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해관계자의 기업 경영참여는 정당한가? - 기업경영에 이해관계자 참여의 규범적 정당성 확보를 위한 노력 : 롤즈 『정의론』을 중심으로 -

        장운혁 범한철학회 2015 汎韓哲學 Vol.78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nter a discussion about stakeholder participation in management through Theory of Justice by John Rawls. I differentiate between stakeholder theory and shareholder theory and describe how and why shareholder theory is connected to exclusive corporate governance. I outline a number of ethical, legal, and economic issues, which I argue give rise to the current exclusive corporate governance derived from shareholder theory. These practices prevent people from having freedom and rights by being tied to another autocracy. In order to address these issues, I contend that each stakeholder group should be entitled to control the corpora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justice. I define control of the corporation as the ability to participate in election of the board since all stakeholder groups have a stake in the firm. I draw on Rawls’ principles to assert that business management should not violate human rights and freedom for any reason, but enhance it. Specifically, I will show a firm belongs to the basic structure of society, so corporate governance should also be applied to the principle of fairness. When stakeholder participation is justified by the principle of justice, it ensures not only all stakeholders’ profit but also their civil liberty and rights. 이 논문의 목적은 기업경영의 의사결정에 이해관계자의 참여에 대한 규범적 정당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기업경영의 목적을 주주이익 극대화로 하는 ‘주주중심주의’의 심각한 단점들을 극복하려는 ‘이해관계자 이론’으로부터 시작된다. 그러나 단지 경영자에게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전달하는 수준이 아니라, 의사결정 주체인 이사회에 대한 선임권을 주주를 포함한 모든 이해관계자들에게 정당한 참여권리를 부여하는 것이다. 필자는 그 과정에서 기업의 법적, 경제적, 그리고 윤리적으로 제기되는 모든 문제의 원인은 비정상적인 기업지배구조에 있다고 지적할 것이다. 그리고 극소수의 지배주주들이 가지고 있는 소유의 법적, 철학적 개념을 분석하여 이들은 기업에 대한 소유권을 가질 수 없으며, 따라서 경영에 대한 통제권한이 없다는 것을 지적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왜 이해관계자들이 기업의 경영에 참여할 정당한 권리를 가지는지를 롤즈의 『정의론』에 근거하여 논증할 것이다. 그 어떤 이유로도 시민의 자유와 권리는 훼손 될 수 없으며, 모든 사회제도는 시민들에 의해 정당한 절차를 거쳐 그들의 권리와 자유를 향상시키도록 구성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필자는 기업도 롤즈의 정의 이론의 대상, 즉 사회제도에 속하며, 따라서 기업지배구조도 공정성의 원리에 적용되어야 한다는 논지를 전개할 것이다. 롤즈의 『정의론』에 의해 확보된 이해관계자 민주제는 정치적 시민으로서 이해관계자의 자유와 권리를 근로 현장에서 확보하게 하는 규범적 정당성을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보상적 정의(Justice in Compensation)와 CEO 보수책정의 정당성 연구

        장운혁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1 철학·사상·문화 Vol.- No.37

        This paper analyzes the fairness of setting CEO's compens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mpensation in Justice' and tries to find the philosophical justification for the Minimum Effective Compensation (MEC). I begin with the concept of ‘fair reward’. That is, a company must pay wages in return for providing workers' labor, and the wages are set based on a fair criteria, and it requires that all stakeholders not be treated in a discriminatory way. For this, the three criteria for paychecks and its justification will be analyzed first from the point of view of Justice in Compensation. Second, it will be argued that the excessive compensation currently paid to CEOs cannot be justified by any of the above three criteria. Lastly, as a way to solve this problem, I would like to discuss the MEC that the CEO and directors, who are the main agents of a negotiation, should have. The MEC refers to the minimum wage needed to recruit and retain the most suitable CEO and to motivate that person to do his/her best. Proposing and accepting this is the fiduciary duty of distributing corporate profits and stakeholders, and it will be argued that this is the most appropriate compensatory definition for a market economy. Through the discussion of this compensation in justice, I expect that the social role of companies will be reconsidered and fairness in setting permissible wages for not only CEOs but also general workers will be accepted. This is because the distribution of economic resources through fair paychecks is not secondary to the national economy and corporate growth, but is the purpose of their existence. Moreover, wages should not be regarded as mere wages since workers provide for and receive work for the firm. This is because the wage plays a normative role that should be treated as a right to fulfill the expectations of one's own and family's livelihood and life, and to be faithful to the given task. 본 논문은 ‘보상적 정의(Compensation in Justice)’의 관점에서 CEO의 임금책정 논증을 분석하고 그들에게 최소유효보수를 지급하는 것의 철학적 정당성을 찾고자 한다. 보상적 정의는 ‘공정한 대가’의 개념으로 출발한다. 즉 기업은 근로자들의 노동 제공에 대한 대가로서 임금을 지불해야 하며, 그 임금은 공정한 기준에서 책정되고 구성원 누구에게나 그 기준은 차별적으로 대하지 않을 것을 요구한다. 이를 위해 먼저 보상적 정의관점에서 보수책정의 세 가지 기준과 그 정당성을 분석하는 것을 보일 것이며, 이는 기업의 목적이 단지 이윤추구에 그치지 않고 공정한 분배를 포함해야 한다는 논의로 시작한다. 그리고 현재 CEO에게 주어지는 과도한 임금이 위 세 가지 기준 중 어느 것에도 정당성을 확인을 수 없음을 논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임금협상 주체인 CEO와 이사들이 가져야 할 보상적 정의로서의 ‘최소유효보수(Minimum Effective Compensation)’를 논하고자 한다. 최소유효보수는 기업경영에 가장 적합한 CEO를 영입, 유지하고 최선을 다할 동기를 부여하는 최소한의 보수를 말하며, 이를 제안하고 받아들이는 것이 기업의 이익과 이해관계자에 대한 분배를 수행하는 신의성실의무(Fiduciary Duty)이며, 동시에 시장경제에 가장 적합한 보상적 정의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기업의 목적과 사회적 책임(CSR)의 연관성에 대한 고찰 - 분배 정의를 위한 기업지배구조 변화의 필요 -

        장운혁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7 철학·사상·문화 Vol.0 No.23

        In this paper, I point out the following: 1) the purpose of a corporation lies in the fair distribution of profit to all stakeholders, including shareholders and 2) it is the ultimate responsibility of the corporation to do so. It is calle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s an economic institution, a corporation has a responsibility to produce goods and services efficiently and to distribute the profit fairly to the members who have contributed and cooperated in the production. I define this responsibility as the principle of production cooperation. CSR can be characterized by the differences between two theories of corporate governance - shareholder theory and stakeholder theory. According to the shareholder theory, the CEO has the primary res-ponsibility of maximizing the interests of shareholders, so CSR should be considered to be a means to fulfill shareholder interests.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stakeholder theory, firms should be managed in the balanced interests of all stakeholder groups, including shareholders, employees, suppliers, the local community, and so on. Stakeholder theory coincides with the corporate institutional purpose and the principle of production cooperation. Therefore, in order to fully realize CSR, it is justified for corporate governance to be changed from shareholder theory to stakeholder theory. Then, the corporate governance that allows stakeholders to receive as much distribution as they contribute to corporate performance becomes ‘stakeholder democracy.’ Through stakeholder democracy, stakeholders have a right to participate in the composition of the board. What is expected of this corporate governance is that the board of directors can decide on the rationality to meet the interests of each stakeholder group and on the reasonability in which all stakeholders consent that it is a fair distribution. That is to say, the efficiency of production and the fairness of distribution are the ultimate purpose of the enterprise. Stakeholder democracy provides a justified background governance structure in which corporations can fulfill their responsibilities. 본 논문은 기업의 목적이 주주를 포함한 모든 이해당사자들의 공정한 분배에 있음을 지적하고, 그것이 기업의 궁극적인 사회적 책임임을 밝히는 것이다. 경제제도로서의 기업은 재화의 효율적 생산과 함께 그 이윤을 생산에 협력하고 성과에 기여한 구성원들에게 공정한 분배를 할 책임이 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주주이론’과 ‘이해당사자 이론’에 기반을 둔 기업지배구조의 특징에 따라 상반된 입장을 보인다. 주주이론에 따르면 경영자는 주주의 이익에 대해 일차적인 책임이 있기 때문에 사회적 책임도 주주 이익을 위한 방편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반면 이해당사자 이론에서 기업은 모든 이해당사자의 균형 있는 이익 분배를 위해 경영되어야 한다. 이해당사자 이론은 곧 기업의 제도적 목적과 생산 협력 원칙에도 부합하므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구조적 배경으로서 기업지배구조 변화에 대한 정당성을 부여한다. 그리고 이해당사자들 자신이 기업 생산에 협력하고 성과에 기여한 만큼의 분배를 받을 수 있는 지배구조는 그들이 직접 이사회 구성에 참여할 권리를 갖는 ‘이해당사자 민주제’이다. 이 지배구조에서 기대되는 것은 각 집단의 이해를 충족시켜야 하는 합리성과, 모든 집단의 합의가 필요한 합당성을 보장하는 공정한 분배를 이사회에서 의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곧 생산의 효율성과 분배의 공정성은 기업의 궁극적인 목적으로서 이해당사자 민주제는 기업이 그 책임을 다할 수 있는 정당한 배경적 지배구조를 제공한다.

      • KCI등재

        임금의 규범적 개념과 정당성 연구: 정당한 임금은 무엇인가?

        장운혁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2 철학·사상·문화 Vol.- No.40

        What is a wage and how is a wage justified? This paper analyzes the moral concepts that justify wages based on the above two questions and attempts a productive development on the fairness of wage setting through the normative elements and justification logic of each concept. In the meantime, wages have been regarded only as a strategic management element of a company, causing many social conflicts. I think that the examination of the moral justification of wages is the starting point to solve this problem. In other words, wages should be approached from a moral point of view, not just from an efficiency point of view, and this should begin by revealing what moral elements are in the concept of wages. Therefore, this paper seeks to find the normative elements of wage justification in the concept of wage itself. First, I clarify the three concepts of wage justification, and show that each concept results in normative logic. These three concepts are ‘reward’ for valuable work performance, ‘incentive’ to motivate employees and encourage hard work, and ‘price’ to be paid for the purchase of information and labor needed for production. I then argue each normative logic is justified, but can be easily refuted. Lastly, I argue that wages should be basically determined by the normative logic of the concept of price because the concept of price has social efficiency, productivity, and compatibility with the market economy that the concept of reward and incentive do not have. Nevertheless, the wage imbalance that occurs will have to be corrected and supplemented through comparison with other concepts. 임금이란 무엇이며, 무엇이 임금을 정당하게 만드는가? 본 논문은 위 두 질문을 중심으로 임금(Wage)을 정당화하는 도덕적 개념들을 분석하여, 각 개념들의 규범적 요소 및 정당화 논리를 통해 임금책정 공정성에 대한 생산적 발전을 시도한다. 그동안 임금은 기업의 전략경영 요소로만 간주되어 많은 사회적 갈등을 야기하였다. 논자는 임금의 도덕적 정당성 검토가 이 문제를 해결할 출발점이라 생각한다. 다시 말해 임금을 효율적 관점에서만이 아니라 도덕적 관점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것이며, 이는 임금 개념에 어떤 도덕적 요소가 있는지를 밝히는 것으로 시작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임금 정당성에 대한 규범적 요소를 임금 자체 개념에서 찾고자 한다. 우선 논자는 세 가지 임금 정당성 개념을 명확히 하고, 각각에는 그에 맞는 규범적 논리가 있음을 보일 것이다. 이 세 개념은 가치 있는 업무 성과에 대한 ‘대가’(reward), 고용과 근면한 노동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는 ‘장려’(incentive), 그리고 생산에 필요한 정보 및 노동 구매를 위해 지불해야 하는 ‘가격’(price)이다. 그 뒤 논자는 각각의 규범적인 논리가 적절한 정당성을 가지고 있으나 쉽게 반박될 수도 있음을 보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논자는 대가 개념과 장려 개념이 가지지 못한 사회적 효율성과 생산성 및 시장경제와의 적합성을 가격 개념이 가졌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임금은 가격 개념의 규범적 논리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그럼에도 발생하는 임금의 불균형은 다른 개념과의 비교를 통해 수정 및 보완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기업윤리 발전을 위한 정치철학 적용 가능성 연구

        장운혁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0 철학·사상·문화 Vol.0 No.34

        Business ethics tends to be regarded as a strategic method in business. In the field of ethics, it depends upon the justification of the theory on traditional normative ethics. However, this has resulted in questioning the independent status of business ethics. Hereupon, by using both the social contract theory and Rawls’ theory, I would like to seek an alternative that political philosophy can produce the normative justification of business ethics. However, in order for political philosophy to provide normative justification for business ethics, it should have a reasonable argument that political philosophy considering the state and its citizens can also be applied to corporations. Since the difference between a corporation and a state does not show a profound difference in quality, it‘s only a difference in degree, it should be a priority to support the justification of an attempt to apply political philosophy to business ethics. For this, I reinterpret the arguments of those who claim political philosophy cannot be applied to business ethics, and I argue the reverse by examining the reasons provided in their arguments. That is, it will be shown through the concepts of 'cooperation and distribution' and 'contracts and obligations' that the role of Rawls' 'Basic structure of Society' is not very different from that of corporations in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In addition, the concept of 'social contract' of political philosophy can be applied to business ethics. This is because if the legitimacy, limits, and duties of state power are provided through social contracts, fiduciary duties and reasonable distribution are also given to the stakeholders of the corporations by contract. Lastly, I conclude this argument by looking at how to ensure the practical application and fairness of social contracts in a corporation and how to solve the conflict between profit and ethics. 그동안 기업윤리는 전통적 규범윤리에 이론의 정당성을 의존하거나 경영전략으로 치부되었다. 이는 기업의 윤리적 문제 해결에 규범 윤리이론들 간의 갈등만을 야기하거나, 윤리적 당위성이 경영성과의 수단으로 간주 되는 등 기업윤리만의 독립적 지위를 의심하게만 하였다. 이에 롤즈와 사회계약적 접근을 통하여 정치철학이 기업윤리의 규범적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정치철학이 기업윤리에 대한 규범적 타당성을 제시하려면 국가와 그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정치철학이 기업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타당한 논거를 가져야 할 것이다. 곧 기업과 국가에는 심연한 질적 차이가 아닌 정도의 차이에 불과하므로 정치철학을 기업윤리에 적용하려는 시도의 정당성을 확보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적용 불가능자들이 주장하는 근거를 재해석하여 적용가능성을 논할 것이다. 즉 롤즈의 ‘사회기본구조’와 기업의 역할이 크게 다르지 않음을 ‘협동과 분배’, ‘계약과 의무’의 개념을 통해 보일 것이다. 또한 정치철학의 ‘사회계약’을 통해 국가 권력의 정당성과 한계 그리고 의무가 규정된다면 기업에서도 ‘계약’을 통해 업무에 대한 신의성실의무와 합당한 분배가 기업 내부 구성원들에게도 부여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에 사회계약의 실제 적용 및 공정성을 어떻게 확보할 수 있는지와 이익과 윤리 간 괴리 문제 해결에 대한 개략적인 방안을 생각해 보는 것으로서 논의를 마무리할 것이다.

      • KCI등재

        인공지능과 의료자원분배

        장운혁,정창록 한국의료윤리학회 2017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20 No.4

        While artificial intelligence (AI) offers the promise of liberating humans from mundane labor, it also has the potential to create an unemployment problem in various economic sectors, including the healthcare industry. Exactly how AI will or should be used within the context of healthcare has emerged as an important ethical question. This article shows how a surplus of human resources will arise from the introduction of AI in the healthcare system and explains how medical resource should be allocated. It is argued that the surplus of human resources caused by the introduction of AI in healthcare should be used for those patients that receive the fewest benefits from the healthcare system. 인공지능은 자동차산업을 필두로 의료산업에 가장 먼저 활용되고 있다. 인공지능으로 말미암아 인간은 단순노동이나 지식노동으로부터 해방을 꿈꾸고 있다. 한편으로 이 문제는 기존 의료산업 인력의 일자리문제로 비화되기도 한다. 하지만 의료산업에서 인공지능의 역할로 말미암아 단순노동과 지식노동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인적 자원으로서의 의료자원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는 미래의료에서 중요한문제이다. 본 논문은 어떻게 의료에서 인공지능의 도입으로 잉여자원이 발생할 것인지를 보여주고, 기존 의료자원분배의 논의들을 정리한다. 이후 인공지능으로 인한 잉여자원을 어떻게 활용하는 것이 정당한지에 관해 다루어본다. 결론적으로 필자들은 본 논문에서 인공지능의료로 인한 잉여자원은 의료에서 가장 수혜를 적게 받는 환자들을 위해 쓰여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기술적 실업, 삶의 의미, 그리고 기업의 책임과 역할에 대한 윤리적 고찰

        장운혁 범한철학회 2023 汎韓哲學 Vol.111 No.-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율기술과 자동화가 야기할 ‘기술적 실업’(Technological Unemployment)에 대해 기업의 역할과 책임을 검토하는 것이다. 특히 정부의 ‘기본소득’과 같은 경제적 복지 정책으로는 충족되지 않는 ‘일(work)을 통한 삶의 의미’를 확보하는 데 있어 기업에 그 책임과 존재의 목적이 있고, 이를 위한 방안으로서 ‘확장된 기업경영모델’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그렇다고 하여 본 논의는 경제조직에서의 일의 기회가 삶의 의미와 동치관계임을 전제하지는 않는다. 곧 기업에 고용을 강제하는 것을 옹호하지 않으며, 일이 아닌 봉사, 자선, 여가 등으로 삶의 의미를 찾을 수도 있음을 부인하지는 않는다. 허나 한 개인이 삶의 여러 가지 의미들 중 하나인 경제생활의 영역에서 협력적 생산수단의 일부가 될 기회를 얻는 것은 개인적 선을 넘어 사회적 선에 기여할 수 있는 실질적인 통로이다. 이에 기업은 주요 사회경제적 기관으로서 그 책임과 역할을 수행할 의무가 있고, 이는 의미 있는 삶을 선택할 수 있는 시민의 자연적 권리에 부합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일과 삶의 의미와의 관계 분석이 선행된 뒤, 기술적 실업에 대한 기업의 합당한 대안으로 ‘이해관계자 기업경영모델’ 확대의 필요성을 논한다. 이 모델의 특징은 기술적 실업 상태의 사람들에게 간접적 경영활동의 참여기회를 보장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이들은 소비자로서 시장의 수요를 기업에 충족시키고, 기업이라는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기업의 경영방향과 의사결정이 사회적 선과의 일치 여부를 검토함을 통하여 성과 효율성도 극대화할 수 있음을 보일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corporations regarding the ‘technological unemployment’ problem that autonomous technology and automation will cause. I argue that a corporation’s responsibility and purpose is to secure the ‘meaning of life through work,’ which cannot be satisfied by economic welfare policies, such as only receiving a ‘basic income.’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I would like to present an ‘extended corporate management theory.’ However, this discussion does not assume that work opportunities in economic organizations are equivalent to the meaning of life. It does not deny that it is possible to force employment at a corporation or to find meaning in life through voluntary service, charity, leisure, etc. rather than work. However, as one of the meanings of life, an individual’s opportunity to become part of the cooperative means of production in the area of economic life is a practical channel through which an individual can contribute to social good. Corporations, as major social institutions, have a responsibility to provide the individual opportunity to do so and to allow for contribution to the social good. I would like to emphasize that the obligation to fulfill one’s role is consistent with citizens’ natural right to choose a meaningful life. To this end, I first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the meaning of life, and then I propose the need for corporations to expand ‘stakeholder theory’ as an appropriate alternative to technological unemployment. The distinction of this model is that it guarantees opportunities for the technologically displaced to work and participate in indirect management activities. They can contribute as consumers in ways that will help the corporation maximize performance and efficiency by satisfying the market’s demands ; as members of the corporate community, they can review whether the corporation’s management direction and decision-making are consistent with social go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