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정 중심 평가에 따른 중학교 기술과 수행평가 도구 개발 및 적용

        임윤진(YunJin Lim),김성애(SungAe Kim),김승현(Seunghyun Kim) 한국기술교육학회 2022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과 교수・학습 및 평가의 개선을 위한 것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과정 중심 평가에 따라 적합한 수행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적용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과정 중심 평가에 관한 개념과 절차를 탐색하였다. 수행평가 주제 및 과제 개발은 교과역량, 성취기준, 학년, 주제, 학습량 등을 고려하여 구안하였다. 개발된 자료는 내용의 적절성, 현장 적합성 등에 대해 교과 전문가 검토를 통하여 보완하였다. 최종 개발된 자료 일부는 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그 의도와 효과가 드러나는지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중학교 기술과에 적합한 과정 중심 평가형 수행평가 도구 4개를 개발하였다. 둘째, 개발한 수행평가 도구는 과정 중심 평가의 취지를 살리기 위하여 ‘1) 문항 정보표’, ‘2) 교수·학습 활동 및 평가 계획’, ‘3) 교수·학습과정안’, ‘4) 수행평가 과제 및 예시 답안’, ‘5) 채점 기준’, ‘6) 평가에 대한 피드백’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였다. 셋째, 개발한 수행평가를 학교에 실제 적용한 결과 학습자의 흥미와 만족도, 교사의 수업 개선 의지 등에서 긍정적인 반응이 나타났다. 넷째, 과정 중심 평가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 개발한 수행 평가도구의 효과적인 적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과정 중심 평가의 취지에 맞게 중학교 기술과 수업의 바람직한 개선 및 더욱 발전된 수행평가 도구가 개발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ppropriate performance assessment instrument according to the course-oriented evaluation based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r this study, concepts and procedures for process-oriented evaluation were explored. The development of the subject and task for performance assessmentwas devised in consideration of subject competency, achievement standards, grade level, subject, and amount of learning. The developed instruments were supplemented through the review of subject matter experts for the relevance of the content and the field suitability. Some of the finally developed data were applied to the school and the effect was confi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ur process-oriented evaluation-type performance assessment instruments suitable for the middle school technology subject were developed. Second, the developed performance assessment instrument was structured as follows to bring out the purpose of process-oriented evaluation: ( 1) Questionnaire information table , 2)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nd evaluation plan , 3)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 4) Performance evaluation task and sample answers , 5) Scoring criteria , 6) It was composed to include feedback on evaluation ). Third, as a result of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performance assessment to schools, positive responses were found in learners interest and satisfaction, and teachers willingness to improve teaching & learning. Fourth, an effective application method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instrument developed was proposed to bring out the purpose of process-oriented evaluation. It is expected that, through this study, desirable improvement of middle school technology subject and a more advanced performance assessment instrument will be developed in line with the purpose of process-oriented evaluation.

      • KCI등재

        교육과정 개정에 대비한 고등학교 기술과 선택교육과정 국제비교 연구 : 미국, 영국, 호주, 중국을 중심으로

        임윤진(YunJin Lim) 한국기술교육학회 2021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1 No.3

        이 연구의 목적은 국외 기술과 고등학교 선택과목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차기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고등학교 기술과 선택과목의 구성 방안과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대륙을 대표하는 4개국(미국, 영국, 호주, 중국)을 선정하고 고등학교 기술과 선택과목 운영 사례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사례 분석을 위하여 연구진이 분석틀을 마련하여 각 국가별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각국을 우리나라의 고등학교 기술과 선택과목과 비교함으로써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 코네티컷 주의 고등학교 기술과 선택과목은 공학의 다양한 분야에 대해 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둘째, 영국의 경우 고등학교 선택과목은 설계와 기술뿐이지만 내용 요소가 학생들의 다양한 진로 경로와 관련 되어있음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셋째, 호주의 경우 설계와 기술, 정보 기술로 나누어 선택할 수 있으며, 두 과목을 모두 수강할 수도 있는 것이 특징이다. 넷째, 중국의 경우 고등학교 기술과목이 필수, 필수 선택, 선택과목으로 매우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으며, 공학과 설계 활동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다섯째, 국내외 사례를 비교한 결과 교과 명칭, 선택과목 구조, 교과 선택 학년, 선택과목의 내용 구성 등에서 유사점과 차별점이 존재하고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진학 및 진로 의사결정 과정에 있는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다양한 기술과 선택과목이 어떻게 제공 및 운영되어져야 하는지를 교육과정 개발 측면에서 고려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rive the composition measures and implications of elective subject in Technology subject in high school according to the next curriculum revision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cases of elective subject in Technology subject in high school in foreign.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research team selected four countries representing the continent (US, UK, AU, CH) and was trying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operation cases of elective subject in Technology subject in high school. To this end, the research team prepared an analysis framework,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and compared the four countries with elective subject in Technology subject in high school in Korea.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lective subject in Technology subject in high school in Connecticut, USA, are structured so that students can choose from various fields of engineering. Second, in the case of the UK, although design and technology are the only elective subject in Technology subject in high school, it suggests that content elements are related to students various career paths. Third, in Australia, students can choose between design, technology, and information technology, and can take both courses. Fourth, in China, Technology subject in high school are presented in a variety of required subject, required elective subjects, and elective subjects, and engineering and design activities are emphasized. Fifth, as a result of comparing domestic and foreign cases, there wer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subject name, structure of elective subject, the grade in which the subject is chosen, and content composition of elective subjects.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so that various elective subject in Technology subject should be provided and operated to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in the process of going on to university and deciding on their career path to consider in terms of curriculum development.

      • KCI등재

        학교 교육 활용을 위한 메이커 교육 구성 요소 탐색

        권유진(Kwon, Yoojin),이영태(Lee, Youngtae),임윤진(Lim, Yunjin),박영수(Park, Youngsu),이은경(Lee, Eunkyung),박성석(Park, Seongseog)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2 No.4

        메이커 교육은 메이커스페이스에서 모인 메이커들이 서로의 활동과 경험을 공유한 메이커 운동에 기초하여 시작되었으며,메이커 교육에서 추구되는 교육적 가치는 구성주의 패러다임을 기반으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교육에 사용할 메이커교육의 구성 요소를 도출하여 메이커 교육의 특성과 교육적 가치에 초점을 맞추고 이를 활용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메이커 교육을 재개념화하기 위해 이론적 근거를 탐색하였고, 메이커 교육 수업을 진행하는 교사들의심층면담 자료를 중심으로 진술문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을 전문가들을 통해 검토 받았다. 이러한 진술문을 토대로 메이커교육 활용을 위한 구성 요소를 도출함으로써 학교 교육에서의 메이커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고 교과 수업 및 창의적 체험학습에서활용할 수 있는 예시 틀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메이커 교육에서 메이커들은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협력하고, 다른 사람들과아이디어를 공유하고 향상시키려고 노력하며, 학습, 땜질, 디자인 사고, 메이커 활동, 공유 및 협력, 성찰 등의 자기 방향을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메이커 교육은 특정 활동을 필요에 따라 학생의 선택에 국한시키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실제겪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경험 학습을 강조한다. 활동의 결과물보다는 학습자의 행동 과정을 중시하고, 학습자의 실패를용인하며 재도전을 촉진하는 촉진자로서 교사의 역할을 강조한다. 향후 각 교과(커리큘럼 전문가, 교직 / 학습 전문가, 초 중학교교사, 부모, 지역 교육자 등) 및 학교 활동에 있어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학교 메이커 교육의 기초 연구로서 향후 연구방향 설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Maker education started on the basis of the maker movement in which makers gathered in makerspace share their activitiesand experiences, and the educational value pursued in maker education is based on the constructivist paradigm. The purposeof this study is to present maker education components to be used in school education,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values of maker education, and explore ways to use them. To this end, this study explored the theoretical grounds to re-conceptualizemaker education, drew statements based on in-depth interview data of teachers conducting maker education classes, and reviewedits validity through experts. Based on these statements, by deriving the components for the use of maker education, the directionof maker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was set, and an example framework that could be used in subject class and creativeexperiential learning was proposed. Research shows that in maker education, makers cooperate to carry out activities, share ideaswith others and try to improve them, and include self-direction such as learning, tinkering, design thinking, sharing and reflection. can see. In addition, maker education emphasizes experiential learning that can solve real problems that students face, ratherthan confining specific activities to student choices as needed. It emphasizes the learner s course of action rather than the outcomeof the activity, tolerates the learner s failure, and emphasizes the role of the teacher as a facilitator to promote re-challenge. In the future, it can be used in various ways in each subject (curriculum expert, teaching/learning expert, elementary and middleschool teachers, parents, local educators, etc.) and school activities, and it will contribute to setting future research directionsas a basic research for school maker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