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의 상습적 음주운전 방지대책과 시사점

        정한중(Jung Han-Joong)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東亞法學 Vol.- No.56

        우리나라에서 미국과 같이 상습적인 음주운전자의 재범율이 높다. 하지만 지금까지 한국에서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아주 간단한 조치와 처벌이 있었다. 본 논문은 미국에서의 습관적인 음주 운전에 대한 다방면의 대책을 소개하고, 한국의 새로운 입법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미국의 상습음주운전 억제대책은 기본적으로 음주를 한 후에 운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또 음주운전을 한 전력이 있는 자에 대한 사후적 조치를 말한다. 대부분 법률을 제정하여 음주운전을 금지시키며 음주운전의 단속에서 음주위반자의 처벌과 위반자가 다시 위반하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한 사후 감시조치 등을 포함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대책들이다 그 중에서 상습적인 음주운전자나 음주 자체에 문제를 가진 위반자를 중심으로 하는 각종 대책 중, 특히 ‘음주감지장치’, ‘음주치료·교육프로그램’ 및 ‘음주전담법원’에 대한 것은 상습적 음주운전자, 즉 음주운전 재범자에 대해서 일정한 효과가 인정된 것으로서 향후 한국에서 상습음주운전위반자 대책을 마련할 경우 참고가 될 방안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한국에서도 장기적으로 음주를 비롯한 각종 약물 전담법원을 설치하여 현재 법무부의 관할 하에 있는 치료감호소를 약물전담법원의 관할로 두어 치료 경과를 고려하여 형량에 반영하고, 형 선고 이후에도 치료 경과 등을 참작하여 석방할 필요성도 있다고 본다. 단기적으로는 일반법원 산하에 음주나 약물 전담재판부를 설치하여 전문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상습적인 음주운전 자에 대한 가장 중요한 것은 미국의 여러 가지 상습음주운전대책들이 보여주는 것처럼 각종 프로그램 내용이 단지 교통안전의 분야에만 국한하지 말고, 음주 자체의 문제에 접근하도록 하는 것이다. There is increasingly high a Crime Rate of Alcohol Impaired Driving and habitual Alcohol Impaired Driving in Korea. But It was a very simple measures and ex post punishments about these problems in Korea. Therefore,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multi-faced measures to Alcohol Impaired Driving and habitual Alcohol Impaired Driving in the United States, and is to contribute the new legislative measures in Korea. This Paper Ⅱ is to overview on the measures to Alcohol Impaired Driving in he United States which is Alcohol Impaired Driving Law Review, various Enforcement of drinking driver, Prevention and Intervention to Alcohol Impaired Driving, Young Drivers in Alcohol Impaired Driving and Drinking Problem itself. This Paper Ⅲ is to overview on the measures to habitual Alcohol Impaired Driving in he United States which is ‘Alcohol Assessment·Treatment·Education’, Alcohol Ignition Interlock, and DWI courts. In order to introduce the measures to habitual Alcohol Impaired Driving in he United States the following should be taken carefully. (1)The requisites for success to ‘Alcohol Assessment·Treatment?Education’ have been arranged to effective programs and menus, and strict supervision for the operator to ‘Alcohol Assessment·Treatment·Education’ is necessary. (2)The requisites for success to ‘Ignition Interlock’ is to be equipped to prevent that Violators want to avoid to Ignition Interlock and to heighten the actual adoption rates. (3)The requisites for success to ‘DWI courts’ should be secured competent Team-members, and should be prepared to programs that are able to resolve fundamental problem of Alcohols.

      • KCI등재

        국민참여 형사재판과 검사의 항소 제한

        정한중 ( Jung Han-joong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외법논집 Vol.35 No.3

        Under the participatory criminal justice system, unlike Anglo-American jury trial, a trial can be held as a bench trial in court of appeals. Consequentially, whether "guilty" or "not guilty" can be turned on prosecutor's appeal. Among 321 cases undertaken last 3years in Korea, it is only 43 cases which were not appealed. Among the appealed cases, prosecutor's appeal cases count for 53.6% which is very high. And 56.3% of these cases were concluded same as charge. The prosecutor's high appeal rate has dropped the people's trust about the participatory criminal justice system If the fact-finding judged by general common sense of the majority of people were to annul in appellate court easily, it could be against the purpose of the participatory criminal justice system. In the light of these facts, in the final model stage of the participatory criminal justice system, the appeal system shall be fundamentally reexamined. For this reason, prosecutor's appeal should be forbidden at least in fact-finding. After 2012, we shall study of the appeals court system in the participatory criminal justice system. Because it is relate to improvement of the Instanzengliederung der Gerichte system like increasement of judges, reinforcement of inferior court etc. On this point, we shall reengineer the character of appeals court. And with the legislative improvement ahead, men of affairs, especially the prosecutors, should set an example with refraining from appeal against a verdict.

      • KCI등재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인권친화적인 수사와 공소권 행사 방안

        정한중 ( Jung¸ Han-joong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외법논집 Vol.44 No.4

        고위공직자범죄사처법에 따르면 공수처 검사는 구속과 체포, 구속영장청구권, 압수·수색 영장청구권 등 강제수사권을 가지고 직접 수사권을 행사할 뿐 아니라 경무관 이상 경찰고위간부, 검사와 판사에 대한 기소권 및 공소유지권을 가지고 있다. 일반 검사와 마찬가지로 수사기관인 공수처 검사가 기소권까지 가진다면 인권침해의 소지가 내포한 수사를 사법적으로 통제할 검사가 없는 셈이나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공수처 검사에게 기소권까지 부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지만 제식구 감싸기 방지 차원에서 법률관련 고위 공무원에 한하여 기소권까지 부여한 것은 적절했다고 본다. 저자는 공수처가 국민의 기본권 보장과 실체 진실발견을 조화하기 위하여 적법절차를 준수하면서 인권친화적인 수사와 공소권을 행사하기 위한 여러 제도와 관행의 구체적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즉 수사절차의 개선에서 임의수사 절차의 개선 방안으로 출석요구 시 사건관계인의 예측가능성 및 편의 도모, 면담을 포함한 모든 조사 절차의 투명화, 심야조사 금지기준 및 절차 명확화 방안을 주장한다. 강제수사 절차의 개선 방안으로 압수영장 관련 절차적 권리 보장 강화, 압수ᆞ·수색 시 ‘실질적’영장 제시, 강제수사 현장에서의 임의제출 절대 금지, 공무소 압수ᆞ·수색 개선, 과도한 주거지 압수·수색 금지, 불필요한 출국금지ᆞ·정지 최소화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별건 수사 금지와 인지 수사 제한, 진술거부권의 보장, 공소제기 후 수사에서 피고인에 대한 별건 구속영장 청구 제한, 피고인에게 유리한 증언을 한 증인에 대한 위증수사 제한을 제시한다. 나아가 공수처에 독립적 인권감찰관 제도를 도입하고, 내부 고발자 보호 제도, 과도한 고소, 고발에 대응하기 위하여 고소, 고발 사건 사전조사위원회 설치, 공수처검사 및 수사관에 대한 제척ᆞ·기피ᆞ·회피 제도 도입, 피의사실 공표의 문제 개선, 재판 관할 문제 처리 방안 등을 제시한다. 이와 같이 공수처 출범 이후에도 제도적 보완과 개선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고, 권력자들의 공수처 간섭에 대한 국민의 꾸준한 비판과 감시가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경찰, 검찰, 공수처, 법원, 국회의원 등 권력기관이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고 국민의 인권보장을 위한 법치주의 실현에 이바지하여야 한다. According to High-Ranking Officials’ Corruption Investigation Office Act, prosecutors from Corruption Investigation Office For High-ranking Officials(CIO) not only investigate based on compulsory investigation rights of detention and arrest, detention warrant request, and seizure and search warrant request, but also have the right to prosecute and maintain prosecution against police officers above superintendent general position(경무관), prosecutors and judges. If prosecutors in Corruption Investigation Office For High-ranking Officials(CIO) have prosecution right as with general prosecutors, it is like there is no judicial control over the investigation involving the human rights violations. Therefore, it is appropriate to grant limited prosecution rights targeted at “high-ranking officials related to law “to prosecutors in Corruption Investigation Office For High-ranking Officials(CIO) to prevent protecting its own. The author suggests various systems and improvements of practices for human rights-friendly investigation and prosecution while complying with legal procedures in order to harmonize the guarantee of basic rights and the discovery of truth. In other words, as a way to improve voluntary investigation procedures, the author suggests to promote predictability and convenience of those involved in the case when requesting attendance, transparency of all investigation procedures including interview, and clarifying standards for banning overnight interrogation and its procedures. As a way to improve compulsory investigation procedures, the author also suggests reinforcement of the procedural rights related to seizure warrant, “substantial” presentation of warrant in case of seizure and search, prohibition of the voluntary submission at the scene of compulsory investigation, improvement of seizure and search at the government offices, prohibition of excessive seizure and search on residences, and minimization of unnecessary travel bans and suspensions. It also proposes a ban on pretextual investigations and cognitive investigations, guarantee of the right to remain silent, restriction on the request for a separate arrest warrant for the accused in the post-prosecution investigation, and limit on perjury investigations against witnesses who testified in favor of the accused. Furthermore, it proposes an independent human rights inspector system at Corruption Investigation Office For High-ranking Officials(CIO), safeguard of whistleblower, establishment of a pre-investigation committee to prevent excessive charges and accusations, a system of exclusion, challenge and avoidance of prosecutors and investigators in Corruption Investigation Office For High-ranking Officials(CIO), improvement of publication of facts of suspected crime, and measures on trial jurisdiction matter. As such,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and improvement should follow even after the launch of Corruption Investigation Office For High-ranking Officials(CIO) and the public’s constant criticism and surveillance on the intervention of those in power in Corruption Investigation Office For High-ranking Officials(CIO) are needed. Through this process, power agencies such as the police, prosecutors, Corruption Investigation Office For High-ranking Officials(CIO), courts, and members of parliament should restore public trust and contribute to the realization of the rule of law for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of the people.

      • KCI등재

        행정조사와 진술거부권 고지의무-대법원 2014.01.16. 선고 2013도5441 판결-

        정한중 ( Han Joong Jung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외법논집 Vol.38 No.2

        오늘날에는 행정권의 비대화와 권력적 행정의 증가로 권력적인 행정조사에 의한 인권침해의 가능성이 더욱 커지고 있고 우리 헌법이 반드시 ‘형사절차’나 실질적 형사절차에서 진술거부권을 보장한다고 규정하지 않고 ‘형사상’ 자기에게 불리한 진술이라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행정절차, 민사절차 등에서도 피조사자가 자기의 진술로 인하여 앞으로 형사절차에서 형사상 책임을 질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면 진술거부권을 인정하여야 한다. 진술거부권 고지의무 여부는 진술거부권의 진술과 달리 조사자를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즉 조사대상자는 행정조사가 고발 등을 통해 형사절차로 이행될지 여부, 결과적으로 이행되었더라도 진술 당시는 언제 이행될지 등을 알 수 없는 위치에 있으므로 권력적 행정조사를 포함한 일반적인 행정조사에서도 조사자가 피조사자에 대하여 구체적 진술이나 보고를 하게 하는 경우에, 조사자가 그 행정조사 시에 피조사자의 진술 등이 형사절차에서 증거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거나 인식할 수 있었을 때에는 그 조사 개시 전 피조사자에게 진술을 거부할 수 있음을 고지하여야 한다고 본다. 조사자의 인식 여부는 객관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조세범 처벌 등 관계기관이 고발이 있어야 처벌을 할 수 있는 전속고발권을 가진 기관의 조사자는 물론 그 조사자가 소속된 기관에서 자주 고발이나 수사의뢰를 하였는지 등 여러 사정을 종합하여 조사 당시를 기준으로 사후적으로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선거관리위원회의 직원이 하는 선거범죄의 피조사자에 대한 조사 절차는 형사절차나 준형사절차는 아니라고 하더라도 형사책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많은 행정조사절차이고, 선거관리위원회에서는 수사기관에 대한 수사의뢰나 고발권이 있고, 이를 상시적으로 행사하는 기관이라는 점에서 조사자는 조사개시 당시에 조사자의 진술결과가 형사절차에서 증거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충분히 인식하였다고 할 수 있으므로 조사자의 진술거부권 고지의무도 인정되어야 하므로 대상판결은 타당하지 않다. As administrative authority is increasing in power and power-related administration is rising these days, there are more chances that the power-related administrative investigation causes violation of human rights. Moreover, the Korean Constitution does not rule that the right to refuse to make statement is assured only in the ‘criminal procedure’ or de facto criminal proceedings. The Constitution rather regulates the right is guaranteed to all the statements which could be against the person under a criminal charge. Therefore, the right to remain silent has to be granted in the administrative or civil procedures if the examinee’s statements can be used to take penal responsibilities in the following criminal procedures. When to notify the right to remain silent has to be decided by the standard of the examinee. In other words, the right has to be notified to the examinee in his detailed statements or reports before beginning official investigation. The right should be reported if the examinee recognizes or is likely to recognize that his statements in the general administrative procedures (including the power-related investigation) could be used as evidence in the criminal procedures. This is because the examinee at the time of making statements generally does not know whether the administrative examination continues to the criminal procedure through accusations or charges. Neither he knows when to convert to criminal proceedings. Whether the examinee ‘recognizes’ or not has to be objectively judged. It should be decided afterwards, by the standard of the investigation launch, with taking the whole circumstances into consideration. These circumstances illustrate whether the examiner has the exclusive power to accuse such as the punishment of tax evaders and whether the examiner or the institution he belongs to frequently do accusation or request for investigation. The finding in this research suggest that the judgement in discussion is not valid because the right to remain silent has to be notified at the beginning of the official examination to the examinee related to election offense. At the time of the beginning of the investigation, he already fully recognizes that his statements could be used as criminal evidence. Since the investigation procedure by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often continues to criminal procedures, the Commission has the power to request prosecution investigation or accuse, and the Commission regularly exercises these rights, it is highly significant to notify the examinee of the right before starting the examination.

      • KCI등재

        변호사의 이익충돌과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대법원 2009.02.26. 선고 2008도9812 판결 및 대법원 2004. 11. 26. 선고 2004도5951 판결)

        정한중 ( Jung Han Joong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외법논집 Vol.39 No.2

        이익충돌은 당사자 사이에 이익이 충돌하는 것, 즉 이해가 대립되는 것을 말한다. 형사사건에서 이익 충돌회피의무에 위반한 변론은 민사소송과 달리 직권주의 요소가 가미된 현행 형사소송절차의 특징과 헌법의 변호인의 도움을 받을 권리의 재해석을 통하여 재검토되어야 한다. 즉 변호인의 도움은 실질적 도움을 말하고, 이는 효과적인 변호를 받을 권리를 의미한다. 이러한 효과적인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는 헌법의 기본권으로 보장되어야 하며 국선 변호인이든 사선 변호인에 의한 변론이든 침해가 있었다면 그 효과를 논할 때 차이가 없어야 한다. 따라서 효과적인 변호’에 반하는 불충분한 변호문제를 변호인과 의뢰인의 사적 위임계약의 위반으로 간주하여 변호사회징계나 손해배상청구의 문제로 파악하는 것은 헌법상의 기본권으로 하고 있는 이 권리를 실효적으로 보장하는데 문제가 있다. 형사변호인은 단순한 소송대리인 지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피고인의 정당한 이익을 보호하는 공적 존재이면서, 당사자주의 형사소송 구조에 있어서 필수적 구성요소로 보아야 한다. 따라서 ‘이익충돌 회피의무를 위반한 불성실한 변호는 형사재판 자체의 공정성과 적정성을 직접적으로 침해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유죄판결 자체를 파기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는 판결을 하거나 재심사유가 된다고 해야 한다. 따라서 대상 판결 1은 ‘변호인에게 변호사법 제31조 제1호의 수임제한 규정을 위반한 위법이 있다하여도, 위와 같은 위법으로 인하여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피고인들의 권리가 침해되었다거나 그 소송절차가 무효로 된다고 볼 수는 없다고 하여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가 침해된 것은 아니다’라고 판시하였으나 이익충돌회피의무의 존재 자체도 모르는 경우 많다는 점에서 당사자들이 스스로 변호인을 선임하였는지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 따라서 사안의 경우도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를 침해하였다는 점에서 타당하지 않은 판결이다. 대상 판결 2는 ‘변호사의 수임제한규정에 위반하는 국선변호인의 변론을 거쳐 심리를 마친 사건에서 수임제한 규정에 위반한 국선변호인의 변론이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를 침해한 것으로 판결하였다. 이는 비록 국선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를 강조한 한계가 있지만, 이익충돌의 문제를 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 중 하나인 국선변호인의 조력을 받을 권리의 문제로 확장한 판결이라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는 판결이다. 앞으로 국선과 사선을 떠나 이익충돌 등 불성한 형사변론의 경우, 변호인의 효과적인 변호를 받을 권리의 침해라는 차원에서 검토되어야 하고, 이에 대한 많은 연구와 판례의 변경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Conflict of interest” refers to a situation where the interests of the parties involved are opposite to, and thus conflict with, each other. In criminal cases, the issue of pleading in violation of the obligation to avoid conflict of interest needs to be reviewed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current criminal procedure which incorporates an element of the ‘ex officio principle,’ which distinguishes the criminal procedure from the civil procedure, and by reinterpreting the right to assistance by counsel prescribed in the Constitution. ‘Assistance by counsel’ should be understood to mean ‘meaningful assistance by counsel,’ which refers to ‘effective assistance by counsel.’ The right to effective assistance by counsel must be protected as a fundamental right under the Constitution, and the effect of violation of that right should be the same whether the counsel was appointed by the state or the defendant. In this sense, identifying the issue of deficient defence violating the obligation to offer effective assistance in terms of the issue of disciplinary action by a bar association or compensation for damage based on the breach of a private contract between the counsel and the client would prove to be problematic for the purpose of effectively ensuring this constitutional right. A criminal counsel is much more than an attorney representing a defendant in a criminal litigation: a criminal counsel is a public being tasked with protecting the rightful interests of a defendant, and constitutes an essential component of the structure of criminal procedure based on the adversary system. Therefore, deficient defence violating the obligation to avoid conflict of interest should be regarded as direct violation of the fairness and appropriateness of criminal trial itself: then, it should constitute a cause for reversing and remanding the original conviction, or a cause for retrial. In Case 1, the Court held that ‘violation of restriction on acceptance of case under Article 31 (1) of the Attorney-at-law Act does not infringe on the defendants’ right to assistance by counsel, or nullify the legal proceedings,’concluding that their right to assistance by counsel was not infringed upon. However, whether the defendants appointed the counsel themselves is not significant, in that most defendants are not even aware of the existence of the obligation to avoid conflict of interest. Therefore, the conclusion of the Court in this case cannot be justified, because the defendants’ right to assistance by counsel was in fact infringed upon. In Case 2, which involves pleading by a public defender who violated the provision on restriction on acceptance of a case, the Court held that the pleading by the public defender in violation of the said provision infringed on the right to assistance by counsel. Despite the limitation that the Court emphasized the right to assistance by public defender, this judgment is highly significant in that it expanded the issue of conflict of interest into the issue of the right to assistance by public defender, which forms a part of the right to assistance by counsel. Be it a counsel appointed by the State or the defendant, deficient criminal defence by a criminal counsel should be viewed in terms of the infringement of the right to effective assistance by counsel. It will require considerable amount of research and changes in the court’s position with regard to the subject matter.

      • KCI등재

        변호사 보수의 규제에 대한 연구

        정한중(Jung Han Joong)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法學硏究 Vol.14 No.1

        우리나라에서도 변호사를 선임한 경험이 있는 많은 이들이 변호사보수가 지나치게 높다고 불만을 표시한다. 변호사 보수는 그 액수가 과다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적정해야 한다. 현재 변호사 윤리규칙 제30조는 ‘변호사의 보수는 사안의 난이, 소요되는 노력의 정도와 시간, 당사자의 이해관계 등 제반 사정을 고려하여 적정하게 결정되어야 한다.’고 규정하여 변호사보수의 실질적 적정성의 원칙을 표현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변호사 보수의 분쟁 예방적 기능을 하기는 어렵다. 착수금과 관련하여 보면 착수금과 함께 성공보수를 약정하는 경우 성실하지 못한 변호사의 업무처리로 인하여 성공하지 못했다고 보여지는 등의 경우에 의뢰인이 입장에서 과다한 착수금을 반환하지 않아 분쟁이 발생하기도 하므로 착수금과 별개로 성공보수를 약정한 경우에 성공하지 못한 때에는 착수금을 감액하는 약정, 즉 no win, less fee 약정의 필요성이 있고 이를 법정화하여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현실적으로 실무에서 착수금 없이 성공조건부 보수를 약정하거나 성공하지 못하면 착수금을 일부 반환하는 약정, 즉 일종의 조건부 약정도 증가하고 있는 바, 이를 금지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성공보수가 논란이 되는 것은 주로 사안의 성격이나 변호사가 처리한 업무의 량에 비하여 보수액이 현저히 과하기 때문이다. 성공보수의 긍정적인 면이 있고, 성공보수의 허용 여부를 별도로 논하기 보다는 과다한 보수, 즉 보수의 적정성에 포함하여 규제하는 것이 현실적이라고 할 것이다. 여기서 독일과 같이 사건들을 표준화하여 전체 변호사보수의 기준을 구체적으로 상세히 정하자는 주장이 있을 수 있으나 변호사의 개별 사안별로 적절한 보수 여부가 문제되고 있으므로 전면적으로 수용하기는 어렵다고 본다. 다만 형사사건의 경우, 성공보수를 포함하여 전체 보수를 법정화 또는 제한하고, 민사사건 등의 경우에는 보수최고기준을 마련할 필요는 있으나 성공보수 자체를 금지 하는 것에는 찬성하기 어렵다. 변호사 보수과다 문제는 주로 소위 전관예우를 받는 변호사들의 문제일 수 있다. 그러나 국민들의 전관에 대한 선호를 무시할 수는 없으므로 근본적으로는 전관의 배출을 억제하는 정책으로 나아가야지 해결될 수 있다. 즉 법조일원화를 통해 상당한 경력의 변호사가 법관으로 진출하도록 하고, 일정한 직위, 예를 들면 차관급 대우를 받는 고등법원 부장판사나 검사장 이상의 경우, 판사나 검사는 변호사 개업을 못하게 하거나 수임사건을 엄격히 제한하는 방안 등이 그것이다. 변호사업무는 공공성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되지만 변호사 보수에 대한 규제가 반드시 변호사업무의 공공성에서만 그 근거를 찾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변호사의 보수도 업무의 공공성 측면과 함께 변호사들의 시장 지배적 지위의 남용을 방지한다든가, 공정하고 자유로운 경쟁을 촉진하거나 소비자 보호 등을 근거로 얼마든지 규제가 가능하다. 서비스의 공공재적 성격과 함께 서비스 제공방식인 변호사 보수 결정이라는 사적 통로의 충돌이 있는 경우에 제공방식에도 일정한 규제를 가할 수 있다. 이러한 충돌의 경우에 국가 등의 규제를 통하여 국민의 신뢰를 획득하여야 만 궁극적으로 변호사 제도 자체의 상실로 나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허위사실공표죄와 허위사실적시 명예훼손죄 해석의 문제점 -조○○ 서울시교육감 항소심 판결을 중심으로-

        정한중 ( Han Joong Jung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16 法學硏究 Vol.26 No.2

        선거과정에서 후보자 상호간 의혹제기나 공적 인물에 대한 의혹 사실 제기에 대한 처벌은 공직적격자인가에 대한 검증 차원에서는 물론 표현의 자유 측면에서 그 허위 성 판단이나 허위성에 대한 인식 판단에서 매우 신중해야 한다. 따라서 개인인 피고 인에게 진실성을 사실상 입증하게 하는 것, 특히 개인에게 사실조사나 사실확인의무를 부과하는 것은 사실상 무죄추정에 반한다.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공표죄나 형법의 허위사실적시 명예훼손죄에서 허위성은 일본 형법과 달리 구성요건요소이다. 따라서 허위성이 입증이 되지 못하면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공표죄나 형법상 허위사실적시 명예훼손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여기서 허위성이 입증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진실할 가능성이 높지만 진실한 사실은 아니다. 이 경우, 공직선거법상 후보자비방죄나 형법상 진실사실적시 명예훼손죄가 성립될 수 있는데, 진실한 사실이고, 공익성이 인정되면 위법성이 조각된다고 보는 것이 우리 법의 구조이다. 본 사안의 경우, 피고인이 ``의혹이 존재한다``는 사실에 대한 당시 소문만이 아니라 유력한 소명자료를 제출하였고, 존재 사실의 진실성에 대한 입증은 검사에게 있기 때문에 이를 검사가 탄핵하였지만 검사가 법관에게 의혹 존재사실이 허위라는 확신을 심어주는데 실패했기 때문에 허위는 아니거나 진실한 사실이라는 것이 항소심의 결론이고 타당하다 그러나 항소심 판결이 기존의 우리 대법원 판결이 취한 허위사실의 인식에 대하여, 지정고의 뿐 아니라 미필적 고의를 포함하여 해석한 것은 부당하다. 또 우리 대법원은 고의 판단의 기준으로 위법성인식의 자료로 사용되고 있는 상담 과 조회의 하나인 사실확인의무를 부과하며, 위법성조각사유의 진실성 판단과 구성 요건의 허위성판단을 동시에 함으로써 사실상 입증책임을 전환하고 있다. 이러한 대법원이 위에서 본 일본 판례와 같이 위법성조각 판단에서 사용하는 정당한 이유를 가지고 결과적으로 고의를 판단하고 있는 것은 우리 입법과 다른 구조를 가진 일본 판례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한 것으로 타당하지 않고 이점에서는 항소심 판결도 마찬 가지로 비판 받아야 한다. When holding a candidate criminally responsible for raising a suspicion against another candidate or a public figure in a the course of an election campaign, caution is required for determining whether the alleged facts are false or whether the defendant was aware of the falseness,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freedom of speech and ensuring the effective verification of the qualifications of the candidates. Then it would be a violation of the presumption of innocence principle to have an individual prove the veracity of his/her remarks, or imposing on an individual the obligation to investigate or confirm the facts. Unlike the Japanese criminal law, falseness is one of the elements that constitute "publication of false facts" punishable under the Korean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or "defamation by alleging false facts" under the Korean Criminal Act. This means that a prosecutor must prove the falseness of the facts put forward by the defendant in order to hold him/her responsible for the above crimes. Even if a prosecutor fails to prove that those facts are false, it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y are true facts, although it is likely that they are. In this case, publication of such facts may constitute a slander against a candidate under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or a defamation by alleging facts under the Criminal Act. Under the Korean legal system, however, the illegality of such slander or defamation is precluded if the facts are true, and they are alleged for a purpose related with public interests. In the case reviewed in this article, the appellate court held that the defendant had presented a strong evidence as to the ``existence of a suspicion,`` and it falls on the prosecutor to prove the veracity of the existence. Then, the court concluded that the prosecutor failed to convince the judges that the allegation of the existence of suspicion is false, and therefore the allegation is either true or not false. This researcher finds the appellate court``s conclusion reasonable. However, this researcher finds the appellate court``s judgment unreasonable in that it followed the Supreme Court``s precedent and included both specific intent and wilful negligence as subjective elements that determine whether the defendant was aware of the falseness of the alleged facts. In addition, when determining whether a defendant intentionally committed any of the above crimes, the Supreme Court imposes on the defendant the obligation to confirm the facts, which is usually used to determine whether a defendant was aware of the illegality of his/her acts. The Court also merges the determination of the truthfulness of the alleged facts for the preclusion of illegality with the determination of the falseness of the facts as an constitutive element of the crimes. This practically transfers the burden of proof to the defendant. Using an element that precludes illegality to determine the intent of a defendant in such a way is predicated on an uncritical reception of a Japanese precedent, rendered under a legal system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Korean legal system. The Supreme Court``s approach is not reasonable in this regard, and the appellate court case above should be criticized for unquestioningly adopting the higher court``s precedent.

      • KCI등재

        준강도의 처벌범위에 대한 비판적 검토

        정한중 ( Jung Han-joong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외법논집 Vol.37 No.3

        Quasi-robbery is a crime where a thief uses violence or intimidation in order to resist recovery of stolen property, to escape arrest or to obliterate a trace of the crime. In actual quasi-robbery cases, the courts tend to be too quick to find the defendant guilty of quasi robbery, despite the fact that the severity of violence, intimidation or injury in quasi-robbery cases is not as substantial as in other crimes. In addition, the majority of scholars and the Supreme Court hold that since quasi-robbers are punished in accordance with the robbery provision, quasi-robbery should be equated with robbery or special robbery. Based on this interpretation, they go on to construe the Article to mean that the concurrent offence provisions and Erfolgsqualifizierte Delikte (offence aggravat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crime) provisions involving robbery should be also applied to quasi robbery, as well as the relevant aggravation provisions in the special acts Even if Article 335 of the Criminal Act could pass the muster of the rule of clarity stemming from the principle of nulla poem sine lege, the above interpretation cannot hold in the face of the very text of the Article. Article 335 stipulates that “a thief who uses violence or intimidation in order to resist recovery of stolen property, to escape arrest or to obliterate a trace of the crime shall be punished in accordance with the preceding two Articles.” Construing this Article in accordance with the theories from Germany or Japan, where the law states that quasi-robbery constitute or be punished as robbery, would be inconsistent with interpretation of Korea’s criminal law. Therefore, even when a quasi-robber injures/kills another person deliberately or by negligence in the course of violence or intimidation, such offender should be punished by concurrently applying the quasi-robbery provision along with the injury/murder provision, or the bodily injury/death by negligence provision. This interpretation will provide the courts with more room to appropriately adjust the level of punishment in accordance with the Sentencing Guideline. Also, depending on the level of sentencing, the courts may be able to suspend execution of the sentence: such possibility will greatly contribute to correcting the problem of unreasonably severe punishments. Although Precedence 1 involved aggravated punishment based on the Special Act, not the Criminal Act, it rightfully refused to equate quasi-robbery with regular or special robbery, thus providing us with a meaningful implication for construing the quasi-robbery provision in the Criminal Act. Precedence 2, on the contrary, held that a quasi-robber who also inflicted bodily injury should be punished for ‘bodily injury resulting from robbery’, following the theory of the majority of scholars and the Supreme Court that quasi-robbery should be equated with robbery or special robbery. Such interpretation cannot escape the criticism that it is inconsistent with the text of Article 335 of the Criminal Act.

      • KCI등재

        한국과 일본에 있어서 시민참여형 형사재판의 실시 현황과 개선방안

        정한중 ( Han Jung Jeong )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11 비교형사법연구 Vol.13 No.1

        ``The participatory criminal justice system`` in Korea and Japan has sought to learn the fine American jury trial system and the German schoffengericht system. The public participation trial in South Korea has performed since January 1st, 2008. But, it is temporary system, for five years, until 2012. And the system is quite incomplete and unfinished yet, compared to Japanese`s. South Korea will adopt a new system in 2012. Now, it is important to compare Korean system with the Japanese system which is ``the people`s assessors in trials``. So, we will discuss about ``the people`s assessors in trials`` in Japan, and find more improved system. About Korean public participation system and the court procedures, the 2012 bill for the new Criminal Procedure Act and the public participation in trial is being revised. There are some important problems in Korean ``participatory criminal justice system``. First, court`s reject decision is too abstract. Second, the effect of jury`s verdict is just advisory. And the last is that prosecutors can appeal even when defendants are found as not guilty. We suggest that the system should be revised as similar to the American jury trial system. Thus, in conclusion, we should adopt the binding force system of jury`s verdict and the restriction system of prosecutor`s appeal when defendants are not guilty. And we should make ``the participatory criminal justice system`` a required procedure.

      • KCI우수등재

        적법하게 취득한 통신사실 확인자료와 관련성 있는 범죄 - 대법원 2017. 1. 25. 선고 2016도13489 판결 -

        정한중 ( Jung Hanjoong ) 법조협회 2017 法曹 Vol.66 No.2

        영장 기재 범죄사실과 주관적, 객관적 관련성이 없는 물건에 대한 압수는 영장주의에 반하여 취득된 압수물이므로 위법수집증거배제법칙에 의하여 증거능력이 없다. 그런데 관련성 요건을 충족하는 등 적법하게 압수한 압수물을 다른 범죄에 사용하기 위해서 새로 영장을 발부받아야 할 필요는 없다. 다만 통신비밀보호법과 같이 이러한 경우도 예외적으로 관련성을 요한다는 규정이 있다면 관련성 없는 범죄사실의 증거로 사용할 수 없다. 통신비밀보호법과 그 시행령에서 통신사업자의 통신사실 확인자료 보관기간을 12개월로 제한하고, 그 허가사유에 관련된 범죄사실에 사용하도록 제한한 것은 통신의 자유 내지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를 보장하고 한 것이다. 여기서 관련성 판단은 증거법적 측면에서 증거능력 여부가 문제되므로 압수 당시의 상황을 기초로 구체적·개별적으로 법관이 사후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특히 12개월 이상이 지나버린 시점의 범죄사실에 관한 수사나 재판에서 검사는 다른 사건에서 적법하게 취득한 통신사실 확인자료를 간접증거(정황증거)로 입증을 할 수 있다. 그러나 피고인은 알리바이 등 자신에게 유리한 정황증거 입증을 위하여 자신의 통신사실 확인자료를 전혀 확보할 수 없다. 따라서 적법하게 취득한 통신사실 확인자료와 다른 범죄의 관련성은 엄격히 해석하여야 한다. 주관적 관련성은 허가 대상자와 공동정범, 합동범 등 넓은 의미의 공범은 인정된다. 그러나 대향범 관계에 있는 자는 주관적 관련성을 부정하여야 한다. 객관적관련성의 경우, 허가서 기재 범죄사실과 동종·유사의 범행은 그 관련성을 부정하여야 한다. 이런 점에서 대상 판결이 본건 범죄사실과 통신사실 확인자료에 기재된 일부 통화내역의 관련성을 인정하여 그 일부 내용에 대하여 증거능력을 인정한 것은 타당하지 않다. The seizure of the material without a writ-based criminal fact, things that is irrelevant to subjectivity or objectivity has no power of evidence as it denies rule of warrant by Law of exclusion of illegal collecting evidence. But there is no need to issue another warrant to use legally-attained seizure of the material for another crime. But if there is a rule that requires exceptional relevance, like the Protection for the Secret of Communication Act, it cannot be used as an evidence for irrelevant crime case. From the Protection for the Secret of Communication Act, and its enforcement ordinance, the reason why it limited the retention period of communication confirmation data to 12 months and why it restricted its use only for relevant crime is to protect the freedom of communication or its privacy. The only problem here is whether it has its power for evidence by the view of evidence. So a judge have to decide it individually and separately based on the situation. Specially for the criminal case over 12 months, prosecutor can prove circumstantial evidence by using legally-attained communication confirmation data from other cases. But the accused cannot use communication confirmation data to prove circumstantial evidence, which can be advantageous for them, like alibi. Therefore, legally seized communication confirmation data and its relevance to other criminal cases should be construed strictly. Subjective relevance can encompass the expanded concept of accomplice like the suspected, but should not entail the person who is related to two-way criminality. In the case of objective relevance, it have to deny the concept of allegation and homogeneous and similar crime. In this respect, this case is inappropriate as it accepted the relevance between this criminal case and the currency details from communication confirmation as evid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