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빅데이터를 통해 살펴본 영화평과 영화 평점 : 영화평의 주요 특징과 흥행 성적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전호성(Jeon, Hoseong) 한국소비문화학회 2022 소비문화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온라인 구전인 영화평과 영화 평점이 갖는 특징을 이해하고자 2015년 이후 1,000만 관객 이상을 동원해 상업적으로 성공했다고 판단되는 12개의 영화를 대상으로 네이버 영화 포털에 올라온 관객들의 영화평과 영화 평점을 약 52만 건 수집하였다. 그리고 관련한 문헌 연구와 수집한 빅데이터를 사용하여 영화평에서 확인된 주제어들이 영화 평점과 갖는 관계, 영화 평점에 달린 공감수가 관객수에 미치는 조절적 영향 그리고 영화 평점이 스크린 수를 매개로 관객수에 미치는 영향과 같은 세가지 연구 문제를 확인하였다. 연구 문제 1은 텍스트로 제시된 영화평에서 어떤 주제어들이 언급되었을 때 영화의 평점과 높은 관련성을 맺고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연구 문제 1을 확인하고자 토픽 모델링을 통해 5개의 토픽을 도출하였으며 각 토픽별로 유사하게 묶인 주제어들을 바탕으로 영화평들의 특징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 토픽 1부터 3까지는 영화의 내용과 관련한 토픽 주제어(i.e., 스토리/배경, 배우, 감독/연출)로 분류할 수 있었고 토픽 4부터 5는 영화에 대한 평가와 관련한 토픽 주제어(i.e., 감동/재미, 비판)로 구분할 수 있었다. 5개의 토픽들을 매개 변수로 하여 영화평과 영화 평점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였을 때 토픽 4나 토픽 5와 관련한 주제어들이 영화평에서 많이 출현할수록 영화가 받는 평점과 높은 관련성을 맺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문제 2를 확인하기 위해 조절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분석의 대상이 되는 12개 영화 중 8개 영화에서 유사 조절 효과가 발견되었으나 순공감 개수는 영화 평점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관객수 동원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는 긍정적인 영향을 예상한 연구 문제 2와는 다른 결과를 보여주고 있어서 향후 영화 포털에 등록한 영화평이나 영화 평점에 대해 ‘좋아요’로 표현되는 공감수의 효과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었다. 연구 문제 3은 기존 연구들이 영화 자체를 분석의 단위로 삼아 개봉 후 수시로 변화하는 스크린 수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 어려웠던 점에서 출발하였다. 연구 문제 3은 이를 확인하기 위해 영화의 개봉날짜를 기준으로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 KOBIS의 통계정보와 네티즌들이 네이버 영화 포털에 등록한 영화 평점을 연계하였다. 그리고 영화가 개봉된 시점부터 날짜를 기준으로 영화 평점과 관객수 사이의 인과관계를 스크린 수를 매개로 하여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영화 평점은 관객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스크린 수의 변동에도 영향을 줌으로써 스크린 수의 변화를 통한 간접적인 영향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징적인 점은 대다수 영화에서 영화 평점이 관객수에 미치는 영향은 직접 효과보다는 스크린 수를 통한 간접 효과가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started with 3 research questions with 12 movies regarded as having more than 10,000,000 movie viewers in Korea. After gathering about 520,000 movie reviews listed on Naver movie portal through R program, we conducted topic modeling analysis to confirm the research question 1 assuming that the evaluative comment is more related with movie rating in movie portal. Through analysis, we categorized various movie comments into 5 topics. Topic 1 is related movie story. Topic 2 explains roles of actors. Topic 3 is centered on director. Topic 4 means the movie viewer’s satisfaction about movie. And topic 5 contains criticism about movie. After conducting parallel mediation analysis using 5 topics as mediator variables, we found that topic 4 and 5 are related customer’s movie grading supporting research question 1. Previous researches pro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ovie reviews and box office outcomes used movie itself as unit of analysis. However, we think that these approaches could not cover the dynamics of movie reviews. Thus, this research linked the data-base provided at KOBIS with number of movie reviews and ratings listed on Naver movie portal on daily basis to confirm the second and the third research questions. After doing regression analysis to confirm research question 2, we found quasi-moderating effects in 8 of the 12 films. But the interaction variable between net empathy and movie ratings negatively affected audience mobilization. It showed different results from what research question 2 expected. At the research question 3, we think that the comments found at movie review portal might influence film distributer’s decision about the number of movie screens. Thus, this study assumed that the number of movie screens could take the role of mediator on the link between movie ratings and box office outcomes. According to the mediation analysis, movie viewer’s evaluations influence the box office outcomes through the number of movie screens. Interestingly, indirect effect of the number of movie screens might be greater than direct effect of movie ratings on the box office outcomes in Korea.

      • 친환경 바이오 폴리머를 활용한 농업용 저수지 제방보강

        전호성 ( Hoseong Jeon ),윤웅재 ( Woongjae Yoon ),이동진 ( Dongjin Lee ) 한국농공학회 202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3 No.0

        최근 이상기후로 인한 국지성 집중호우의 영향으로 농업용 저수시 제방의 월류, 침식, 파이핑에 의한 제방 유실과 붕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재해로 큰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피해가 발생하기 전 근본적인 대책 마련 및 하천재해 예방을 위해 연평균 1조원 정도의 많은 비중의 예산을 하천시설물 구축 및 보강에 힘쓰고 있으나 국내 제방 축조 및 보강기술은 몇 십년간 정체되어 있다. 최근 설계기준의 개정으로 고강도 및 친환경 제방이 적용되고 있으나, 이 역시도 기후변화에 의한 침식, 월류, 파이핑 대응 등의 안정성 성능향상 능력은 여전히 개선되고 있지 않으며 매년 동일한 피해 발생과 복구가 반복되고 있는 실정이다. 개발기술은 피마자유에서 추출한 바이오 폴리머 접착소재와 골재를 활용하여 하천호안 사면 및 저수지 제방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기술로 교반과정에서 골재의 표면을 코팅한 바인더가 주변골재와 다점접착을 통해 불규칙하고 연속적인 공극을 지닌 다층다공성 형태로 제작된다. 특히 이 기술은 기존 시멘트 콘크리트 구조물과 달리 하천에 유해한 물질을 방출시키지 않고 하천환경 및 생물에 영향을 주지 않는 무독성 소재를 활용하여 치수적으로 수리적 안정성을 강화시키고 자연식생 활착이 가능하여 생태적 건강성을 유지시킬 수 있는 기술로 본 연구에서는 자연친화적인 저수지 제방 보강기술에 대한 수리적 안정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수리적 안정성 검증을 위한 실험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안동하천실험센터에서 수행하였으며, 수로의 제원은 폭 2.0m, 길이 30.0m이며, 실험구간은 수로의 중앙 10.0m에서 진행하였다. 수로경사는 13/100의 경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최대 8㎥/s의 유량공급이 가능하다. 한계유속 및 허용소류력 실험결과 유속 8.0m/s, 최대 허용소류력은 659.05N/㎡에서 제체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동일 유속조건에서 식생이탈율 시험결과 식생피복 전체 면적의 75 ~ 85%에서 식생이탈이 없어 홍수시와 같은 큰 유속이 작용함에도 불구하고 식생을 잘 보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수행된 실규모 제방 월류에 대한 안정성 시험에서도 흙으로 구축된 제방의 경우 월류 후 26분 만에 붕괴가 일어났지만 바이오폴리머로 구축된 제방의 경우 6시간 경과 후에도 제체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바이오 폴리머를 활용한 제방보강기술이 실현장에 적용된다면 홍수시 높은 수압과 빠른 유속조건에서도 내부 표면토의 침식과 소재의 이탈없이 제방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므로 제방붕괴 위험성 저감을 통한 막대한 재산피해와 인명피해 저감 및 재해로부터 골든타임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금융투자 상품 맥락에서 프레이밍 효과가 한중 소비자 구입 의향에 미치는 영향: 조절 초점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총완천,전호성,Cong. Wanqian,Jeon. Hoseong 한국소비문화학회 2015 소비문화연구 Vol.18 No.2

        금융투자 상품은 소비자들의 자산관리에 있어 중요한 상품으로 등장하고 있기 때문에 최근 많은 금융회사들이 다양한 판매 촉진 수단을 사용하여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지금까지 금융투자 상품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면 금융투자 상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나 구입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들을 확인한 연구들은 많았지만 점차 국경이 사라지고 있는 금융시장의 특징을 고려할 때 문화의 차이가 금융투자 상품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연구들은 많지 않았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금융투자 상품 맥락에서 문화적 차이에 따른 상품 메시지 프레이밍의 효과를 살펴보고 이러한 차이가 발생하는 요인으로서 조절 초점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먼저 가설 1은 금융투자 상품 설명에서 메시지 프레이밍이 소비자들의 금융투자 상품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메시지가 이익 맥락에서 제시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소비자들은 높은 불확실성(예: 변 동 수익률) 프레임으로 제시된 대안보다 낮은 불확실성(예: 고정 수익률)으로 제시된 프레임을 더 선호하고 있어 가설 1은 지지되었다. 문화적 차이에 따른 프레이밍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가설 2는 메시지 프레이밍(불확실 성이 높은/낮은)과 문화적 차이(한국/중국)를 기준으로 2 × 2 ANOVA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메시지 프레이밍과 문화권 변수가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메시지 프레이밍의 효과를 문화권 변수가 조절하고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각된 불확실성이 소비자들의 금융투자 상품 구매에 영향을 미칠 때 문화권 변수가 이 과정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3은 문화권 변수가 소비자들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를 문화권에 따른 조절 초점(향상/예방)의 차이로 제안하고 이를 매개 효과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가설을 지지 하는 방향으로 결과가 나타나 문화권의 차이가 발생하는데 있어 양국 소비자들의 조절 초점 성향이 이 과정을 매 개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Since financial product is promoted by financial corporations as important way to invest consumer's asset, various companies take different kinds of approach to attract customers to purchase their financial products. Untill now, there are many researches about the consumer attitude toward financial product, however, the researches on the framing effect(e.g., certainty vs. uncertainty) focused on Korean and Chinese customers are scare. So this study tries to probe the effect of framing effect on the consumers having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 and proposes underlying mechanism for this difference as regulatory focus. Hypothesis 1 explains that the uncertainty of the financial product advertisements affect on the customers purchasing intention of the financial products. According to the framing condition of low uncertainty or high uncertainty, the consequences are totally different. The subjects with low levels of uncertainty show more intention for buying financial products. Thus, we think that this outcome supports hypothesis 1. What’s more, hypothesis 2 probe the relations between the framing (uncertainty high vs. low) and divergence of culture(Korea/China) through 2 × 2 ANOVA analysis. According to the ANOVA analysis,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uncertainty and cultural variabl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us, we think that it supports hypothesis 2. Based on this finding it could be said that localization approach makes sense for the advertisement of financial product. Hypothesis 3 studies the relations between the cultural variable and the regulatory focus(e.g., promotion vs. prevention) for finding underlying mechanism of hypothesis 2 through mediating analysis. According to outcomes, it could be said that regulatory focus explains cultural difference found at the hypothesis 2. Korean consumer shows prevention disposition and chinese consumer shows promotion disposition. It supports hypothesis 3.

      • KCI등재

        예상된 후회감이 소비자들의 비계획 구매에 미치는 영향

        이은연(Li, Yinyan),전호성(Jeon, Hoseong) 한국소비문화학회 2014 소비문화연구 Vol.17 No.2

        최근 뉴스를 보면 상당수 소비자들은 비계획 구매로 인해 불만족을 경험함에도 불구하고 다시 비계획 구매를 시도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비계획 구매와 관련된 연구들은 주로 소비자들의 비계획 구매에 영향을 주는 선행 요인이나 비계획 구매 후 소비자들이 경험하는 부정적인 결과 등을 규명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두었으나 소비자들의 비계획 구매가 발생하는 상황 조건에 대해서는 명확한 맥락을 제시하지 못했다. 특히 구매와 재구매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현실 상황을 고려할 때 재구매 상황에 초점을 맞추어 이전에 비계획 구매를 경험한 소비자들이 다시금 비계획 구매를 하게 되는 이유를 탐색한 연구들은 많지 않았다. 이번 연구는 이러한 연구 문제를 탐색하기 위해 이전에 비계획 구매의 경험을 갖고 있음에도 비계획 구매를 반복하는 소비자들과 그렇지 않은 소비자들의 차이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비계획 구매를 경험한 소비자들이 재구매 상황에서 예상하는 후회감이 비계획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통제성과 강박구매 성향을 조절변수로 하여 소비자들의 개인차 발생하는 맥락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재구매 상황에서 소비자들이 지각하는 예상된 후회감이 높을 때 소비자들의 비계획 구입의향이 낮게 나타나 이번 연구가 제시한 가설의 방향을 지지하였다. 둘째, 재구매 상황에서 자기통제성은 예상된 후회감이 비계획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지 못했다. 소비자들은 자기통제성이 높거나 낮은 것과는 상관없이 구매상황에서 느낀 예상된 후회감에 따라 비계획 구매를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재구매 상황에서 소비자들의 강박구매 성향은 예상된 후회감이 비계획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박구매 성향이 낮은 사람들은 예상된 후회감이 높을 때 비계획 구매의도가 낮게 나타난 반면, 강박구매 성향이 높은 사람들은 예상된 후회감에 따른 구매의도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이는 강박성향이 높은 사람들은 예상된 후회감의 크기와 상관없이 비계획 구매를 시도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결과의 시사점을 제공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anticipated regret under the situation of repurchasing might affect consumers unplanned buying due to the differences in disposition among consumers. We assume self-control and impulsive buying disposition as moderating variables to see how it influences consumer's unplanned purchase. Drawing on the scenario between the two groups, one with higher anticipated regret condition, and the other with lower anticipated regret condition, a experiment was conducted among female, mostly the college students in local university. When subjects were asked for the intentions of unplanned purchase under the condition of anticipated regret, group with lower anticipated regret was 3.83, a little bit higher than the group with higher ones of 3.33, which supported the hypothesis 1. According to the hypothesis 2, it was regarded that the effect of anticipated regret upon unplanned buying behavior would be influenced by self control disposition. However, self-control hardly plays a role as a moderator variable. In addition, a analysis has been done in order to examine hypothesis 3 which claims impulsive buying disposition as moderating variable. The result of ANOVA analysis supported that reciprocal effects between anticipated regret and impulsive buying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wo variabl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outcomes supported the hypothesis 3. Finally, the implication of the study was addressed and limitations and further suggestions for improvements were suggested.

      • KCI등재

        상품-색상 적합도가 상품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주양(Zhou, Yang),전호성(Jeon, Hoseong) 한국소비문화학회 2016 소비문화연구 Vol.19 No.2

        이번 연구는 상품-색상 적합성이 소비자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메타인지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메타인지 관점은 색상이 갖고 있는 연상이 상품 정보와는 독립적으로 상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선행 연구들이 긍정적 연상을 중심으로 상품-색상 적합성이 소비자 의사결정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고 판단하여 이번 연구는 메타인지 관점에서 긍정적 연상과 부정적 연상이 소비자들의 의사결정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동시에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상품 색상이 소비자 구매 의도에 영향을 줄 때 색상이 갖고 있는 보편적 연상이외에 소비자들의 문화적 배경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정을 제시하고 이를 추가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선행 연구에서 잘 다루어지지 않은 녹색을 대상으로 사전 조사와 본 실험 그리고 본실험을 토대로 한 추가 실험을 통해 이러한 연구 문제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상품과 색상의 적합도가 높을 경우 소비자들의 구매 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행 연구 결과와 일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러한 소비자 의사결정 과정에서 문화적 차이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품의 색상이 소비자들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칠 때 상품-색상의 적합도 변수는 피험자들의 문화적 배경과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를 보이고 있었다. 그리고 상품-색상 적합도가 높은 조건에서는 연구자의 개입이 있었을 때 그렇지 않았을 때에 비해 상품에 대한 구매 의도가 유의하게 낮아져서 상품 색상이 소비자 구매 의도에 영향을 줄 때 메타인지 과정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품-색상 적합도가 낮은 조건에서는 이러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연상의 내용과 방향에 따라 소비자들의 의사결정 과정이 차별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is trying to probe the effect of product-color fitness on product purchase intention based on the perspective of meta-cognitive process. Meta-cognitive process implies that association linked to product color might independently influence consumer's decision process even though product color could be regarded as peripheral cue at ELM model. In addition, this study extends the scope of product color related study by including both positive association and negative association for we thought that previous studies only focused on positive associations of product color. We propose another research question that cultural difference might influence consumer purchase intention elicited by color based product association. Thus, this study administered pre-test, main experiment and post experiment to confirm research questions explained in before. Main experiment probes hypothesis 1 and 2. According to analysis, product-color fitness positively influences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his outcome supports hypothesis 1 and produces similar results reported at previous researches. In addition, we found that the cultural difference takes moderating role in the process of product-color fitness and purchase intention. Results report that product-color fitness and cultural difference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It also supports hypothesis 2. Post experiment tries to identify the existence of meta-cognitive process in the outcomes of main experiment. When there is an intervention at high fitness condition, consumer purchase intention is lowered significantly. This implies that there is a meta-cognitive process at high fitness condition. It supports hypothesis 3. However, we could not find significant difference when there is an intervention at low fitness condition. It does not support hypothesis 4. We found asymmetry in effec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