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치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sakei proBio65의 면역 조절 특성

        임정희 ( Jeong Heui Lim ),서병주 ( Byoung Joo Seo ),김정은 ( Jung Eun Kim ),채창석 ( Chang Suk Chae ),임신혁 ( Sin Hyeog Im ),한윤수 ( Youn Soo Hahn ),박용하 ( Yong Ha Park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1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39 No.3

        김치로부터 새로운 프로바이오틱균주인 Lactobacillus sakei proBio65를 분리하고 명명하였다. 형질전환 생쥐 (Foxp3-GFP KI 생쥐)를 이용하여 L. sakei proBio65의 면역조절 메커니즘 규명 및 면역 조절능을 확인하고 in vivo 적용 질환제어 응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조절 T 세포의 master 전사조절인자로 알려진 Foxp3+를 선정하고, L. sakei가 Foxp3+전사조절인자를 증가시키는지 확인하기 위해 확립된 세포기반 screening system을 이용하였다. 항 염증성 사이토카인 전사조질인자의 증가에 이어 Foxp3+ 전자조절 인자발현의 상당한 증가를 확인하였다. L. sakei proBio65는 염증성면역 장애의 조절에 치료적으로 유용할 것이다. We isolated and identified a novel probiotic strain, Lactobacillus sakei proBio65 from Kimchi. To determine whether L. sakei proBio65 has an immunomodulatory effect, we investigated cells via an in vitro screening system which co-cultured freshly isolated mesenteric lymphocyte with probiotics. A significant increase of Foxp3+ transcription regulatory factor expression was observed, followed by an increase in anti-inflammatory cytokines transcription regulatory factor. L. sakei proBio65 exhibited high levels of the IL-10/IL-12 production ratio and enhanced Foxp3 expression in vitro. L. sakei proBio65 may thus be therapeutically useful for the modulation of inflammatory immune disorders.

      • 야생조류 정보 수집과 활용을 위한 시민과학의 접근과 적용-eBird 사업을 중심으로

        백인환 ( In Hwan Paik ),진선덕 ( Seon Deok Jin ),유재평 ( Jae Pyoung Yu ),임정희 ( Jeong Heui Lim ),전병선 ( Byung Sun Chun ),이상보 ( Sang Bo Lee ),박치영 ( Chi Young Park ),백운기 ( Woon Kee Paek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4 No.2

        1990년대 말부터 쌍방향, 참여, 사회적 소통과 같은 웹2. 0 형태의 온라인 저널 블로그나 집단지능과 같이 협업적으로 콘텐츠를 생성하는 위키가 등장하면서 온라인을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형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생각하고 지역적으로 행동’하는 지구규모의 환경 현안에 대한 대응 체계로서도 정보화 시대의 쌍방향 네트워크는 환경정책 의사결정에 시민의 협력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특히, 대륙 및 국가간 이동하는 야생조류의 경우 대규모의 시민관찰 정보가 공동 데이터베이스(DB)로 구축되고 유통되면서 야생조류의 정보와 지식 생산의 중심에 시민과학(Citizen Science)의 영역은 넓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시민과학 활동이 활발한 북미의 eBird 웹사이트(eBird. org)를 중심으로 야생조류 정보 수집과 활용 체계를 검토하여 국내 야생조류의 연구 분야에서 시민과학의 접근과 적용가능성을 논의하고자 한다. 시민과학은 지속가능한 사회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대되는 시점에서 전문가주의(professionalism) 과학 기술과 과학의 공공성 회복에 대한 시민 사회의 의심과 민주적 참여가 확대 되는데서 출발하였다. 그러나 최근의 시민과학의 정의는 대중과학(crowd science), 크라우드소싱 과학(crowd-sourced science), 네트워크 과학(networked science)이라고 불리우며, 아마추어 과학자 또는 비전문과학자 등이 과학 연구의 일부 또는 전체에 참여하면서 자연 현상의 탐구, 체계적인데이터 수집과 분석, 기술 개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그래서 과학 활동에 종사하는 일반 대중의 구성원 또는 사회의 공익적 이익에 봉사하는 과학 등으로 정의할 수 있다. 실례로 Galaxy Zoo(galaxyzoo. org) 프로젝트와 같이 수백만 장의 천문 사진을 분류하는데 아마추어 천문학자의 집단 참여로 다양한 천문데이터가 신속하게 수집되었고, 이를 통해 새로운 과학적 발견과 논문으로 이어지면서 천문과학자와 아마추어 천문학자 사이에 지속적인 집단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북미의 아마추어 탐조가도 여가 시간의 증가, 공공에 개방된 방대한 양의 지식 접근, 최첨단 장비 활용 등으로 대규모 야생조류 정보 수집이 가능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오듀 본협회(Audubon Society)에서 실시하는 북미의 조류 개체군 조사 ‘크리스마스버드카운트(Chrismas Bird Count: CBC)’는 1900년 27개소에서 시작하여 2006년 기준으로약 2천개의 단체와 6만 명의 시민과학자가 동시에 헌신적으로 야생조류의 관찰정보를 수집하고 있으며, 현재는 온라인상의 웹과 앱을 통해 정보를 상호 교류하고 있다. 북미의 탐조활동(bird watching)은 수백만명이 참가하고 있으며, 그들이 관찰한 이동조류의 이동경로, 개체수 정보는 단순한 기록에서 eBird 웹사이트에 스스로 관찰한 내용과 현장 정보를 입력하여 공동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있다. 수집된 데이터는 과거에 불가능했던 과학적 가설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정보로 가공해서 과학적인 문제를 해결하는데 이용된다. eBird 사업의 참가자는 탐조가부터 개체군·분포·보존 생물학자, 계량 생태학자, 통계학자, 컴퓨터 과학자, GIS 및 정보과학자, 어플리케이션(App) 개발자, 데이터 관리자 등이 참여하여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데이터의 양과 질을 관리하고 있다. 특히, 다양한 시민과학자의 능력, 불완전한 종동정, 시공간적 데이터 편차 등을 체계적으로 계량화 하도록 컴퓨터 과학의 협조는 정밀하고 신뢰성있는 데이터로 얻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한편, eBird 데이터는 학생, 교사, 과학자, NGO, 정부 기관, 토지 관리자 및계획가, 정책의사결정자 등 폭넓은 이용자가 활용하고 있고, 조류서식지 보전과 종 분포를 예측하는 등의 구체적인 방안을 수립하는데 직간접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또한, eBird 데이터는 야생조류의 종분포 모형에 관심이 많은 연구자나 정부와 지자체의 환경영향 보고서에도 활용되는 등 광범위한 데이터 활용을 지원하고 있다. 최근 10년간 eBird 데이터를 이용한 논문만도 90건 이상이 게재된바 있다. 이러한 eBird 데이터 활용은 공동 연구와 탐조 커뮤니티 활동을 지속적으로 지원하면서 야생조류의 지식 접근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 국내도 많은 탐조가의 활동으로 수집된 정보가 민관별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민간 분야에서는 BirdDB(birddb. com), 한국야생조류협회(kwbs. or. kr)등에서 탐조회원의 자발적인 참여로 국내 야생조류 정보를 수집하고 있으며, 정부 부처에서는 환경부의 관련기관과 국립중앙과학관 등에서 전문가의 야생조류 정보를 DB로 구축하고 있다. 그러나, eBird와 같이 야생조류 정보의 대규모수집이나 데이터 접근과 등록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효율성과 유연성 개선, 데이터의 시각화를 위한 플랫폼 제공 등 사용자의 참여와 활용을 높이려는 노력 등은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시민과학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력은 과학의 발전과 과학 활동의 증가를 통해 지식을 창출하고 있다. ICT(정보통신)의 발전은 생물다양성 정보 데이터의 신뢰성과 융합성을 지원하며, 생태계서비스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키고 있다. 이러한 기반에는 시민과학자의 양성과 적극적인 참여를 유인하는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정부3. 0 등 국가적으로 데이터와 정보를 통합하고 연계하는 사업도 시민과학의 참여와 협력 기반에서 가능하기 때문에 eBird와 같은 야생조류의 수집과 활용 체계는 국내에서도 매우 유용한 수단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