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해주 발해시기의 유적 분포와 발해의 동북지역 영역문제

        정석배(JUNG Suk-bae) 고구려발해학회 2011 고구려발해연구 Vol.40 No.-

        발해의 동북지역 경계에 대해 한국과 중국의 학자들은 지금의 연해주의 북쪽을 따라 대략 서쪽의 쉐레메찌예보에서 동쪽의 사마르가 강 하구를 잇는 선으로, 러시아의 학자들은 서쪽의 레소자보드스크-뽀쥐가에서 동남쪽의 빠르띠잔스크 강 하구를 잇는 선 혹은 더 남쪽의 레소자보드스크-추구예브까-빠르띠잔스크 강 하구를 잇는 선으로 각각 파악하고 있어 서로 큰 차이를 보인다. 러시아 발해 전문가들은 이미 1900년대 초부터 발해의 영역에 대해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발해 영역에 대한 생각은 오늘날 큰 변화를 보이는데, 1968년에 E.V. 샤브꾸노프가 발해 동북지역의 경계가 아무르 강 하류를 따라 나있었다고 생각하였다면, 지금은 대부분의 러시아 발해 전문가들이 그 경계를 연해주의 남부지역으로 국한하고 있다. 발해 동북지역의 영역에 대한 이러한 생각의 변화는 A.L.이블리예프의 문헌자료에 대한 새로운 해석에 기인하는 바 크다. 하지만 이 의견에는 고고학 자료에 대한 판단도 적지 않게 반영되어 있다고 볼 수 있는데, A.L.이블리예프는 일관되게 현재 연해주에서 알려진 가장 북쪽의 발해유적은 마리야노브까 성이라고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필자는 연해주 지역의 발해시기의 유적들에 대해 그 분포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발해 동북지역의 영역 문제와 관련시켜 검토하여 보았다. 연해주 지역의 발해시기 유적은 모두 315개소로 집계되었다. 하지만 연해주 동북해안 지역의 유적들은 발해유적, 말갈유적, 혹은 발해시기 유적 등 그 문화적 해석에 학자들 간 이견을 보인다. 연해주 북쪽 지역의 볼샤야 우쑤르까 강과 비낀 강 유역의 발해시기 유적들은 말갈 유적 혹은 뽀끄로브까 문화의 유적으로 파악된다. 발해시기 유적의 분포와 러시아 발해학계의 여러 의견들을 종합하고, 또한 새로운 고고학 자료들을 참고한다면, 발해 동북지역의 영역은 그 경계가 한까 호 북단-마리야노브까-오끄라인까-올가를 잇는 선 혹은 비낀-오호뜨니치-꾸즈네쪼보를 잇는 선 이 둘 중의 하나일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첫 번째 안은 대부분의 러시아 발해 전문가들이 발해 유적이라고 인정하는 유적들과 오끄라인까 성과 올가 지역의 시니예 스깔르이 주거유적을 발해 유적으로 인정할 경우이며, 두 번째 안은 O.V.디야꼬바가 발해의 유적이라고 주장하는 연해주 동북해안지역의 유적들을 발해유적으로 인정할 경우이다. Korean and Chinese specialists consider that the boundary of the north-eastern part of Balhae is situated in the north of Primorye region, in general on the line from Sheremetyevo village in the west to the mouth of the Samarga river in the east, and Russian specialists believe that it’s situated on the line from Lesozavodsk-Pozhiga in the west to the mouth of the Partizanskaya river in the south-east or even more in the south on the line from Lesozavodsk-Chuguevka to the mouth of the Partizanskaya river. Russian experts on Balhae since the early 1900s took an interest on Balhae territories’ questions. However, the opinion on Balhae area changed in recent years. Thus, in 1968, E.V. Shavkunov believed that the boundary of the north-eastern part of Balhae passed along the Lower Amur River, at the present time the most part of Russian experts on Balhae consider it was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Primorye region. Such a change in opinion on the north-eastern part of Balhae is due first of all to a new study of written sources, made by A.L. Ivliev. But the opinion of the specialist apparently refers also to archaeological data, as he repeatedly asserts that among Balhae sites nowadays studied the most northern Balhae site in Primorye region is Mariyanovka fortress. The author of this article examined the distribution of Balhae period sites in Primorye region and therefore studied the territorial problem of the north-eastern part of Balhae. There are 315 sites of Balhae period in Primorye region. However, the Balhae period sites in the north-eastern Primorye are considered by different authors as Balhae, Malgal or just sites of Balhae time. Sites of Balhae time in Northern Primorye, namely in valleys of the Bol’shaya Ussurka and Bikin rivers are attributed to Malgal or Pokrovka culture. If we consider location of the sites of Balhae period, different views of Russian specialists and new archaeological data, there are two variants of the location of the boundary in the north-eastern part of Balhae: the northern edge of Lake Hanka- Mariyanovka-Okrainka-Olga, or Bikin-Ohotnich-Kuznetsovo. The first variant takes place if we take the opinion of the majority of Russian experts on Balhae sites, and recognize the fortress Okrainka and Sinie Skaly site as Balhae ones. The second version is possible if we recognize sites in the North East of Primorye region, which O.V. Diyakova relates to Balhae as really Balhae ones.

      • KCI등재

        발해의 북방경계에 대한 일고찰

        정석배(JUNG Suk-bae) 고구려발해학회 2016 고구려발해연구 Vol.54 No.-

        한국과 중국의 연구자들은 발해의 북방경계가 아무르 강까지 이른 것으로 판단하지만 오늘날 러시아의 대부분 연구자들은 그 경계가 한까호 일대와 연해주의 남부지역에 국한된다고 생각한다. 이와 같은 의견의 차이는 기본적으로 문헌자료에 대한 해석의 차이에서 기인하지만, 러시아 학계에서는 ‘발해유적’의 분포현황도 발해의 북방경계를 연해주 남부지역으로 국한하는 주요 근거 중의 하나가 되고 있다. 문헌자료에는 발해 영역의 크기가 방2천리와 방5천리였고 그리고 발해가 모든 말갈제부를 복속하였다고 분명하게 기록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발해의 북방경계 문제를 문헌자료와 고고학 자료를 통해 몇 가지 측면에서 검토해 보았다. 먼저 구국 시기의 방2천리와 발해 전성기의 방5천리는 영주에서 동모산(돈화 성산자산성)까지 그리고 현주(서고성)에서 발해왕성(상경성)까지의 직선거리를 통해 방 2천리는 최소 방514㎞, 최대 방660㎞, 평균 방587㎞, 방5천리는 최소 방1,285㎞, 최대 방1,650㎞, 평균 방1,467㎞이었음을 산출하였다. 다음에는 말갈제부의 상대적 위치에 대한 문헌자료의 내용과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들 및 발해에 복속된 말갈제부들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발해는 말갈7부 이외에도 사모, 군리, 굴열, 막예계, 우루 등 북방의 모든 말갈들도 복속시켰다. 흑수말갈도 일정 기간은 복속시켰는데 흑수말갈의 서쪽과 북쪽 그리고 북동쪽에 위치하는 사모, 군리, 굴열이 발해에 복속되었다는 사실은 그 사이에 위치한 흑수 역시 발해에 복속되었음을 반증한다고 하겠다. 고고학 자료를 통한 검토에서는 먼저 ‘본원적인’ 발해유적의 분포현황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요녕성에서 시작하여 길림성, 흑룡강성을 지나 연해주 동해 연안까지의 본원적인 발해유적의 서방 및 북방 한계선은 석대자산성 주변 고분군-농안고성-백도고성-석두인유적 혹은 발리하삼도교유적-고성촌고성-십이련산성-안흥고성-끄라스나야 소쁘까 2 유적-마리야노브까 성-시니예 스깔르이 유적을 잇는 선임을 알 수 있었다. 발해의 북방경계 문제와 관련하여 해결해야할 중요 과제 중의 하나는 뽀끄로브까 문화를 어떻게 볼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아무르 여진 문화’로 불리기도 하는 이 문화는 서기 7~13세기로 편년되고 있지만 실제 서기 10세기를 과도기로 하여 그 전과 후가 문화적으로 큰 차이를 보인다. 서기 10세기까지의 뽀끄로브까 문화 유적은 ‘발해말갈’의 유적으로 간주되고 있어 사실은 발해의 유적임을 알 수 있다. 다음에는 말갈유적의 분포현황과 흑수말갈의 이주 문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오늘날 말갈유적은 길림성과 흑룡강성 그리고 연해주지역뿐만 아니라 아무르 강 중하류지역에서 확인되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멀리 아무르 강 하류의 수추섬에서 그리고 서쪽으로는 멀리 쉴까 강 유역에서까지도 확인되고 있다. 동아무르 일대의 나이펠드-동인 문화 유적들은 흑수말갈이 남긴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런데 이 나이펠드-동인문화는 서기 4~7세기까지는 동아무르 지역에 분포하였지만, 서기 8세기 이후에는 동아무르지역에서 사라지고 대신 소흥안령 서쪽의 서아무르지역에서 발전하게 된다. 이 사실은 흑수말갈이 발해의 북진정책으로 인해 동아무르 지역에서 서아무르지역으로 이주하였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나이펠드-동인 문화 이후 동아무르지역에서는 발해의 일부였던 뽀끄로브까 문화가 발전하게 된다. 따라서 발해의 북방경계는 서북쪽으로 소흥안령을 지나고, 북쪽으로 나이펠드-동인문화 유적들의 분포범위와 서기 10세 초까지의 뽀끄로브까 문화 유적 분포 범위를 포괄하며, 동북쪽으로는 발해시기 말갈유적이 분포하는 연해주 북부의 사마르가 강 하구까지를 잇는 선임을 알 수 있다. 흥미로운 사실은 발해의 방2천리는 본원적인 발해유적 및 말갈유적의 전체 분포범위의 크기와 각각 대체로 일치한다는 점이다.

      • KCI등재

        발해 상경성의 도시계획

        정석배(JUNG Suk-bae) 고구려발해학회 2013 고구려발해연구 Vol.45 No.-

        발해 상경성은 발해의 세 번째와 다섯 번째의 도성이었고, 약 162년 동안 발해문화의 중심지였다. 하지만 상경도성이 언제 계획, 시축, 완공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분명하지 못하다. 그 기원문제와 관련해서는 혹은 당 장안성과의 혹은 고구려 안학궁성과의 유사성을 강조하는 의견들이 있어왔다. 이 글에서는 상경도성의 구조와 축조 기간문제에 대한 검토, 주변국 도성과 당 지방성 및 고구려 안학궁성과의 비교를 통해 상경도성이 계획도시였음을, 도성의 핵심지역인 궁성은 고구려 안학궁의 예를, 도성의 전체적인 평면구조는 당 장안성의 예를 각각 따르고 있음을 밝혔다. 전자는 발해가 고구려의 계승자임을 과시하는 것이고, 후자는 발해가 황제의 나라임을 천하에 드러내고자 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된다. 그 외에도 상경도성에 보이는 백제의 건축요소들과 발해 고유의 문화요소들도 지적하였다. 발해 상경도성이 황제도성인 근거는 4가지로 집약된다. 첫째, 발해 상경성과 매우 흡사한 평면구조를 가지는 수당 장안성과 일본의 헤이죠쿄는 모두 황제 혹은 천황의 도성이었다. 황제도성 이외에는 그와 같은 구조의 도성을 그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다. 둘째, 엄격한 등급제도에 따라 축조된 당의 지방성들 중에는 수당 장안성 혹은 발해 상경성과 동일한 구조를 가진 성이 없다. 당의 지방 실력자들 중 그 누구도 감히 황제의 도성을 모방하지 못하였던 것이다. 이는 발해 상경성이 당의 지방성이 아니라 황제의 도성이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셋째, 발해 상경도성에는 소위 수당 장안성의 ‘등급’ 혹은 ‘예제’를 벗어나는 시설들이 적지 않다. 예를 들어, 궁성 북문의 문길의 수, 외성 정문과 궁성 정문의 동서 길이, 황성 중구의 너비 등이 모두 발해 상경성이 당 장안성에 비해 높은 등급을 보인다. 그 외에도 상경성 궁성 제2궁전은 칸 수와 기단의 정면 동서 길이에서 수당 장안성의 그 어떤 궁전건물보다도 장대하다. 수당 장안성보다 더 웅대한 건축물들은 황제도성이 아니면 있을 수 없는 것이다. 넷째, 문헌 혹은 명문자료에 보이는 발해 고유의 연호, 황상, 황후, 천손 등과 같은 황제와 관련된 용어이다. Upper Capital (Sang-gyeong castle) of Balhae was the third and fifth capital city of Balhae and a center of Balhae culture. However, it is not clear yet when Upper capital city (Sanggyeong capital city) was planned and when its construction began and was completed. There were opinions on its origin, emphasizing its similarity to the Chang’an City of Tang dynasty or Anhakkung Palace of Koguryo. In this article we studied the structure of Upper capital city and period of its construction and carried out a comparative analysis with capital cities of surrounding countries and provincial towns of Tang China and Anhakkung Palace of Koguryo. Because of this, we concluded that Sang-gyeong capital city was a prearranged city, its Palace of nuclear area of the capital city followed Anhakkung Palace of Koguryo, its floor plan followed Chang’an City of Tang dynasty. The first fact evidences that Balhae demonstrates inheritance of Koguryo, the second one that Balhae makes itself known as an imperial state. In addition, in the article we marked architectural elements of Baekje and cultural elemesn tusual in Balhae. There are four facts proving that Sang-gyeong capital city ofa lBhae is Imperial capital City. First, Chang’an City of Sui and Tang dynasty and Heijokyo capital city of Japan, that had similar layout to Sang-gyeong capital city of Balhae, are imperial cities. Except imperial cities, anywhere there is no such layout. Second, among provincial towns of Tang China, which were built according to strict rules of rank, there is no layout like Chang’an City of Sui and Tang dynasty and Sang-gyeong capital city of Balhae’s ones. None of the local forces could not have copied the capital city of the emperor. This fact confirms that Sang-gyeong capital city of Balhae was not the provincial town of Tang China, and vice versa was an imperiaitl yc. Third, in Sang-gyeong capital city of Balhae there are many buildings that were built in violation of so-called grade or system of etiquette of Chang’an City of Sui and Tang dynasty. For example, the number of passages at the north gate of the palace city (North Gate of Palace), the length of the central gate of the outer city and of the palace city from east to west, and the width of the central sector of imperial city has higher rank than the Chang’ an City of Sui and Tang dynasty. In addition, Second Hall of Palace of Sang-gyeong capital city by number of kans and the length of the basement from east to west from the front is superior to any palace building of Chang’an City of Sui and Tang dynasty. Buildings that are bigger than in Chang’an City of Sui and Tang dynasty, could not be anywhere but in imperial city. Fourth, in written sources and inscriptions of Balhae there are the terms associated with emperor, as “year of the reign”, Hwangsang (Majesty), Hwanghu (Empress), Cheonson (grandson of the sky), etc.

      • KCI등재후보

        체르냐찌노 5 발해고분군의 고분유형과 출토유물

        정석배(Jung Suk-Bae),Yu. G. 니끼친(Yu. G. Nikitin),이남석(토론자) 고구려발해학회 2007 고구려발해연구 Vol.26 No.-

        Chernyatino-5 burial ground is located on the bank of Razdolnaya (Suiphun) river near Chernyatino village in Oktyabrskii region (Primorskii territory). It was found out in 1997, and from 1998 to 2002 by Yu.G. Nikitin there were studied 41 graves of Malgal and Palhae origin. In 2003 the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and the Far Eastern State Technical University began the Korean-Russian joint archaeological excavations, and till there were excavated another 116 graves of Malgal and Palhae origin, and two Malgal dwelling houses. In Chemyatino-5 burial ground purely soil graves, stone crypts, graves with the stone facing over the circuit, graves with the stone facing on their bottom and graves "without base construction" were investigated. The soil graves are divided into common soil, having the stone facing over the circuit and having the stone facing on there bottom ones; stone crypts are divided into having entrance and without it. There are rectangular and elongate rectangular graves with the stone facing on their bottom. Among the graves with the stone facing over the circuit, having continuous facing, facing in the comers and facing in the comers and in the middle of the sides are met. There are many wooden frames and coffins in the graves. Long axis of them is mainly oriented to NW-SE. Cremation and burial are found. In case of burial the body could be straight or its legs were bent. In the graves with cremation there are cremation directly in the grave and the secondary one. In the soil graves usually there is only one body, but in the stone crypts, the graves with the stone facing over the circuit and the graves with the stone facing on the bottom there are as a rule two or more bodies. The head of the great part of the graves is oriented to NW, but in a twin burial one body could be oriented to NW and other to SE. Among the artifacts there are ceramics, a fragment of a big fighting iron knife, iron sword, arrow-heads, dart-heads, spear-heads, armor plates, "little daggers", knives, nails, buckles, elongated cone-shaped things, bronze plaques, jingles, bells, ear-rings, rings, horseman figures, silver ear-rings, rings, jade discs, cornelian beads, glass beads, whetstone, stone club-shaped things, clay rings and others there were found. Ceramics are divided to 4 kinds: jars, vase-shaped vessels, amphora-shaped (bottle-shaped) vessels and pots. Jars and vase-shaped vessels are usually considered to have the Malgal origin. They are usually modelled, with a touch of sand or gruss in the clay paste. They are crude and their surface is yellow and brown or brown. TIley are made in oxidizing flame. Amphora-shaped vessels' are made on potter's wheel, and their paste even if it sometimes includes fine sand is usually washed clay. Their color is grey or dark-grey, they are made in carbonizing flame and so considered Koguryo vessels. Pots usually made or completed on the wheel, made with clay sand with fine mica or loam. In the latter case they have dark-grey surface and also considered Koguryo vessels. Such artifacts as the iron sword, spear-heads, armor plates, "little daggers", bronze plaques, horseman figures, silver ear-rings, jade discs, cornelian beads and others are common in Palhae or Palhae age sites: in Troitskij burial ground, in Sinie Skaly Site, in Liudingshan Palhae burial ground, Dunhwa, in Sangjing Longtianfu Site, in Xishigang Bohaizhen burial ground, in Yangtun Dahaimeng site and others. The date of Chernyatino-5 burial ground by correlation of constructions (dwelling house and graves), layers, founds, comparison with founds from other monuments, absolute date materials is determined from the late Malgal to the middle Palhae age. The Northern part of the ground, where are concentrated the soil graves, is dated the late Malgal-middle Palhae, and the Southern part, where the stone crypts, the graves with the stone facing over the circuit and the graves with the stone facing

      • KCI등재후보

        한ㆍ러 공동 발해유적 발굴조사의 성과와 과제

        정석배(JUNG Suk-bae) 고구려발해학회 2008 고구려발해연구 Vol.32 No.-

        대한민국은 1993년부터 2007년까지 러시아의 연해주 지역 및 아무르 강 유역에서 러시아와 공동으로 신석기시대부터 여진시기에 걸친 16개의 유적을 발굴 조사하였다. 한ㆍ러 공동 발굴조사는 2007년까지 모두 27회 31건이 실시되었으며, 그 중 16건이 발해유적 조사였다. 공동조사를 실시한 발해유적의 수는 끄라스끼노 성터, 체르냐찌노 5 고분군, 체르냐찌노 2 주거유적, 마리야노브까 성터, 꼬르싸꼬브까 절터 등 5개소에 제한되었지만, 끄라스끼노 성터와 체르냐찌노 5 고분군과 같은 연해주의 대표적인 발해유적에 대해서는 수차에 걸쳐 집중적인 발굴조사가 이루어졌다. 발해는 한반도 북부지역, 중국의 만주지역, 그리고 러시아의 연해주-아무르 지역에 걸쳐 존재하였고, 중국과 북한 지역은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발해유적에 대한 우리의 직접적인 발굴조사가 불가능하다. 때문에 공동조사가 가능한 러시아의 연해주-아무르 지역에 대한 우리의 관심은 매우 남다르다고 할 수 있다. 중국의 발해 유적은 우리가 답사하기도 힘들고, 발굴 자료 또한 구하기도 힘들며, 설령 구한다하더라도 지극히 소략하여 그 전모를 파악하기가 매우 어렵다. 때문에 연해주의 발해유적발굴 자료는 우리에게 발해의 역사와 문화를 연구하는데 뿐만 아니라, 발해의 강역문제를 해결하고, 발해와 고구려의 계승관계를 증명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연해주의 발해유적에서 확인된 석실묘, 쪽구들, 회색의 니질계 토기, 철제 무기, 기와 등등 수많은 자료들이 발해의 고구려 계승을 증명하고 있다. 오늘날 한ㆍ러 공동 발굴조사, 특히 발해유적에 대한 발굴조사는 그 자체가 역사적 의미를 띤다고 말할 수 있다. 세계적 경제위기와 급변하는 동북아의 정치적 상황은 한ㆍ러 공동발굴조사의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공동조사의 가능성이 남아있는 지금 연해주의 발해유적에 대한 발굴조사에 보다 큰 관심을 가져야할 것이다. Republic of Korea in 1993-2007 carried out with Russia joint excavations of 16 sites from Neolith to Yeojin(ZhurZhen) period in Primorie and Amur region of Russia. Korean and Russian joint archaeological excavations up to 2007 were realized 31 times in 27 expeditions, 16 among them were on Balhae sites. There were five Balhae sites where the joint researches were carried out: Kraskino fortress, Chernyatino 5 burial ground, Chernyatino 2 settlement, Mariyanovka fortress, Korsakovka Buddhist temple. Some representative sites were excavated more than one year. The territory of Balhae there was in the No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in Manchuria of China and in Primorie and Amur region of Russia. In China and North Korea we can t make direct excavations on Balhae sites because of different reasons, and so the territory of Primorie and Amur region where the joint excavations are possible, naturally attracts our special attention. We can hardly view Balhae sites in China and besides it s difficult to get materials of excavations. Moreover, if we obtain them, their content is very brief, and it s difficult to form a general picture. Therefore results of excavations on Balhae sites in Primorie are very important not only for studying of Balhae history and culture, but also to resolve a question about Balhae territory and to prove a succession of Balhae from Koguryo. Stone crypts, ondols, grey good floated clayed ceramic, iron arm, tiles and many other finds on Balhae sites in Primorie testify to inheritance of Koguryo by Balhae people. Now the joint Korean and Russian archaeological researches and especially excavations on Balhae sites themselves are of historical importance. The world economy crisis and quickly changing political situation in North East Asia threaten prospects of Korean and Russian joint expeditions. At the present moment, when there is a possibility of joint researches, we have to pay more attention to excavations of Balhae sites in Primorie.

      • KCI등재

        발해의 육로구간 일본도 연구

        정석배(JUNG, Suk-bae) 고구려발해학회 2021 고구려발해연구 Vol.69 No.-

        발해 일본도는 발해의 도성에서 동해안 연안까지의 육로구간과 동해를 건너는 해로구간으로 나뉘어 연구되고 있다. 이 글의 목적은 발해 일본도 육로구간의 구체적인 교통로를 파악하는 것이다. 발해는 구국에서 현주, 상경, 동경, 상경으로 차례로 천도를 하였기 때문에 육로구간 출발지가 도성의 위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발해 사절단이 파견된 제1차 727년은 구국시기에, 제2차 739년은 구국 혹은 현주시기에, 제3차 752년은 현주시기에, 제4차(758년)부터 제11차(779년)까지의 8회는 1차 상경시기에, 제12차 786년은 동경시기에, 제13차(795년)부터 제34차(919년)까지의 22회는 2차 상경시기에 각각 해당한다. 다시 말해서 발해 일본도의 출발지는 구국, 현주, 상경, 동경 4개소였다. 구국의 중심지에 대해서는 오랫동안 길림성 돈화지역으로 인식이 되어 왔었고, 구국도성과 관련된 유적으로 오동성, 성산자산성, 영승유적이 지목되어왔다. 하지만 오동성과 영승유적은 2002~2003년도의 발굴조사 결과 발해의 유적이 아니라 금대유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성산자산성도 구국의 동모산으로 보기에는 성 내부의 주거지역이 지나치게 협소하다는 의견이 제시된 바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구국이 화룡의 서고성에 있었다는 의견, 돈화 북동쪽의 통구령산성과 석호고성에 있었다는 의견, 연길 동쪽의 마반촌산성(성자산성)에 있었다는 의견 등이 새로이 제시되었다. 하지만 진릉의 서원에 배장되었다는 문왕의 둘째 딸 정혜공주의 무덤이 육정산고분군에서 발굴되었기 때문에 아직은 구국의 중심지가 돈화지역에 있었다는 설이 더 타당해 보인다. 이미 밝혀진 바와 같이 중경 현주 시기 도성은 화룡 서고성, 상경성은 발해진 상경용천부유적, 동경 시기 도성은 훈춘 팔련성에 각각 있었다. 발해 일본도 육로구간의 종착지이자 해로구간의 출발지는 러시아 연해주 하산지구에 위치하는 크라스키노성임이 역사학적 및 고고학적 연구 성과에 의해 입증이 된 상태이다. 따라서 발해 일본도 육로구간의 구체적인 교통노선은 구국시기에는 돈화와 크라스키노성, 중경 현주시기에는 서고성과 크라스키노성, 1차와 2차 상경시기에는 상경성과 크라스키노성, 동경시기에는 팔련성과 크라스키노성 사이의 교통로에서 찾아야 한다. 발해 일본도 육로구간 각 출발지에서부터의 구체적인 교통 노선들에 대해서는 학계에 제기되어 있는 기존의 의견들, 새로이 발견 혹은 발굴된 발해유적들, 인공위성과 관련된 지리ㆍ지형 정보들 등을 면밀하게 검토한 다음에 새로운 의견을 제시할 수가 있었다. 발해 일본도 육로구간의 교통 노선은 국가를 대표하는 사절단이 가장 편리하면서도 안전하게 그리고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곳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그 결과 구국시기 돈화지역과 크라스키노성 사이의 교통 노선은 “돈화 →대석두진 →부르하통하 상류 →석문 →중평 →토성둔고성 →태양고성 →장안 →부르하통하 최 하류 →송림 →알하하 최 하류 →도문 →온성 →솔만자 →영안 →온특혁부성 →석두하자고성 →장령자 →크라스키노성”으로, 중경 현주시기 서고성과 크라스키노성 사이의 교통 노선은 “서고성 →용정 →연길 →연집 →장안 →도문 →온성 →솔만자 →영안 →온특혁부성 →석두하자고성 →장령자 →크라스키노성”으로, 1차 상경과 2차 상경시기 상경성과 크라스키노성 사이의 교통노선은 “상경성→ (목단강과 경박호) →경박향 →저가고성 →오봉고성 →홍운건축지 →행복건축지 →석성고성 →(알하하 중상류) →낙타촌·중대천·천교령건축지 →왕청 하북고성 →용천평고성 →송림 →도문 →온성 →솔만자 →영안 →팔련성 →석두하자고성 →장령자 →크라스키노성”으로 각각 새롭게 설정되었다. 동경시기의 교통로는 상경 시기 팔련성과 크라스키노성 사이 구간과 일치한다.

      • KCI등재

        연해주지역 발해 평기와 일고찰

        정석배(JUNG Suk-bae),정동귀(JUNG Dong-gwi) 고구려발해학회 2014 고구려발해연구 Vol.50 No.-

        한국에서의 발해 기와 연구는 와당에 집중되어 왔고 1차 자료에 대한 접근의 한계로 인해 평기와에 대한 연구는 아직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최근 필자들은 블라디보스톡에 소재하는 러시아연방대학교 박물관 및 아르세니예프 역사박물관에서 꼬쁘이또 절터와 아브리꼬스 절터에서 출토된 발해 평기와들을 실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꼬쁘이또 절터 출토 71점과 아브리꼬스 절터 출토 22점의 평기와에 대한 형태분석과 국내에 기 보고된 꼬르사꼬브까 절터, 보리소브까 절터, 끄라스끼노 성 절터 등 다른 발해 절터들에서 출토된 평기와들을 참고하여 연해주지역 발해평기와의 특징을 도출해 보았다. 평기와에 대한 형태분석은 먼저 평기와들을 암키와, 수키와, 특수기와로 나누고, 이를 외면문양, 와통, 소지, 눈테, 측면분할, 포 고정흔, 포 연결흔, 상?하단부 조정, 내면조정, 하단부 장식 등 평기와 관찰에 필요한 중요 속성들을 통해 검토해 보았다. 그 결과 연해주지역 발해 평기와들에서는 다음의 특징들이 확인되었다. 첫째, 대부분 유적에서 하단면 장식이 확인된다. 유적에 따라 지두문, 대롱문, 구멍문, 화문 등이 몇몇이 함께 보이기도 하고 혹은 하나만 보이기도 한다. 지두문은 발해 이전시기에는 하단부 외면에 주로 시문되었으나 발해시기에는 하단부 외면은 물론이고 내면 혹은 내?외면에 함께 시문되기도 하였고 그 비율도 이전 시기에 비해 훨씬 높다. 특히 대롱문과 구멍문 그리고 화문은 발해기와만의 독특한 특징임이 확인되었다. 둘째, 암키와의 내면에 형성된 모골의 굴곡을 인위적으로 지운 내면조정이 많이 관찰되는데 이러한 내면 조정은 다른 시기 다른 지역의 기와들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셋째, 암키와는 기본적으로 모골와통을 사용하였다. 모골의 너비는 2~3㎝ 정도이며 모골들을 서로 연결한 흔적이 확인되지 않는데 이는 고구려 암키와의 경우와 동일한 특징이다. 넷째, 눈테는 꽤 드물게 관찰되며 젓가락형과 끈관통식이 확인되었다. 돌기형 눈테는 전혀 보이지 않았다. 다섯째, 암키와와 수키와 모두 외면을 무문화하였다. 끄라스끼노 성 절터와 보리소브까 절터에서는 승문 암키와가 수 점 보였으나, 대부분의 경우 외면을 승문타날한 후 물손질을 통해 무문화하였다. 다만 꼬쁘이또 절터에서는 예외적으로 외면에 격자타날흔이 남아있는 암키와가 1점 확인되어 격자타날도 드물지만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여섯째, 소지는 확인된 경우는 모두 점토띠를 사용하였다. 암키와와 수키와 모두에서 기본적으로 점토띠를 수평으로 쌓은 윤적법이 관찰되며, 아브리꼬스 절터의 경우에는 점토띠를 기울게 쌓은 권상법도 사용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일곱째, 암키와 하단 위 4~7㎝ 정도의 지점에 횡 방향의 포 고정흔이 분명하게 관찰되는 점이다. 이포 고정흔은 와통에 위에서부터 포를 씌운 다음에 아래 부분을 천 노끈으로 묶어 고정한 흔적으로서 천을 상하로 연결하였다는 개념에서의 윤철흔과는 다른 것이다. 여덟째, 다양한 형태의 수키와가 제작되었다. 고랑미구기와와 고랑토수기와가 다수를 차지하며, 일반토수기와와 일반미구기와도 드물지만 확인된다. 꼬리 부분에 고랑이 있는 수키와들은 발해만의 특징적인 기와로 생각된다. 아홉째, 일반적인 암키와와 수키와 외에 곱새기와, 착고기와, 적새기와, 모서리기와, 얇은기와, 다공기와 등 다양한 종류의 특수기와가 확인된다. 고구려 유적에서도 이러한 특수기와들이 출토되어 이 기와들은 고구려의 전통을 따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아무르ㆍ연해주 지역의 말갈 - 연구현황과 과제

        정석배(JUNG Suk-bae) 고구려발해학회 2009 고구려발해연구 Vol.35 No.-

        이 글은 아무르와 연해주 지역에서‘말갈’이 고고학적으로 어떻게 연구되고 이해되고 있는지를, 그리고 그 문제점과 앞으로의 연구과제는 무엇인지를 검토해 본 것이다. 아무르 지역의 말갈 유적에 대한 인식은 A.P.오끌라드니꼬프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이후 E.I.데레뱐꼬는 아무르라는 광대한 지역의 모든 중세 이른 시기 유적들을‘말갈’이라는 틀 속에서 이해하였고, 이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소개하였다. 이를 토대로 하여 O.V.디야꼬바는 아무르 지역과 연해주 지역의 중세 이른 시기 유적들을 나이펠드 그룹, 뜨로이쯔끼 그룹, 블라고슬로벤노예 그룹, 미하일로브까 그룹, 그리고 글라드꼽스끼 그룹이라는 5개의 말갈 그룹으로 구분하였고, 호형과 화병형의 토기를 전형적인 말갈 토기로 파악하였다. 이후 S.P.네스쩨로프는 중세 이른 시기의 아무르 지역을 소흥안령을 기준으로 하여 서쪽의 西아무르 지역과 동쪽의 東아무르 지역으로 구분한 다음에 서아무르 지역에서는 몽골어족인 북실위의 미하일로브까 문화가, 동아무르 지역에서는 퉁구스어족인 흑수말갈의 블라고슬로벤노예-나이펠드 그룹이 각각 발전하였다고, 또한 서기 8세기 경 발해국의 형성 및 이웃 지역에 대한 발해의 정복정책과 관련하여 흑수말갈-나이펠드 그룹 주민들이 서아무르 지역으로 이주를 하게 되고, 그 뒤를 이어 다시 발해 말갈인들이서아무르 지역으로 이동하여 뜨로이쯔끼 그룹 유적들을 남겼다고 생각하였다. O.V.디야꼬바는 아무르 지역의‘말갈’유적들을 5개의 그룹으로 구분하면서, 연해주의 말갈 유적들은 자신이 아무르 지역에서 구분한 뜨로이쯔끼 그룹과 나이펠드 그룹에 해당된다고 생각하였다. 하지만 이후 Ya.E.삐스까레바는 연해주에서 말갈 토기가 발견된 유적들을 말갈 유적들, 발해 시기의 유적들, 10∼11세기의 말갈 유적들이라는 3개의 범주로 구분하였고, 또한 말갈 유적들은 한까 그룹, 해안 그룹, 까발레로보 그룹, 라꼬브까 그룹이라는 4개의 그룹과 별도의 아우로브까 성으로, 발해시기와 10∼11세기의 유적들도 각각 수 개의 그룹 및 별개의 유적들도 세분하였으며, 각 그룹들의 토기가 아무르지역의 뜨로이쯔끼 그룹 및 나이펠드 그룹 토기와는 서로 차이가 남을 논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Ya.E. 삐스까레바는 발해 유적 말갈 토기에는 3개의 전통이 분명하게 확인되고, 일정한 전통의 토기를 생산한 주민들이 다른 주민들에 의해 대체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O.V.디야고바와 S.P.네스쩨로프 그리고 Ya.E.삐스까레바의 말갈 그룹 구분과 민족 문화적 해석은 향후 말갈의 중요 부족들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고, 각 부족들의 물질문화를 보다 구체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하지만 연해주 지역의 경우에는 발해 이전의 말갈, 발해 시기의 말갈, 발해 이후의 말갈 유적 유물에 대해 분명하게 구분할 수 있는 뚜렷한 준거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를 구분할 수 있는 준거 확보는 말갈 고고학에서 가장 시급한 과제중의 하나이다. In the article we examine how Malgal on the territory of Primoriye and Priamuriye is archaeologically studied and considered and what problem and objects arise from it. Research of Malgal sites on the territory of Primoriye and Priamuriye was begun by A.P. Okladnikov. E.I.Derevyanko later systematically analysed and presented all the Medieval sites on the vast territory of Primoriye and Priamuriye as Malgal ones. On the base of those studies O.V. Dyakova divided Medieval sites in Primoriye and Priamuriye in 5 Malgal groups, such as Naifeld, Troitskoe, Blagoslovennoe, Michailovka and Gladkovskij. The researcher considered vase and pots as typical Malgal ceramics. S.P. Nesterov considered the territory of Priamuriye in Early Middle Ages divided in western and eastern parts by Maly Hingan mountain ridge and thought that in Western Priamuriye the Michailovka culture of Mongol-language tribes Northern Shiwei was developed, and in Eastern Priamuriye there was Blagoslovennoe-Naifeld group of Tungus-language tribes Heishui Malgal. Besides, by 8th century as a result of constitution of Palhae and its aggressive politics the Naifeld culture people migrated in Western Priamuriye, and after Palhae-Malgal people moved also and leaved there sites of Troitskoe group. When O.V. Dyakova divided Malgal sites in Priamuriye in 5 groups, she attributed Malgal sites in Primoriye to Troitskoe and Naifeld group of Priamuriye. But later Ya.E. Piskareva divided Primoriye sites where Malgal vessels were found in 3 categories, namely Malgal, Palhae age, and 10-11th centuries. Further she sorted Malgal sites into 4 groups, such as Hanka, littoral, Kavalerovo and Rakovka and 1 settlement (Aurovskoe). Sites of Palhae age and 10-11th centuries she also divided in some groups and single sites. She wants to make clear that vessels in every group differ from vessels of Troitskoe and Naifeld group of Priamuriye and think that in Malgal ceramics from Palhae sites there are 3 well-defined traditions, which superseded one another. The researches of O.V.Dyakova, S.P. Nesterov and Ya.E. Piskareva, division of the sites of Malgal group and ethno cultural interpretation give a chance to determine location of the main Malgal tribes more precisely and study a material culture of every Malgal tribe more particularly. But for Primoriye criteria of discerning of Malgal artifacts and sites before Palhae, Palhae and after Palhae still don’t worked up. It’s evidently one of the actual objects in Malgal archaeology.

      • KCI등재

        발해의 성벽 축조방법에 대해

        정석배(Jung Suk Bae) 한국고대학회 2017 先史와 古代 Vol.- No.54

        Among the Balhae(Bohai) fortresses in Northeast China and in Primorye-Priamurye, there are fortresses built during the Goguryeo period and built during the Balhae period and then repaired or re-built in the Liao-Jin period. In this regard, there were not a few cases when the fortresses, which have clear ex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Liao-Jin period, were represented as Balhae ones. Because of this, mistakes in systematization of the Balhae fortresses and in locating the centers of the administrative regions, districts and counties of Balhae are inevitable. Taking this into consideration, in this paper we were studying the methods of building fortress walls of Balhae, on the basis of excavated Balhae fortress walls, because the author of the article considers that the basis for studying the Balhae fortresses is the identification of features of fortresses which were exactly built in Balhae period. For the present, there are known 18 Balhae fortresses which fortress walls excavations’ results have been published. In addition, 5 more Balhae fortresses were taken into account, where the profile of fortress walls was met during the field studies. The Balhae fortresses, whose profile of walls have been studied,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time of construction: built before Balhae then re-built in Balhae and after Balhae no used more(Sinelnikovo 1), built during Balhae and used only during Balhae(Upper capital, Xigucheng, Baliancheng, Xingnonggucheng, Nikolaevka 1, Nikolaevka 2, Starorechenskoe, Kraskino), built during Balhae and used mainly before the Jin period(Koksharovka 1, Okrainka, Smolnoye), built during Balhae and used up to the Jin period(Sumicheng, Marianovka, Novogordeevka, Izvestkovaya Sopka), and built by Malgal tribes during Balhae (fortresses of the northeast coast of Primorye Jeegitovka, Krasnoe Ozero). The fortress walls built or re-built during Balhae according to their materials and structure are divided under: entirely earth, earth with stone facing, earth with stones, entirely stone, stone with earth filling inside, stone with earth under, wooden paling.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Balhae fortress walls was studied, and we distinguished in it the prepared base, the fundamental part, the central-internal part and the side-protection walls. Fortress walls of the Liao-Jin period built mostly of earth. The ramming in the panchuk technique is typical for the Liao-Jin period, most of all built of the earth of different colors and different composition as the layered siruttok walls. But the Balhae walls in most cases are built of the earth of almost the similar or small different color and composition, the thickness of the layers is not even, and the layers do not continue to the edges of the bank, but are replaced by other layers in the middle. However, during Dongxia state of Jin period we can see walls of earth with stone facing, stone walls and walls of ramming in the panchuk technique, where the layers do not continue to the edges of the bank very rarely, but their general character differs from the Balhae ones. In addition, although in this paper we do not touch on this, planimetric characteristics and details of the Balhae fortress walls also differ from the Liao-Jin ones. Consequently, up to now the fortresses of Liao-Jing have been studied as Balhae ones, so in the future a cautious study is needed. 중국 동북지역과 러시아 연해주-아무르지역에 분포하는 발해의 성들 중에는 고구려시기에 축조된 것도 있고, 발해 때에 축조된 다음 이후 요·금대에 수축이나 증축을 거쳐 계속해서 사용된 것들도 있다. 그 결과 외견상 요·금대의 특징을 가진 성들도 여러 가지 이유로 발해의 성으로 소개된 경우가 적지 않다. 이로 인해 발해 성곽의 일반적인 특성 도출과 나아가 발해 부(府), 주(州), 현(縣)의 치소성 비정 등에서 오류가 없을 수가 없었다. 이러한 인식하에 이 글에서는 발굴조사가 된 발해성벽들을 중심으로 발해성벽의 축조방법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발해의 성벽 축조방법을 논의의 중심에 둔 것은 발해 때에 쌓은 것이 분명한 성벽들의 특징을 밝히는 것이 발해성곽 연구의 기초가 된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성벽 단면이 발굴 조사되고 그 내용이 보고된 발해성은 모두 18개소로 집계된다. 이 자료들 이외에도 답사를 통해 성벽 단면이 확인된 5개소의 발해성도 함께 참고하였다. 성벽 단면이 발굴 조사된 발해의 성들은 축조 시기 혹은 주체로 볼 때에 발해 이전에 축조되어 발해 때에 증축되고 발해 이후에는 사용되지 않은 것(시넬니꼬보 1산성), 발해 때에 축조되어 발해 때에만 사용된 것(상경성, 서고성, 팔련성, 흥농고성, 니꼴라예브까 1성, 니꼴라예브까 2성, 스따로레첸스꼬예 성, 끄라스끼노 성), 발해 때에 축조되어 주로 금대 이전까지 사용된 것(꼭샤로브까 1성, 오끄라인까 성, 스몰노예 성), 발해 때에 초축되고 금대에도 사용된 것(소밀성, 마리야노브까 성, 노보고르제예브까 성, 이즈베스뜨꼬바야 소쁘까 성), 그리고 발해시기 말갈계통 부족들이 축조한 것(연해주 동북해안지역의 지기또브까 성과 끄라스노예 오제로성)으로 구분된다. 발해 때에 축조한 혹은 증축한, 다시 말해서 발해 때에 쌓은 성벽은 축조재료와 세부구성 양상에 따라 전체 토축성벽, 토축즙석성벽, 토축혼석성벽, 전체 석축성벽, 토심석축성벽, 하토석축성벽, 그리고 목책성벽으로 구분하였다. 그 외에도 발해의 성벽을 지반정지부, 기초부, 중심부, 측면보호벽으로 구분하여서도 검토해 보았다. 요·금대의 성벽은 대부분이 전체 토축성벽이다. 판축다짐은 요·금대 성벽에서 가장 중요한 특징으로서 대부분의 경우 서로 다른 색깔과 성분의 토층을 거의 매번 되풀이하여 시루떡모양으로 정연하게 쌓았다. 이에 반해 발해의 판축다짐성벽은 대부분 비슷한 혹은 약간 차이가 나는 색깔과 성분의 토층들을 일정 높이 반복적으로 쌓아 올렸다는 점, 토층의 두께가 일정하지 못하다는 점, 토층이 양단까지 계속 이어진 것이 아니라 중간에서 다른 토층들로 대체된다는 점 등이 차이를 보인다. 다만 금대 동하국 시기의 성벽 중에는 토축즙석성벽, 석축성벽, 토층이 중간에 다른 토층과 대체되는 판축다짐성벽도 예외적으로 확인되고는 있지만 전반적 특징이 발해의 것과는 차이를 보인다. 그 외에도 본고에서는 논의하지 않았지만 성의 평면적 특징과 성벽부속시설도 발해와 요·금대 성들은 서로 많은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지금까지는 발해 성곽연구에 요·금대의 성들이 포함되곤 하였는데 앞으로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