareness and critical consciousness for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Fourth, the response to a mock trial the higher classe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s consumers, have recognized more strongly. Based on this study, I hope that more interesting and associated with real-world teaching methods for economic education are developed, attempted directly. and This is expected to be out for a lot of follow-up study. In addition, mock trial to improve legal thinking and economic problem-solving skills was used actively in the field of economic education for high school. 경제교육에 대한 국가적 관심이 높아지고 교육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합리적인 경제문제해결력과 능동적인 사회참여능력을 함양하고자 하는 경제교육의 목표는 제대로 실행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생애 가치관 형성에 중요한 시기인 청소년기에 경제교육을 통해 습득하는 경제 주체에 대한 인식 및 이해는 시장경제질서의 유지 및 발전에 필수적이다(전홍택, 2008). 이러한 경제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교사 중심의 강의식 수업에서 벗어나 학생 중심의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이 시도되어야 한다. 특히 학제 간(interdisciplinary) 조화로서의 경제교육방법은 어렵고 현실과 괴리되어 있다는 비판을 받는 경제학에 대하여 학습자가 재미있고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습의 능률뿐만 아니라 실제경제에서의 적용가능성을 높여줄 수 있기 때문에 주목할 만하다(김상규, 2007). 또한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은 현행 교육과정과는 달리 정치, 경제, 법, 문화를 아우르는 통합적 관점을 지향하고 있다. 즉 구체적이고,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동 학습을 장려하는 통합 교육은 실생활과 관련된 교육과정으로써 합리적 의사결정능력을 갖춘 민주시민으로 성장하도록 돕는다(박은종, 200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법학과 경제학의 조화와 통합이 가능한 모의재판활동을 효과적인 경제 교육방법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모의재판활동을 통한 경제 학습은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고, 실제의 경제적 문제 상황을 경험하면서 교과에서 배운 지식을 현실과 연결해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이고 실용적인 경제교육 방법이라 할 수 있다(손정식, 2000). 하지만 아직까지 선행 연구들에서 경제 수업을 통해 경제주체의 역할 및 책임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신장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경제 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고등학교 경제 교과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단원 학습에서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으로 경제 수업을 실시하였다. 이 때 실제로 학교 교육이 학생들의 경제 주체에 대한 인식 특히, 소비자로서의 권리와 관련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지 분석해보았으며, 또한 모의재판활동을 활용한 경제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살펴봄으로써 고등학교 경제교육에서 모의재판 수업의 활용 가능성과 그 효과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모의재판 수업을 실시한 학생들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은 강의식 수업을 실시한 학생들의 인식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2. 모의재판 수업 참가자들의 모의재판활동을 활용한 경제 수업에 대한 반응 및 그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 대상으로는 연구자가 교육실습을 실시하였던 서울시 창동 소재의 외국어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4개 학급을 선정하였다. 남학생 31명·여학생 39명으로 구성된 실험집단 2개 학급은 모의재판 수업을 실시하고, 남학생 27명·여학생 43명으로 구성된 비교집단 2개 학급은 강의식 수업을 실시하여 총 140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 집단별로 다른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하여 경제 수업을 실시한 후, 교수법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때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모의재판을 활용한 경제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알아보기 위한 질적 연구와 강의식 수업과 비교해 그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양적 연구가 동시에 이루어졌다. 양적 연구를 위한 통계 분석 방법으로는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 및 선호하는 경제 수업 방식,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 그리고 모의재판 수업 참가자들의 수업에 대한 반응을 보기 위해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집단의 동질성 확보를 위한 응답자의 경제 과목에 대한 태도에 대한 분석과 새로운 수업방법에 대한 반응에 따른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모의재판 수업에서 맡은 역할에 따른 기업의 호감도 및 기업의 법적 책임수행정도에 대한 인식 차이에 대해서는 카이스퀘어(x²) 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교수법에 따라 기업의 사회적 책임 유형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변량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소비자 8대 기본권리 관점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 차이는 기술통계를 실시하여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수행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수행이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나 소비자를 위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수행에 대해서는 불만족스럽다는 의견이 많았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수행과 관련된 이미지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학생들 모두 경제적 책임을 가장 많이 꼽았는데, 교수법에 따른 이에 대한 인식 차이의 결과를 살펴보면 실험 집단은 모의재판 수업 후에 기업의 법적 책임을 가장 중요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수법에 따라 기업의 네 가지 사회적 책임 유형 중에서 기업의 법적 책임과 사회공헌적 책임에 대한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발생되었다. 둘째, 교수법에 따른 ‘소비자 8대 기본 권리의 관점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 차이를 알아본 결과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학생들에 비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 수행에 대해 더욱 엄격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험집단 학생들은 ‘단체를 조직하고 활동할 권리’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했으며, 기업의 공정거래의 필요성에 대해 더욱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모의재판 수업이 강의식 수업에 비해 효과적으로 학생들에게 소비자로서 지켜야 할 주체적인 권리의식을 부여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 수행에 대해 비판적 의식을 갖게 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새로운 수업방법에 대한 반응에 따른 ‘소비자 8대 권리의 관점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수업에 대한 호감도가 높을수록 소비자로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해 더 강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모의재판 수업 참가자들의 새로운 경제 수업방법에 대한 반응을 살펴본 결과 80%의 학생들이 강의식 수업에 비해 흥미를 유발한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사전검사를 통해 경제과목에 대한 태도를 알아본 결과 학생들은 경제과목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지만, 대체로 흥미를 갖고 있고 실생활에서 필요한 교과라고 응답하였다. 하지만 70%가 넘는 학생들이 강의식 수업을 선호한다고 응답하여 학생들이 획일적인 교수·학습 방법에 길들여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새롭게 시도된 민사모의재판을 활용한 경제 수업에 대해 대부분의 학생들은 경제 교과 내용뿐 아니라 재판 절차 및 법률지식까지 배울 수 있어 좋았으며, 모의재판을 통해 수업내용도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고 응답했다. 또한 실제 경제적 이슈를 사례로 모의재판을 진행한 것은 매우 흥미로웠고 소비자로서의 권리와 함께 기업의 경제활동에 대해 비판의식을 가질 수 있었다는 의견이 많았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에게 실생활과 연결된 경제 학습을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및 요구도 많았기 때문에 효과적이고 실용적인 경제 수업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고등학교 경제교육에 적용 가능한 더욱 흥미롭고 실생활과 연결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고 직접 시도하는 후속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지기를 바라며, 또한 경제적 문제해결능력뿐 아니라 법적 사고력까지 길러줄 수 있는 모의재판 수업이 경제 교육현장에서 활발히 활용되기를 바란다.

      • Z세대 신규간호사의 이직 경험

        정효주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31

        오늘날 간호조직에는 다양한 세대가 혼재해 있는데, 특히 신규간호사들은 주로 Z세대에 속하고 이들의 이직률은 매우 높은 편이다. Z세대는 '디지털 원 주민'으로 지칭되며 기성세대와 다른 가치관을 가지고 있어, 간호조직 안에서 소통과 공감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Z세대 간호사들의 현장 적응을 돕고 이직 을 감소하기 위해서는 그들에 대한 심층적 이해와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Z세대 신규 간호사의 이직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여 그 본질을 드러내고 더 나아가 그들을 위한 이직 예방 대책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참여자는 간호대학 졸업 후 국내에 소재하는 상급종합병원에 최초 취 업하여 3개월 이상 근무 후 1년 이내 사직한 1998∼2000년생에 속하는 Z세대 신규간호사 11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23년 7월부터 10월까지였으며, 개방적 질문 을 통한 심층면담으로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체험적 본질적 주제에 관하여 네 가지 실존체를 바탕으로 15개의 본질적 주제와 37개의 주제가 도출되었고 세 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공간성’과 관련된 체험의 본질적 주제는 ‘나의 이상을 실현할 수 없는 이질적인 땅’, ‘감시와 평가로 둘러싸인 일터’, ‘평안을 빼앗긴 휴식처’, ‘또 다른 곳을 향한 임시 경유지’로 도출되었다. ‘관계성’과 관련된 체험의 본질적 주제는 ‘무자비한 비판에 무력하고 위축됨’, ‘나이와 연차로 억누르는 불공정한 수직관계로 억울함’, ‘이방인 같은 그들을 닮고 싶지 않음’, ‘타인을 수용할 수 있는 관계의 확장’으로 도출되었다. ‘신체성’과 관련된 체험의 본질적 주제는 ‘낡고 지친 내 몸’, ‘나다운 나를 잃게 됨’, ‘이전보다 굳건히 버팀’으로 나타났다. ‘시간성’과 관련된 체험의 본질적 주제는 ‘애써 참지 않고 떠나고 싶은 시간’, ‘해방감과 자유를 만끽하며 회복하는 때’, ‘냉혹한 현실을 깨닫는 순간’, ‘재 취업 후 재건의 시간’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Z세대 신규간호사의 이직 경험의미에 대한 본질을 드러 내고, 그에 대한 심층적 이해에 기여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Z 세대 신규간호사의 간호현장 적응을 돕고 이직을 예방할 수 있는 실제적 방안 및 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주요 용어: Z세대, 신규간호사, 이직 경험, 현상학, 질적연구 Currently, nurses of different generations are mixed in nursing organizations. The majority of new nurses, in particular, are of Generation Z, who exhibit a relatively very high turnover rate. Generation Z are often referred to as ‘Digital Natives’ and as they have different values from previous generations, efforts are needed to communicate and empathize with generation Z new nurses in a nursing organization. To help Generation Z nurses to adapt to the field and reduce their turnover rate, in-depth understanding and research are necessary. This study employs van Manen’s methodology of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search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urnover in Generation Z new nurses, reveal its essence, and furthermore, provide basic data to explore ways to prevent new nurses’ turnover.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1 new nurses of Generation Z, born between 1998 and 2000, who first started working at a tertiary general hospital in South Korea after graduating from a nursing school, then resigned within a year of employment after working for three months or mor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July and October 2023 through in-depth interviews using open-ended questions. The results revealed 15 essential themes and 37 themes, derived based on the four entities of essential themes associated with experience, as follows. The essential themes of the ‘Lived space’ experience were “Disparate land where my ideals cannot be realized”, “Workplace with constant monitoring and scrutiny”, “Resting place deprived of peace” and “Stopover to a better place” The essential themes of the ‘Lived human relation’ experience were “feeling intimidated and dejected due to harsh criticism”, “Chagrin in unfair situations caused by vertical relationships based on age and seniority”, “Not being like those strangers” and “Wishing to extend relationships with increased acceptance of others” The essential themes of the ‘Lived body’ experience were “my withered and tired body”, “feeling of losing my true self” and “Stronger mentality to withstand hardships” The essential themes of the ‘Lived time’ experience were “Time when I wanted to leave without further efforts to persevere”, “Time to recover and enjoy a sense of liberation and freedom”, “Time of realizing harsh reality after leaving hospital” and “Time of rebuilding after reemployment” Based on the results, the essence of what the experience of turnover means to new nurses of Generation Z was described, and the findings contributed to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ose nurses. This study is thus expecte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developing practical measures and interventions in order to help Generation Z new nurses to adapt to the nursing field and prevent their turnover. keywords: Z generation, new nurse, turnover experience, Phenomenology, Qualitative research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입원한 근골격계 수술환자가 지각한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과 통증관리 만족도가 간호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정효주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Musculoskeletal surgical patients make up a majority of the patients hospitalized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s. They need high-quality nursing services as they feel great pain from the surgery.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nurses provide these patients with good pain management to improve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s and provide effective communication for pain managem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egree of and correlations between the types of communication from nurses,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pain management, and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s as perceived by musculoskeletal surgical patients hospitalized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s, and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s, to ultimately provide basic data to enhance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s as perceived by the patients. The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and the participants were 152 musculoskeletal surgical patients hospitalized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wards of I hospital and K hospital of B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26 to October 15, 2019. To collect the data, the study was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of K University and received permission from the nursing departments of I hospital and K hospital of B Metropolitan City. Afterwards, the study’s purpose and methods were explained to the head nurses of the nursing wards and their agreement to cooperate was received. Structured surveys were completed by nurses with at least six months’ experience under the head nurses and who had given written consents. The patients were asked to directly fill out the surveys, which were then collected. The tool used to assess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 in this study was based on the SERVQUAL model by Parasuraman et al.(1988), developed by Lee Mi Aie(2004a), edited by Lee Hye Jin(2011), and then re-edited by Choi Jung Sug(2013). The tool to assess the types of communication from the nurses used the tool developed by Jeong Su Yeon(2013). Assessment of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pain management used the tool developed by Lee Yoon Young and Park Kwang Ok(2002) and edited by Yoo Hee Jung(2010). Analysis of the data used real numbers, percentag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minimums, maximums, mean ratings and standard deviations, t-test, ANOVA and the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WIN 23.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for the type of communication as perceived by the patients was 47.90±6.88 (tool range: 11–55), and the mean rating was 4.35±0.63(scale range: 1-5). Among the subfactors, the mean score for nurses’ information-providing communication was 26.49±3.80 (tool range: 6–30), and the mean rating was 4.42±0.63 (scale range: 1–5); the mean score for the degree of friendly communication was 21.41±3.55 (tool range: 5–25), and the mean rating was 4.28±0.71 (scale range: 1–5). The mean score for satisfaction with pain management perceived by the patients was 44.48±5.81 (tool range: 10–50), and the mean rating was 4.45±0.58 (scale range: 1–5). Among the subfactors, the mean score for nurses’ performance competences was 31.04±4.14 (tool range: 7–35), and the mean rating was 4.43±0.59 (scale range: 1–5), the mean score for pain drugs and equipment was 8.93±1.24 (tool range: 2–10), and the mean rating was 4.47±0.62 (scale range: 1–5); the mean score for the degree of overall satisfaction was 4.51±0.74 (tool range: 1–5), and the mean rating was 4.51±0.74 (scale range: 1–5). The mean score for patients’ perception of the degree of nursing services quality was 8.52±15.03 (tool range: -80–+80), and the mean rating was 0.43±0.75 (scale range: -4–+4). 2. Patients’ perceived quality of nursing services differed significantly by gender (t=-2.519, p=.013), age (F=2.985, p=.021), education level (F=6.710, p=.002), occupation (F=2.507, p=.045), monthly average income (F=2.869, p=.039), diseases other than musculoskeletal diseases (t=2.308, p=.022), current health status (F=3.397, p=.036), family support for the treatment (F=4.493, p=.013), and pre-surgical pain (t=2.753, p=.007). 3. Patients’ perceived quality of nursing service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nurses’ information-providing communications r=.408(p<.011), nurses’ friendly communications r=.449(p<.001),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pain management r=.460(p<.001). 4. The factors that had the greatest effect on patients’ perceived quality of nursing services was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pain management (β=.308, p=.001), followed by education level (β=.268, p<.001), and nurses’ friendly communications among the nurses’ communication types (β=.221, p=.022). The total explanation power was 30.1%. Through the above results,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at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 as perceived by the patients was greater with higher perceived satisfaction levels on pain management, an education level below middle school graduate and better levels of friendly communication from nurses. The factor with the greatest effects on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s was the satisfaction level with pain management, followed by education level and friendly communication from nurse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s as perceived by patien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customized nursing interventions taking patients’ education levels into consideration and to develop programs to improve effective pain management and friendly communication by nurses. 근골격계 수술환자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입원한 환자 중 대다수를 차지한다. 이들은 수술로 인한 통증도가 높기 때문에 양질의 간호서비스가 필요하다. 따라서 간호사는 이러한 간호서비스 질을 높여주기 위해 근골격계 수술환자에게 통증관리를 잘해줘야 하며 통증관리를 위한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입원한 근골격계 수술환자가 지각한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 통증관리 만족도, 간호서비스 질의 정도 및 관계를 확인하고 간호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대상자가 지각한 간호서비스 질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연구대상자는 B시 I병원과 K병원의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에 입원한 근골격계 수술환자 15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7월 26일부터 동년 10월 15일까지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K대학교의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B광역시 I병원, K병원 간호부의 허락을 받고, 병동 수간호사에게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협조를 받았다. 수간호사가 배치된 간호단위에 근무하는 경력 6개월 이상의 간호사에게 서면 동의를 받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한 후, 환자가 직접 작성토록 한 후 회수하였다. 연구도구로 간호서비스 질 도구는 Parasuraman 등(1988)의 SERVQUAL모형을 근거로 하여 이미애(2004a)가 개발하고 이혜진(2011)이 수정․보완하고 최정숙(2013)이 다시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도구는 정수연(2013)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통증관리 만족도 측정 도구는 이윤영과 박광옥(2002)이 개발하고 유희정(2010)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은 SPSS WIN 2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최소값, 최대값, 평균, 평균평점과 표준편차, t-test, ANOVA와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가 지각한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 정도는 평균 47.90±6.88점(도구범위: 11-55), 평균평점이 4.35±0.63점(척도범위: 1-5)이였고, 하위영역 중 간호사의 정보제공적 의사소통 유형 정도는 평균 26.49±3.80점(도구범위: 6-30), 평균평점이 4.42±0.63점(척도범위: 1-5), 간호사의 친화적 의사소통 유형 정도는 평균 21.41±3.55점(도구범위: 5-25), 평균평점이 4.28±0.71점(척도범위: 1-5)이었다. 대상자가 지각한 통증관리 만족도 정도는 평균 44.48±5.81점(도구범위: 10-50), 평균평점이 4.45±0.58점(척도범위: 1-5)이었고, 하위영역 중 간호사 수행능력은 평균 31.04±4.14점(도구 범위: 7-35), 평균평점이 4.43±0.59점(척도범위: 1-5), 통증약물 및 기구는 평균 8.93±1.24점(도구 범위: 2-10), 평균평점이 4.47±0.62점(척도범위: 1-5), 전반적인 만족도는 평균 4.51±0.74점(도구 범위: 1-5), 평균평점이 4.51±0.74점(척도범위: 1-5)이었다. 대상자가 지각한 간호서비스 질의 정도는 평균 8.52±15.03점(도구범위: -80-+80), 평균평점이 0.43±0.75점(척도범위:-4-+4)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서비스 질 정도는 성별(t=-2.519, p=.013), 연령(F=2.985, p=.021), 교육정도(F=6.710, p=.002), 직업(F=2.507, p=.045), 월평균소득(F=2.869, p=.039), 근골격계 외 동반질환여부(t=2.308, p=.022), 현재 건강상태(F=3.397, p=.036), 치료에 대한 가족지지 정도(F=4.493, p=.013), 수술 전 통증여부(t=2.753, p=.007)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가 지각한 간호서비스 질은 간호사의 정보제공적 의사소통 유형과는 r=.408(p<.011), 간호사의 친화적 의사소통 유형과는 r=.449(p<.001), 통증관리 만족도와 r=.460(p<.001)으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4. 대상자가 지각한 간호서비스 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통증관리 만족도(β=.308, p=.001)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학력(β=.268, p<.001),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의 하위영역 중 친화적 유형(β=.221, p=.022)순이었으며 전체 설명력은 30.1%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대상자가 지각한 통증관리 만족도가 높을수록, 학력은 중졸이하일수록, 간호사의 친화적 의사소통 유형의 성향이 강할수록 대상자가 지각한 간호서비스 질 정도가 높았다. 간호서비스 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통증관리 만족도이었고 그 다음으로 학력, 간호사의 친화적 의사소통 유형 순이었다. 따라서 대상자가 지각한 간호서비스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학력을 고려하여 개별적 간호중재를 제공하고, 간호사를 대상으로 효율적인 통증관리와 친화적 의사소통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 중국인 학습자의 비음화 및 유음화 발음 오류 연구

        정효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비음화 및 유음화 발음 오류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국인 학습자를 한국어 학습기간을 기준으로 학습기간이 1년 미만인 초심자 집단(Beginner Group)과 4년 이상인 숙련자 집단(Advanced Learner Group)으로 나누어 비음화 및 유음화 발음을 실험하고, 이를 발음전사방법과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더불어 각 환경별로 나누어 오류율과 오류 양상, 오류 원인도 살펴보았다. 비음화 발음은 초심자 집단 83.5%, 숙련자 집단 77.6%의 평균 오류율을 보여 숙련자 집단이 초심자 집단에 비해 오류율이 조금 낮았다. 학습자들이 보인 비음화 오류 양상을 살펴보면, 장애음의 비음화 환경에서는 탈락, 음운규칙의 불완전한 적용 등의 오류를 보였으며, 유음의 비음화 환경에서는 철자법식 발음 오류가 많았다. 초심자 집단과 숙련자 집단 모두 가장 높은 오류율을 보인 장애음과 유음의 비음화 환경에서는 탈락, 음운규칙의 불완전한 적용, 철자법식 발음 오류 등 다양한 오류가 나타났다. 또한, 단순 비음 발음 실험을 통해 중국인 학습자들의 비음화 발음 오류가 비음 발음 자체의 문제가 아닌 비음화 현상에 대한 이해 부족에서 기인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유음화 발음에서는 초심자 집단 72.1%, 숙련자 집단 51.0%의 평균 오류율을 보여 숙련자 집단의 발음 정확도가 초심자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ㄹ-ㄴ/ 연쇄에서는 철자법식 발음과 탈락, /ㄴ-ㄹ/ 연쇄에서는 철자법식 발음과 함께 유음화 대신 유음의 비음화를 적용하는 오류를 보였으며, /ㄹ-ㄴ/ 연쇄보다 /ㄴ-ㄹ/ 연쇄에서 더 낮은 오류를 보였다. 또한, 단순 유음 발음 실험 결과, 중국인 학습자들의 유음 발음 부정확성이 유음화 발음의 부정확성에 어느 정도 관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인 학습자의 비음화 및 유음화 발음에 대한 개별 연구가 거의 없는 현시점에서 비음화 및 유음화 발음 실태를 조사하고, 그 오류 양상과 원인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을 것이다. 아울러 기존의 연구에서 나아가 비음화 및 유음화 발음이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습득상의 고질적인 문제가 아니라 학습기간에 비례하여 개선 가능하다는 점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errors in nasalized and lateralized pronunciations made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For this purpose,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Beginner Group with Chinese learners who learned Korean for less than 1 year and Advanced Learner Group with those who learned Korean for more than 4 years and their nasalized and lateralized pronunciations were experimented, which were analyzed using phonetic transcription and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Along with this, dividing them into each environment, their error rates, phases and causes were examined. Beginner Group showed an average error rate of 83.5% in nasalized pronunciations while Advanced Learner Group, 77.6%, where the latter’s error rate was slightly lower than that of the former. As for the phase of the learners’ errors in nasalized pronunciations, they made errors such as omissions in ‘an environment of the nasalization of obstruents’; incomplete applications of phonological rules; and non-applications of nasalization at word boundaries while they made many errors in pronunciations as spellings in ‘an environment of the nasalization of liquid consonants.’ In ‘an environment of the nasalization of obstruents and liquid consonants’ where both groups showed the highest error rates, there were various errors such as omissions, incomplete applications of phonological rules, and errors in pronunciations as spelling. Also, through a simple nasal sound pronunciation experiment, the Chinese learners’ errors in nasalized pronunciations were not a problem of the nasal sound pronunciation itself but caused by the lack of their understanding of the nasalization phenomenon. Next, in lateralized pronunciations, Beginner Group showed an average error rate of 72.1% while Advanced Learner Group, 51.0%, where the latter’s accuracy in pronunciations turned out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former. In ‘/ㄹ-ㄴ/ sequences’, they made errors of omissions along with pronunciations as spellings while in ‘/ㄴ-ㄹ/ sequences’, they made errors of applying nasalization of liquid consonants instead of lateralization along with pronunciations as spellings, and showed a lower error rate in ‘/ㄴ-ㄹ/ sequences’ than in ‘/ㄹ-ㄴ/ sequence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 simple liquid sound pronunciation experiment, it turned out that the Chinese learners’ inaccuracy in pronouncing liquid sounds was involved in their inaccuracy in lateralized pronunciations to some extent. At this point in time when there is hardly individual research on Chinese learners’ nasalized and lateralized pronunciations, this study would have a significance in that it investigated the actual condition of their nasalized and lateralized pronunciations and examined phases of and causes for the errors. Along with this,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at beyond existing studies, it showed that the problem of nasalized and lateralized pronunciations is not one that is chronic for Chinese learners in learning Korean pronunciations but one that can be improved in proportion to the period of learning.

      • 로웬펠드 미적표현 발달단계에 비추어 본 우리나라 11세 아동화의 표현 특징 연구

        정효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술 교육에서 아동발달에 따른 미적표현 특징을 파악하는 것은 교육 대상에 맞는 수업을 계획하고 시행하는데 매우 중요한 일이다. 많은 학자들이 아동의 발달단계에 대한 연구를 제시하고 있지만 특히 로웬펠드는 다년간의 현장경험과 집중연구를 토대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미적표현발달단계를 제시하고 있으므로 현재까지 많은 교육자들에게 지침이 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도 우리 미술교육현장에서 널리 통용되고 있는 그의 발달단계 이론은 1947년에 발표된 것으로 연구가 이루어지던 시대에 비해 발전된 기술로 풍부한 시각매체를 접하고 있는 현 시대 우리나라의 아동들에게도 과연 유효하게 적용 될 것인지를 연구해보아야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로웬펠드의 미적표현 발달단계에 비추어 우리나라 11세 아동의 그림에는 어떤 특징이 나타나며 이론과는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차이가 나타난다면 현재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에서 로웬펠드의 발달단계에만 의존하여 아동의 특징을 이해하고 교육계획을 세우는 것은 재고해 보아야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또래집단기에 해당하는 서울 은평구 소재의 초등학교 4학년인 11세 아동들의 그림 775장을 수집하였다. 그 다음 이를 선별법에 따라 계속 비교하여 소재가 풍부하고 발달과정상의 표현특징을 가장 많이 보여주는 대표작 1점을 선정하였다. 그 그림을 통하여 11세 아동의 그림에서 볼 수 있는 특징을 추출하고 분석기준표를 만들었으며 그것을 기준으로 775장의 그림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11세 아동의 미적표현 특징을 알아보고 로웬펠드의 미적표현 발달단계상에 나타나는 특징에 비추어 보았다. 그 결과 우리나라 11세 아동의 그림에서는 로웬펠드의 미적표현 발달단계에서 또래집단기적 특징에 속하는 세부묘사나 중첩표현 뿐만 아니라 원근·비례표현, 입체표현, 사실적 표현 등 발달 단계를 한 단계 앞서는 의사실기의 특징이 많이 나타났다. 한편 또래집단기와 의사실기에 해당하는 표현특징과 함께 발달 단계보다 한 단계 낮은 도식기적 특징이 혼재되어 나타날 수 있음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그리기 주제가 ‘가족나들이’이였음에도 불구하고 사람을 생략하고 풍경위주로 그리거나 사람을 막대형 인간이나 윤곽선형인간으로 그리는 아동들이 많아 인물 그리기를 꺼려하거나 쉽게 그리려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기타 특징으로는 그림에 말풍선을 넣고, 사람이나 사물, 장소에 이름을 적어 표시하는 것, 사물을 의인화 시켜 표시하는 것 등의 특징을 볼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우리나라 11세 또래집단기 아동의 미적표현 발달단계는 개인차가 있지만 로웬펠드의 미적표현 발달단계에 비추어 좀 더 앞서고 있었다. 그리고 이론에 소개되지 않은 기타특징들 또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로웬펠드의 미적표현 발달단계의 특징과 우리나라 아동의 미적표현 발달단계 특징이 차이를 보이고 있으므로 우리는 외국의 학자들에 의해 연구된 이론에 기대어 아동의 미적표현 발달단계를 논할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 아동화를 직접 분석하고 특징을 찾아 이론을 재조명하고 좀 더 한국의 실정에 맞는 아동의 발달 단계를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Understanding the features of aesthetic expression according to child development is very important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a lesson suitable for an education target in art education. Many scholars present research on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s; in particular, Lowenfeld has presented a scientific and systematic theory on developmental stages of aesthetic expression on the basis of years of field experiences and intensive research, offering guidelines to many educators. Since his theory of developmental stages that has been widely in common use in educational practice for art in Korea was presented in 1947, however,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if the theory is also effectively applicable to Korean children of today who have access to a lot of visual media with advanced technology as compared with the age of his research. In the light of Lowenfeld's developmental stages of aesthetic expression,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seeing what features 11-year-old Korean children's pictures had and how they differed from the theory. If there is any difference, it is now necessary to reconsider understanding children's characteristics and making an educational plan on the basis of Lowenfeld's developmental stages alone in a Korean curriculum. For this purpose, 775 pictures of 11-year-old fourth-graders in Eunpyeong-gu, Seoul who were in the gang age were collected. Then, comparison was continuously made by screening to select one representative piece that was rich in materials and most likely showed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al process. From the piece, features visible in 11-year-olds' pictures were drawn to make an analysis standard table, on the basis of which the 775 pieces were analyzed to see 11-year-old Korean children's characteristics of aesthetic expression and compare them with those found in Lowenfeld's developmental stages of aesthetic expression. It was found that 11-year-old Korean children's pictures not only showed detailed description and overlapping expression that characterized the gang age among Lowenfeld's developmental stages of aesthetic expression but also lots of features for the pseudo-naturalistic stage with one stage higher, such as perspective and proportion, three-dimensional expression, and realistic expression. It was also shown that features for the schematic stage with one stage lower than their developmental stage could be found in addition to expressive characteristics for the gang age and the pseudo-naturalistic stage. Despite the theme of "family outing," many children focused on landscape, leaving people out, or described people as stick-like or contour, showing a tendency to be reluctant to draw people or draw them with ease. Other features were inserting a speech bubble, marking a person, an object, or a place with a name, and personifying an object. To put the results together, while 11-year-old Korean children in the gang age showed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developmental stages of aesthetic expression, they tended to be slightly ahead of Lowenfeld's developmental stage of aesthetic expression. They also showed other characteristics that were not introduced by his theory. Since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Korean children's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al stages of aesthetic expression and those of Lowenfeld, it is necessary to analyze Korean children's pictures directly to find out characteristics and shed new lights on theories presented by overseas scholars and research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s more specific to Korea instead of discussing their developmental stages of aesthetic expression on the basis of the theories.

      • 간호사의 언어폭력 경험에 관한 연구

        정효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간호사가 경험하는 언어폭력의 전반적인 실태를 파악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상황중심의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G광역시 소재 300병상 이상의 2개의 종합병원의 간호사 417명을 편의표집하여 2009년 8월 17일부터 8월 24일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지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권혜진(2007)의 ‘의료기관내 언어폭력에 관한 연구’에 사용한 질적 연구 문항을 수정 보완한 도구와 Lanza(1988)가 개발한 Assault Response Questionnaire(ARQ)를 장선주(2004)가 사용한 도구를 이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4.0 통계프로그램으로 빈도와 백분율, χ2-test, t-test, AN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95.9%의 간호사가 언어폭력을 경험하였으며, 한 달에 1회 이상(48.7%)의 언어폭력을 당하였다. 언어폭력의 주된 가해자는 환자의 보호자(29.7%), 환자(26.0%), 의사(25.9%) 순이었다. 2. 언어폭력 경험 시간대는 평일(81.8%)의 낮 근무시간(51.0%)이 제일 많았고, 언어폭력 경험으로 사직을 고려한 경우는 63.5%, 부서를 이동하고 싶은 경우가 60.0%, 언어폭력으로 사직한 간호사를 41.5%가 알고 있었다. 3. 언어폭력의 원인은 화풀이가 대부분(65%)이었고, 화풀이 이유는 ‘의료서비스 불만’(79.3%), ‘환자나 보호자의 신체적 정서적 고통’(76.5%), ‘의사에 대한 불만’(71.0%)이었다. 언어폭력의 주된 내용은 ‘반말’(83.0%)이 가장 많았다. 4. 언어폭력 경험후 정서적 반응은 평균 5점 만점에 3.43점으로 ‘화난다’(4,48점)가 높은 점수를 보였고, ‘죄책감을 느낀다’(2.38점)가 가장 낮은 점수였다. 언어폭력 대처는 ‘참는다’(78.0%), ‘무시한다’(60.5%)의 순이었다. 5. 언어폭력의 장기적 영향은 직업 만족도 저하(93.3%), 낮은 자아 존중감(67.3%), 부정적인 인간관계(65.3%), 업무 생산성 저하(60.8%) 순이었다. 6. 언어폭력 예방 및 대처와 관련된 자기주장훈련, 의사소통훈련 등의 교육을 받 은 간호사는 32.0%였고, 교육이 효과적이었음이 62.5%였다. 7. 일반적, 근무적 특성에 따라 언어폭력 경험의 빈도는 근무부서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F=22.16, p=.005), 특수부서(중환자실, 응급실, 수술실)와 내&#8729;외과계에 근무하는 간호사가 언어폭력 경험의 빈도가 높았다. 언어폭력 경험후 정서적 반응은 30대가 20대 보다 유의한 부정적 반응(p=.04)이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화풀이 대상으로 쉽게 언어폭력에 노출되는 간호사를 보호하는 보호 장치 마련과 언어폭력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간호사가 합리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및 훈련이 필요하다고 본다. ------------------------------------------- 중심단어 : 간호사, 언어폭력

      • 카발레프스키의 피아노 소나타 제3번 분석 연구

        정효주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is an analysis of Piano Sonata No. 3 Op. 46, by a Russian composer, Dmitry Borisovich Kabalevsky (1904–1987). It is to help understanding his music, in order to perform it more accurately. Kabalevsky was a renowned music educator and composer, he is highly regarded as a musician not only in his own country, Russia, but also worldwide. His works consist of lyrical melodies, and have strong national characteristics, which is loved a lot by Russians. He composed three piano sonatas; <Piano Sonata No. 3> is his last, and the most well-known one. It is composed of three movements, the 1st movement is a form of sonata-allegro, the 2nd is a song form of two parts, and the 3rd is a sonata-rondo form. This thesis analy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ch movement, focusing on the forms, harmonies, and rhythms. As a result, 5 characteristics are found in common, through the whole movements, so I could recognise that it has relations among them. It is also shown that it has a tendency of Neoclassism, which is to keep his music neutral between the government policies and the desire of expression as a creator. 본 논문은 러시아의 작곡가 드미트리 보리소비치 카발레프스키(Dmitry Borisovich Kabalevsky, 1904-1987)의 피아노 소나타 3번(Piano Sonata No. 3 Op. 46)의 분석을 다룬다. 이를 통해 그의 음악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카발레프스키는 러시아의 저명한 음악교육자이자 작곡가였으며, 자국에서 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음악가로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그의 작품은 서정적인 선율로 된 것이 많으며 민족적 특성이 강하게 드러나 러시아 사람들로 부터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그는 세 개의 피아노 소나타를 작곡하였는데, 소나타 제3번은 피아노 소나타로서는 마지막 곡이며 세 개의 소나타 가운데 가장 잘 알려진 작품으로, 세 개의 악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1악장은 소나타-알레그로 형식, 2악장은 2부분으로 된 가곡 형식, 3악장은 론도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형식, 화성, 리듬 등에 중점을 두고 각 악장별로 나타나는 특징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 다섯 가지가 전 악장에 걸쳐 발견되었고 이에 의해 악장간 관계성이 생겨났음을 알 수 있다. 카발레프스키의 음악이 정부 정책과 창작자로서의 표현 욕구 사이에서 중립을 지키기 위해 사용한 방법인 신고전주의 경향을 띠고 있음도 알 수 있다.

      • 바이오피드백 훈련과 가상현실시스템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효과

        정효주 대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에르고미터 자전거 훈련과 Nintendo Wii 균형판을 이용한 가상현실게임시스템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뇌경색 및 뇌출혈로 인한 뇌졸중을 진단받고 대구 중구에 위치한 N병원에 입원한 환자들 중 본 연구의 필요조건을 충족하는 편마비 뇌졸중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에르고미터 자전거 훈련군 15명,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에르고미터 자전거 훈련에 추가로 가상현실게임 훈련군 15명을 무작위로 배치하였다. 두 훈련군은 연구자의 지도하에 각각의 훈련을 30분씩 주 3최 총 6주 동안 실시하였다. 훈련 전·후의 정적, 동적 선 자세 균형의 측정을 위해 뇌졸중 환자의 균형 변수인 Berg 균형 척도와 Balance Performance Monitor(BPM)을 사용하였고, 보행 변수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10m 보행 검사, TUG(Timed up and go)와 RS-scan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의 분석을 위해 대응비교 t-검정과 독립 t-검정을 이용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에르고미터 자전거훈련은 훈련 전, 6주 뇌졸중 환자의 정적 선 자세 균형인 정적 체중부하율, 동요면적, 동요거리, 최대동요속도와 동적 균형 변수인 Berg 균형 척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에르고미터 자전거 훈련은 훈련 전, 6주 뇌졸중 환자의 보행 변수인 10m 보행 검사와 TUG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비마비측의 동시 입각기 비율이 감소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Wii 균형판을 이용한 가상현실게임 훈련은 훈련 전, 6주 뇌졸중 환자의 정적 선 자세 균형인 정적 체중 부하율, 동요면적, 동요거리, 최대동요속도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동적 선 자세 균형인 Berg 균형척도, 마비측의 동적 평균 균형, 전동요각, 후동요각, 전후 동요각, 좌우 동요각, 마비측 동요각, 그리고 비마비측 동요각을 증가시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Wii 균형판을 이용한 가상현실게임 훈련은 훈련 전, 6주 뇌졸중 환자의 보행의 시간적 변수인 10m 보행검사와 TUG, 보행속도, 마비측과 비마비측의 보장시간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공간적 변수인 마비측과 비마비측의 보장, 마비측과 비마비측의 양 발뒤꿈치 사이 기저면과 그리고 마비측과 비마비측의 동시 입각기 비율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볼 때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에르고미터 자전거 훈련과 Wii 균형판을 이용한 가상현실게임 훈련은 뇌졸중 환자의 정적 선 자세 균형 능력과 동적 선 자세 균형 능력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으며 보행 수행 능력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Effects of Biofeedback ergometer bicycle training(BEB) and biofeedback ergometer bicycle training with Virtual realitygaming training(VR) on Gait and Balance in Stroke Patients. The subjects were consisted 30 patients with stroke. Subjects were randomly devide to two groups which was BEB group(n=15) and VR group(n=15). 15 patients were assigned to the BEB group and they got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with 30 minutes of using ergometer bicycle. The other 15 patients were assigned to VR group and they got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with 30 minutes of ergometer bicycling and virtual reality Wii gaming training. All procedures were done three times a week for the total of six weeks.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includes ROM exercise, stretching exercise, strengthening exercise, walking exercise and F.E.S treatment. In the pre and post experiment, the static and dynamic balance measured by Berg balance scale and BPM. Gait was measured using 10m walking test, timed up and go(TUG), and RS-scan system. 10m walking test and TUG were used to measure gait speed and RS-scan system was used to measure gait velocity, step time, step length, H-H base of support and double support ratio.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paired t-test and independent t-test.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of static standing balance abilities, the BEB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weight bearing on the paretic side, sway area, sway path, and maximal sway velocity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p<.05). The BEB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p<.01) in Berg balance scale(BBS). 2.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of walking abilities, the BEB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10m walking, and TUG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p<.01). The BEB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p<.05) in double support ratio on nonparetic side. 3.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of static standing balance abilities, the VR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weight bearing on the paretic side, sway area, sway path, and maximal sway velocity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p<.01). Dynamic standing balance abilities, the VR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erg balance scale(BBS), dynamic mean balance, anterior angle, posterior angle, anteroposterior angle, mediolateral angle, paretic angle, and nonparetic angle(p<.05). 4. Based on the results of anlaysis of walking abilities, the VR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10m walking test and TUG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p<.01). The VR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p<.05) in gait velocity, step time on paretic and nonparetic side, step length on paretic and nonparetic side, H-H base of support on paretic and nonparetic side, and double support ratio on paretic and nonparetic side.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BEB training and VR training not only improved stroke patients' static and dynamic standing balance abilities but also was their gait.

      • 표면과 공간을 통합한 투명성에 의한 건축 공간 조직에 관한 연구

        정효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근대 이후에 발명된 ‘투명성’ 개념은 사용자가 공간을 이해하고 인식하는데 있어 중요한 건축 표현 방법으로 주로 투명한 물성에서 비롯된 효과로 인한 건축의 분위기 극대화 또는 건축적 표정의 다양화와 같은 미적인 차원의 의미로 다뤄지며 투명성 개념을 ‘표면’의 경험으로 축소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투명성에 관한 이론들을 고찰하며 ‘통해 보인다’라는 시지각적 의미에서 시작하여 ‘표면을 바라보는 것’과 ‘표면을 관통해서 바라보는 것’의 관계에 주목한다. 이로써 기존 논의가 표면뿐만이 아닌 표면과 인접한 ‘공간’ 측면으로 확대 가능성을 함의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나아가 투명한 물질은 경계면에서 나타나는 표면의 효과를 매개로 하여 공간 사이의 연계를 나타내므로 표면에 치우쳐 이해되는 기존의 투명성에서 표면과 공간적 측면을 통합하는 투명성으로 바라보고자 공간 깊이와 공간 배치를 나타내는 투명성으로 재정의하였다. 이와 같은 관점을 통해 본 연구는 투명성을 물질의 범주를 벗어나 ‘형태’로서 나타나는 건축의 본질적인 측면에서 다룰 수 있었고, 현재 일어나고 있는 특정 상황이나 사건들에 의해 매순간 새롭게 정의되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공간과 공간,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등의 ‘관계’를 재정립할 수 있는 환경을 연출하고 있음을 밝혔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