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러시아 연해주 발해유적 발굴의 결과와 의의

        E.I.Gelman,정석배(번역자) 고구려발해학회 2010 고구려발해연구 Vol.38 No.-

        이 논문에서는 발해국(698~926년)의 문화유산 연구에 대한 러시아 고고학의 주요 업적을 검토하였다. 그 업적들에는 (러시아 연해주 지역에서의) 발해의 동북부 경계를 분명하게 한 것, 발해 시기 기후에 대한 새로운 자료 확보, 여러 가지 유형 유적의 발굴조사 결과들, 그 유적들의 공간적 조직 등이 해당된다. 필자는 러시아 고고학자들이 활용하고 있는 전기측정, 지자기측정, 카파메트리야에도 주목하였는데, 이 방법들은 비파괴 조사로서 문화층의 물리-화학적 모델, 발해 유적들의 내적 평면상태에 대한 자료, 개별 유구들의 세부 평면상태 등을 확보 혹은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이 논문에는 발해 유적들의 상대편년에 대한 연구 결과들이 제시되어 있다. 끄라스끼노 성터와 고르바뜨까 성터에서는 몇몇 건축면을 구분할 수 있었고, 구체적인 건축면과 발해 절터의 운용 시기를 서로 대응시킬 수 있었다. 필자는 러시아 고고학자들이 발해 주민들의 생활보장 시스템 연구에서 낸 중요한 성과에도 주목하였다. 발해에서의 대내외 교역에 대한 고고학적 증거 확보 문제에 대한 연구는 중국에서 수입한 교역용 토기에 대한, 발해에서 생산한 위신재적인 시유 토기에 대한, 해안 지역과 내륙 지역 취락지들 간의 강도 높은 교역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들을 제시하였다. In the article main achievements of Russian archaeology in sphere of studying of Balhae (698-926) cultural heritage are examined. Among them more precise definition of frontier in the northeastern part of Balhae that is in Russian Primorye region, new facts about climate in Balhae period, results of excavations in various types of sites and there’s spatial organization. We pay attention to using by Russian archaeologists of diverse methods, such as electrometry, magnetometry and susceptimeter which allow to get physical-chemical model of cultural layer, data on inner topography of Balhae sites and detailed planning of single objects. In the article results of elaboration of relative chronology of Balhae sites, allowing to separate some building horizons in Kraskino and Gorbatka sites and correlate the time of functioning of Buddhist temples, are presented. We pay attention on great success reached by Russian scientists in studying of life support system of Balhae population. Working out of problem of reception of archaeological evidences of internal and foreign trade in Balhae has also brought concrete data about commercial ceramics arriving from Chinese furnaces, prestigious glazed ceramics made in Balhae, and also about intensive product exchange between coastal and continental settlements.

      • KCI등재

        연해주 스몰노예 문화

        샤브꾸노프 V.E.(V.E. Shavkunov),박규진(번역자),정석배(번역자) 고구려발해학회 2018 고구려발해연구 Vol.61 No.-

        스몰노예 문화(7/8~11세기)는 러시아 연해주의 중부 및 남동부지역에 분포한다. 주거유적들은 저습지와 간혹 나지막한 구릉지들, 큰 강의 강안들에 위치한다. 이 문화의 주요 표지유물은 물레 성형을 하여 만든 그리고 작은 장방형의 압인무늬들(격자 표면)로 뒤덮인 토기이다. 수제토기도 있는데 두 그룹으로 구분된다. 한 그룹은 호, 굽이 있는 공기 및 완으로서 문양이 전혀 없다. 다른 그룹은 호와 화병형 토기로 대표된다. 이 그룹토기는 문양을 가지며 형태가 올가(뽈쩨) 문화의 용기들과 비슷하다. 스몰노예 문화의 구성원에 끄로우노브까 문화와 올가 문화의 주민들이 포함되었다고 확신할 수 있다. 스몰노예 문화의 주민들은 고아시아족에 속하였다. 그들은 현대 니브흐 인들의 조상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Smolnoe culture (VII-VIII – XI A.D.) occupies the Central and South-Eastern regions of the Primorsky territory of Russia. Settlements are located in the flood plains, sometimes on small hills, valleys of large rivers. The main indicator of the culture is ceramic, made with a circle and covered with small rectangular indentations (wafer surface). There is also hand-made ceramics, which is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is represented by pots, cups and bowls on pallets and has no ornament. This crockery close products Krounovka culture. Another group is represented by pots and vases. It has a variety of ornaments and moulds similar to the vessels of the Olga (Poltse) culture. It can be argued that the composition of the Smolnoe culture includes representatives of the Krounovka and Olga cultures. The population Smolnoe culture belonged to the paleo-Asiatic peoples. It can be assumed that they were the ancestors of the modern Nivkhs.

      • KCI등재

        러시아 연해주 동부 및 동북부의 중세 고고학

        디야꼬바 O.V(Dyakova O.V),정석배(번역자) 고구려발해학회 2018 고구려발해연구 Vol.61 No.-

        이 글에서는 연해주 동북부 지역 중세 유적들을 말갈, 발해, 발해 이후(요 제국 시기), 스몰노예 문화, 여진문화로 분류하였다. 말갈 유적들은 주거유적(보고뽈, 우스찌-제르깔나야 4 등등), 곶유형 성(우스찌-소볼렙스꼬예, 므이스 쪼쁠르이 등등), 토광무덤과 쿠르간 무덤 고분군(모나스뜨이르까 3) 등이 있는데, 모두 서기 1천년기로 편년되고 그리고 뜨로이쯔꼬예 및 나이펠드 전통에 포함된다. 발해의 유적들은 당의 건축 전통을 반영하는 평지성(끄라스노예 오제로, 지기또브까, 에스똔까, 쁘리스딴스꼬예)과 고구려의 전통에 기원하는 석축 산성(끌류치, 쉬므이르꼬프 끌류치, 자볼로첸나야)가 있다. 발해국 멸망 이후에 존재한 발해 이후의 유적들은 주거유적(시네고리예 2, 우스찌놉스끼예 뽈랴) 과 생산 복합체인 토기가마(시네고리예 1)가 있다. 이것들은 토기에서 발해의 전통을 발전시켰다. 동하국 시기 여진의 유적들(꾸날레이까, 시바이고우, 소쁘까 루브비)은 산성들로 대표되는데 1215~1234년에 기능하였고 그리고 고구려의 축성 전통을 가진다. 연해주 동북지역의 대부분 중세유적들은 말갈의 전통에 토대를 두고 있지만, 발해시기에 축성과 토기제작에서 고구려 전통의 영향을 받는다. The article proposes a classification of medieval sites of the Northeastern Primorye : of Mohe, Bohai, Post Bohai (Liao) period and Smolnoe, Jurchen cultures. The Mohe sites are represented by settlements (Bogopol’, Ust-Zerkal’naya-4 etc.), cape settlements (Ust-Sobolevskoye, Mys Teplyi, etc.), ground and barrow burials (Monastyrka-3), dated from 1 millenium AD, which relate to the Troitskoe and Nayfeld traditions. The Bohai sites are represented by valley settlements (Krasnoe Ozero, Djigitovskoe, Estonka, Pristan’skoe), reflecting the Tang constructional traditions, and mountain stone fortresses (Klyuchi, Shmyrkov Klyuch, Zabolochennaya), which dated back to Koguryeo traditions. Post-Bohai sites existed after the fall of Bohai are represented by settlements (Sinegorye-2, Ustinovskie fields) and manufacturing complexes like a pottery kiln (Sinegorje-1). They continued to develop the Bohai traditions in ceramics. The Jurchen sites of the Eastern Xia period (Kunaleiskoye, Sibaygou, Sopka Lubvi) are represented by mountain fortresses that functioned in 1215-1234. They conserved the fortification traditions of Koguryo. It has been established that most of the medieval sites of the Northeastern Primorye are based on the Mohe traditions, but during the Bohai period they experienced the influence of the Koguryo traditions in fortifications and ceramic crafts.

      • KCI등재

        발해주민의 표현 및 장식-응용미술

        E.V. 아스타쉔꼬바(Astashenkova Elena),정석배(번역자) 고구려발해학회 2012 고구려발해연구 Vol.42 No.-

        현재 연해주 발해유적들에서 발해 주민들의 활동과 정신적 및 물질적 삶을 보여주는 의미심장한 컬렉션들이 수집되었다. 이 글에서는 7~10세기에 연해주에 거주하였던 발해 주민들의 장식 및 예술품을 소개 및 분석하였다. 발해 주민들의 장식 및 예술품에는 종교와 숭배 조형품, 건축 장식 요소, 문양과 장신구 등이 있다. 필자는 이 유물들을 종교적 관점, 미학적 관점, 편년 및 문화적 관점, 그리고 사회적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발해의 장식 예술품들은 불교와 민중적 예술품이라는 두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발해의 불교 예술품에는 고구려와 당의 예술 전통이 반영되었고, 수공업품에는 전통적 민중 예술 스타일의 전통이 더 많이 반영되었다. 연해주의 고고학 유적들에서 출토된 몇몇 장식품들은 발해의 수도유적들에서 유물들과 동일한데, 이는 그 유물들이 발해의 중심지역에서 연해주로 유입되었음을 의미할 것이다. 몇몇 장식품들(옥 장식, 띠꾸미개)은 신분과 위세를 나타내는 역할을 하였을 것이다. 띠꾸미개와 와당의 다양한 문양에서 편년 및 문화적 접촉 지수의 기능성을 찾을 수 있다. At present there are a meaningful archaeological collection are accumulated at Balhae sites in Primorye. These artifacts increase our knowledge about activities of Balhae people, about their material and spiritual life. This paper deals with description and analysis of arts and crafts of Balhae population resided in VII-X centuries in Primorye. It was investigated different kind of decorative items: the religious and cult sculpture, the architectural decorative elements, ornaments and adornments. We touched on such problems as religious view and aesthetic preference, the main direction of cultural relations, the chronological and social aspects. The preliminary results from this research are following. The decorative arts of Balhae people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 buddhistic and folk arts. At the Balhae buddhistic arts the Koguryo and Tang artistic traditions are reflected. The art and crafts demonstrate the traditional folk artistic style. Some decorative items wich were found at the archaeological sites of Primorye looks like articles from Balhae capital sites. It means that they could be brought in Primorye from Balhae central areas. Some decorative items can be used as status and prestige attributes (jade adornment, belt ornaments). And the belt ornaments and various design of roof-endtile disks can be investigated in order to discover their capabilities as chronological and cultural contacts indexes.

      • KCI등재

        연해주 북부지역의 중세시대 고고학 유적들

        끄라진 N.N(N.N. Kradin),니끼친 Yu.G(Yu.G. Nikitin),정석배(번역자) 고구려발해학회 2018 고구려발해연구 Vol.61 No.-

        이 글에서 우리는 이만 강과 비낀 강 유역에서의 연해주 북부지역의 정착 패턴에 대해 논의하였다. 산림지역인 그곳에서는 서로 다른 시기에 속하는 199곳 이상의 고고학 유적들이 발견되었다. 신석기시대부터 시작하여 사람들은 이미 사냥, 채집, 어로활동에 종사하였다. 연어 수렵은 이 시기에 매우 중요하였다. 초기철기시대에 이곳에서는 원시 농경이 출현하였는데 중세시기에 크게 발전하였다. 당시 아무르 강 유역에는 흑수말갈과 뽀끄로브까 문화 주민들이 거주하였다. 이곳은 국가 이전단계의 복합사회였고 그리고 여진제국의 주변지역이었다.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settlement pattern of Northern Primorye region in the basin of Iman and Bikin rivers. There in the heart of the forest there was discovered more than 199 arcle Ages. At that time there lived the Heishui Mohe of the Amur River and population of Pokrovka culture. It was pre-state complex society and periphery of Jurchen empire.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