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 평가로 본 다문화가정 유아의 한국어 능력에 따른 집단 간 가정특성 및 가정 언어 · 문해환경의 차이

        양민화(Yang, Minwha),저신수(Chu, Xinxiu),김보배(Kim, Bobae)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8 특수교육 Vol.17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국인 다문화가정에서 태어난 아동의 한국어 능력이 가정의 물리적 특성이나 가정언어 및 가정문해환경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계획되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한국인인 아버지와 중국인인 어머니로 이루어진 다문화 가정의 유아기 자녀였다. 어머니 설문조사를 통해 대상 아동의 가정특성 및 가정 언어․문해환경 정보를 수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아동의 한국어 능력에 따른 상․하 집단 간 가정특성 및 가정 언어 · 문해환경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카이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아동의 한국어 능력에 미치는 가정 언어 · 문해환경이 무엇인지 살펴보기 위해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가구 수입과 어머니의 한국어 능력, 아동이 엄마에게 사용하는 언어, 가정 내 도서의 수, 도서관 활용 빈도, 쓰기도구의 수, 부모가 아동에게 한글을 써 주는 시간과 스스로 한글을 쓰는 데 할애하는 시간에서 한국어 능력 상 · 하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그러나 TV나 컴퓨터 등 디지털 언어 · 문해환경의 활용 및 노출정도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 능력과는 무관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중다회귀 분석 결과 언어, 읽기, 쓰기, 디지털 환경중에 쓰기환경만이 아동의 한국어 능력에 유의한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가정 언어 및 가정문해환경에서도 특정 요인들이 다문화 아동의 언어 능력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부모와 교사들은 다문화 아동의 언어 능력, 특히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나타난 쓰기환경에 주목하여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 교육을 지원해 줄 필요가 있다. Purpose: The current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home language and literacy environment that is related to the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thod: 84 children from the age range of between 2 to 7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ir mothers were Chinese and fathers were native Koreans. All of the participating children were born and raised in Korea. The Chinese mothers gave responses for the home language/literacy environment survey. A series of chi-square test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Korean language abilities and family characteristics, as well as home language/literacy environment. Additionally, the authors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o predict the language abilities for Korean children.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children with high Korean language abilities mostly spoke in Korean to their mothers, had more books at home, visited libraries often and involved themselves in writing activities often at home. However, the digital literacy environment turned out to be irrelevant to the children’s language abilities.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writing environment was the only significant predictor of the children’s Korean language abiliti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certain home language/literacy environmental factors were more related to the children’s language abilities than other factors. Therefore, parents and teachers should consider more carefully with the factors that are influential to the children’s language 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