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시적 운동이 혈중 Adiponectin 과 Gut hormone 농도에 미치는 영향

        장석암(Zhang, Seok-Am),이장규(Lee, Jang-Kyu)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3

        최근에 발견된 Adiponectiin과 gut hormone은 지질대사와 인슐린 저항성, 그리고 식욕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장기간 트레이닝을 한 고등학교 씨름선수 16명(경량급=8, 장사급=8)을 대상으로 일 시적 운동을 실시하여, 운동 전·후의 혈중 Adiponectin과 Gut hormones 농도의 변화와 체중차이에 의한 농도에 차이 가 있는지를 구명하고 체중의 차이가 운동의 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실험방법으로 일 시적 운동프로그램은 40분간 걷기를 한 후, 5분간 all-out 달리기를 실시하였으며 운동 전·후에 혈액을 채혈하여 분석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에서 Adiponectin과 Ghrelin의 농도는 경량급선수가 장사급선수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 타났으며(p<.05), 인슐린의 농도에서는 반대로 장사급선수가 경량급선수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1). 또한, 운동 전․후의 유의한 차이는 오직 글루카곤에서 운동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1), 다른 모든 변인에서 운동 전·후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의 결과에서는 Adiponectin과 인슐린, Ghrelin 등의 혈중 농도에 대한 일시적인 운동 효과는 없었으며 체중 차이에 의해서 변화를 보였고, 글루카곤의 경우에만 일시적인 운동에 영향 을 받아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Adiponectin과 인슐린, Ghrelin 등의 농도는 지속적인 운동의 효과와 체중 차이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생각되며 글루카곤은 일시적인 운동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Adiponectin and Gut hormones(insulin, glucagon, ghrelin, PYY and GLP-1) are recently discovered peptides that are associated with lipid metabolism, insulin resistance, and control appetit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ute treadmill exercise(walking, 45min ; all-out running, 5min) on Adiponectin and gut hormones in high school ssireum player(light class, n=8; heavy class, n=8).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Adiponectin and ghrelin of light clas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heavy class(p<.05),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exercise. Insulin level of heavy clas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light class(p<.01) and no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exercise. Only glucagon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exercise(p<.01), but no difference between classes. PYY and GLP-1 were no difference on classes and pre vs. post-exercise.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adiponectin, ghrelin and insulin were affected by body weight(light class vs. heavy class) and glucagon was affected by acute exercise.

      • KCI등재

        4주간의 혈류를 제한한 걷기운동이 비만여성의 혈중 염증지표와 등속성근기능, 대퇴둘레에 미치는 영향

        박만수(Man-Soo Park),장석암(Seok-Am Zang),이장규(Jang-Kyu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0

        혈류를 제한한 운동은 가압벨트를 사용해 사지의 윗부분을 적당한 정도로 압박한 상태에서 트레이닝을 실시하며 인체의 다양한 생리적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만성질환의 발병 위험성이 높은 비만여성을 대상으로, 낮은 강도의 혈류를 제한한 걷기운동이 신체조성 및 성장호르몬, 근손상지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구명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자는 BMI 25kg/㎡와 체지방률 30% 이상의 직장 비만여성 11명으로 하였으며 혈류제한은 공압방식의 탄성벨트를 양쪽의 대퇴부위에 착용하고 압력을 조절하였다. 걷기프로그램은 트레드밀을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4주, 주 3일, 1일 2회), 2분 걷기와 1분 휴식으로 구성하여 총 5세트 반복하였고(4km/h, 5%)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4주간의 혈류를 제한한 걷기운동 후, 체중과 신체질량지수, 체지방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5), 우측의 대퇴둘레 또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5). 혈중 염증지표의 농도변화에서 IL-6는 4주간의 혈류를 제한한 걷기운동 후,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p<.05), 통계적 유의수준에는 도달하지 못하였지만 TNF-ɑ는 증가하는 경향을, CRP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등속성 근기능의 변화에서 60°/sec의 좌·우측 신전력(좌, p<.001; 우, p<.05)과 좌측의 굴곡력(p<.001)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180°/sec의 좌측 신전력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01). 이상의 결과로부터 4주간의 혈류를 제한한 걷기운동이 비만 중년여성의 체중 및 체지방량 감소와 근 기능 향상, 혈중 염증지표 농도의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이는 짧은 운동시간에도 불구하고 장시간의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검증한 것과 동시에 각종 만성성인질환 및 대사성 질환의 원인인 비만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Blood flow restriction(BFR) exercise is defined as low intensity and short termexercise usingpneumatic pressure belts at the top of limbs, which affectsthe physiological functions of the bod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alking exercise with BFR on inflammatory index, isokinetic muscle function, and thigh circumference in obese women. Eleven obese women(> BMI 25kg/㎡&> body fat 30%) wore pneumatic pressure belts on both femurs and performed walking exercise twice per day, 3days/wk for 4 weeks (walking 2min; resting 1min). Data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paired t-test. Body weight, BMI, and body fat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exercise(p<.05), and right thigh circumference significantly decreased(p<.05). The concentration of plasma IL-6 significantly increased(p<.05) after exercise. TNF-? level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ut tended to slightly increase. CRP slightly decreased, although it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after exercise. Muscle strength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60°/sec of right/left side extension, left side flexion, and 180°/sec of left side extension after training(p<.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4weeks ofblood flow restriction walking exercise has positive effects on inflammatory index andisokinetic muscle function. Therefore, weconsider that blood flow restriction exercisecan be used fortreatment of obesity, related chronic diseases, and metabolic syndrome. Further, blood flow restriction exercise for a short time has similareffectsas a high intensity resistance program.

      • KCI등재

        12주간의 복합트레이닝이 국가대표 여자럭비선수들의 FMS(Functional Movement Screen) 점수에 미치는 영향

        이진욱(Lee, Jin-Wook),장석암(Zhang, Seok-Am),이장규(Lee, Jang-Kyu)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11

        연구는 FMS를 통하여 선수들의 상해에 대한 위험요인 등을 찾아내고 이를 복합트레이닝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선수들의 신체 불균형 및 기초체력, 근 기능을 개선함으로써 FMS 점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 국가대표 여자 럭비선수들의 경기력을 향상시키고자 실시되었다. 제17회 인천아시안게임에 참가를 준비하는 국가대표 여자럭비선수 14명 을 대상으로 하여 FMS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2014년 5월~8월까지 12주간 복합트레이닝프로그램을 실시하여(주4회/120분≥) 복합트레이닝 전·후의 FMS 점수를 paired t-test를 통해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에서 Deep Squat와 Hurdle Step, Active Straight Leg Raise, Trunk Stability Push up의 항목에서는 12주간의 복합트레이닝 전보다 트레이닝 후에 FMS의 점수가 유의 하게 증가되었으며(p<.05), Inline Lunge(p<.01)와 Rotary Stability(p<.001)에서도 트레이닝 후, 유의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 다. 또한 전체 항목의 점수 합산도 복합트레이닝 후에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01). 그러나 Shoulder Mobility 항목에서 유일 하게 트레이닝 후에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통계적 유의수준에는 도달하지 못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복합트레이 닝프로그램이 FMS 점수를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국가대표 여자럭비선수들의 상해 위험 성이 줄이는데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주기적인 FMS의 평가는 선수들의 상해예방과 경기력 향상에 도움일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risk factors of injury by FM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12-weeks' combined training program on body imbalance, physical fitness, muscle strength and FMS score in woman rugby players of the national team. Fourteen subjects were woman rugby national players to participate in the 17th Incheon Asian Games. These players tested FMS and performed 12 weeks' (May~Aug, 2014) combined training program (4days, 120min≥). Statistical evaluation was undertaken using paired t-test (pre vs. po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rist, the score of FMS test on Deep Squat, Hurdle Step, Active Straight Leg Raise, and Trunk Stability Push 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12 weeks' combined training program (p<.05), and also Inline Lunge (p<.01) and Rotary Stability (p<.001)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However, Shoulder Mobility was not significantly increased(p=.104) although the tendency of increased was FMS score. Second, the sum of the entire item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combined training(p<.001). These results suggest that 12-weeks' combined training program has effect of improving FMS score and low-injury risk in woman rugby national players. Therefore, we consider that FMS have effect on prevention of athletic injury and improvement of athletic performance in woman rugby national players.

      • KCI등재후보

        중장애물 비월경기 후 기수들의 혈중 에너지기질 및 CK, LDH 농도의 변화

        정명진(Jeong Myoung-Jin),이장규(Lee Jang-Kyu),장석암(Zhang Seok-Am) 한국체육과학회 2008 한국체육과학회지 Vol.17 No.3

        In the jumping competition, riders have need more aerobic capacity and substrates because it exert higher VO2max and heart rate during jump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change of energy substrates reveal in resting and immediately after jumping competition on horse riders(N=8). When they were immediately after jumping, the plasma glucose and total protei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oth from resting(P<0.05). In the plasma total 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jumping event (P<0.05), but triglyceride level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ting and immediately after jumping. CK(Creatine kinase)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elevated(P<0.05) after immediately jumping but LDH(Lactate dehydrogenase) only slightly increased, no reached statistically difference. In conclusion, this results indicated that jumping competition may be necessary higher anaerobic capacity and muscle power. Therefore, we persist that it have to involve anaerobic and strength training in the training program for the elite rider.

      • KCI등재

        Anti-Gravity Treadmill Program을 적용한 가속재활의 효과

        조한수(Han-Su Cho),오두환(Du-Hwan Oh),이진욱(Jin-Wook Lee),장석암(Seok-Am Zang),이장규(Jang-Kyu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8

        본 연구의 목적은 16주간의 anti-gravity treadmill program을 적용한 가속재활운동이 반월상연골 봉합술 환자의 슬관 절의 등속성 근기능 및 기능점수와 관절가동범위, 통증지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구명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 자는 슬관절의 반월상연골 파열 진단을 받고 봉합술을 시행한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에서, 슬관절 등속성 신근력과 굴근력은 16주간의 anti-gravity treadmill program을 적용한 가속재활운동 후, 60°/sec와 180°/sec에서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1, p<.01), 등속성 근결손율은 60°/sec에서는 신근력과 굴근력, 180°/sec에서는 신근력이 유의하게 감소한 결과를 나타내었다(p<.01, p<.05). 슬관절 기능점수 또한 가속재활운동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1), 슬관절 가동범위 도 가속재활운동 후, 신전의 경우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5), 굴곡에서는 유의하게 증가를 나타내었다(p<.01). 시각적사상 척도(VAS)를 이용한 주관적 통증지수의 변화는 가속재활운동 후, 유의하게 감소한 결과를 나타내었다(p<.001). 이상의 결과 에서, 16주간의 anti-gravity treadmill program을 적용한 가속재활운동은 슬관절의 반월상연골 봉합술 환자의 슬관절 등속성 근기능 및 기능점수와 관절가동범위, 통증지수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재활방법은 기존의 전통적 재활방법과 비교하여 보다 안전하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빠른 스포츠 현장 및 일상생활로 복귀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것으 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the accelerated rehabilitation with an anti-gravity treadmill program for 16 weeks on isokinetic myofunction and functional score of knee joint, ROM, and VAS score in meniscus repair patients. A total of 10 male adult patients who underwent meniscus repair by the same doctor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Both extension and flexion peak torque at 60°/sec and 180°/sec significantly increased (p<0.001, p<0.01), while under muscle deficit, extension and flexion peak torque at 60°/sec and extension peak torque at 180°/sec significantly decreased (p<0.01, p<0.05). ROM in extension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whereas ROM in flexion significantly increased (p<0.01) in response to the program. VAS score significantly decreased (p<0.001) and lysholm score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completion of the program (p<0.001). These results suggest that 16 weeks of the anti-gravity treadmill accelerated rehabilitation program improves isokinetic muscle strength and functional score of knee joint, ROM, and VAS score in meniscus repair patients. Therefore, the anti-gravity treadmill accelerated rehabilitation program, which is a more scientific and effective method than conventional rehabilitation, leads to faster recovery of paly ground and normal daily activities.

      • KCI등재

        만성 발목 불안정성 요인에 대한 엉덩이 강화 운동의 효과

        신원정(Shin, Won-Jeong),오두환(Oh, Doo-Hwan),장석암(Zhang, Seok-Am),이장규(Lee, Jang-Kyu)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3

        본 연구는 만성 발목 불안정성을 가진 엘리트 선수들을 대상으로 8주간의 엉덩이 강화 운동이 엉덩이의 근력 및 족압 분포도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발목에 최소 2회 이상의 발목 염좌를 진단 받은 만성 발목 불안정성의 대상자 19명을 대상으로 8주간의 엉덩이 강화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결과에서 엉덩이 강화 운동으로 엉덩이의 외전근력은 유의한 증가를 보였지만 족압의 분포도와 증가비율은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 결과는 운동 후, 환측과 건측의 근력과 족압분포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환측의 근력과 족압분포가 건측의 수준만큼 증가된 것으로 생각되며 이는 8주간의 엉덩이 강화 운동이 발목의 불안정의 개선에 일정정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만성 발목 불안정성을 가진 대상자들의 회복과 재발방지를 위한 재활운동 프로그램의 구성요인으로서 엉덩이 외전근력 강화와 족압 분포도에 대한 부분을 중요하게 반영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8-weeks hip muscle training on the hip joint abductor muscle isokinetic strength and foot pressure distribution in elite player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N=19). A total of 19 subjects had chronic ankle instability from at least 2 ankle sprains, and were given 8-weeks hip muscle training exercise. The hip muscle strength of the elite player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increased significantly, but the foot pressure distribution and ratio of the foot pressure distribution of the elite player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the ratio of the foot pressure distribution showed a similar tren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trength and foot pressure distribution of the affected-side might increase to that of the unaffected-side. The 8-weeks hip muscle training helped improve the chronic ankle instability of the elite players. Therefore, the hip muscle strength and foot pressure distribution are the primary factors of a rehabilitation program on ankle sprains.

      • KCI등재

        특발성 측만증 청소년의 Schroth 3차원 운동이 콥스각과 복부근지구력 및 유연성, 평형성에 미치는 영향

        김정현(Kim J.H.),오두환(Oh, Doo-Hwan),장석암(Zhang, Seok-Am),이장규(Lee, Jang-Kyu)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6

        이 연구는 특발성 척추측만증 청소년을 대상으로, Schroth 3차원 운동처치와 볼?슬링운동을 수행하는 재활운동프로 그램의 처치가 콥스각의 변화와 근력 및 유연성, 평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특발성 척추측 만증을 진단받은 청소년 30명을 대상으로, Schroth 3차원 운동처치집단(n=15)과 볼과 슬링을 수행하는 재활운동 처치집단 (n=15)으로 무선배정 하였으며 운동 프로그램은 8주간, 주 3회, 90분으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에서, 8주간의 운동 후 Schroth 3차원 운동처치집단에서 콥스각이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p<.001), 복부근지구력(p<.05) 및 유연성(p<.001) 과 평형성(p<.001) 모두 운동 후에 유의한 개선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8주간의 운동 전·후 Schroth 3차원 운동 처치집단에서의 콥스각 변화율이 재활운동 처치집단의 콥스각 변화율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상의 결과에서 Schroth 처치집단과 재활운동 처치집단 모두 8주간의 처치 후, 특발성 척추측만증이 있는 청소년에게 유의한 개선 의 효과가 있었으며, 그러나 Schroth 3차원 운동처치가 콥스각 교정에 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특발성 척추측만증 예방과 운동치료에 Schroth 3차원 운동처치가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8-week schroth 3-dimensional exercise and ball-sling complex exercise treatment on cobb's angle, abdominal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and balance in adolescents with idiopathic scoliosis. Thirty subjects with scoliosis were random assignment into one of two experimental groups, either schroth treatment(n=15) or ball-sling complex exercise treatment(n=15). Exercise program was to perform for 8-week and 90min and 3 times per week.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bb's angl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8-weeks in schroth treatment(p<.001). And also abdominal muscle endurance(p<.05), flexibility(p<.001) and balance(p<.001) were significantly improve in pre vs. post treatment. Second, the ratio of cobb's angle chang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chroth treatment compared to ball-sling complex exercise treatment following 8-weeks(p<.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though both the schroth treatment and bal-sling complex exercise treatment in adolescents with idiopathic scoliosis can improve on cobb's angle, abdominal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and balance, but schroth treatment was better than ball-sling complex exercise treatment improving effect of cobb's angle. Therefore, we consider that schroth treatment has more effect of prevention and therapy in idiopathic scoliosis in adolescents.

      • KCI등재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환자의 후방보행 재활운동이 관절의 가동범위 및 통증점수, 고유수용성감각에 미치는 영향

        문대형(Dae-Hyung Moon),오두환(Du-Hwan Oh),장석암(Seok-Am Zhang),이장규(Jang-Kyu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5

        본 연구는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후방보행을 포함한 재활운동 프로그램이 환자의 통증지수 와 ROM, 고유수용성감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자는 전방십자인대 손상으로 재건술 을 시행한 환자 14명으로 하였으며 후방보행 집단(n=7)과 통제집단(n=7)으로 무선배정 하였고 4주간 각각의 재활운동프로그 램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에서, 굴곡 관절가동범위는 운동 전·후, 후방보행 집단(p<.001)과 통제집단(p<.01) 모두 운동 후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신전 관절가동범위에서는 후방보행 집단(p<.05)에서만 운동 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두 변인 모두 집단 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통증지수에 대한 결과에서는 운동 후, 두 집단 모두 유의하게 감소되었고(p<.001) 집단 간 차이에서는 운동 후, 후방보행 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고유수용성감각에서 는 후방보행 집단(p<.001)과 통제집단(p<.05) 모두 운동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집단 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 한 결과는 후방보행의 재활운동이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의 통증을 감소시키고 관절의 가동범위 확보와 고유수 용성감각을 회복하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4-weeks of backward walking exercise on ROM, VAS (Visual Analogue Scale) score and proprioception in anterior cruciate reconstruction patients. Fourteen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backward walking group (BWG, n=7) or a control group (CON, n=7) and then participated in rehabilitation program for 4 weeks. The ROM of the flexion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th groups (BWG, p<0.001 vs CON, p<0.01), while ROM of extension significantly decreased only in the BWG (p<.05) post exercise,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groups. Additionally, VAS sco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P<0.001) and BWG was lower than CON post exercise (p<0.001). Finally, proprioception de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BWG, p<0.001 vs CON, p<0.05), but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4 week backward walking rehabilitation program improves ROM, VAS score, and proprioception and has positive effects on functional recovery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patients.

      • KCI등재

        혈류를 제한한 4주간의 걷기운동이 중년 비만여성의 인슐린저항성과 아디포카인, Gut hormone에 미치는 영향

        오두환(Du-Hwan Oh),김정훈(Jung-Hoon Kim),장석암(Seok-Am Zhang),이장규(Jang-Kyu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만성질환의 발병 위험성이 높은 직장 중년 비만여성을 대상으로, 낮은 강도의 혈류를 제한한 4주간의 걷기트레이닝이 인슐린저항성과 아디포카인, Gut 호르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구명하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자는 BMI 25kg/㎡와 체지방률 30% 이상의 직장 중년 비만여성 11명으로 하였으며 혈류의 제한은 특수제작 된 공압식 가압벨트를 사용해 사지의 혈류를 제한하였다. 혈류를 제한한 걷기트레이닝은 대퇴부위 양쪽에 공압방식의 탄성벨트를 착용하고 압력을 조절하여 4주간, 주당 3일, 1일 2회 트레드밀을 이용하여 실시하였고 걷기프로그램은 4km/h의 속도와, 5%의 경사도로 2분 걷기와 1분 휴식으로 구성하여 총 5세트 반복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에서 4주간의 혈류를 제한한 걷기트레이닝 후, 인슐린의 농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p<.05) 글루코스의 농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HOMA-IR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5). 아디포넥틴과 비스파틴의 농도는 트레이닝 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그렐린과 GLP-1의 농도는 모두 4주간의 혈류를 제한한 걷기트레이닝 후,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5). 이상의 결과에서, 4주간의 혈류를 제한한 걷기트레이닝은 직장 중년 비만여성들의 인슐린 저항성과 아디포카인, Gut 호르몬 변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결과는 낮은강도와 짧은 시간의 혈류를 제한한 트레이닝이 비만의 예방과 치료적 차원에서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alking exercise with blood flow restriction (BFR) on insulin resistance, adipokines and gut hormones in middle aged obese women. Eleven obese women (BMI > 25kg/2; body fat > 30%) wore pneumatic pressure belts at both femurs and performed walking exercise consisting of walking for 2 min and resting for 1min twice per day, 3 days/wk for 4 weeks. Insulin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exercise (p<0.05), while glucose increased slightly, but not significantly. Additionally, HOMA-IR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exercise (p<0.05), while adiponectin and visfatin increased, but not significantly. Finally, ghrelin (p<0.05) and GLP-1 (p<0.05)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exerci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walking exercise with blood flow restriction for 4 weeks improves insulin resistance, adipokines, and gut hormones in obese middle-aged women. Therefore, high intensity walking exercise with blood flow restriction for short periods of time has more positive effects o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besity-related metabolic diseases.

      • KCI등재

        운동 형태와 강도의 차이가 중년비만여성의 인슐린 저항성 및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이대희(Dae-Hee Lee),오두환(Du-Hwan Oh),장석암(Seok-Am Zhang),이장규(Jang-Kyu L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6

        이 연구의 목적은 8주간 동일한 운동량(일일 400kcal)으로 강도별 유산소성운동과 복합운동이 인슐린저항성과 심혈 관질환 위험요인, 시간적 효율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구명하고자 한다. 2014년6월부터 2014년8월까지 40세 이상의 체지방률 30%이상인 여성 3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유산소운동집단은 VO₂max 50%(MAE, n=8)과 VO₂max 80%(VAE, n=8)으로, 복합운동집단은 VO₂max 50%+저항성운동(MARE, n=8)과 VO₂max 80%+저항성운동(VARE, n=8)으로 각각 무선 배정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에서, 체지방률은 운동 후 모든 집단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인슐린저항성은 복합운동 두 집단에서 운동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 p<.01). CRP는 운동 후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IL-6 또한 모든 집단에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VAE집단에서만 유의하게 낮아진 것으로 나 타났다(p<.05). TNF-a의 농도의 변화에서는 MAE집단에서는 8주 후, 유의하게 감소되었지만(p<.05), VARE집단에서는 오히 려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5). 운동시간의 변화에서는 모든 시기에서 낮은 강도의 운동집단보다는 높은 강도의 운동집단에 서 유의하게 운동시간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이러한 결과는 체지방률은 운동의 강도와 형태에 관계없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RP는 운동의 강도와 형태에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슐린저항성과 TNF-a의 농도는 운동의 형태에 따라 어느 정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생각되며 IL-6와 TNF-a, 운동시간은 운동 강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운동시간의 변화에서는 보다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exercise intensity and type on insulin resistance,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nd exercise time. Obese thirty-two subjects (>body fat 30%) were randomly assigned one of four experimental groups: VO₂ max 50% aerobic exercise group (MAE, n=8), VO₂ max 80% aerobic exercise group (VAE, n=8), VO₂ max 50% + resistance exercise group (MARE, n=8), and VO₂ max 80% + resistance exercise group (VARE, n=8). Body fat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groups and insulin resistance decreased significantly in MARE and VARE (p<.05 & p<.01) after exercise. CRP and IL-6 were slightly reduced after exercise, although these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whereas the IL-6 level of the VAE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p<.05). TNF-α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MAE group (p<.05) but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VARE group after exercise (p<.05). For exercise time, higher intensity exercise groups were significantly less than the lower intensity exercise groups (p<.001).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dy fat is affected by all kinds of exercise intensity and type while CRP is not. Insulin resistance and TNF-α were affected by exercise type, whereas IL-6, TNF-α, and exercise time were affected by exercise inten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