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슬관절 후외측 인대 재건술에서의 비골두 터널 방법과 경골 터널 방법의 비교

        정영복(Young Bok Jung),이용석(Yong Seuk Lee),호중(Ho Joong Jung),진호선(Ho Sun Jin),태석기(Suk Kee Ta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5

        목적: 슬관절 후외측 만성 불안정성에 대한 치료로 비골 두 터널과 경골 터널 방법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그 장단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에서 2003년까지 본원에서 후방십자인대 긴장술 및 전외측 다발 재건술을 시행하고, 2도의 후외측 불안정성이 동반된 경우에 후외측 재건술을 시행받은 환자 중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비골 두 터널 방법 20예와 경골 터널 19예를 대상으로 비교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비골 두 터널의 수술 시간이 36.5±7.5분으로 경골 터널 방법이 68.4±12.8분인데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더 짧았다(p<0.0001). 회전 안정성에 있어서도 비골 두 터널은 85%에서 반대쪽 다리에 비하여 같은 정도의 긴장 이상을 보여서 63%인 경골 터널에 비하여 더 안정적이었다(p=0.0018). IKDC (타각적 점수)에서 비골 두 터널이 85%에서 B 이상의 결과를 나타내어 79% 인 경골 터널에 비하여 더 우수하였다(p<0.0001). 그러나, 전후방 안정성 및 IKDC (주관적 점수), OAK score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후 외측 회전 불안정성이 있으며 내반 불안정성이 경하거나 거의 없는, 즉 2도 이하의 만성 손상의 경우 특히 후방십자인대와 동반 손상 시 후외측부 재건술 방법으로 비골 두 터널 방법이 경골 터널에 비하여 효과적이었다.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surgical results of various posterolateral corner sling methods performed through either the fibula head tunnel or tibia tunnel in patients with chronic PLRI (Posterolateral Rotatory Instability).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1999 and October 2003, 20 and 19 patients who had undergone surgery for PCL (posterior cruciate ligament) tensioning and an ALB (anterolateral bundle) reconstruction through the fibula head tunnel or tibia tunnel, respectively and were followed up more than 1 year were enrolled in this study. Results: The fibular head tunnel was found to be superior compared with the tibia tunnel method in terms of the operation time (36.5±7.5 versus 68.4±12.8) (p<0.0001), rotational stability (p=0.0018) and IKDC objective score (p<0.0001). In the fibula head tunnel group, 85% of patients had an equal to normal or tighter than normal rotational stability in the tibial tunnel group with 63% having an equal to normal or tighter than normal side at the last evaluation. In the IKDC objective score, 85% of patients in the fibula head tunnel group had a rating B or higher at the last evaluation compared with 79% in the tibial tunnel group (p<0.0001).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teroposterior stability and OAK score. Conclusion: The modified posterolateral corner sling through the fibula head tunnel produces better results in terms of a posterolateral rotational stability of grade Ⅱ chronic PLRL in a combined PCL injury than that using the tibia tunnel method.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후방십자인대 절제가 대퇴경골간 굴곡-신전 간격에 미치는 영향

        정영복(Young Bok Jung),박세진(Se-Jin Park),호중(Ho-Joong Jung),김상준(Sang Joon Kim),이종석(Jong-Seok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6

        목적: 슬관절 전치환술 시 후방십자인대의 절제가 대퇴경골간 굴곡-신전 간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5월부터 2006년 4월까지 퇴행성 슬관절염으로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은 환자 58명, 69예를 대상으로 전향적인 연구를 하였다. 모든 수술은 변형된 대퇴사두근하 도달법을 사용하였으며 내측 연부조직 유리술을 시행한 다음 근위 경골 절제 후 원위 대퇴골 절제를 시행하였다. 근위 경골 절제 시 얇은 osteotome을 이용하여 후방십자인대의 손상을 보호하였다. 수술 시 경골과 대퇴골 절제 후 후방십자인대의 긴장도와 육안적 모양이 정상임을 확인한 후 balancer/tensor device (Stryker Howmedica Osteonics<SUP>ⓡ</SUP>, Allendale, NJ, USA)를 이용하여 후방십자인대 절제 전과 절제 후에 슬관절의 대퇴경골간 굴곡-신전 간격을 수동적으로 가능한 한 최대부하를 가한 상태에서 측정하였고, 술 전 및 술 후 측정한 슬관절 측면 방사선 사진상에서 관절선의 변화 및 후방 경골경사의 변화를 측정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후방십자인대 절제 후 굴곡 간격은 평균 3.6±1.5 ㎜ 증가하였고, 신전 간격은 2.0±1.0 ㎜ 가량 증가하여 후방십자인대의 절제로 인해 굴곡-신전 간격이 전체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신전 간격보다 굴곡 간격이 평균 1.6 ㎜ 정도 더 증가하였다. 결론: 슬관절 전치환술 시 후방십자인대의 절제는 굴곡 간격을 3.6 ㎜, 신전 간격을 2.0 ㎜ 가량 증가시키므로, 굴곡 간격이 1.6 ㎜ 더 증가하였으며 선택적인 후방십자인대 절제가 굴곡-신전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술기로 유용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 To assess the effects of a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esection on the tibiofemoral joint gap in total knee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The effect of a PCL resection on the tibiofemoral joint gap was analyzed prospectively in 58 patients (69 knees) who had undergone TKA between May 2003 and April 2006. The knee was exposed using a modified subvastus approach. The medial soft tissue was released and a tibial cutting was made first. The tibial insertion of a PCL was protected during the tibial resection by inserting a thin osteotome in front of the posterior spine. An extension and flexion gap were measured using a balancer/tensor device (Stryker Howmedica Osteonics<SUP>ⓡ</SUP>, Allendale, NJ, USA) under manual maximal stress before and after the PCL resection. The change of the joint line and the posterior inclination o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lateral roentgenograms was also assessed. Results : After the PCL resection, the flexion gap and extension gap increased by an average of 3.6±1.5 ㎜ and 2.0±1.0 ㎜, respectively. Although the PCL resection resulted in an increasing a flexion gap and extension gap, the increase in the flexion gap was larger than that of the extension gap by 1.6 mm. Conclusion : A PCL resection resulted in an increase in the flexion and extension gaps by 3.6 ㎜ and 2.0 ㎜, respectively. Therefore, a PCL resection would be a good alternative method for controlling the flexion-extension gap in TKA.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에서의 변형 대퇴사두근하 도달법과 슬개골 내측 도달법의 비교

        정영복(Young-Bok Jung),송광섭(Kwang-Sup Song),이은용(Eun-Yong Lee),이용석(Yong-Seuk Lee),박영욱(Young-Uk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3

        목적: 슬관절 전치환술에 있어서 변형 대퇴근하 도달법과 슬개골 내측 도달법의 차이를 수술 후 기능적인 측면에서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3월부터 12월까지 26명의 환자 40예에서 시행한 1년 이상 추시가능한 1차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전향적, 무작위적, 맹검적 방법으로 두군으로 나누어 21예의 변형 대퇴사두근하 도달법과 19예의 슬개골 내측 도달법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능동적 하지직거상 시기와 수술 후 10일, 6주, 3개월, 6개월, 1년에서의 능동적 슬관절 굴곡범위를 비교하였으며, 수술 후 1년 이후의 추시에서는 슬개골의 이동도와 경사각을 측정하였고, 통계적 검증은 t-test를 사용하였다. 결과: 수술 후 능동적 하지 직거상 시기는 변형 대퇴근하 도달법에서 평균 1일 이내로 슬개골 내측 도달법에서의 평균 2.2일보다 더 빨랐으며, 수술 후 슬관절 굴곡범위는 수술 후 10일까지는 변형 대퇴근하 도달법에서 더 컸으나 이후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수술 후 슬개골 이동도와 경사각은 두군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변형 대퇴근하 도달법은 기존의 슬개골 내측 도달법보다 수술 후 능동적 하지 직거상과 수술 후 10일까지 슬관절 굴곡범위에 있어서 더 나은 결과를 보여 수술 후 조기재활이 가능한 이점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저자들은 1차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변형 대퇴근하 도달법의 사용을 권고하는 바이다.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dified subvastus approach in total knee arthroplasty (TKA) and the medial parapatellar approach in terms of the postoperative function of the knees.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rch to December 2002, 40 primary TKAs from 26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a prospective, randomized, blinded trial. The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more than 1 year. The modified subvastus approach was used in 21 knees, and the medial parapatellar approach was used in the remaining 19 knees. The time of postoperatively active straight-leg raise (SLR), and the range of flexion of the operated knee were assessed at postoperative 10 days, 6 weeks, 3, 6, and 12 months. The degree of the patellar tilt and subluxation was investigated at postoperative 12 months. The data collected was analyzed using at-test. Results: The patients with the modified subvastus approach performed active straight-leg raise sooner (mean, 0.5 day) than the patients operated on using medial parapatellar approach (mean 2.2 days). Knee flexion was better at post-operative 10 days in the modified subvastus approach group than the medial parapatellar approach group.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after 6 weeks, 3 months, 6 months, and 12 months after surgery. The level of patellar tilt and subluxation was similar i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 modified subvastus approach provided the advantage of early postoperative rehabilitation in terms of an earlier active SLR and greater knee flexion at 10 days compared with the medial parapatellar approach. The use of the modified subvastus approach in primary TKA is recommended.

      • KCI등재후보

        슬관절 부분치환술

        정영복(Young Bok Jung),이용석(Yong Seuk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1

        슬관절 부분치환술은 1970년 초기에 소개된 이후 최근까지 그 치료 결과에 대하여 이론이 많았다. 환자에 대한 선택, 수술수기의 발달과 보철기구 설계의 개선으로 그 결과가 많이 향상되었다. 수술 후 10년 생존율에서 인공관절 전치환술보다 다소 떨어지는 것이 일반적인 보고이나, 최근 몇몇보고는 전치환술과 비슷한 결과를 보고하고 있으며 15년 이상 생존율에서는 전치환술보다 다소 떨어지나 많이 개선된 상태이다. 부분치환술이 절골술이나 전치환술에 비해 이점이 있으므로 한쪽 부분에 골성관절염 환자 특히 중년 부인에서 이점이 있는 좋은 수술방법으로 사료된다. 최근에 수술수기의 발달로 수술 후 회복이 빠르고 입원 기간의 단축 및 기능상 정상에 가까운 기능 회복 등으로 최근에 다시 각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수술 전에 술자는 다음과 같은 점을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 첫째, 퇴행성 관절염이 한쪽 관절부분에만 국한된 것인지 확인 해야 되며 이를 임상적, 방사선 사진 및 스트레스 방사선 검사 등으로만 할 것인지 아니면 다른 정밀 검사 즉 동위원소 검사, 관절경 검사 등을 할 것인지 고려해야 한다. 둘째, 한쪽 부분에만 퇴행성 관절염이 있을 경우에 수술의 금기사항은 아닌지 잘 검토 해야 된다. 셋째, 고정된 내반 및 외반 또는 굴곡 변형이 부분 치환술 후 교정이 가능한 것인지, 넷째, 변형을 과도하게 교정을 하면 정상측 관절면이 퇴행성 변화가 촉진되므로 어느 정도 교정하는 것이 좋을 것인지 또한 폴리에틸렌의 두께는 최소한 어느 정도 이상 되어야하는지 등을 잘 검토하여야 된다. Unicompartmental knee arthroplasty has been controversial since its introduction in the early 1970s. Refinements were made in patient selection, surgical technique, and prosthetic design. Ten-year follow up studies were reported that showed survivorship was slightly less than that reported for total knee arthroplasty but acceptable considering the theoretically conservative nature of unicompartmental surgery. Unicondylar knee arthroplasty can be an attractive alternative to osteotomy or total knee arthroplasty especially some middle-aged women. Approximately all studies with followups of 10 years or greater show that unicompartmental knee arthroplasty will have inferior survivorship to total knee arthroplasty whether from loosening, prosthetic wear, or secondary degeneration of the opposite compartment in the second decade. Recently there has been a resurgence of interest in doing unicompartmental knee arthroplasty, which was encouraged by easier recuperation, decreased hospital stays, and good functional results. Before doing a unicompartmental arthroplasty, the surgeon should answer four important questions: Is the disease truly unicompartmental? Can this be determined on a clinical examination and standard radiographs, or are more sophisticated studies such as a bone scan or an arthroscopy required? Second, if the patient does have unicompartmental disease are there any specific contraindications to the surgery? What are the limits of fixed deformity in varus or flexion that can be corrected by a unicompartmental replacement? Overcorrection of angular deformities has in the past led to increased wear of the opposite compartment. Therefore, how much should the knee be corrected? What is the minimal polyethylene thickness that is permissibl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이완된 전방십자인대의 긴장술과 두 가닥 슬괵건을 이용한 보강술

        정영복(Young-Bok Jung),송광섭(Kwang-Sup Song),이종석(Jong-Seok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5

        목적: 전방십자인대 손상으로 이완되어 있으나 연속성이 남아 있는 환자에서 긴장술 및 두 가닥 슬괵건을 이용한 보강술식을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년 이상 추시 가능한 5예가 대상이며 1예의 교통사고 손상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스포츠 손상이었다. 수술 전후로 Lachman 검사, 축 이동(Pivot shift) 검사와 KT-1000 관절 계측기, 스트레스 방사선 사진, IKDC 및 OAK 평가를 통한 임상적 평가를 시행하였고 3예에서 수술 전 자기공명 영상을 시행하였다. 후외측 회전 불안정이 동반된 3예는 비골두 터널 방법으로 후외측부 인대 재건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수술 전 양성이던 Lachman 검사, 축 이동 검사는 최종 추시상 음성이었고 IKDC 평가는 수술 전 각각 2예의 C, D가 A로 수술 전 1예의 C가 수술 후 B로 호전을 보였고 OAK 평가는 수술 전 평균 68.6 (57-90)에서 수술 후 평균 91.2 (79-98)였다. 수술 전 반대편 슬관절의 이완을 보인 1예를 제외한 KT-1000 관절 계측기 및 스트레스 방사선사진의 차이는 수술 전 평균 5.8 (5-6) mm 및 7 (5-8) mm였고 수술 후 평균 1.5 (1-3) mm 및 0.3 (0-1) mm였다. 결론: 소개된 술식은 이완되어 기능적이지 못하지만 연속성이 유지된 전방십자인대의 수술적 치료에 있어서 전방십자인대의 고유기능 유지 및 안정성 회복에 유용한 술식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introduce a new surgical technique for tensioning a lax ruptured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with good continuity and augmenting it using the double hamstring tendon. Materials and Methods: The clinical results were obtained from 5 cases that had been followed up for more than 1 year. Most were sports injuries but one case was the result of a traffic accident. The parameters used for examining the clinical results were the Lachman test, a pivot shift test, KT-1000 arthrometer, pull stress view, IKDC and OAK score before surgery and at the last follow-up. Three cases were checked preoperatively by MRI. Three cases who had an associated posterolateral rotatory instability underwent a reconstruction using a posterolateral corner sling through the fibular head. Results: The Lachman test and pivot shift test, which were positive preoperatively, were converted to negative in all patients at the last follow-up. Two cases were C grade and two cases were 0 grade. These patients were converted to A grade, but one C grade case was converted to 8 grade in the IKDC score. In the OAK score, the average score was 68.5 (57 to 90) before surgery, and 91.2 (79 to 98) after surgery. In the KT-1000 arthrometer and pull stress view, the mean side-to-side difference was 5.6 (5 to 6) mm and 7 (5 to 8) mm before surgery and 1.5 (1 to 3) mm, 0.3 (0 to 1) mm, after surgery, respectively, except for one case who showed laxity of the contralateral side. Conclusion: Tensioning of a lax ACL and hamstring tendon augmentation is an effective method for correcting a lax ACL to restore joint stability and preserve the remnant proprioception.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