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광주 신창동유적 : 제1차조사개보

        조현종,장제근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992 고고학지 Vol.4 No.-

        이 글은 국립광주박물관이 광주시의 의뢰를 받아 실시한 광주 신창동 소재 유적에 대한 조사 약보(略報)이다. 유적은 광주-장성을 잇는 국도확포장구간에 포함되었고 공사의 진척에 따라 유적 일부가 잘려나가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특히 유적 일대의 충적 저지대에서는 공사로 인해 패인 지표하 2m 정도의 깊이에 있는 황갈색 사질층과 흑갈색 진흙층에서 볍씨와 탄화미(炭化米) 등이 곡물자료와 함께 일부 가공흔이 나타나는 목재류 등이 채집되었다. 이에 광주박물관은 광주시 등 관계기관과 협의하여 1차로 공사구간에 대한 유구확인을 위한 발굴조사를 실시하게 되었다. 조사는 1992년 6월 26일부터 7월 25일까지 이루어졌다. 그 결과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목제 농기구가 출토된 소택지(沼澤地)의 존재가 알려졌으며 이와 함께 초기철기시대에서 원삼국시대에 이르는 것으로 생각되는 토기요지·구상유구(溝狀遺構)·조상유구(條狀遺構)·주거지 등이 확인되었다. 소위 소택지에서는 흑도(黑陶)·고배(高杯)·점토대토기(粘土帶土器) 등 각종 토기류와 함께 칠기고배, 빗(櫛), 검파(劍把), 통발 등 다양한 목제유물과 볍씨 등 탄화미를 비롯한 곡물자료가 발견되었다. 특히 칠기고배를 비롯한 칠기 등과 목제유물은 지금까지 창원 다호리를 비롯한 영남지방에서는 드물게나마 출토된 바 있으나 한반도 서남부지역에서는 초출(初出)의 자료로서 시사되는 바 크다. 또한, 주거지를 제외한 각 유구에서 출토된 토기류의 형태적 특징에서 요지 출토품과 유사성이 인정됨으로써 당시의 생산과 유통에 관한 새로운 인식의 계기를 마련해 주고 있다. 이러한 물질자료들은 유적의 극히 일부에서 출토된 것이지만 아직 밝혀지지 않은 이 시기의 생산양식과 농경문화의 구체적인 실체에 접근하는 데 필요한 하나의 수확이며 고환경의 복원 및 문화발전과 전파문제의 해석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The Shinchang-dong site in Gwangju, Jeollanam-do Province, was excavated by the Gwangju National Museum in 1992, prior to the construction of the national road. The excavation revealed a peat bog, a pottery kiln, a ditch-shaped feature, a dry field-like feature and a dwelling house. Among the materials recovered from the peat bog were 1) lacquer wares and wooden artefacts including a hoe, mounted dishes, a comb, a dagger handle, basketry fish traps, bird's head-shaped scuplture, and various tools for woodworking, 2) potteries including plain-coarse pottery, black-burnished pottery, and pottery with clay stripe along the rim, the shapes of which are mounted dishes, long-necked jars, wide-mouthed bowls, dish-shaped covers and steamers, 3) organic remains including grains and seeds of rice, barley, wheats, cucumber, legumes and apricots, walnut shells, fish bones and snails, 4) accumulations of large quantities of rice husks. Many wooden pieces, planks and tools with some indications of woodworking as well as the existence of posts for hanging wooden implements indicate the use of swamp as the place for woodworking. The pottery kiln was dug in the direction of contour. Its size is 8m in length by 2m in width, and the slopeness of the floor is 5~8°. It is a open kiln without any additional structure such as roof, wall and combustion chamber. The potteries found from the kiln are similar to those from the bog site. The floor plan of dwelling site is a rectangle about 430cm by 320cm, in the depth of 20cm. It has a central hearth in an oval shape, 50cm in diameter. The peat bog, the kiln and other features date to about the late 2nd century B.C. or the 1st century B.C. while the dwelling site dates to the 3rd century AD.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site, it is designated as the NATIONAL HISTORIC SITE NO. 37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