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大寶律令 施行에 따른 일본사회의 변용과 한국목간

        鐘江宏之(Kanegae Hiroyuki),정지은(번역자) 한국목간학회 2019 목간과 문자 Vol.0 No.22

        8세기 초 大寶律令 시행에 의해 일본사회가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검증하는 데에는 사회 변화의 실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출토 문자 자료가 중요하다. 일본에서는 대보율령 시행 전후 목간에서 보이는 다양한 관행이 극적으로 변화하고 있어 큰 변혁이 있었음을 증명한다. 대보율령은 唐의 율령을 모범으로 편찬되었으며, 그 체계는 중국율령에서 唐에 이르며 형성된 행정 체계를 계승하고, 중국에서 만들어진 체계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한편, 대보율령이 시행되기 전인 7세기의 목간은 한국에서 출토되는 목간과 여러 유사점을 확인할 수 있다. 대보율령 이전 시대의 목간문화는 한반도 諸國과 문화적으로 공통되는 관행을 가진 사회에서 시행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7세기 일본에서는 遣隋使나 遣唐使가 파견되어 중국과 직접 왕래하였지만, 당시의 문화는 한반도 諸國으로부터 배운 것을 基調로 하고 있다. 이러한 당시 문화의 다양한 면을 검토하는 데 있어 목간은 귀중한 자료이다. 일례로 戶籍制度를 배경으로 한 戶口의 이동을 기록한 목간에 의해, 7세기 호적제도가 8세기 초 이후에 전환해 가는 것을 알 수 있다. 한반도 諸國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7세기에는 호적제도도 한반도의 여러 제도와의 관련성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으며, 앞으로도 목간자료에 의해 보다 해명이 진전될 것으로 기대된다. 백제나 신라와의 목간문화에서의 공통성을 규명함으로써 일본의 7세기 사회의 다양한 면들이 명확해질 것이다. 한국목간의 존재는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았던 측면을 명확히 한다는 점에서 일본의 7세기에서 8세기로의 전환을 새로운 시점에서 검증하기 위한 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명한 일로 여겨지는 일본의 7세기 역사상도 점차 수정을 촉구해 가고 있다. In Japan, changes in practices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aiho Codes(大寶律令) are confirmed in Wooden tablets(木簡). Before the Taiho Codes(大寶律令) took effect, The 7th century"s Wooden tablets(木簡) is similar to the Wooden tablets(木簡) excavated in Korea. Prior to the Taiho Codes(大寶律令), the Wooden tablets(木簡) culture has been practiced in societies with culturally common practices with various countries on the Korean Peninsula. In reviewing the various aspects of this culture at the time, Wooden tablets(木簡) are valuable materials. For example, Wooden tablets(木簡), which records the movement of family register system(戶籍制度) against the backdrop of 戶口, shows that the family registry system in the 7th century has changed since the beginning of the 8th century. In the 7th century, strongly influenced by the Korean peninsula, the family registry system needs to consider its relevance to various systems on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梁 武帝의 『阿育王經』 轉輪聖王 표방과 백제 聖王

        河上麻由子(Mayuko Kawakami),정지은(번역자) 한국목간학회 2020 목간과 문자 Vol.0 No.24

        본고는 양 무제의 숭불 중에서도, 전륜성왕을 지향한 것으로 보이는 사업에 대해, 특히 『阿育王經』에서 특징적인 記述과의 관련을 지적하였다. 최근 연구에서는 역사상의 불교사업을 분석할 때에 불전을 참조하는데, 데이터베이스가 정비되면서 전거를 특정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있다. 그러나 그 경전을 사료로 선택하여 활용한 이유에 대한 설명은 충분하지 못했다. 예를 들어, 양 무제의 숭불에 대해서 논할 때, 무제 자신이 아소카왕 전승을 취사선택하지 않고 筆受를 하며 漢譯을 지시했던 『阿育王經』에 대한 설명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나아가 백제의 성왕에 대해서는 똑똑하고 비범하여[知識英邁] 일을 잘 처리하였기 때문에, 국인이 「성왕」이라고 칭송했던 것이나, 일본에 불교를 전달했다고 하는 사적에서 전륜성왕으로서의 지위를 획득했다고 논해지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러나 동아시아의 전륜성왕관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 아소카왕도, 「법왕」이라고 칭해졌지 「성왕」이라고 칭해지지 않았다. 또, 양 무제 이후 금륜성왕이라고 칭송된 황제들 역시 불교적 문맥에서 「성왕」이라고 칭해진 흔적은 없다. 『삼국사기』가 「聖」을 시호라고 하는 점도 고려하면, 「성왕」은 전륜성왕의 생략된 표현이며 「성명왕」이 전륜성왕이라고 간주하는 것은 아직 망설임이 남는다. 「성왕」은 역시, 儒의 흐름에서 말하는 치세의 성인으로서, 백제왕을 성인이라고 칭송한 칭호라고 생각해야하지 않을까. 국왕이 전륜성왕을 지향했을지의 여부를 논의하는 것은 무제의 사례에서 비추어 볼 때 그 칭호에서 멈추지 않고, 사리공양·무차대회의 유무를 확인해야한다고 생각한다. This paper points out the relation between the descriptions of the activities of Emperor Liang Wudi, which are thought to be aimed at becoming Cakravartin, and the descriptions of “Ayuwang Sutra”. Recent historical studies refer to Buddhist scriptures when analyzing Buddhist projects. With the development of databases, it has become easier to identify sources. However, it seems that it is not enough to explain why the particular sutra should be considered as the source. For example, the worship of Buddha by Emperor Liang Wudi should be explained based on “Ayuwang Sutra” which Emperor Wudi himself wrote down and supported the Chinese translation, rather than selecting and discarding the various traditions of Ashoka the Great. As for the king of Baekje, it is often argued that he was granted the position of Cakravartin because he was a great intellectual and made decisions and was praised by local lords as “Holy King聖王” and also because he introduced Buddhism to Japan. However, even Ashoka the Great, who greatly influenced the view of Cakravartin in East Asia, was called “the King of Darma 法王” and not “Holy King”. Furthermore, there is no evidence that the emperors who were praised as Cakravartin after Emperor Liang Wu were called “Holy King” in the Buddhist context. Although “Samguk Sagi” has “Holy King” as the posthumous name of 明襛, a king of Baekje, while “Holy King” is thought as an abbreviation of Cakravartin, it is still too early to conclude that Shomyoo was regarded as Cakravartin. After all, Holy King or Seong of Baekje should be regarded as a title praising the King of Baekje as a saint in the context of Confucianism. In order to argue that a king intended to become Cakravartin in the sixth century, considering the case of Emperor Wu, it must be confirmed that the Buddhist ceremony for Buddha’s relics and the grand Buddhist religious service in which all priests and believers could participate were h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