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영향요인

        전윤화(Yun-Hwa Jeon),최지원(Ji-Won Choi),김미선(Mi-Sun K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간호대학생 128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은 2018년 3월 26일에서 동년 4월 30일까지였다. 자료분석은 SPSS/PC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평균평점과 표준편차, t-test, ANOVA와 Scheffe s test,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s 및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제 특성에 따른 자기주도학습능력 정도는 연령(F=5.305, p=.006), 대학생활만족도(F=6.320, p=.002), 성격(F=13.271, p=.000)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기주도학습능력은 자아탄력성(r=.539, p<.001), 셀프리더십(r=.802, p<.001)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은 자아탄력성, 셀프리더십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체 설명력은 65.6%였으며, 가장 큰 영향력은 셀프리더십(ß=.802)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을 함양시키기 위해서는 셀프리더십 및 자아탄력성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지지와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러한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을 위해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nursing college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26th March to 30th April 2018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nursing college students. Data were analyzed by SPSS/PC WIN 21.0 program to obtain percentage, average, mean rating,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e s test,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Degree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research targets showed remarkable differences statistically by Age(F=5.305, p=.006),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F=6.320, p=.002) and own’s character(F=13.271, p=.000).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go resiliency(r=.539, p<.001), self-leadership (r=.802, p<.00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y ego resiliency, self-leadership. Total explanatory power was 65.6%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degree of self-leadership(ß=.802) was greater than other factors. To help nursing college students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terventions should be provied to increase self-leadership, ego resilienc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such programs to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nursing college students.

      • KCI등재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 영향요인

        전윤화(Yun-Hwa Jeon ),정귀임(Kwuy-Im Jung),송후승(Hoo-Seung Song),나은선(Eun-Sun Na)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임상간호사 12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4년 11월 10일부터 동년 11월 29일까지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평균평점과 표준편차, t-test, ANOVA와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및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임상간호사의 제 특성에 따른 윤리적 딜레마 정도는 연령(F=3.14, p=.017)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 정도는 교육정도(F=7.36, p<.001), 임상경력(t=-2.31, p=.024), 윤리강령 인지여부(t=3.17, p=.002)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은 윤리적 가치관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r=.25, p<.001).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은 윤리적 가치관, 교육정도, 윤리강령 인지여부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체 설명력은 15%였으며, 다른 영향요인 보다 가장 큰 영향력은 윤리적 가치관 (=.28) 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윤리적 가치관, 교육정도, 윤리강령에 대한 지식 정도를 향상시켜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 자신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의 실행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ethical confidence among clinical nurse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10th to 29th November 2014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125 clinical nurses.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SPSS/WIN 21.0. to obtain percentage, average, mean rating,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degree of ethical confidence in research targets showed remarkable differences statistically by age (F=3.14, p=.017), education (F=7.36, p<.001), career duration (t=-2.31, p=.024), and code of ethics knowledge (t=-3.17, p=.002). Ethical Confide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r=.25(p<.001) with the degree of ethical valu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thical Confidence by ethical value, education, and code of ethics knowledge. The total explanatory power was 15.0%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degree of ethical value(β=.28) was greater than other factors. To help clinical nurses improve ethical confidence, interventions should be provided to increase ethical value, education, and knowledge about the code of ethic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such programs to improve ethical confidence in clinical nurses.

      • KCI등재

        위암 수술환자의 구체적 자기효능감, 가족지지와 자가간호수행의 관계

        전윤화(Jeon Yun Hwa),박금자(Park Geum Ja)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위암 수술환자의 구체적 자기효능감, 가족지지와 자가간호수행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자료수집은 2013년 10월 11일에서 동년 11월 15일까지였으며, B시에 소재한 D대학병원에서 위암 진단 후 치료목적으로 수술을 받은 후 3개월이 경과하고 5년 이내의 추후관리 중인 환자 1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PC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평균평점과 표준편차, t-test, ANOVA와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및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위암 수술환자의 제특성에 따른 자가간호수행 정도는 성별(t=-2.25, p=.027), 종교(F=3.67, p=.028), 직업(F=4.17, p=.008)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위암 수술환자의 자가간호수행은 구체적 자기효능감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r=.60, p<.001). 위암 수술환자의 자가간호수행 관련요인은 구체적 자기효능감, 종교 및 성별로 나타났다. 전체 설명력은 37.9%였으며, 가장 큰 영향요인은 구체적 자기효능감(ß=.53)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위암 수술환자의 자가간호수행을 돕기 위해서는 구체적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며, 종교 및 성별을 활용한 실질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self-efficacy, family support, and self-care performance of gastric cancer surgery patient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11 October to 15 November 2013.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121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stomach cancer and had undergone surgery at D university hospital in B city and were in follow-up care for 3 months to 5 years after surgery.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PC WIN 18.0 to obtain the percentage, average, mean rating, and standard deviation. In addition,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conducted. The degree of self-care performance in research targe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sex (t=-2.25, p=0.027), religion (F=3.67, p=0.028) and profession (F=4.17, p=0.008). Self-care performa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r=0.60, p <0.001) with the degree of specific self-efficac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care performance by specific self-efficacy, religion and gender. The total explanatory power was 37.9%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degree of specific self-efficacy (ß=0.53) was greater than that of other facto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terventions that improve specific self-efficacy to help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patients conduct self-care performance, and practical measures should be made with respect to religion and gen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